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880B1 -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880B1
KR101673880B1 KR1020150008769A KR20150008769A KR101673880B1 KR 101673880 B1 KR101673880 B1 KR 101673880B1 KR 1020150008769 A KR1020150008769 A KR 1020150008769A KR 20150008769 A KR20150008769 A KR 20150008769A KR 101673880 B1 KR101673880 B1 KR 101673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vent
received
network camera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9584A (ko
Inventor
정희록
박진희
정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스
Priority to KR102015000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8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69Event triggers storage or change of storage poli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이벤트 녹화 시 영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의 기본 정보를 갖는 제1 프레임과 변경 정보를 갖는 복수의 제2 프레임을 송신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동되어 이벤트 녹화를 수행하는 영상 관제 장치로서, 상기 제1 프레임과 복수의 제2 프레임을 저장하고, 외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저장된 프레임을 삭제하는 버퍼부와,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제1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후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송신되는 프레임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이벤트 녹화부를 포함하는 영상 관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VIDEO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EV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에 따른 영상 녹화 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벤트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카메라는 촬영한 영상을 전송할 때 네트워크 대역폭의 이유로 압축된 영상을 영상 관제 시스템에 전송한다. 영상 압축 분야에서, 영상은 I-프레임과 복수의 P-프레임으로 구성되며, I-프레임은 영상 디코딩 시 반드시 필요한 기준 데이터이다. I-프레임의 경우 다른 영상에 비해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이를 얼마나 자주 보내는가에 따라 네트워크 대역폭과 영상 관제 시스템의 저장 공간을 디자인할 때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영상 관제 시스템은 저장 공간의 제약에 따라 실시간 녹화보다는 이벤트 발생 시 영상을 녹화하는 이벤트 녹화 방법을 이용한다.
이벤트 녹화 방법은 네트워크 카메라와 같은 영상 소스로부터 영상을 요청해서 영상을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해당 시간 동안 녹화 영상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영상 관제 시스템에는 이벤트 이전 녹화(pre-event recording) 방법을 이용한다.
이벤트 이전 녹화 방법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도 계속적으로 가녹화를 수행하여 이벤트 발생 시 가녹화 정보를 실제 녹화 정보에 사용하는 것으로, 이벤트 녹화 손실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가녹화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영상 관제 시스템에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이벤트 이전 녹화 방법에서 가녹화 시간이 너무 길게 설정되면, 영상 관제 시스템의 저장 공간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에 짧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녹화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경우, 수신하는 영상 중에 디코딩에 핵심이 되는 프레임, 예컨대 I-프레임을 가녹화 시간 동안 받지 못해서 녹화 영상이 무의미해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48136호(2012. 05. 07)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의 기본 정보를 갖는 프레임이 포함되도록 버퍼링하여 버퍼부에 저장하고, 이벤트 발생이 감지됨에 따라 버퍼부에 저장된 프레임과 이벤트 발생 후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을 저장매체에 저장함으로써, 이벤트 녹화 시 녹화 영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영상 관제 장치와 이벤트 녹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의 기본 정보를 갖는 프레임에 대한 네트워크 카메라의 전송 주기 또는 기본 정보를 갖는 프레임의 수신될 때마다 버퍼부를 초기화시킬 수 있는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의 기본 정보를 갖는 제1 프레임과 변경 정보를 갖는 복수의 제2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동되어 이벤트 녹화를 수행하는 영상 관제 장치로서, 상기 제1 프레임과 복수의 제2 프레임을 저장하고, 외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저장된 프레임을 삭제하는 버퍼부와,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제1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후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송신되는 프레임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이벤트 녹화부를 포함하는 영상 관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영상 관제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제1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 주기 또는 상기 제1 프레임이 수신될 때마다 상기 외부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퍼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 관제 장치는,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이 상기 버퍼부에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후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이 상기 이벤트 녹화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신호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 관제 장치에서 상기 이벤트 녹화부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 또는 녹화 설정 정보에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 관제 장치에서 상기 녹화 설정 정보는, 상기 영상 관제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임의의 클라이언트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의 기본 정보를 갖는 제1 프레임과 변경 정보를 갖는 복수의 제2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영상 관제 장치의 이벤트 녹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프레임과 복수의 제2 프레임을 버퍼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하는 도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제1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후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관제 장치의 이벤트 녹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벤트 녹화 방법은,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벤트 녹화 방법은,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새로운 제1 프레임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제1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프레임을 삭제한 후 상기 새로운 제1 프레임을 버퍼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벤트 녹화 방법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 또는 녹화 설정 정보에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벤트 녹화 방법 상기 녹화 설정 정보는, 상기 영상 관제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임의의 클라이언트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의 기본 정보를 갖는 프레임이 포함되도록 버퍼링하여 버퍼부에 저장하고, 이벤트 발생이 감지됨에 따라 버퍼부에 저장된 프레임과 이벤트 발생 후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을 저장매체에 저장함으로써, 이벤트 녹화 시 녹화 영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벤트 녹화 방법에 따르면, 필요한 네트워크 카메라의 기본 정보를 갖는 프레임을 기반으로 버퍼부에 저장하고, 이벤트 발생 시 이를 기반으로 영상을 저장하기 때문에 영상 관제 장치 내 저장매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제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제 장치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이벤트 녹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제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관제 시스템(100)은 통신망(120)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카메라(110), 영상 관제 장치(130) 및 클라이언트측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네트워크 카메라(110)는 소정의 프로토콜, 예컨대 H.323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CP(Real-Time Control Protocol) 방식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카메라(110)는 소정의 공간을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며,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망(120)을 통해 영상 관제 장치(130)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프레임(Intra-frame)(210)과 P-프레임(Predicted-frame)(2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I-프레임(210)은 영상의 바탕이 되는 정보(이하, '기본 정보'라고 함)를 포함하고 있으며, P-프레임(220)은 이전 프레임에 대해서 변경 부분의 정보(이하, '변경 정보'라고 함)를 포함하고 있다.
네트워크 카메라(110)는 기본 정보에 해당하는 I-프레임(210)을 전송한 후 복수의 P-프레임(220)을 전송하고,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기본 정보가 변경되는 시점에 새로운 I-프레임(210)을 전송한 후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P-프레임(220)을 전송하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 카메라(110)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영상 관제 장치(130)에 송신하게 된다. 여기에서, 이벤트 발생의 감지는 움직임, 경보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지하거나 촬영된 영상의 변화를 기반으로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망(120)은 네트워크 카메라(110)와 영상 관제 장치(130)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유선, 무선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영상 관제 장치(130)는 이벤트 녹화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카메라(11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관제 장치(13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제 장치(13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관제 장치(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 신호 분배부(320), 버퍼 제어부(330), 버퍼부(340), 이벤트 녹화부(350) 및 저장매체(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는 네트워크 카메라(110)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신호 분배부(320)를 통해 버퍼부(340) 또는 이벤트 녹화부(3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는 네트워크 카메라(110)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이벤트 발생 신호를 이벤트 녹화부(350)에 제공할 수 있다.
신호 분배부(320)는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기 전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I-프레임(210)이 수신되면, I-프레임(210)을 버퍼부(340)에 저장한 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수신되는 P-프레임(220)을 버퍼부(340)에 제공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 분배부(320)는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즉 I-프레임(210) 또는 P-프레임(220)을 이벤트 녹화부(350)에 제공할 수 있다.
버퍼 제어부(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I-프레임(210)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며, 체크 결과에 의거하여 버퍼부(340)에 저장된 프레임에 대한 초기화 여부를 결정하여 버퍼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퍼 제어부(330)는 첫 번째 I-프레임(210)이 수신된 후 다음 I-프레임(210)이 수신될 경우 버퍼부(340)를 초기화한 후 다음 I-프레임(210)과 이후 수신되는 P-프레임(220)을 버퍼부(3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버퍼 제어부(330)는 네트워크 카메라(110)의 I-프레임(210)의 전송 주기에 의거하여 버퍼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퍼 제어부(330)는 네트워크 카메라(110)의 I-프레임(210) 전송 주기에 따라 버퍼부(340)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퍼부(340)의 초기화는 버퍼부(340)에 저장된 프레임을 삭제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버퍼부(340)는 신호 분배부(320)를 통해 제공받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원형 버퍼(circular buffer)를 들 수 있다.
이벤트 녹화부(350)는 이벤트 발생의 감지에 대해 응답하여 버퍼부(340)에 저장된 데이터, 즉 I-프레임(210), P-프레임(2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 및 신호 분배부(320)를 통해 수신되는 프레임을 저장매체(36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녹화부(350)는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버퍼부(340)에 저장된 I-프레임(210) 및 P-프레임(220)을 저장매체(360)에 저장한 후 신호 분배부(320)를 통해 입력되는 프레임들을 저장매체(3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수신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 또는 녹화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녹화 설정 정보는 영상 관제 장치(13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통신망(120)을 통해 연결된 임의의 클라이언트측 단말기(14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저장매체(360)는 네트워크 카메라(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그 예로서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클라이언트측 단말기(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영상 관제 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측 장치로서,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측 단말기(140)는 영상 관제 장치(130)의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카메라(110)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관제 장치(130)에 녹화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영상 관제 장치(130)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이벤트 녹화를 수행하는 방법(40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제 장치(130)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이벤트 녹화를 수행하는 방법(40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이벤트 녹화를 수행하는 방법(400)은 예를 들어, 전술한 영상 관제 장치(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도 4에 도시된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관제 장치(130)는 네트워크 카메라(110)로부터 송신되는 I-프레임(210)과 P-프레임(220)을 순차적으로 버퍼부(340)에 저장한다(S402). 구체적으로, 영상 관제 장치(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수신되는 I-프레임(210)과 P-프레임(220)을 신호 분배부(320)를 통해 버퍼부(340)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영상 관제 장치(130)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한다(S404). 구체적으로, 영상 관제 장치(130)는 기 저장된 녹화 설정 정보에 의해 녹화가 필요한지 또는 네트워크 카메라(110)로부터 이벤트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S404의 판단 결과,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영상 관제 장치(130)는 버퍼부(340)의 초기화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406). 구체적으로, 영상 관제 장치(130)는 기 설정된 주기, 즉 네트워크 카메라(110)가 I-프레임(210)을 전송하는 전송 주기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새로운 I-프레임(210)이 수신되는지를 체크하여 버퍼부(340)에 저장된 프레임의 삭제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S406의 판단 결과, 초기화가 필요한 경우 영상 관제 장치(130)는 버퍼 제어부(330)를 통해 버퍼부(340)에 저장된 프레임을 삭제(S408)한 후 S402로 피드백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관제 장치(130)는 버퍼부(340)에 저장된 프레임을 삭제한 후 이후 수신되는 I-프레임(210)과 P-프레임(220)을 버퍼부(340)에 저장한다.
한편, S406의 판단 결과, 초기화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영상 관제 장치(130)는 S402로 피드백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S404의 판단 결과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영상 관제 장치(130)는 버퍼부(340)에 저장된 프레임과 이벤트 발생 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수신되는 프레임을 저장매체(360)에 저장하여 이벤트 녹화를 수행한다(S41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이벤트 녹화를 수행하는 방법(400)은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영상 관제 시스템 110 : 네트워크 카메라
120 : 통신망 130 : 영상 관제 장치
140 : 클라이언트측 단말기 210 : I-프레임
220 : P-프레임 31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20 : 신호 분배부 330 : 버퍼 제어부
340 : 버퍼부 350 : 이벤트 녹화부
360 : 저장매체

Claims (10)

  1. 영상 데이터의 기본 정보를 갖는 제1 프레임과 변경 정보를 갖는 복수의 제2 프레임을 송신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동되어 이벤트 녹화를 수행하는 영상 관제 장치로서,
    상기 제1 프레임과 복수의 제2 프레임을 저장하고, 외부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저장된 프레임을 삭제하는 버퍼부와;
    제1 프레임의 전송 주기에 따라 버퍼부에 저장된 프레임에 대한 삭제를 결정하고, 외부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퍼 제어부와;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제1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후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송신되는 프레임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이벤트 녹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제어부가,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제1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 주기 또는 상기 제1 프레임이 수신될 때마다 상기 외부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이 상기 버퍼부에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후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이 상기 이벤트 녹화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신호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녹화부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 또는 녹화 설정 정보에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설정 정보는,
    상기 영상 관제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임의의 클라이언트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제 장치.
  6. 영상 데이터의 기본 정보를 갖는 제1 프레임과 변경 정보를 갖는 복수의 제2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영상 관제 장치의 이벤트 녹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프레임과 복수의 제2 프레임을 버퍼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하는 도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제1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후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새로운 제1 프레임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제1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프레임을 삭제한 후 상기 새로운 제1 프레임을 버퍼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제 장치의 이벤트 녹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 또는 녹화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제 장치의 이벤트 녹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설정 정보는,
    상기 영상 관제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임의의 클라이언트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제 장치의 이벤트 녹화 방법.
KR1020150008769A 2015-01-19 2015-01-19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 KR101673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69A KR101673880B1 (ko) 2015-01-19 2015-01-19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69A KR101673880B1 (ko) 2015-01-19 2015-01-19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584A KR20160089584A (ko) 2016-07-28
KR101673880B1 true KR101673880B1 (ko) 2016-11-09

Family

ID=5668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769A KR101673880B1 (ko) 2015-01-19 2015-01-19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8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191B1 (ko) * 2008-11-24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영상 녹화 기기와 동영상 데이터 파일 삭제 방법
KR20120048136A (ko) 2010-11-05 2012-05-15 김택용 웹콘텐츠 권리의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706220B1 (ko) * 2011-04-19 2017-02-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장치의 오버라이팅 방법
KR101444006B1 (ko) * 2013-01-23 2014-09-23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Ip 카메라의 클라우드 영상 저장 시스템
KR102135347B1 (ko) * 2013-05-21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584A (ko)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9540A1 (en) Uploading and transcoding media files
US10986390B2 (e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efficient network personal video recorder manipulation through adaptive bit rate streaming
KR102077556B1 (ko) 가상 인트라-프레임을 사용하여 비디오 콘텐츠를 인코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872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liable backup of media
US10708334B2 (en) Backfill of video stream
KR101444006B1 (ko) Ip 카메라의 클라우드 영상 저장 시스템
US9800842B2 (en) Efficient data transmission
US20140341531A1 (en) Dynamic video storing method and network security surveillance apparatus
CN111147808B (zh) 网络装置、影像处理方法及电脑可读媒体
EP2882193B1 (en) Uploading and transcoding media files
JP4317234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0674156B2 (en) Image management
KR101673880B1 (ko) 영상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벤트 녹화 방법
TWI538523B (zh) 影像日誌儲存系統及其記錄方法
JP4327221B2 (ja) データ記録装置
US9542974B2 (en) Video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vent recording using the same
US8503985B1 (en) Real-time remote storage
JP2010258894A (ja) 映像受信装置、映像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57188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監視カメラデータ保存方法
KR102369798B1 (ko) 데이터 관리 방법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650652B1 (ko)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JP2006115412A (ja) データ記録装置
KR102427570B1 (ko) 영상 기록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서버
KR101660508B1 (ko) 네트워크 녹화 장애 복구 시스템
US20150229786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