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479B1 -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479B1
KR101673479B1 KR1020160041554A KR20160041554A KR101673479B1 KR 101673479 B1 KR101673479 B1 KR 101673479B1 KR 1020160041554 A KR1020160041554 A KR 1020160041554A KR 20160041554 A KR20160041554 A KR 20160041554A KR 101673479 B1 KR101673479 B1 KR 101673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cylinder
inner cylinde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인
이일신
Original Assignee
(주)타타미르
이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타타미르, 이정인 filed Critical (주)타타미르
Priority to KR1020160041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2Centrifuges for producing filtered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Abstract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로 분쇄된 커피가루인 커피원료를 드럼내부에 공급하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외주면에 위치시키고 상온의 물을 공급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Drum type cold coffee extraction system using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로 분쇄된 커피가루인 커피원료를 드럼내부에 공급하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외주면에 위치시키고 상온의 물을 공급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커피 추출장치는 대부분 커피가루를 커피망 또는 커피필터에 담아 깔대기형태의 드립퍼에 넣고, 위에서 80도 ~ 90도 사이의 온수를 부어서 커피가루와 온수가 섞였다가 중력으로 인하여 아래로 커피액이 추출되는 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커피 추출 방법이었다. 이러한 추출방법으로 인하여 커피 추출장치는 대부분 물을 끓이는 보일러 또는 온수장치가 필수적으로 사용했으며, 위에서 아래로 중력을 이용해서 추출하는 방식으로 인하여 대량으로 추출할 때, 추출되는 커피액의 농도나 맛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커피가루 다량이 뭉쳐있어 커피가루와 온수가 접촉하여 물에 커피가루의 성분들이 녹아드는 시간차가 생겨서 발생되는 문제였다. 또한, 상온수를 사용하는 더치 방식의 경우 커피를 추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세균 등의 위생 가 발생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가 한국공개특허 제10-1990-0011432호로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기술은, 모터(12)를 포함한 구동기구부(24)를 수용한 본체(11)이 본체에 구성된 커피 추출부와 이 커피 추출부에 온수를 공급하는 급탕기구(21)를 가지며 구동기구부(24)는 내측(25) 및 외측(26)을 가지고 있고 전술한 모터의 회전을 내측은 혹은 외측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기구(27)를 가지며, 전술한 커피 추출부는 커피 여과용의 필터(39)를 고정적으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갖춘 외측 케이스(15), 이 외측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클러치기구의 내측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트립 추출 방식용 커피 원두 분쇄체(41), 바깥둘레부에 커피 여과용이 여과부(34)를 가지고 외측 케이스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착 상태에서 클러치 기구의 외측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케이스(31), 이 회전 케이스의 내저부에 배치되어 클러치 기구의 내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심 추출방식용 커피 원두 분쇄체(36)로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커피 원두 분쇄한 이후 분쇄된 원두에 온수를 공급하고 회전시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여전히 온수를 사용하는 방식이며, 원심력을 커피가루와 물의 혼합액에서 커피액만을 불리하기위해서 사용하여 원심력을 이용한 방식의 장점을 충분히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피 원두 분쇄체(41)가 회전케이스(31)내에 위치하여 수밀에 보다 신경써야했고 이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0-0011432호 (1990.08.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드럼형태의 내부원통과 외부원통을 이용하여 회전하여 커피가루를 옆면으로 정렬한 뒤 상온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물분사구(113)가 형성된 물분사부(110), 상기 물분사부(11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물분사부(110)를 감싸도록 내부원통(121)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원통(121)에 관통홀의 형태로 물공급구(122)가 형성된 내부원통부(120), 상기 내부원통부(12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내부원통부(120)를 감싸도록 외부원통(131)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원통(131)의 외주면에 커피액추출구(132)가 형성된 외부원통부(130), 상기 외부원통부(13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부원통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로부터 추출된 커피액이 모이는 추출통부(140), 상기 내부원통(121)의 하면과 상기 외부원통(131)의 하면을 연결하는 원통연결부(150), 상기 원통연결부(150)와 연결되는 회전력전달수단(161),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61)과 연결되는 회전력발생수단(162)으로 형성된 원통회전부(16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분사부(110)는 실린더의 형태로 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물분사구(113a)가 형성된 제1분사수단(111), 내면이 상기 제1분사수단(111)의 외주면과 접하고, 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2물분사구(113b)가 형성되는 제2분사수단(112), 외경이 상기 제1분사수단(111), 상기 제1분사수단(111)의 내주면과 접하고 일단이 물공급부와 연통된 내부분사수단(114)이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물분사부(110)는 내부분사수단(114)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물의 분사 높이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사수단(111)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물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분사수단(111) 및 제2분사수단(112) 중 하나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물분사구(113a) 및 제2물분사구(113b)가 중첩되는 홀의 크기로 물의 분사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 상기 내부원통부(120)는 상기 내부원통(121)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순환공(123), 상기 순환공(123)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원통(121) 상측으로 분사하는 에어블로어(124)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원통부(120)는 상기 물공급구(122)가 상기 내부원통(1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구(122)와 접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의 물공급보조수단(125)이 다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원통부(130)는 상기 외부원통(131)의 내측과 상기 내부원통의 외측으로부터 탈부착되는 필터(133), 상기 필터(133)의 외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133)을 지지하는 필터지지수단(134), 상기 필터(133)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커버(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 상기 외부원통부(130)는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를 추출된 커피가 일정량 이상이 모일 경우 개방되는 자동개폐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외부원통(131)의 하측단과 연결되어 진동을 일으키는 바이브레이터(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식 원심분리를 이용한 상온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내부원통(121)과 외부원통(131)사이에 분쇄된 커피를 공급하는 커피원료공급부(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피원료공급부(170)는 각각 다른 분쇄도의 커피를 공급하는 제1공급구(171) 및 제2공급구(172)로 구분하여 형성되며, 입자의 크기가 더 큰 커피를 공급하는 공급구를 상기 외부원통(13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에 의하면, 분쇄된 커피를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의 측면으로 정렬시키고 상온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므로 기존의 추출장치와 다르게 커피와 물이 보다 균일하게 접촉하여 보다 맛과 향이 좋은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정량의 커피를 사용하여 커피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피액 추출에 있어서 상온의 물을 사용하여 추출하므로 별도의 보일러 또는 급탕 장치가 필요 없어 추출장치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기사용량을 보일러 또는 급탕장치를 사용하는 추출장치 보다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물분사부가 상하방향 이동 및 회동을 통하여 물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어 커피의 종류 또는 커피의 양에 따라서 물의 분사량 및 분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커피액의 보다 세밀한 추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실시예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물분사부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원통부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커피원료공급부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실시예이며,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물분사부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원통부 실시예,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커피원료공급부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물분사구(113)가 형성된 물분사부(110), 상기 물분사부(11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물분사부(110)를 감싸도록 내부원통(121)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원통(121)에 관통홀의 형태로 물공급구(122)가 형성된 내부원통부(120), 상기 내부원통부(12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내부원통부(120)를 감싸도록 외부원통(131)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원통(131)의 외주면에 커피액추출구(132)가 형성된 외부원통부(130), 상기 외부원통부(13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부원통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로부터 추출된 커피액이 모이는 추출통부(140), 상기 내부원통(121)의 하면과 상기 외부원통(131)의 하면을 연결하는 원통연결부(150), 상기 원통연결부(150)와 연결되는 회전력전달수단(161),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61)과 연결되는 회전력발생수단(162)으로 형성된 원통회전부(160)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 드럼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의 상기 내부원통(121)과 상기 외부원통(131) 사이에 분쇄된 커피가 투입된다.
이때, 상기 내부원통(121)과 외부원통(131) 사이의 하측에 바닥이 형성되며, 투입된 커피가 저장될 수 있다.
분쇄된 커피의 투입이 완료된 이후, 상기 원통회전부(160)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원통부(120)와 상기 외부원통부(13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내부원통부(120)와 상기 외부원통부(130)의 회전이 미리 정해진 속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물분사부(110)의 상기 물분사구(113)에서 상온의 물을 상기 내부원통부(120)의 벽 측으로 상온의 물을 분사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원통부(120)는 회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내부원통부(120)의 벽 측으로 분사된 물은 상기 내부원통(121)에 관통홀의 형태로 형성된 상기 물공급구물공급구(122)를 미세한 물 입자가 통과한다.
이렇게 통과된 미세한 물입자는 원심력에 의하여가 분쇄된 커피에 스며들어 통과하면서 커피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는 성분들을 흡수한다.
커피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는 성분들 흡수한 물입자는 상기 외부원통부(130)의 커피액추출구(132)를 통과하고, 상기 추출통부(140)에는 추출액이 모이게 된다.
종래의 커피 추출장치가 커피와 물을 함께 투입하여 섞은 뒤 혼합액에서 커피가루를 제거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는 성분뿐만 아니라 맛과 향을 저해하는 성분들까지 추출하였던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는 미세한 물입자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피가루의 표면에 있는 성분을 씻어내어, 커피의 맛과 향을 가지는 성분만을 추출할 수 있어 보다 풍미가 향상된 커피 추출액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물분사부(110)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의 형태로 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물분사구(113a)가 형성된 제1분사수단(111), 내면이 상기 제1분사수단(111)의 외주면과 접하고, 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2물분사구(113b)가 형성되는 제2분사수단(112), 상기 제1분사수단(111)의 내면과 접하는 직경을 가지는 내부분사수단(114)을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분사수단(114)의 상부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분사부(110)는 상기 내부분사수단(114) 및 상기 제1분사수단(111)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물의 분사 높이 및 분사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분사수단(114)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물을 공급하여 상기 내부분사수단(114)의 위치에 따라 물이 공급되는 제1물분사구(113a)의 위치를 조절하여 물의 분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사수단(111)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분사수단(111)의 위치에 따라 분사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며, 상기 제1분사수단(111)의 제1물분사구(113a)와 상기 제2분사수단(112)의 제2물분사구(113b)가 겹치는 정도에 따라 물 분사량 또한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급되는 커피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물분사부(110)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여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분사부(110)는 상기 제1분사수단(111) 및 제2분사수단(112) 중 하나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물분사구(113a) 와 제2물분사구(113b)가 중첩되는 정도로 물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1분사수단(111)의 상하방향 이동 뿐 아니라 상기 제1분사수단(111) 및 제2분사수단(112)중 하나를 회동시켜 상기 제1물분사구(113a)와 제2물분사구(113b)가 중첩되는 정도로 물의 분사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1분사수단(111)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분사높이 및 물의 분사량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1분사수단(111) 및 제2분사수단(112)의 회동을 통한 물의 분사량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추출대상인 커피의 특성 또는 기온, 습도와 같은 추출환경에 따라 이를 조절하여 보다 세밀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물분사구(113a)와 상기 제2물분사구(113b)의 겹치는 정도에 따라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구멍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물의 분사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각의 커피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 추출에 사용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섬세한 추출이 가능하여, 각각 커피가 가지고 있는 맛과 향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원통부(120)는 상기 내부원통(121)의 바닥면에 다수의 순환공(123)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공(123)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내부원통(121) 상측으로 분사하는 에어블로어(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원통(121)으로 공급된 상온의 물 중 상기 내부원통(121)의 물공급구(122)로 통과하지 않고 바닥으로 내려오는 물은 상기 에어블로어(124)에 의하여 상기 순환공(123)에 분사된 공기에 의하여 다시 상기 내부원통(121)의 상부로 올라가게 되며 상기 공기에 의하여 물은 다시 미세한 물입자로 분리되게 되고, 상기 물입자는 원심력에 의해 내부원통의 내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물이 바닥으로 고여 발생되는 물의 낭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물이 고여 발생될 수 있는 위생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공급구(122)가 상기 내부원통(1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구(122)의 하단과 접하며,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의 물공급보조수단(125)이 다층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물분사부(110)에서 공급된 물과 상기 순환공(123) 공기압을 통하여 상기 내부원통(121) 상부로 재공급된 물이 상기 물공급보조수단(125)의 테이퍼진 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물공급구(122)로 유도되므로 별도의 유도 구성이 없을 때보다 효율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부원통부(130)는 상기 외부원통(131)의 내측과 탈부착되는 필터(133), 상기 필터(133)의 외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133)을 지지하는 필터지지수단(134), 상기 필터(133)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피 및 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커버(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원통(131)의 내측에 원료인 분쇄된 커피가 투입될 때, 별도의 필터를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외부원통(131)의 내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필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필터(133)위에 투입하여 추가적인 필터가 필요 없으며, 커피 추출이 끝난 후에 상기 필터(133)를 상기 외부원통(131)에서 분리하여 추출이 끝난 커피를 배출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내부세척이 가능함으로써, 유지보수에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필터지지수단(134)를 통하여 상기 필터(133)가 강성이 약한 종이와 같은 섬유로 형성될 경우 이를 지지할 수 있어, 다양한 필터에 대한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수단(134)은 스테인레스스틸로 형성된 철망의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35)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133)에 투입된 커피의 상부를 폐쇄하여 회전에 의하여 커피 및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상기 외부원통부(130)는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를 향하여 추출된 커피가 일정량 이상이 모일 경우 개방되는 자동개폐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회전을 통하여 상기 외부원통(131)의 외측면으로 커피추출액이 모이게 되었을 때 이를 바로 커피액추출구(132)를 통하여 상기 추출통부(140)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추출액이 일정량 이상 모일 때 까지 기다렸다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를 개방하여 추출액을 상기 추출통부(140)로 보내게 된다. 이를 통하여 물이 상기 외부원통(131)의 통과 이전에 물과 원료가 되는 커피가 충분히 접촉할 시간을 제공하여 커피가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보다 충분하게 흡수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개폐수단은 시간을 이용하는 타이머로 제어되는 구성이거나 타이머와 수분을 감지하는 센서를 근거로 제어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을 시작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자동개폐수단이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를 개방하거나, 수분을 감지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자동개폐수단이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원통(131)의 회전 및 상기 자동개폐수단의 제어를 위해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를 자동제어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원통(121)의 하측단과 연결되어 진동을 일으키는 바이브레이터(12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원통(121)의 하측단과 연결되어 진동을 일으키는 상기 바이브레이터(126)를 통하여 상기 내부원통(121)과 외부원통(131)의 사이에 커피가 투입되었을 때, 진동을 발생시켜, 투입 시 발생될 수 있는 불규칙한 커피의 높이를 동일한 높이로 맞출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에스프레소 커피를 내리는 방식에 있어서, 커피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평탄화 및 압축하는 템핑 과정과 유사한 것으로 보다 균일한 높이로 커피를 배치함으로써 회전시 상기 외부원통(131) 측면에 보다 균일하게 커피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추출 시 보다 균일하게 물이 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맛과 향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한 커피액을 만들 수 있다.
또, 추출이 끝난 후 상기 필터(133)를 청소할 때에도 진동을 통하여 상기 필터(133)에 붙어있는 분쇄 커피를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필터(133)에서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식 원심분리를 이용한 상온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내부원통(121)과 외부원통(131)사이에 분쇄된 커피를 공급하는 커피원료공급부(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원통(121)과 외부원통(131)사이에 분쇄된 커피를 공급하는 상기 커피원료공급부(170)가 직접 분쇄된 커피를 공급할 수 있다.
이는, 종래에 커피를 분쇄하여 보관하였다가 직접 투입해서 사용할 때에 커피가 산화되어 맛과 품질이 떨어졌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쇄함과 동시에 투입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피원료공급부(170)는 각각 다른 분쇄도의 커피를 공급하는 제1공급구(171) 및 제2공급구(172)로 구분하여 형성되며, 입자의 크기가 더 큰 커피를 공급하는 공급구를 상기 외부원통(131)에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입자 크기에 따라 층을 이루어 입자크기가 작은 커피부터 물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고, 물과 접촉되는 시간이 분쇄도가 작은 커피가 분쇄도가 큰 커피보다 적게 되어 각각의 커피 분쇄도에 따른 특성에 알맞은 추출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피를 추출할 때 에스프레소와 같이 고압의 보일러를 이용할 때에는 분쇄도가 높게 하여 고운 커피를 사용하고, 드립커피와 같이 저압을 이용할 때에는 분쇄도가 낮은 다소 거친 거피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두 가지 크기의 입자를 가진 분쇄 커피를 사용하되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는 곳에는 큰 입자의 커피를 배치하고, 원심력이 작게 작용하는 곳에는 작은 입자의 커피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배치위치를 최적화 하여 보다 맛과 향이 뛰어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물분사부
111: 제1분사수단 112: 제2분사수단
113: 물분사구 113a: 제1물분사구
113b: 제2물분사구 114: 내부분사수단
120: 내부원통부
121: 내부원통 122: 물공급구
123: 순환공 124: 에어블로어
125: 물공급보조수단 126: 바이브레이터
130: 외부원통부
131 외부원통 132: 커피액추출구
133: 필터 134: 필터지지수단
135: 상부커버
140: 추출통부
150: 원통연결부
160: 원통회전부
170: 커피원료공급부
171: 제1공급구 172: 제2공급구

Claims (11)

  1. 삭제
  2.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물분사구(113)가 형성된 물분사부(110);
    상기 물분사부(11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물분사부(110)를 감싸도록 내부원통(121)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원통(121)에 관통홀의 형태로 물공급구(122)가 형성된 내부원통부(120);
    상기 내부원통부(12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내부원통부(120)를 감싸도록 외부원통(131)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원통(131)의 외주면에 커피액추출구(132)가 형성된 외부원통부(130);
    상기 외부원통부(13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부원통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로부터 추출된 커피액이 모이는 추출통부(140);
    상기 내부원통(121)의 하면과 상기 외부원통(131)의 하면을 연결하는 원통연결부(150);
    상기 원통연결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원통연결부(150)와 연결되는 회전력전달수단(161),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61)과 연결되는 회전력발생수단(162)으로 형성된 원통회전부(160);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물분사부(110)는
    실린더의 형태로 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물분사구(113a)가 형성된 제1분사수단(111),
    내면이 상기 제1분사수단(111)의 외주면과 접하고, 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2물분사구(113b)가 형성되는 제2분사수단(112),
    외경이 상기 제1분사수단(111)의 내주면과 접하고 일단이 물공급부와 연통된 내부분사수단(1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110)는
    상기 내부분사수단(114)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110)는
    상기 제1분사수단(111)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분사수단(111) 및 제2분사수단(112) 중 하나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물분사구(113a) 및 제2물분사구(113b)가 중첩되는 홀의 크기로 물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5.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물분사구(113)가 형성된 물분사부(110);
    상기 물분사부(11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물분사부(110)를 감싸도록 내부원통(121)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원통(121)에 관통홀의 형태로 물공급구(122)가 형성된 내부원통부(120);
    상기 내부원통부(12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내부원통부(120)를 감싸도록 외부원통(131)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원통(131)의 외주면에 커피액추출구(132)가 형성된 외부원통부(130);
    상기 외부원통부(13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부원통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로부터 추출된 커피액이 모이는 추출통부(140);
    상기 내부원통(121)의 하면과 상기 외부원통(131)의 하면을 연결하는 원통연결부(150);
    상기 원통연결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원통연결부(150)와 연결되는 회전력전달수단(161),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61)과 연결되는 회전력발생수단(162)으로 형성된 원통회전부(160);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내부원통부(120)는
    상기 내부원통(121)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순환공(123),
    상기 순환공(123)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원통(121) 상측으로 분사하는 에어블로어(12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원통부(120)는
    상기 물공급구(122)가 상기 내부원통(1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구(122)와 접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의 물공급보조수단(125)이 다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7.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물분사구(113)가 형성된 물분사부(110);
    상기 물분사부(11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물분사부(110)를 감싸도록 내부원통(121)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원통(121)에 관통홀의 형태로 물공급구(122)가 형성된 내부원통부(120);
    상기 내부원통부(12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내부원통부(120)를 감싸도록 외부원통(131)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원통(131)의 외주면에 커피액추출구(132)가 형성된 외부원통부(130);
    상기 외부원통부(13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부원통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로부터 추출된 커피액이 모이는 추출통부(140);
    상기 내부원통(121)의 하면과 상기 외부원통(131)의 하면을 연결하는 원통연결부(150);
    상기 원통연결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원통연결부(150)와 연결되는 회전력전달수단(161),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61)과 연결되는 회전력발생수단(162)으로 형성된 원통회전부(160);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외부원통부(130)는
    상기 외부원통(131)의 내측과 상기 내부원통의 외측으로부터 탈부착되는 필터(133),
    상기 필터(133)의 외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133)을 지지하는 필터지지수단(134),
    상기 필터(133)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커버(13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원통부(130)는
    상기 커피액추출구(132)를 추출된 커피가 일정량 이상이 모일 경우 개방되는 자동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9.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원통(121)의 하측단과 연결되어 진동을 일으키는 바이브레이터(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10.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내부원통(121)과 외부원통(131)사이에 분쇄된 커피를 공급하는 커피원료공급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원료공급부(170)는
    각각 다른 분쇄도의 커피를 공급하는 제1공급구(171) 및 제2공급구(172)로 구분하여 형성되며, 입자의 크기가 더 큰 커피를 공급하는 공급구를 상기 외부원통(131)에 더 가깝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KR1020160041554A 2016-04-05 2016-04-05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KR10167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554A KR101673479B1 (ko) 2016-04-05 2016-04-05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554A KR101673479B1 (ko) 2016-04-05 2016-04-05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479B1 true KR101673479B1 (ko) 2016-11-08

Family

ID=5752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554A KR101673479B1 (ko) 2016-04-05 2016-04-05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4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568B1 (ko) * 2016-11-10 2018-03-21 이상준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 필터링 장치
WO2021194084A1 (en) * 2020-03-25 2021-09-30 Lg Electronics Inc.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1432A (ko) 1989-01-19 1990-08-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커피 제조기
JPH0531032A (ja) * 1991-08-02 1993-02-09 Toshiba Heating Appliances Co ミル付きコーヒー抽出装置
WO2007041954A1 (en) * 2005-10-11 2007-04-19 Zhiping Li Coffee maker
EP2119383A1 (de) * 2008-05-15 2009-11-18 Tchibo GmbH Brühmaschine
US9149147B2 (en) * 2012-04-25 2015-10-06 Nestec S.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using a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1432A (ko) 1989-01-19 1990-08-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커피 제조기
JPH0531032A (ja) * 1991-08-02 1993-02-09 Toshiba Heating Appliances Co ミル付きコーヒー抽出装置
WO2007041954A1 (en) * 2005-10-11 2007-04-19 Zhiping Li Coffee maker
EP2119383A1 (de) * 2008-05-15 2009-11-18 Tchibo GmbH Brühmaschine
US9149147B2 (en) * 2012-04-25 2015-10-06 Nestec S.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using a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568B1 (ko) * 2016-11-10 2018-03-21 이상준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 필터링 장치
WO2021194084A1 (en) * 2020-03-25 2021-09-30 Lg Electronics Inc. Coffee extrac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9086B2 (ja) 飲み物を作る装置および方法
CN205162805U (zh) 磨豆咖啡壶机器的粉碎过滤装置
JP3119463U (ja) 自動コーヒー液抽出装置
KR101424208B1 (ko) 음료 추출 기기 및 추출 방법
KR101612040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
KR100958453B1 (ko)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JPH0237026U (ko)
KR101673479B1 (ko) 원심력을 이용한 드럼식 상온커피 추출장치
US10004354B2 (en) Coffee making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US10542839B2 (en) Coffee making appliance
CN107049034B (zh) 一种磨豆滴落咖啡机
CN106163350B (zh) 咖啡机的冲泡单元以及咖啡机
CN105147142A (zh) 豆浆机
CN107126092B (zh) 一种带自动清洗功能的咖啡机
US20230180963A1 (en) Brewing Machine Cleaner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101018497B1 (ko) 커피드립장치
CN207768166U (zh) 一种带自动清洗功能的咖啡机
US20200288908A1 (en) Brewing Machine Cleaner
KR200227419Y1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US11638499B2 (en) Beverage brewer spray apparatus having multiple dispersion members
US20210274960A1 (en) Beverage Brewer Spray Apparatus Having Accommodation for Multiple Dispersion Members
JPH067252A (ja) 抽出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剤包装体
JPH0226415Y2 (ko)
KR20010025521A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