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733Y1 - 지압형 의자 - Google Patents

지압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733Y1
KR200277733Y1 KR2020020008482U KR20020008482U KR200277733Y1 KR 200277733 Y1 KR200277733 Y1 KR 200277733Y1 KR 2020020008482 U KR2020020008482 U KR 2020020008482U KR 20020008482 U KR20020008482 U KR 20020008482U KR 200277733 Y1 KR200277733 Y1 KR 200277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plate
back plate
s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용문
Original Assignee
공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용문 filed Critical 공용문
Priority to KR2020020008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7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733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지압형 의자의 등받이연결구는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지면서 일정한 강도를 갖는 단일체의 재질로 제조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게 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고 네크부의 탄성에 의하여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이 가능하고 착석시 등받이에 기댔을 때 상체의 하중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등판과 좌판은 연질플라스틱으로 성형되고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성형되어 좌판에 접촉되는 둔부와 등판에 접촉되는 등 및 요추부를 지압하므로써 장시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무직 근로자 특히, 대부분의 시간을 책상에서 보내는 수험생에게 있어 허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고 요통과 척추질환의 부담감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건강한 두뇌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지압형 의자{Finger-pressure type chair}
본 고안은 등받이부가 3분되고 각기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지압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등받이부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 좌등받이와 우등받이 및 상기 좌우등받이 사이의 중앙하부에 설치된 중앙등받이로 3분되게 구성되고 각기 독립적으로 움직이며, 그 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착석시 등부분에 골고루 지압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지압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지지다리부(1), 좌판부(2), 지지대부(3) 및 등받이부(4)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41)(42)가 2개로 분리되고 각기 분리된 등받이(41)(42)가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듀오백'이라는 상표로 널리 알려진 듀오백의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프레임(21)의 저면에 의자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1)가 결합되고, 좌판프레임(21)의 후면으로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4)가 세로방향으로 길다랗게 형성된 등받이연결구(44)에 의해 등받이프레임(31)상에 고정된다. 상기 등받이연결구(44)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1)과 연결되고 경질합성수지로 제조된 프레임연결부(44a)가 있고, 상기 프레임연결부(44a)의 양단에는 탄성재질의 고무로된 탄성체연결부(44b)가 대칭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연결부(44b)의 타단에는 각각 등받이(41)(42)가 체결되고 경질합성수지로 제조된 등판연결부(44c)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등받이연결구(44)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프레임연결부(44a)와 등판연결부(44c)를 먼저 제조하고 그 후에 금형에 이들을 배치하고 고무재질의 탄성체연결부(44b)를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다단계의 제조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제조원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은 등받이연결구(44)에 의하여 부착된 등받이(41)(42)는 사용시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은 가능하나 이러한 좌우방향을 어느정도만 벗어나면, 예를 들어,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은 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좌판부(2)와 등받이부(4)가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착석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자세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 상기 등받이연결구(4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의 원활한 회동이 안돼 자세가 구속이 되므로 착석자는 동일한 자세를 유지할 수 밖에 없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등부위에 걸리는 스트레스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자에 앉아서 한 자세를 계속 유지했을 때 체중이 한쪽으로만 집중되어 시간이 경과하면 피가 순환되지 못하고 다리가 저리는 등의 현상이 생기고 이러한 형태로 등과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이 척추의 피로와 불편함의 원인이 되어 왔으며 의자에 앉은 착석자로 하여금 계속 자세를 바꾸게 되는 요인이 됨으로써 집중력이 저하되고 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장시간 책상에 앉아 있는 이용자 특히, 수험생들에 있어서 종래의 의자등받이에 의해서 받는 요추의 스트레스는 요통이 유발되거나 척추질환 등의 고질적인 증상이 수반되기도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부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등받이프레임에 부착된 등받이가 전후좌우의어느 방향으로도 회동이 가능하여 착석상태의 자세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등판과 좌판을 연질플라스틱으로 성형하고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착석과 동시에 등판에 접촉되는 등 및 요추부를 지압하므로써 의자에 접촉되는 신체부위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여 장시간 착석시에도 피로감을 쉽게 느끼지 않으며 휴식을 위하여 등을 상하좌우로 회동시키면 등 및 요추부등의 곳곳을 지압할 수 있어 피로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지압형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등받이와 등받이프레임을 연결시키는 등받이연결구가 일정한 탄성을 갖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제조하고 중간에 원활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양단에서 중간으로 가면서 단면적이 축소되는 장구형의 네크를 형성하여 상기 네크를 중심으로 등받이의 회동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구성하고, 등판과 좌판을 연질 플라스틱으로 성형하고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지압형 의자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압형 의자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의자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의자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형 의자의 사시도
도 4는 도3의 I-I선을 따라 취한 지압형 의자의 종단면도
도 5는 도3의 II-II선을 따라 취한 의자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압형 의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지지다리부 2. 좌판부
3. 지지대부 4. 등받이부
21,23. 좌판프레임 22,24. 좌판
31. 등받이프레임 41. 좌등받이
42. 우등받이 43. 중앙등받이
44,46. 등받이연결구 45. 등받이브라켓트
47. 등판 24a,47a. 돌기
지지다리부(1), 좌판부(2), 지지대부(3) 및 등받이부(4)로 구성된 의자(A)에 있어서,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형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형 의자의 측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압형 의자(A)는, 상기 등받이부(4)는 T자형으로 형성되고 중간에 배치된 중앙등판(43)과, 상기 중앙등판(43)의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좌등판(41)과, 우등판(42)의 서로 분할되고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3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등판(43),좌등판(41) 및 우등판(42)은 상기 지지대부(3)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등받이프레임(31)상에 각기 설치된 등받이연결구(46)에 의하여 각기 고정된다. 상기 각 등판(41)(42)(43)은 적층강화목으로 형성된 등받이브라켓(45)과 상기 등받이브라켓(45)의 전면을 감싸고 있는 등쿠션(47)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등쿠션(47)은 연질플라스틱으로 성형되고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47a)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착석시 등에 골고루 지압효과를 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연결구(46)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1)상의 좌우단과 중앙에 각각 고정되는 제1고정단부(46a)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브라켓(45)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부(46b)가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단부(46a)와 제2고정단부(46b) 사이에는 V형요홈(46c)이 형성되어 중간으로 갈수록 원형단면적이 축소된 네크(46d)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연결구(46)는 탄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일정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탄성을 갖는 천연고무 또는 우레탄 등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되므로 제조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단부(46a)상에는 등받이프레임(31)에 고정되도록 고정탭(46e)이 형성되고 제2고정단부(46b)상에는 2개의 보울트체결공(46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고정탭(46e)이나 보울트체결공(46f)의 수는 증감변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등판(41)(42)(43)은 V형요홈(46c)이 형성된 네크(46d)가 형성된등받이연결구(46)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네크(46d)를 중심으로 힘이 가해지는 방향의 상하좌우의 어느방향으로도 용이하게 회동가능하게 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좌판부(2)는 지지다리부(1)에 고정되는 좌판프레임(23)과 상기 좌판프레임(23)을 감싸고 있는 좌판(24)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좌판프레임(23)은 적층강화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판쿠션(24)은 연질플라스틱으로 성형되고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24a)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시 둔부에 골고루 지압효과를 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지압형 의자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좌판부(2)에 앉아 등받이부(4)에 등을 대고 기댔을 때 상기 등받이연결구(46)의 네크(46d)를 중심으로 각각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좌우등판(41)(42)과 중앙등판(43)은 각각 착석자의 양편 등과 요추부를 밀착 지지하며, 착석자가 등받이부(4)에 기대는 경우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상기 네크(46d)를 중심으로 등받이연결구(46)가 탄성변형되어 소정의 회동이 이루어지므로써 이와 결합된 각각의 등판(41)(42)(43)이 기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등과 요추를 지지함과 동시에 지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의자 사용자가 왼쪽으로 기대는 경우, 좌등판(41)과 중앙등판(43)은 인체의 하중에 의해 등받이프레임(31)을 기준으로, 도4 및 도5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고, 우등판(42)은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렇게 해서 세 개의 등받이(41)(42)(43)가 착석자의 등을 기대는 방향에 따라서 회동하므로 등받이부(4) 전체의 형상이 비스듬한 형태로 변형되어 등을 안정되게 지지하며 기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지압효과도 증대된다. 또한, 오른쪽으로 기대는 경우는 상기 왼쪽의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 진다.
또한, 착석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등을 뒤로 젖힐 경우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크(46d)를 중심으로 등판(41)(42)(43)의 상단이 후방으로 회동되어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함과 동시에 등의 상부를 강하게 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압형 의자는 등받이부가 3부분으로 분할되면서 각기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등판에 의하여 자세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좌판(24)과 등쿠션(47)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24a)(47a)는 사용자가 착석과 동시에 좌판(24)에 접촉되는 둔부와 등쿠션(47)에 접촉되는 등 및 요추부를 지압하므로써 의자에 접촉되는 신체부위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여 장시간 착석시에도 피로감을 쉽게 느끼지 않으며 휴식을 위하여 등을 상하좌우로 회동시키면 상기 돌기(24a)(47a)와의 접촉부위를 지압할 수 있어 맑은 두뇌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압형 의자는 등받이부가 3부분으로 분할되면서 각기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등판에 의하여 자세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등판이 설치되는 등받이연결구가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지면서 일정한 강도를 갖는 단일체의 재질로 제조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게 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고 네크부의 탄성에 의하여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이 가능하고 착석시 등받이에 기댔을 때 상체의 하중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등판과 좌판은 연질플라스틱으로 성형되고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성형되어 좌판에 접촉되는 둔부와 등판에 접촉되는 등 및 요추부를 지압하므로써 장시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무직 근로자 특히, 대부분의 시간을 책상에서 보내는 수험생에게 있어 허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고 요통과 척추질환의 부담감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건강한 두뇌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지지다리부(1)와 좌판부(2), 지지대부(3), 등받이부(4)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는 중간에 배치된 중앙등판(43)과, 상기 중앙등판(43)의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좌등판(41)과, 우등판(42)의 서로 종방향으로 분할되고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3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등판(41)(42)(43)은 등받이프레임(31)상에 설치된 등받이연결구(46)에 의하여 상하좌우의 각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형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등판(41)(42)(43)의 등쿠션(47)상에는 탄성재질의 돌기(47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형 의자.
KR2020020008482U 2002-03-21 2002-03-21 지압형 의자 KR200277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482U KR200277733Y1 (ko) 2002-03-21 2002-03-21 지압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482U KR200277733Y1 (ko) 2002-03-21 2002-03-21 지압형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733Y1 true KR200277733Y1 (ko) 2002-06-07

Family

ID=7308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482U KR200277733Y1 (ko) 2002-03-21 2002-03-21 지압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7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56B1 (ko) 2010-03-11 2010-12-28 양문석 마사지편을 구비한 등받이 분리형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56B1 (ko) 2010-03-11 2010-12-28 양문석 마사지편을 구비한 등받이 분리형 의자
WO2011112039A3 (ko) * 2010-03-11 2012-03-15 Yang Moon Seok 마사지편을 구비한 등받이 분리형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US9480339B2 (en) Seat with pelvic support
KR101135969B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102506194B1 (ko)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102023461B1 (ko) 척추형태로 변형 절곡되는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200277733Y1 (ko) 지압형 의자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EP2129264A2 (en) Ergonomic structure
KR200423685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200269736Y1 (ko) 의자용 등받이연결구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KR200445660Y1 (ko) 의자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200351308Y1 (ko) 척추교정용 방석
CN215650109U (zh) 一种腰背支撑件及靠背组件
KR102506195B1 (ko) 3d 탄력구조의 일체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102482778B1 (ko) 의자용 등받이 쿠션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TWI711410B (zh) 椅背框扭動結構
KR200215221Y1 (ko) 의자 등받이
JP7495586B2 (ja) 機能式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