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464B1 - 의자용 좌판 - Google Patents

의자용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464B1
KR101674464B1 KR1020160057648A KR20160057648A KR101674464B1 KR 101674464 B1 KR101674464 B1 KR 101674464B1 KR 1020160057648 A KR1020160057648 A KR 1020160057648A KR 20160057648 A KR20160057648 A KR 20160057648A KR 101674464 B1 KR101674464 B1 KR 101674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s
projection
grooves
protrusion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천
Original Assignee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47C7/022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6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8Leg for the upper leg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장시간 좌판에 착석하는 경우 인체의 둔부와 대퇴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감소시켜 착석자가 안정된 착좌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하면에는 좌우 대칭되게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하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상부를 덮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자용 좌판{SEAT BOARD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장시간 좌판에 착석하는 경우 인체의 둔부와 대퇴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감소시켜 착석자가 안정된 착좌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학업, 업무 또는 자기 개발을 위하여 서적을 보거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주로 의자에 앉아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착석자의 허리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줄 수 있는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 의자를 비롯해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의자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장시간 동안 의자용 좌판에 착석하게 되면 허리 및 둔부와 대퇴부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인체의 전반적인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앉아 있는 상태의 고정된 자세에 의해 근육이 긴장되어 온몸을 뻐근하게 하는 등 신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45523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05545호 등에서는 다양한 의자용 좌판에 대해서 제안하고 있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45523호에 개시된 기능성 좌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성 좌판은, 베이스프레임(10)과, 둔부와 대퇴부가 거치되는 거치부(20)와, 베이스프레임(10)과 거치부(2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되어, 장시간 기능성 좌판에 착석중에도 기능성 좌판의 유동에 의해 몸의 피로가 풀어지게 되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능성 좌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05545호에 개시된 의자용 좌판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자용 좌판은, 하부에 다수의 요홈(11)이 형성되어 소정의 신축성 또는 탄력을 갖는 상부쿠션(10)과, 상부쿠션(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쿠션(10)에 비해 작은 탄력을 제공하며 상부에는 요홈(11)에 대응 삽입하는 완충부(21)가 돌출 형성되는 보강쿠션(20)과, 보강쿠션(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측에는 회전축(31)이 돌출 형성되는 좌판프레임(30), 및 좌판프레임(3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쿠션(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착석자가 좌판에 착석 시 보강쿠션(20)의 완충부(21)가 착석자의 하중을 받쳐줌으로써 좌판의 내구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착석자가 느낄 수 있는 안락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자용 좌판들은, 착석자가 좌판에 착석하는 경우 좌판에 좌압이 많이 가해지는 둔부와 덜 가해지는 대퇴부의 구분없이 단순하게 좌판 자체에만 탄력을 제공함으로써, 착석자가 안정된 착좌감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2-0045523 A (2012.05.09.) KR 10-2011-0005545 A (2011.01.1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착석자가 좌판에 착석하는 경우 좌판에 좌압이 많이 가해지는 둔부와 덜 가해지는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의 좌압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안정된 착좌감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용 좌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하면에는 좌우 대칭되게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하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상부를 덮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부재에 형성되는 홈은, 착석자의 둔부의 중심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홈; 상기 제1홈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홈; 상기 제2홈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홈; 및 상기 제3홈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4홈;을 포함하고, 홈의 개수는 상기 제4홈, 제3홈, 제2홈, 제1홈 순으로 많고, 홈의 직경은 상기 제1홈, 제2홈, 제3홈, 제4홈 순으로 크다.
또한, 상기 하부 부재에 형성되는 돌기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되, 착석자의 둔부의 중심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돌기; 상기 제1돌기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돌기; 상기 제2돌기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돌기; 및 상기 제3돌기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4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개수는,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 : 2.4 : 2.6 : 5.5 의 비율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의 하단 직경은,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8 : 1.6 : 1.2 : 1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는,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9 : 1.5 : 1.3 : 1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은 59°, 상기 제2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은 65°, 상기 제3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은 60°, 상기 제4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은 64°이고, 상기 제1돌기, 제2돌기, 제3돌기 및 제4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은 각각 ±1%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돌기, 제2돌기, 제3돌기 및 제4돌기의 하단과 상단은 곡률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상단 곡률 반지름은,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7 : 1.8 : 1.2 : 1 의 비율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하단 곡률 반지름은,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3 : 1 : 1 : 1 의 비율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부재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부재에 결합되되, 복수의 리브가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하부 부재의 하면에는 좌우 대칭되게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하부 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착석자가 좌판에 착석하는 경우 좌판에 좌압이 많이 가해지는 둔부와 덜 가해지는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의 좌압이 분산되도록 하여 착석자가 안정된 착좌감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과 하부 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따라 크기와 개수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착석자가 착석 시 좌압이 분산되도록 하여 장시간 동안 착석하는 경우에도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부 부재의 상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돌기의 하단 직경,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 경사 각도, 상단의 곡률 반지름 및 하단의 곡률 반지름을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따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착석자가 장시간 동안 착석 시에도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부재의 하방에 복수의 리브가 격자 형태로 형성된 보강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하부 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45523호에 개시된 기능성 좌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05545호에 개시된 의자용 좌판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a)는 상면을 나타낸 것이고 (b)는 하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의자용 좌판에 착석 시 가해지는 좌압의 분포를 실험적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의 의자용 좌판에 착석한 다음 의자를 틸팅한 경우 좌판에 가해지는 좌압의 분포를 실험적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상부 부재의 일부를 절취하여 하부 부재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a)는 상면을 나타낸 것이고 (b)는 하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서 하부 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홈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서 하부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의자의 좌판에 착석 시 좌압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 착석 시 가해지는 좌압의 분포를 실험적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 착석한 다음 의자를 틸팅한 경우 좌판에 가해지는 좌압의 분포를 실험적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상부 부재의 일부를 절취하여 하부 부재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1)은, 고밀도의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부재(10)와 상부 부재(20)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스펀지의 밀도는 착석자가 편안함을 느끼기에 가장 이상적인 5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부재(10)는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하면(11)에는 좌우 대칭되게 복수의 홈(12)이 형성되고, 상면(14)에는 상기 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돌기(1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하부 부재(10)의 하면(11)에는 좌우 대칭되게 복수의 홈(12)을 형성하고, 하부 부재(10)의 상면(14)에는 상기 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돌기(15)를 형성함으로써, 착석자가 좌판(1)에 착석하는 경우 좌판(1)에 좌압이 많이 가해지는 둔부와 덜 가해지는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의 좌압이 분산되도록 하여 착석자가 안정된 착좌감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부 부재(20)는 하부 부재(10)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는데, 하부 부재(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한편, 하부 부재(10)의 상면(14)에 형성되는 돌기(15)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는데, 하부 부재(10)의 하면(11)에 형성되는 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15)는 착석자의 둔부의 중심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돌기; 제1돌기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돌기; 제2돌기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돌기; 및 제3돌기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4돌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기(15)의 개수는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 : 2.4 : 2.6 : 5.5 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돌기는 14개, 제2돌기는 34개, 제3돌기는 36개, 제4돌기는 77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돌기 내지 제4돌기의 개수는 본 출원인이 한국산업표준(KS)의 방법표준에 따라 의자용 좌판에 대한 좌압 측정 시험을 수차례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하부 부재(10)에 형성되는 홈(12) 및 돌기(15)의 형상과 크기에 의해 정해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a)는 상면을 나타낸 것이고 (b)는 하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서 하부 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홈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부 부재(10)의 하면(11)에 형성되는 홈(12)은,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착석자의 둔부의 중심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홈(12a); 제1홈(12a)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홈(12b); 제2홈(12b)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홈(12c); 및 제3홈(12c)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4홈(12d);을 포함한다.
이때, 홈(12)의 개수는 제4홈(12d), 제3홈(12c), 제2홈(12b), 제1홈(12a) 순으로 많고, 홈(12)의 직경은 제1홈(12a), 제2홈(12b), 제3홈(12c), 제4홈(12d) 순으로 크다. 또한, 홈(12)의 형상은 하부 부재(10)의 하면(11)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서 하부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부 부재(10)의 상면(14)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1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따라 제1돌기 내지 제4돌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돌기 내지 제4돌기는 상기 제1홈 내지 제4홈(12a,12b,12c,12d)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 부재(10)의 하면(11)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12)과 하부 부재(10)의 상면(14)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15)를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따라 크기와 개수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착석자가 착석 시 좌압이 분산되도록 하여 장시간 동안 착석하는 경우에도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표 1] 제1돌기 내지 제4돌기의 구체적인 치수
Figure 112016044984752-pat00001
돌기의 하단 직경(φ)은,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8 : 1.6 : 1.2 : 1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돌기의 하단 직경(φ)은 21.5㎜, 제2돌기의 하단 직경(φ)은 19.2㎜, 제3돌기의 하단 직경(φ)은 14.4㎜, 제4돌기의 하단 직경(φ)은 12.2㎜로 이루어지고, 제1돌기, 제2돌기, 제3돌기 및 제4돌기의 하단 직경(φ)은 각각 ±5% 범위 내에 형성된다.
또한,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DP)는,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9 : 1.5 : 1.3 : 1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DP)는 15.5㎜, 제2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DP)는 12㎜, 제3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DP)는 10㎜, 제4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DP)는 8㎜로 이루어지고, 제1돌기, 제2돌기, 제3돌기 및 제4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DP)는 각각 ±5% 범위 내에 형성된다.
아울러, 제1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ANGLE)은 59°, 제2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ANGLE)은 65°, 제3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ANGLE)은 60°, 제4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ANGLE)은 64°로 이루어지고, 제1돌기, 제2돌기, 제3돌기 및 제4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ANGLE)은 각각 ±1% 범위 내에 형성된다.
게다가, 돌기의 하단과 상단은 곡률지게 형성되고, 돌기의 상단 곡률 반지름(R1)은,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7 : 1.8 : 1.2 : 1 의 비율로 형성되며, 돌기의 하단 곡률 반지름(R2)은,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3 : 1 : 1 : 1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돌기의 상단 곡률 반지름(R1)은 3.4㎜, 제2돌기의 상단 곡률 반지름(R1)은 3.5㎜, 제3돌기의 상단 곡률 반지름(R1)은 2.4㎜, 제4돌기의 상단 곡률 반지름(R1)은 2㎜로 이루어지며, 제1돌기의 하단 곡률 반지름(R2)은 5㎜, 제2돌기, 제3돌기 및 제4돌기의 하단 곡률 반지름(R2)은 4㎜로 이루어지고, 제1돌기, 제2돌기, 제3돌기 및 제4돌기의 상단 곡률 반지름(R1)과 하단 곡률 반지름(R2)은 각각 ±1% 범위 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 부재(10)의 상면(14)에 복수로 형성되는 돌기의 하단 직경(φ),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DP), 경사각(ANGLE), 상단의 곡률 반지름(R1) 및 하단의 곡률 반지름(R2)을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따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착석자가 장시간 동안 착석 시에도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일반적인 의자의 좌판에 착석 시 좌압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 착석 시 가해지는 좌압의 분포를 실험적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 착석한 다음 의자를 틸팅한 경우 좌판에 가해지는 좌압의 분포를 실험적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출원인은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의자의 좌판에 착석 시 좌판에 가해지는 좌압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둔부의 중심에 좌압이 가장 많이 가해지고 둔부의 중심으로부터 대퇴부 쪽으로 갈수록 좌압이 덜 가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1)에 착석 시 가해지는 좌압의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의자용 좌판(본 출원인이 종래에 개발한 제품)과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1)을 각각 한국산업표준(KS)의 방법표준에 따라 동일한 조건으로 수차례 반복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를 보면, 도 3에 도시된 의자용 좌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의 중심 압력이 평균 12.2kPa 정도를 나타내고, 대퇴부의 끝부분(무릎 앞부분)에 좌압이 많이 가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로, 붉은 색으로 나타낸 부분이 좌압이 많이 가해지는 부분이고, 밝은 푸른색 계열로 갈수록 좌압이 덜 가해지는 부분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의 중심에 가해지는 좌압이 평균 9kPa 정도를 나타내고, 대퇴부의 끝부분에도 좌압이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1)에 착석한 다음 의자를 틸팅한 경우 좌판(1)에 가해지는 좌압의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의자용 좌판(본 출원인이 종래에 개발한 제품)과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1)을 각각 한국산업표준(KS)의 방법표준에 따라 동일한 조건으로 수차례 반복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를 보면, 도 3에 도시된 의자용 좌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의 중심 압력이 평균 10.7kPa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의 중심에 가해지는 좌압이 평균 9.2kPa 정도로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1)의 하부 부재(10)에 복수로 형성된 홈(12) 및 돌기(15)의 형상 및 크기는 본 출원인이 한국산업표준(KS)의 방법표준에 따라 의자용 좌판에 대한 좌압 측정 시험을 수차례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실험적으로 얻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1)의 하부 부재(10)에 복수로 형성된 홈(12) 및 돌기(15)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한 수치 한정의 임계적 의의는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10), 상부 부재(20) 및 보강 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 부재(10) 및 상부 부재(2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강 부재(30)는 하부 부재(10)의 하방에 위치하여 하부 부재(1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사출 성형된다. 이러한 보강 부재(30)는 복수의 리브(32)가 격자 형태로 하부 부재(10)의 하면(11)에 대하여 세로로 형성되어 하부 부재(10)의 하방에서 하부 부재(1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의자용 좌판 10 : 하부 부재
11 : 하부 부재의 하면 12 : 홈
12a : 제1홈 12b : 제2홈
12c : 제3홈 12d : 제4홈
14 : 하부 부재의 상면 15 : 돌기
20 : 상부 부재 30 : 보강 부재
R1 : 상단 곡률 반지름 R2 : 하단 곡률 반지름
DP :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 φ : 하단 직경

Claims (7)

  1. 착석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하면에는 좌우 대칭되게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하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상부를 덮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부재에 형성되는 홈은,
    착석자의 둔부의 중심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홈;
    상기 제1홈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홈;
    상기 제2홈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홈; 및
    상기 제3홈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4홈;을 포함하고,
    홈의 개수는 상기 제4홈, 제3홈, 제2홈, 제1홈 순으로 많고,
    홈의 직경은 상기 제1홈, 제2홈, 제3홈, 제4홈 순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에 형성되는 돌기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되,
    착석자의 둔부의 중심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돌기;
    상기 제1돌기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돌기;
    상기 제2돌기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돌기; 및
    상기 제3돌기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4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개수는,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 : 2.4 : 2.6 : 5.5 의 비율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의 하단 직경은,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8 : 1.6 : 1.2 : 1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는,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9 : 1.5 : 1.3 : 1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은 59°, 상기 제2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은 65°, 상기 제3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은 60°, 상기 제4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은 64°이고,
    상기 제1돌기, 제2돌기, 제3돌기 및 제4돌기의 하단과 상단의 경사각은 각각 ±1%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 제2돌기, 제3돌기 및 제4돌기의 하단과 상단은 곡률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상단 곡률 반지름은,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7 : 1.8 : 1.2 : 1 의 비율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하단 곡률 반지름은,
    제1돌기 : 제2돌기 : 제3돌기 : 제4돌기 = 1.3 : 1 : 1 : 1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부재에 결합되되, 복수의 리브가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KR1020160057648A 2016-05-11 2016-05-11 의자용 좌판 KR10167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648A KR101674464B1 (ko) 2016-05-11 2016-05-11 의자용 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648A KR101674464B1 (ko) 2016-05-11 2016-05-11 의자용 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464B1 true KR101674464B1 (ko) 2016-11-09

Family

ID=5752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648A KR101674464B1 (ko) 2016-05-11 2016-05-11 의자용 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4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545A (ko) 2009-07-10 2011-01-18 삼광산업 주식회사 의자용 좌판
US8011043B2 (en) * 2007-02-16 2011-09-06 Roho, Inc. Molded seat cushion with internal shape matching ischial structures
KR20120045523A (ko) 2010-10-29 2012-05-09 양희정 기능성 좌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1043B2 (en) * 2007-02-16 2011-09-06 Roho, Inc. Molded seat cushion with internal shape matching ischial structures
KR20110005545A (ko) 2009-07-10 2011-01-18 삼광산업 주식회사 의자용 좌판
KR20120045523A (ko) 2010-10-29 2012-05-09 양희정 기능성 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15052A (ja) 姿勢保持具
US10172464B2 (en) Chair
US11882940B2 (en) Cushion body for sitting
AU2016262706B2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JP2018011956A (ja) クッション
JP2014046128A (ja) 椅子及びその座板
WO2006073019A1 (ja) 椅子
KR101674464B1 (ko) 의자용 좌판
KR101733982B1 (ko) 요추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US5876098A (en) HI-CHI meditation chair
JP2004242839A (ja) 座位保持機能を高めたクッション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供給システム
EP3179886B1 (en) Chair
JP6831748B2 (ja) 椅子用の座部、椅子、および、椅子用の座部の製造方法
KR20180007942A (ko) 관절형 등받이 의자
KR101052551B1 (ko) 의자
KR100414831B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JP2016059577A (ja) 座具及び椅子
KR200314743Y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20160109097A (ko) 기능성 방석
TWM511843U (zh) 提臀塑型墊
KR200277733Y1 (ko) 지압형 의자
JP3086945U (ja) 弾力のある椅子
US10568801B2 (en) Chair type massage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107925A (ko) 운동용 의자
KR20200000419U (ko) 다리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