KR20180079140A -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140A
KR20180079140A KR1020160184615A KR20160184615A KR20180079140A KR 20180079140 A KR20180079140 A KR 20180079140A KR 1020160184615 A KR1020160184615 A KR 1020160184615A KR 20160184615 A KR20160184615 A KR 20160184615A KR 20180079140 A KR20180079140 A KR 20180079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water
support
water trap
rai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섭
Original Assignee
안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섭 filed Critical 안동섭
Priority to KR102016018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140A/ko
Publication of KR20180079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이나 욕실 등에서 사용되는 선반의 물받이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선반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물받이를 쉽게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된 선반봉(10)의 좌우 측단부에 지지부재(20)를 각각 결합하고 선반봉(10)의 하방에 물받이(30)를 결합 분해할 수 있도록 장치하여 ㄱN성된 공지의 선반(P)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부(41)의 좌우측에 슬라이딩부(42)가 전후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걸림부(43)가 일체로 형성된 걸고리(44)를 레일부(41)의 상부에 형성된 중간레일부재(40)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부재(20)의 지지몸체(21)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걸림단부(45)가 절곡 형성된 지지부(46)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걸림부(43)를 상기 선반봉(10)에 걸어 끼우면 선반봉(10)의 하방에 전후 방향으로 중간레일부재(40)가 위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물받이(30)의 일측 플랜지(33)가 중간레일부재(40)의 슬라이딩부(42)에 결합되고 타측 플랜지(33)가 상기 지지부(46)의 걸림단부(45)에 걸쳐 지지되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a water trap system of a shelf for kitchen}
본 발명은 주방이나 욕실 등에서 사용되는 선반의 물받이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선반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물받이를 쉽게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의 주방이나 욕실 등에 설치되어 각종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은 금속재의 철사 또는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주방의 씽크대에 설치되어 그릇 등을 올려놓는 선반은 설거지가 끝난 그릇 등의 물기가 쉽게 흘러내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선반에 올려놓은 그릇 등에서 흘러내리는 물기에 의하여 주위가 지저분해지기 때문에 선반의 하부에 물받이를 설치하는 것이 보통의 방법으로서,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태의 물받이를 선반의 하방에 구비된 결합수단에 결합하여 흘러내린 물기를 저장하고 결합수단으로부터 물받이를 분해하여 저장된 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좌우 길이가 긴 선반의 경우에 물받이의 형태도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취급이 곤란하고 분해 결합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 선반을 주방 이외의 욕실이나 거실 등의 다른 곳에 설치하여 물받이의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 물받이와 결합수단이 불필요하고 거추장스러울 뿐 아니라, 전체적인 미감이 좋지 않은 등의 문제가 있었다.
국내에서 2011년 06월 16일자 공개된 실용신안공개 제2011-0006061호의 주방용 선반이 있으며, 이러한 선반은 테두리부와, 일정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포함된 2 이상의 종간와이어, 일정부분이 절곡되게 형성 되는 것이 포함된 2 이상의 횡간와이어로 구성된 선반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하단에는 브라켓에 고정되어 결합되게 하는 걸이부재및 1이상의 물받이대가 슬라이드되어 안착되게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물받이대가 슬라이드되어 안착 가능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그 단면이 ⊂ ⊃ 의 형태가 되도록 좌우로 설치되며 가운데의 홈을 통해 물받이대가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물받이를 필요에 따라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가이드부재가 고정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첫째, 상기 선반은 가이드부재가 고정된 상태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좌우 길이를 조절할 수 없으며, 좌우 길이가 긴 물받이대를 사용하는 경우에 분해와 결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둘째, 주방에서 사용되는 좌우 길이가 긴 선반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전체에 물받이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선반의 하부에 국자 등의 소도구를 걸어 놓을 필요가 있으나, 상기 선반은 하방 전체가 물받이부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국자 등의 소도구를 걸어 보관할 수 없으므로 결국 공간활용을 할 수 없었다.
셋째, 상기 선반을 물받이가 필요 없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가이드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미관상 좋지 못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기능 이외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기존의 선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받이의 좌우 길이에 따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방에서 물받이의 용도뿐 아니라 물받이가 필요 없는 일반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된 선반봉의 좌우 측단부에 지지부재를 각각 결합하고 선반봉의 하방에 물받이를 결합 분해할 수 있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공지의 선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부의 좌우측에 슬라이딩부가 전후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된 걸고리를 레일부의 상부에 형성된 중간레일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몸체 하단부에 내측으로 걸림단부가 절곡 형성된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걸림부를 상기 선반봉에 걸어 끼우면 선반봉의 하방에 전후 방향으로 중간레일부재가 위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물받이의 일측 플랜지가 중간레일부재의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타측 플랜지가 상기 지지부의 걸림단부에 걸쳐 지지되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방의 씽크대에 설치 사용하는 선반에 있어서, 좌우에 각각 2개의 물받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한 물받이를 선택적으로 분해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할 뿐 아니라, 물받이의 좌우 길이를 비교적 짧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채워진 물받이를 분해할 때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의 사용에 있어 물받이가 전체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일측에만 물받이를 설치하고 타측의 하방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한 후 죽자 등의 소도구를 걸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을 욕실이나 거실 등과 같이 물받이가 필요 없는 경우에 물받이를 제거하면 일반 선반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받이를 결합분해할 수 있는 레일부재를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수요자들이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칸막이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별개의 지지수단 없이 칸막이를 장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중요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레일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레일부에 대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과 설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된 다수 개의 선반봉(10)을 구성하여 선반봉(10)의 좌우 측단부에 지지부재(20)를 각각 결합하며, 선반봉(10)의 하방에 물받이(30)를 결합 분해할 수 있도록 장치하여서 선반(P)를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지지몸체(21)의 내측에 다수 개의 끼움부(22)를 각각 형성하고 지지몸체(21)의 후방 측 상하에 결합부(23)를 각각 형성하여서, 상기 선반봉(10)의 측단부를 끼움부(22)에 끼워 결합하고 상하 길이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지주봉(24)에 결합부(23)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물받이(30)는 높이가 낮은 사각통체(31)의 내측에 물저장실(32)가 구비되도록 형성하여 사각몸체(31)의 상단 테두리부에 플랜지(33)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부(41)를 구성하여 레일부(41)의 좌우측에 슬라이딩부(42)를 전후 방향으로 각각 형성하며, 상부에 걸림부(43)가 일체로 형성된 걸고리(44)를 레일부(41)의 상부에 다수 개 세워서 중간레일부재(4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지지몸체(21)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걸림단부(45)가 절곡 형성된 지지부(46)를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중간레일부재(40)의 걸고리(44)에 형성된 걸림부(43)를 상기 선반봉(10)에 걸어 끼우면 선반봉(10)의 하방에 전후 방향으로 중간레일부재(40)가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30)의 일측 플랜지(33)가 중간레일부재(40)의 슬라이딩부(42)에 결합되고 타측 플랜지(33)가 상기 지지부(46)의 걸림단부(45)에 걸쳐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방의 씽크대나 욕실 등에 설치 사용하는 것으로서, 지주봉(24)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세워 설치한 후, 지지부재(20)의 결합부(23)를 좌우측에 설치된 지주봉(24)에 각각 끼워 결합하면 선반(P)이 좌우 수평이 유지되면서 견고하게 장착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상하 다수개의 선반(P)을 장착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물받이(30)를 선반봉(10)의 하방에 결합하기 위하여, 중간레일부재(40)의 걸고리(44)에 형성된 걸림부(43)를 선반봉(10)에 걸어 끼우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봉(10)의 하방에 위치되며, 이때 중간레일부재(40)가 장착되는 위치는 물받이(30)의 플랜지(33) 좌우 폭의 넓이로 조절하여 위치시키며, 일단 결합된 걸림부(43)가 선반봉(10)에 긴밀한 상태로 밀착되기 때문에 장착된 중간레일부재(40)가 정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받이(30)를 좌우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선반봉(10)의 하방으로 진입시켜 일측 플랜지(33)를 중간레일부재(40)의 슬라이딩부(42)에 위치시키고 타측 플랜지(33)를 지지부재(20)의 지지부(46)에 위치시킨 후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플랜지(33)의 좌우측이 슬라이딩부(42)와 걸림단부(45)가 각각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선반봉(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씽크대에 설치된 선반(P)에 설거지가 완료된 그릇 등을 올려 놓으면 물기가 하방으로 흘러내려 물받이(30)의 물저장실(32)에 수집되는 것이며, 물저장실(32)이 물이 채워지거나 청소를 하고자할 경우에는 물받이(30)를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결합의 역순으로 플랜지(33)가 슬라이딩부(42)와 걸림단부(45)에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되는 것이다.
또한, 선반(P)의 전체에 걸쳐서 물받이(30)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측에 물받이(30)을 결합하고 물받이(30)가 결합되지 않은 부위의 선반봉(10)에 국자 등의 소도구를 걸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반봉(10)의 하방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물기가 흘러내리지 않는 주방이나 욕실, 거실 등의 장소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물받이(30)와 중간레일부재(40)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미감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일반적인 선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레일부재(40)의 레일부(41) 상면에 끼움부재(51)를 상부로 돌출되게 전후로 각각 형성하고 끼움부재(51)의 내측에 끼움공(52)를 형성하여서, 칸막이(60)의 하방에 형성된 끼움봉(61)을 끼움공(52)에 끼워 결합하면 칸막이(60)가 선반봉(10)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므로 칸막이(60)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선반봉(10)에 결합된 중간레일부재(40)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칸막이(60)의 좌우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다수 개의 중간레일부재(40)를 결합하면 다수 개의 칸막이(6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실시 예는 기존의 선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간단한 방법으로 물받이를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받이의 분해와 결합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분에만 물받이를 설치하여 선반 하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칸막이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씽크대 뿐 아니라, 주방이나 욕실 거실 등과 같이 물받이를 제거하면 일반적인 선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실용화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P: 선반 10: 선반봉 20: 지지부재
21: 지지몸체 22: 끼움부 23: 결합부
24: 지주봉 30: 물받이 31: 사각통체
32: 물저장실 33: 플랜지 40: 중간레일부재
41: 레일부 42: 슬라이딩부 43: 걸림부
44: 걸고리 45: 걸림단부 46: 지지부
51: 끼움부재 52: 끼움공 60: 칸막이
61: 끼움봉

Claims (2)

  1.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된 선반봉(10)의 좌우 측단부에 지지부재(20)를 각각 결합하고 선반봉(10)의 하방에 물받이(30)를 결합 분해할 수 있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공지의 선반(P)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부(41)의 좌우측에 슬라이딩부(42)가 전후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걸림부(43)가 일체로 형성된 걸고리(44)를 레일부(41)의 상부에 형성된 중간레일부재(40)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부재(20)의 지지몸체(21) 하단부에 내측으로 걸림단부(45)가 절곡 형성된 지지부(46)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걸림부(43)를 상기 선반봉(10)에 걸어 끼우면 선반봉(10)의 하방에 전후 방향으로 중간레일부재(40)가 위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물받이(30)의 일측 플랜지(33)가 중간레일부재(40)의 슬라이딩부(42)에 결합되고 타측 플랜지(33)가 상기 지지부(46)의 걸림단부(45)에 걸쳐 지지되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레일부재(40)의 레일부(41) 상면에 끼움부재(51)를 상부로 돌출되게 전후로 각각 형성하고 끼움부재(51)에 끼움공(52)를 형성하며, 칸막이(60)의 하방에 형성된 끼움봉(61)을 끼움공(52)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KR1020160184615A 2016-12-30 2016-12-30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KR20180079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615A KR20180079140A (ko) 2016-12-30 2016-12-30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615A KR20180079140A (ko) 2016-12-30 2016-12-30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140A true KR20180079140A (ko) 2018-07-10

Family

ID=6291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615A KR20180079140A (ko) 2016-12-30 2016-12-30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1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3990A (zh) * 2020-09-15 2022-03-15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承载框架的存放板组件以及家用制冷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3990A (zh) * 2020-09-15 2022-03-15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承载框架的存放板组件以及家用制冷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2465B2 (en) Sliding tine assembly for a dishwasher
US20100059460A1 (en) Dish rack with removable grate
US7857147B2 (en) Dish rack with splash guard and dish towel drying handles
US20040099617A1 (en) Over-the-sink organizer
KR20090131473A (ko) 식기건조대
KR20180079140A (ko)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JP5797943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KR101629629B1 (ko) 주방용 선반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KR102003127B1 (ko) 주방용 선반
KR101818835B1 (ko) 식기선반
US8752914B1 (en) Dish rack mounted in kitchen cabinet
KR100673488B1 (ko) 도마 걸이대
KR102128351B1 (ko) 식기선반
KR101607574B1 (ko) 식기 선반
KR200279949Y1 (ko) 조립 현가식 식기건조대
CN110840113A (zh) 拉篮
CN211559352U (zh) 拉篮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JP3088587U (ja) シンク用水切り兼収納棚
KR20050023580A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US20090090680A1 (en) Rack systems for use with kitchenware washin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11426051B1 (en) Accordion dish drying rack with utensil holder
KR200494232Y1 (ko) 주방용 선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