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279B1 -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279B1
KR101672279B1 KR1020140110438A KR20140110438A KR101672279B1 KR 101672279 B1 KR101672279 B1 KR 101672279B1 KR 1020140110438 A KR1020140110438 A KR 1020140110438A KR 20140110438 A KR20140110438 A KR 20140110438A KR 101672279 B1 KR101672279 B1 KR 10167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dispatch plan
application information
dis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103A (ko
Inventor
정종기
Original Assignee
두레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레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레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2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청자가 신청자단말을 통해 희망일정을 포함하는 신청정보를 입력하면, 콜버스 운용 시스템이 기 구축되어 있는 버스들의 운행일정을 참고하여, 구간별로 최적으로 매칭되는 버스를 배차해 줌으로써, 버스기사는 공차 대기 상태를 줄여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고, 신청자는 공차 대기에 따른 대가 지불을 제외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여행 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Call-b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a bus in each sections}
본 발명은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세버스 이용시 공차 발생은 줄이고 운행율을 높여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회사, 학교 또는 각종 모임에서 단체 여행을 가는 경우 전세버스를 대절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하곤 한다.
종래에 전세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특정 버스회사에 전화를 걸어 여행일정을 설명하고, 버스회사에서 버스를 지정하여 계약을 완료하면, 지정된 버스를 이용하여 여행일정을 소화한다.
즉 한 대의 버스가 지정되면 여행일정 내내 해당 버스만 이용해야 한다. 예컨대 서울에서 속리산에 도착하여 4시간여의 관광을 마치고 다시 복귀하는 일정일 경우, 지정된 버스는 서울에서 출발한 후 속리산에 도착하여 여행객이 관광을 마치는 4시간 이상을 대기하였다가 다시 여행객을 태우고 서울로 복귀하는 것이다. 이 경우 여행객이 관광을 하고 있는 4시간동안 버스가 운행되고 있지는 않지만, 버스기사가 대기하는 시간만큼의 비용이 전체 비용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운행되지 않는 시간만큼의 비용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고, 버스기사 입장에서는 의도치 않은 공차 상태로 인해 시간 대비 수익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한편 전세버스 예약을 인터넷 상에서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040009호(인터넷을 이용한 공차 운행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기존의 전세버스 이용 방식을 인터넷을 통해 예약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데에만 머물러 있다. 즉 지정된 한 대의 버스를 이용하여 모든 여행일정을 소화해야하는 것은 여전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버스의 공차 대기 시간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현상은 막아줄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스들의 운행일정을 데이터베이스화 한 후, 신청자가 신청자단말을 통해 희망일정을 입력하여 전송하면, 희망일정에 포함된 구간별 출발지점과 출발시간을 고려하여, 최적의 구간별 배차계획을 수립하여 제공함으로써, 여행객이 관광일정을 소화하는 동안 버스는 공차 상태에 머무를 필요 없이 또 다른 여행객을 태워 바로 이동할 수가 있어서, 신청자 입장에서는 공차 대기 시간을 현저하게 줄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버스기사 입장에서는 동일한 시간에 더 많은 운행이 가능하여 수익이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은, 콜버스 운용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함)의 버스정보운용부에서 버스별 운행일정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저장하여 버스정보D/B를 유지하는 (a)단계; 신청자단말에서 희망일정을 포함하는 신청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시스템의 신청정보운용부에서 상기 신청정보를 신청정보D/B에 저장하는 (b)단계; 상기 시스템의 배차계획수립부에서 상기 버스정보D/B를 확인하여 상기 신청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배차계획을 수립하는 (c)단계; 상기 시스템의 정보제공부에서 상기 수립된 구간별 배차계획을 상기 신청자단말로 제공하는 (d)단계; 상기 신청자단말에서 상기 구간별 배차계획에 대한 계약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시스템의 버스정보운용부 및 신청정보운용부에서 상기 배차계획을 각각 상기 버스정보D/B와 신청정보D/B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는 (e)단계; 및 상기 배차계획을 상기 신청자단말 및 상기 배차계획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사단말 측으로 통보하는 (f)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정보의 운행일정은 도착지점과 도착예정일시를 포함하고,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은 지점 정보와, 지점별 출발일시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배차계획을 수립할 시 상기 신청정보의 특정 지점에서 다음 지점까지의 운행예정시간을 산출하여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까지의 운행일정이 비어 있되, 상기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상기 특정 지점과 인접한 위치로 도착예정인 버스를 우선 배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배차계획을 수립할 시 각 구간별 이동거리에 따른 비용 정보를 함께 산출하며,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일치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될 경우 정상 비용으로 산출하고,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일치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인접하는 배차계획을 수립하면서 할인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신청자단말 및 기사단말에서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신청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배차계획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신청자단말 및 기사단말 측으로 상기 배차계획이 통보된 이후, 상기 배차계획에 포함된 각 지점별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상기 배차계획을 푸시 방식으로 알리는 (g)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사단말에서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배차계획이 통보되어 저장되며, 상기 기사단말을 소지한 기사가 운행하는 버스에 설치된 버스전광판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버스전광판에서 상기 기사단말로부터 배차계획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h)단계; 및 상기 버스전광판에서 상기 배차계획에 포함된 운행일정 중 특정 출발시간이 도래하였는지 확인되면, 해당 특정 출발시간에 대응하는 배차계획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은, 신청자단말로부터 희망일정을 포함하는 신청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청정보를 신청정보D/B에 저장하는 신청정보운용부; 버스별 운행일정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버스정보D/B를 통해 상기 신청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배차계획을 수립하는 배차계획수립부; 및 상기 수립된 구간별 배차계획을 상기 신청자단말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수신부에서 상기 신청자단말로부터 상기 구간별 배차계획에 대한 계약 요청을 접수하면, 상기 버스정보운용부 및 신청정보운용부는 상기 배차계획을 각각 상기 버스정보D/B와 신청정보D/B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배차계획을 상기 신청자단말 및 상기 배차계획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사단말 측으로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정보의 운행일정은 도착지점과 도착예정일시를 포함하고,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은 지점 정보와, 지점별 출발일시를 포함하며, 상기 배차계획수립부는 상기 배차계획을 수립할 시 상기 신청정보의 특정 지점에서 다음 지점까지의 운행예정시간을 산출하여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까지의 운행일정이 비어 있되, 상기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상기 특정 지점과 인접한 위치로 도착예정인 버스를 우선 배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차계획수립부는 상기 배차계획을 수립할 시 각 구간별 이동거리에 따른 비용 정보를 함께 산출하며,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일치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될 경우 정상 비용으로 산출하고,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일치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인접하는 배차계획을 수립하면서 할인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먼저, 콜버스 운용 시스템에서는 운행일정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유지하고, 신청자단말로부터 희망일정을 포함하는 신청정보를 접수하면, 신청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배차계획을 수립하여 계약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구간별로 서로 다른 버스가 배차될 수가 있어서 버스의 공차 발생을 현저하게 낮출 수가 있다. 즉 특정구간에서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세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신청자 입장에서는 공차 상태에 대한 대가까지 지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세버스 이용 비용을 낮출 수가 있는 것이며, 버스기사 입장에서는 공차 대기 없이 동일한 시간동안 더 많은 운행을 할 수가 있어서 수익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콜버스 운용 시스템의 배차계획수립부는 신청정보의 특정 지점에서 다음 지점까지의 운행예정시간을 산출하여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를 추출하고,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까지의 운행일정이 비어 있으면서도,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그 특정 지점과 인접한 위치로 도착예정인 버스를 우선 배차하는 방식으로 배차계획을 세워주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운행정보를 확인할 필요 없이, 정확하게 신청정보와 매칭되는 배차계획을 세울 수가 있다. 즉, 사용자가 미리 세워 놓은 여행계획을 무시한 채 본인의 편의만 고려하여 무리하게 특정 버스의 배차를 요구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상술한 알고리즘을 통해 전체 버스의 운행일정을 고려한 최적의 배차계획을 세우는 것이기 때문에, 버스들의 운행 순환율을 높여 공차 상태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신청자단말과 기사단말에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정보를 입력하거나 배차계획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지점에서의 이동 시간이 도래하면 신청자단말과 기사단말에서 푸시로 알릴 수가 있어서, 여행일정을 무난하게 소화할 수가 있다. 즉 본원발명에서는 한 대의 버스가 한 팀의 여행일정을 모두 소화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청자는 어느 시간에 어느 버스를 이용해야 하는지 혼란이 생길 수 있고, 버스기사 역시 어느 위치와 시간에 어느 여행팀을 태워야 하는지 혼란이 생길 수 있는데,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배차계획 확인과 푸시 기능의 도움을 통해 혼란을 잠재울 수 있는 것이다.
또, 버스 전면에 설치된 버스전광판과 기사단말이 연동되어 기사단말에 저장된 배차계획이 버스전광판에 자동 저장되고, 버스전광판이 시간에 따라 신청자명(모임명)과 출발시간을 포함하는 배차계획을 자동으로 출력함으로써 여행객들의 탑승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콜버스 운용 시스템에서 버스정보D/B에 저장된 버스정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콜버스 운용 시스템에서 신청정보D/B에 저장된 신청정보(최초 신청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5는 도4의 과정을 통해 배차계획에 대한 계약을 마친 후 신청정보D/B에 배차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4의 과정을 통해 배차계획에 대한 계약을 마친 후 버스정보D/B에 운행일정이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4의 과정 중 배차계획을 수립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8은 버스전광판과 기사단말이 연동되어 배차정보를 자동 출력하는 과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이하 '콜버스 운용 시스템' 또는 '시스템'이라 함)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부(105), 인터페이스제공부(110), 정보수신부(115), 정보제공부(120), 버스정보운용부(125), 배차계획수립부(130), 신청정보운용부(135), 부가서비스운용부(140) 및 결제처리부(145)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05)는 신청자단말(210), 기사단말(215), 운용자단말(205) 또는 버스회사 배차서버(220)와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채널 연결을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신청자단말(210)이란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을 통해 희망일정을 포함하는 신청정보를 제공하고, 시스템(100)으로부터 배차계획을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는 단말을 말하며, 여행에 참여하는 모임의 대표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도 있고, 여행에 참여하는 해당 모임의 전체 인원이 사용하는 모든 단말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사단말(215)이란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으로부터 배차계획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단말을 말하며, 특정 버스를 운행하는 버스기사가 사용하는 단말을 말한다.
또, 운용자단말(205)이란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을 통해 콜버스 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담당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을 말한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 업체의 콜센터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버스회사 배차서버(220)란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되는 콜버스 운용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휴된 버스회사에서 운용하는 서버를 말한다.
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신청자단말(210), 기사단말(215) 또는 운용자단말(205) 측으로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정보수신부(115)는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운용자단말(205) 또는 버스회사 배차서버(220)로부터 차량정보나 기사정보, 그리고 운행일정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정보수신부(115)는 신청자단말(210)이나 운용자단말(205)을 통해 신청자정보와 희망일정을 포함하는 신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20)는 인터페이스제공부(110)와 연계하여 신청자단말(210), 기사단말(215) 및 버스회사 배차서버(220) 측으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확정된 배차정보(배차계획)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버스정보운용부(125)는 정보수신부(115)를 통해 수신된 버스정보를 버스정보D/B(175)에 저장하거나, 버스정보D/B(175)에 저장된 버스정보를 확인 및 추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버스정보운용부(125)는 배차계획수립부(130)에서 수립한 배차계획을 버스정보D/B(175)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버스정보D/B(175)에 저장된 버스정보의 일례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버스정보는 본 서비스에 제휴된 복수의 버스에 대한 차량번호, 승차 정원, 버스를 운행하는 기사의 이름, 그 기사의 단말번호, 버스 및 기사가 소속된 소속회사정보 그리고 운행일정을 포함한다.
차량번호, 정원, 기사명, 기사단말번호, 소속회사정보 등의 차량정보는 버스회사와 제휴를 체결할 시 운용자단말(205)을 통해 입력되거나 버스회사 배차서버(220)를 통해 제공되어 저장된 고정된 정보이지만, 일부 차량이 운행 불가하거나 담당 버스기사가 교체될 경우 해당 정보는 수시로 업데이트되어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버스정보에는 운행일정이 함께 매칭되어 저장된다.
예컨대 의적운수 소속 [경기 17 마 6720] 버스의 운행일정을 살펴보면, 신청자명(또는 모임명), 신청자단말번호(모임의 대표자 단말번호), 승차인원, 출발지점, 출발일시, 도착지점, 도착예정일시 등의 운행일정이 시간대별로 정리되어 있다. 또한 한팀의 여행객 인원이 많아 여러 대의 버스가 함께 이동해야할 경우, 해당 버스가 몇호차에 배정되었는지, 그리고 다른 연계 버스들의 정보는 무엇인지 등에 대한 부가정보도 함께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운행일정은 운용자단말(205)의 입력을 통해 업데이트되거나, 버스회사 배차서버(220)에서 제공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에 접속한 신청자단말(210)의 신청정보에 의해 배차계획이 수립되고 계약이 완료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추후 다시 하도록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버스회사에 소속된 버스들에 대해서만 다루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개인사업자 형태로 본인 소유의 버스를 직접 운영하는 자도 본 서비스에 참여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을 통해 콜버스 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는 여러 곳의 버스회사와 제휴를 맺은 후 소속된 버스들의 운행일정을 공유하게 된다. 더불어 본인 소유의 버스를 직접 운행하는 기사 역시 콜버스 운용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개별적으로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과 제휴를 맺고 차량정보나 기사정보 및 운행일정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버스회사가 아닌 개인 기사의 경우 별도의 배차서버를 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운행일정 등은 개인 기사가 소유하고 있는 기사단말(215)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여 수시로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물론 등록된 개인 기사 소유의 버스가 배차계획수립부(130)의 배차계획 수립에 따라 특정 구간에서 배차 된다면, 운행일정은 자동 업데이트 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배차계획수립부(130)는 버스정보운용부(125)와 연계하여 버스정보D/B(175)를 확인함으로써, 신청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배차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배차계획수립부(130)는 구간별 이동거리에 따른 비용 정보를 함께 산출하는데, 배차계획수립부(130)가 배차계획을 수립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다시 다루도록 한다.
신청정보운용부(135)는 정보수신부(115)를 통해 수신된 신청정보를 신청정보D/B(180)에 저장하거나, 신청정보D/B(180)에 저장된 신청정보를 확인 및 추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신청정보D/B(180)에 저장된 신청정보의 일례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신청정보는 신청자단말(210)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한 신청자명(또는 모임명), 신청자단말번호, 인원 및 희망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희망일정은 여행계획에 따라 구체적으로 구분된다. 예컨대 김유신이라는 신청자가 2014년 7월 31일 광주월드컵경기장을 출발하여, 담양 죽녹원 인근에서 점심 식사를 한 후 지리산자연휴양림의 숙소로 이동하여 하루를 묵고, 다음날 다시 광주월드컵경기장으로 복귀하는 여행계획을 세웠다면, 각각의 지점과 그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청정보D/B(180)에 저장된다. 물론 도3에서는 출발지(광주월드컵경기장), 제1경유지(담양 죽녹원), 목적지(지리산자연휴양림) 및 종착지(광주월드컵경기장, 통상적으로 최초 출발지점이 됨)의 희망일정을 제시하였지만, 경유지가 추가로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3은 신청자가 최초 신청정보만 제공한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배차계획이나 계약 체결은 아직 이루어진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각 구간별 배차정보(배차계획)는 미정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청자가 신청정보를 입력할 시, 여행계획에 따른 대략의 이동시간도 입력할 수는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추후 설명하게 되는 과정을 통해 구간별 이동시간이 산출되어 다음지점 도착예정일시를 추출해낼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신청 과정에서 신청자의 입력이 필요하지는 않으며, 각 지점별 출발시간만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도3과 같은 최초 신청정보의 접수가 이루어지고 나면 배차계획수립부(130)에서 구간별 최적의 배차계획을 수립한 후 신청자단말(210)로 제공이 되며, 이를 확인한 신청자가 계약을 체결하면 비로소 배차정보(배차계획)가 최초 신청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다. 계약 체결이 완료된 후 신청정보D/B(180)에 배차정보가 매칭된 상태의 예시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신청자는 신청자단말(21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정보를 입력하여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거나, 별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신청정보를 입력 전송할 수도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콜센터에 전화를 하여 구두 상으로 신청정보를 제공하고, 콜센터 직원이 운용자단말(205)을 통해 신청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신청정보D/B(180)가 구축될 수도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부가서비스운용부(140)는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에서 운영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등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신청자는 신청자단말(21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정보를 입력하고 배차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여 일행들과 배차정보나 여행계획 및 후기를 공유할 수가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운용부(140)는 별도의 지도정보제공시스템(미도시)과 연계하여 배차계획에 따른 지점별 출발 위치나, 이동 경로를 신청자단말(210) 측으로 지도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신청자 또는 그 일행들은 본인들의 이동 경로를 일목 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배차계획에 따른 지점별 출발 위치나, 이동 경로 등은 기사단말(215)에도 제공함으로써, 버스 기사가 다음 운행을 위해 어디로 이동해야 하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결제처리부(145)는 배차계획수립부(130)에서 수립한 배차계획이 신청자단말(210)로 제공되고, 신청자단말(210)에서 계약을 체결할 시 비용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비용 결제는 무통장입금, 카드결제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결제처리부(145)는 금융시스템이나 카드사 또는 VAN사와 연계하여 결제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결제 방식은 신청자에게 적립된 포인트나 마일리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1에 도시된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에서 기사단말(215)과 연동되는 버스전광판(225)은 버스 전면에 설치되어 배차계획 등의 안내정보를 출력해 주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한 대의 버스가 한 팀의 여행객에 대하여 여행일정 모두에 대한 이동을 책임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청자가 구간별로 어느 버스를 이용해야할지 혼란이 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버스전광판(225)은 기사단말(215)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기사단말(215)로부터 배차계획을 수신하여 저장한 후, 배차계획에 따른 시간별로 안내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여행객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의 각 구성부들의 기능 설명은 도4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콜버스 운용 방법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도1에 도시된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을 통해 구간별 배차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신청자와 버스기사는 신청자단말(210) 및 기사단말(215)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거나 배차계획(배차정보)을 수신 출력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신청자가 신청정보를 입력 전송할 수도 있고, 전화를 통해 구두 상으로 신청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신청자단말(210)과 기사단말(215) 모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보를 주고 받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에서는 상시로 운행일정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버스정보D/B(175)에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S405>한다. 버스정보는 차량번호, 정원, 기사명, 기사단말번호, 소속회사 등의 기본적인 차량정보와, 수시로 업데이트된 운행일정을 포함하며, 그 예시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이후 신청자단말(210)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을 요청<S410>하면, 시스템(100)의 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신청자단말(210) 측으로 신청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S415>한다.
신청자단말(210)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청자가 신청자명(또는 모임명), 신청자단말번호, 인원 및 희망일정을 포함하는 신청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시스템(100)으로 전송<S420>하면, 시스템(100)의 정보수신부(115)는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신청정보를 수신하고, 신청정보운용부(135)는 접수된 신청정보를 신청정보D/B(180)에 저장<S425>한다.
신청자단말(210)로부터 최초 신청정보가 접수되어 신청정보D/B(180)에 저장된 예시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이후 시스템(100)의 배차계획수립부(130)는 버스정보운용부(125)와 연계하여 버스정보D/B(175)를 확인하여 신청정보에 대응하는 배차계획을 수립<S430>한다.
이때 배차계획수립부(130)는 신청정보에 포함된 희망일정의 각 지점별 출발시간을 고려하여, 구간별로 따로 버스가 배정되도록 배차계획을 수립한다. 물론 특정 지점에서의 대기 시간이 길지 않다면, 동일한 버스가 연속된 구간에서 모두 배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차계획수립부(130)는 특정 구간에서의 버스 배차를 진행할 시, 해당 버스의 이동 거리나 대기 시간이 최소화되도록 배차계획을 수립한다. 구체적으로 배차계획수립부(130)는 신청정보의 특정 지점에서 다음 지점까지의 운행예정시간을 산출하여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를 추출하고, 해당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까지의 운행일정이 비어 있으면서도, 해당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해당 특정 지점과 인접한 위치로 도착예정인 버스를 우선 배차한다.
예컨대 도3의 신청정보 중 [김유신]이라는 신청자는 [광주월드컵경기장, 2014.07.31 10:30 출발 -> 담양 죽녹원]이라는 1구간과, [담양 죽녹원, 2014.07.31 13:00 출발 -> 지리산자연휴양림]이라는 2구간과, [지리산자연휴양림, 2014.08.01 14:00 출발-> 광주월드컵경기장]이라는 3구간으로 구분되는 여행계획을 세워 희망일정을 입력한 상태이다. 이를 통해 배차계획수립부(130)는 1구간부터 순차적으로 최적의 배차계획을 수립하는데, 이 중 3구간에 대한 배차계획 수립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지리산자연휴양림에서부터 광주월드컵경기장까지의 운행예정시간을 산출한다. 여기서 배차계획수립부(130)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시스템(미도시)과 연동하여 운행예정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2시간 30분이라는 운행예정시간이 산출되었다면, 지리산자연휴양림에서의 출발시간인 2014.08.01 14:00으로부터 2시간 30분 뒤인 16시 30분이 다음지점(광주월드컵경기장) 도착예정일시가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배차계획수립부(130)는 2014.08.01 14:00로부터 2014.08.01 16:30까지 운행일정이 비어 있는 버스만 간추린다. 물론 앞뒤로 30분 이상의 여유 시간동안 운행일정이 비어 있는 버스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배차계획수립부(130)는 해당 시간동안 운행일정이 비어 있는 버스 중, 해당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해당 특정 지점과 인접한 위치로 도착예정인 버스를 우선배차 한다. 즉 해당 구간의 출발지점은 지리산자연휴양림이고, 그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는 2014.08.01 14:00이다. 따라서 2014.08.01 14:00 직전에 지리산자연휴양림에 도착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도2의 버스정보를 참조하면 2014.08.01 14:00 직전에 지리산자연휴양림에 도착 예정인 버스는 홍길동이라는 기사가 운행하는 [경기 17 마 6720] 버스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배차계획수립부(130)는 [경기 17 마 6720] 버스를 우선 배차하는 것이다. 물론 배차계획수립부(130)는 해당 구간에서의 도착후 이어지는 버스의 운행일정도 참고하여 최종 배차계획을 수립한다. 예컨대 상기 예시에서는 홍길동 기사의 버스가 광주에 16:30분에 도착할 예정인데, 만약 다음 운행일정이 17시에 전주에서 출발하는 것이라면, 해당 버스는 현실적으로 17시까지 전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배차계획에서 제외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2의 예시에서는 홍길동 기사의 버스[경기 17 마 6720]는 다음 운행일정이 광주공항에서 18시에 출발하는 일정이기 때문에, 신청자 김유신의 3구간 운행을 마치더라도 버스기사는 광주월드컵경기장에서 광주공항까지 시간 내에 여유롭게 이동한 후 다음 일정을 소화할 수 있으므로, 본 배차는 최적의 매칭이 되는 것이다.
한편 배차계획수립부(130)가 배차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승차인원과 버스정원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김유신이라는 신청자는 42명의 승차인원을 신청하였기 때문에 20인승 버스는 배차계획 수립시 배제되어야 한다.
이렇게 배차계획수립부(130)에서 각 구간별로 최적으로 매칭되는 배차계획을 수립<S430>하고 나면, 정보제공부(120)는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정리된 배차계획을 신청자단말(210) 측으로 제공<S435>한다.
이후 신청자가 신청자단말(21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된 배차계획을 확인한 후 계약여부를 선택<S440>할 수 있다.
만약 신청자단말(210)을 통해 확인한 배차계획이 마음에 든다면 신청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계약 체결을 수락<S445>할 것이고, 이후 시스템(100)의 결제처리부(145)에서 제공하는 결제 과정을 통해 계약을 체결<S450>하게 된다.
반면 수립된 배차계획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추가 검토가 필요하여 계약 체결을 수락하지 않는다면<S445>, 서비스는 그대로 종료되거나 또 다시 배차계획을 수립하는 과정<S430>부터 반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시스템(100)의 배차계획수립부(130)에서 신청정보에 대응하는 최적의 배차계획을 수립하면 신청자단말(210)로 제공하고, 신청자가 수락하면 계약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버스기사의 승인이 함께 이루어져야만 최종 계약이 체결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즉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과 제휴를 맺고 차량정보, 기사정보 및 운행일정 등의 버스정보를 제공하였다는 것은,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에게 향후 배차 계획을 전적으로 맡긴다는 취지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버스기사 입장에서 시스템(100)이 세운 배차계획이 무리한 일정이라 느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버스기사의 의중도 반영해야만 한다.
예컨대 오전 8시에 서울에서 출발하여 여러 구간에 대한 운행을 수행한 후 오후 4시에 부산에 도착 예정이고, 당일 오후 4시 이후에는 운행이 없는 버스기사 A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시스템(100)의 배차계획수립부(130)가 신청정보에 따른 배차계획을 수립하면서 오후 5시에 부산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차량을 찾다보면 버스기사 A가 확인될 것이다. 물론 버스기사 A가 충분히 운행이 가능한 일정이라 판단한다면, 배차계획에 따라 운행을 수행하면 되지만, 오전부터 고된 운행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안전 운전을 위해서라도 그 이후의 무리한 운행은 피하고 싶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100)에서 수립된 배차계획을 신청자단말(210)로 제공할 때, 배차계획에 포함된 기사단말(215)에도 함께 정보를 제공하고, 신청자단말(210)과 기사단말(215)에서 모두 수락을 하면 계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을 적용할 때에는 버스기사의 거절에 대비하여 배차계획을 수립할 시 하나의 구간에 대하여 2 이상의 후보 차량을 선정한 후, 각각의 기사단말(215)로 모두 전송하고 먼저 수락한 기사에 대하여 해당 구간의 최종 배차 차량으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배차계획수립부(130)가 배차계획을 수립하고 신청자단말(210)로 제공하여 계약체결이 완료될 때 까지는 정식적인 배차 완료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하지만 수립된 배차계획은 해당 신청자가 추후 충분히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배차계획에 포함된 버스들의 해당 시간 운행일정은, 본 계약이 완료될 때까지 또는 일정 기간동안 다른 신청자의 요청에 의한 배차계획 수립에서 배제되어야 한다. 이는 시간차를 둔 서비스 신청에 대하여 중복 배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수립된 배차계획에 대한 계약 체결이 완료<S450>되면, 버스정보운용부(125)는 버스정보D/B(175)에서 해당 배차계획에 포함된 버스들에 대한 운행일정을 업데이트하고, 신청정보운용부(135)는 최초 신청정보에 배차정보를 매칭시켜 저장<S455>한다.
즉, 계약이 완료된 상태의 신청정보의 저장 상태 예시를 도시한 도5를 참조하면, 도3의 최초 신청정보에 확정된 배차계획(배차정보)이 구간별로 매칭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계약이 완료되어 버스들의 운행일정이 업데이트된 상태의 예시를 도시한 도6을 참조하면, 도2의 홍길동 기사[경기 17 마 6720]의 운행일정에 김유신 신청자의 3구간 이동일정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홍길동 기사는 2014.08.01 13:00에 지리산자연휴양림에 도착하는 '온천산악회'의 운행을 마친 후, 광주공항으로 18시까지 공차 상태로 운행하는 일 없이, 인접한 지리산자연휴양림에서 김유신 신청자를 태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버스정보D/B(175)와 신청정보D/B(180)의 업데이트<S455>를 마치면, 시스템(100)의 정보제공부(120)는 확정된 배차계획을 신청자단말(210), 기사단말(215) 및 버스회사 배차서버(220)로 제공<S460>한다.
여기서 시스템(100)은 특정 모임의 대표자단말에만 배차계획을 통보할 수도 있지만, 신청자가 최초 신청정보를 입력할 시, 함께 여행하게 될 인원들의 모든 단말번호를 입력하였다면, 배차계획은 해당 모임의 모든 단말 측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신청자단말(21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차정보가 출력되면, 신청자 및 그 일행들은 이동 구간별로 어느 위치에서 어느 시기에 어떤 기사가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하면 되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가 있다. 더불어 시스템(100)의 부가서비스운용부(140)가 제공하는 지도정보를 통해 탑승 위치나 이동경로를 지도로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기사단말(215)로 제공되는 배차계획은 기사단말(215)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즉 버스기사 역시 배차정보 확인을 통해 어느 시기에 어느 위치에서 특정 규모의 여행객을 태워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지도 정보도 함께 참조할 수가 있다.
그리고 버스회사 배차서버(220)로 제공된 배차계획은 버스회사에서의 버스 운용 계획을 위해 활용된다.
한편, 신청자단말(210) 및 기사단말(215) 측으로 배차계획이 통보되어, 각각의 단말에서 저장되면, 배차계획에 포함된 각 지점별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배차계획이 푸시 방식으로 알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원발명에서는 한 대의 버스가 한 팀의 여행일정을 모두 소화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청자는 어느 시간에 어느 버스를 이용해야 하는지 혼란이 생길 수 있고, 버스기사 역시 어느 위치와 시간에 어느 여행팀을 태워야 하는지 혼란이 생길 수 있는데,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배차계획 확인과 푸시 기능의 도움을 통해 혼란을 잠재울 수 있는 것이다.
도7은 도4의 콜버스 운용 방법 중 배차계획을 수립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도4에서 신청자단말(210)에서 신청정보가 접수되어 시스템(100)에서 신청정보를 신청정보D/B(180)에 저장한 이후, 시스템(100)의 배차계획수립부(130)는 버스정보운용부(125)와 연계하여 신청정보에 대응하는 배차계획을 수립<S705>하되, 신청정보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되는지 확인<S710>한다.
예컨대 도4의 과정에서와 같이 김유신 신청자의 3구간 이동일정에서 홍길동 기사의 매칭은 최적의 매칭 조건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렇게 모든 구간별로 신청정보와 일치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되었다면<S715>, 배차계획수립부(130)는 배차계획을 수립함과 동시에 각 구간별 이동거리를 고려한 정상 비용을 함께 산출<S720>하고, 이후 정상 비용을 포함하는 배차계획을 신청자단말(210)로 제공<S435>하는 도4의 이하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모든 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서 신청정보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배차계획 수립이 어렵다면<S715>, 배차계획수립부(130)는 신청정보와 인접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되는지 확인<S725>한다.
예컨대 2014.07.31 10:30에 광주월드컵경기장에서 담양 죽녹원으로 출발하는 1구간의 희망일정을 입력하였지만, 배차계획수립부(130)가 이에 정확하게 매칭되는 배차계획 수립은 불가능하고, 2014.07.31 11:20에 출발하는 배차계획 수립만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을 경우<S730>, 해당 차량을 배차하되, 신청자가 원하는 정확한 매칭이 아니므로 신청자에게 양해를 구한다는 차원에서 해당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정상 비용에서 일정 금액을 할인하고<S735> 이를 신청자단말(210)로 제공<S435>하는 것이다.
물론 할인이 반영된 배차계획에 대한 계약 체결 여부는 최종적으로 신청자가 결정하게 된다.
또한 신청정보와 정확하게 매칭되는 배차계획이나, 인접하는 배차계획도 불가능하다면 시스템(100)의 배차계획수립부(130)는 정보제공부(120)와 연계하여 신청자단말(210) 측으로 배차계획 수립이 불가능하다고 통보<S740>한다.
도8은 버스전광판(225)과 기사단말(215)이 연동되어 배차정보를 자동 출력하는 과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기사가 사용하는 기사단말(215)에는 본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확정된 배차계획 또한 기사단말(215)에 전송되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거나, 푸시 기능으로 알림될 수 있다. 이때 기사단말(215)에 저장된 배차계획은 버스 전면에 설치된 버스전광판(225)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먼저 버스기사가 운행을 위해 차량의 시동을 걸면 버스전광판(225)에 전원이 공급<S805>되고, 이에 따라 버스전광판(225)과 기사단말(215)은 사전 설정에 따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S810>된다.
이후 기사단말(215)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S815>되면서 해당 일자의 해당 기사에 대한(버스에 대한) 배차정보(배차계획)가 버스전광판(225)으로 전송<S820>된다. 물론 해당 일자가 아닌 기사단말(215)에 저장된 전체 배차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다.
버스전광판(225)에서 배차정보를 수신하면 자체 메모리에 저장<S825>하고, 버스전광판(225)은 저장된 배차정보와 내장된 시계를 함께 확인하여, 특정 출발시간이 도래하였는지 확인<S830>한 후, 특정 시간이 도래하면<S835> 해당 시간에 대응하는 배차정보가 화면 출력되도록 한다<S840>.
예컨대 온천산악회라는 모임이 2014.08.01 09:30에 아산시청에서 지리산자연휴양림으로 출발한다는 배차계획을 확인하였다면, 버스전광판(225)은 2014.08.01 09:00부터 모임명(온천산악회), 출발시간(09:30), 행선지(지리산자연휴양림) 등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룻동안 서로 다른 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는 여행객들은 버스전광판(225)의 안내정보를 통해, 본인이 어느 버스를 언제 탑승해야 하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 및 콜버스 운용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먼저,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에서는 운행일정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유지하고, 신청자단말(210)로부터 희망일정을 포함하는 신청정보를 접수하면, 신청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배차계획을 수립하여 계약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구간별로 서로 다른 버스가 배차될 수가 있어서 버스의 공차 발생을 현저하게 낮출 수가 있다. 즉 특정구간에서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세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신청자 입장에서는 공차 상태에 대한 대가까지 지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세버스 이용 비용을 낮출 수가 있는 것이며, 버스기사 입장에서는 공차 대기 없이 동일한 시간동안 더 많은 운행을 할 수가 있어서 수익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콜버스 운용 시스템(100)의 배차계획수립부(130)는 신청정보의 특정 지점에서 다음 지점까지의 운행예정시간을 산출하여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를 추출하고,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까지의 운행일정이 비어 있으면서도,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그 특정 지점과 인접한 위치로 도착예정인 버스를 우선 배차하는 방식으로 배차계획을 세워주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운행정보를 확인할 필요 없이, 정확하게 신청정보와 매칭되는 배차계획을 세울 수가 있다. 즉, 사용자가 미리 세워 놓은 여행계획을 무시한 채 본인의 편의만 고려하여 무리하게 특정 버스의 배차를 요구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상술한 알고리즘을 통해 전체 버스의 운행일정을 고려한 최적의 배차계획을 세우는 것이기 때문에, 버스들의 운행 순환율을 높여 공차 상태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신청자단말(210)과 기사단말(215)에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정보를 입력하거나 배차계획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지점에서의 이동 시간이 도래하면 신청자단말(210)과 기사단말(215)에서 푸시로 알릴 수가 있어서, 여행일정을 무난하게 소화할 수가 있다. 즉 본원발명에서는 한 대의 버스가 한 팀의 여행일정을 모두 소화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청자는 어느 시간에 어느 버스를 이용해야 하는지 혼란이 생길 수 있고, 버스기사 역시 어느 위치와 시간에 어느 여행팀을 태워야 하는지 혼란이 생길 수 있는데,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배차계획 확인과 푸시 기능의 도움을 통해 혼란을 잠재울 수 있는 것이다.
또, 버스 전면에 설치된 버스전광판(225)과 기사단말(215)이 연동되어 기사단말(215)에 저장된 배차계획이 버스전광판(225)에 자동 저장되고, 버스전광판(225)이 시간에 따라 신청자명(모임명)과 출발시간을 포함하는 배차계획을 자동으로 출력함으로써 여행객들의 탑승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콜버스 운용 시스템
105 : 인터페이스부
110 : 인터페이스제공부
115 : 정보수신부
120 : 정보제공부
125 : 버스정보운용부
130 : 배차계획수립부
135 : 신청정보운용부
140 : 부가서비스운용부
145 : 결제처리부
175 : 버스정보D/B
180 : 신청정보D/B
205 : 운용자단말
210 : 신청자단말
215 : 기사단말
220 : 버스회사 배차서버
225 : 버스전광판

Claims (8)

  1. 콜버스 운용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함)의 버스정보운용부에서 버스별 운행일정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저장하여 버스정보D/B를 유지하는 (a)단계;
    특정구간에서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세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신청자가 신청자단말에서 최소 2개 구간 이상의 구간별 출발지점과 출발시간에 대한 희망일정을 포함하는 신청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시스템의 신청정보운용부에서 상기 신청정보를 신청정보D/B에 저장하는 (b)단계;
    상기 시스템의 배차계획수립부에서 상기 버스정보D/B를 확인하여 상기 신청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소 2개 구간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버스가 배차되도록 구간별 배차계획을 수립는 (c)단계;
    상기 시스템의 정보제공부에서 상기 수립된 구간별 배차계획을 상기 신청자단말로 제공하는 (d)단계;
    상기 신청자단말에서 상기 구간별 배차계획에 대한 계약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시스템의 버스정보운용부 및 신청정보운용부에서 상기 배차계획을 각각 상기 버스정보D/B와 신청정보D/B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는 (e)단계; 및
    상기 배차계획을 상기 신청자단말 및 상기 배차계획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사단말 측으로 통보하는 (f)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정보의 운행일정은 도착지점과 도착예정일시를 포함하고,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은 지점 정보와, 지점별 출발일시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배차계획을 수립할 시 상기 신청정보의 특정 지점에서 다음 지점까지의 운행예정시간을 산출하여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까지의 운행일정이 비어 있되, 상기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상기 특정 지점과 인접한 위치로 도착예정인 버스를 우선 배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배차계획을 수립할 시 각 구간별 이동거리에 따른 비용 정보를 함께 산출하며,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일치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될 경우 정상 비용으로 산출하고,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일치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인접하는 배차계획을 수립하면서 할인 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자단말 및 기사단말에서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신청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배차계획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신청자단말 및 기사단말 측으로 상기 배차계획이 통보된 이후, 상기 배차계획에 포함된 각 지점별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상기 배차계획을 푸시 방식으로 알리는 (g)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단말에서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배차계획이 통보되어 저장되며,
    상기 기사단말을 소지한 기사가 운행하는 버스에 설치된 버스전광판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버스전광판에서 상기 기사단말로부터 배차계획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h)단계; 및
    상기 버스전광판에서 상기 배차계획에 포함된 운행일정 중 특정 출발시간이 도래하였는지 확인되면, 해당 특정 출발시간에 대응하는 배차계획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
  6. 특정구간에서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세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신청자가 사용하는 신청자단말로부터 최소 2개 구간 이상의 구간별 출발지점과 출발시간에 대한 희망일정을 포함하는 신청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청정보를 신청정보D/B에 저장하는 신청정보운용부;
    버스별 운행일정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버스정보D/B에 저장하는 버스정보운용부;
    상기 버스정보D/B를 통해 상기 신청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소 2개 구간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버스가 배차되도록 구간별 배차계획을 수립하는 배차계획수립부; 및
    상기 수립된 구간별 배차계획을 상기 신청자단말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수신부에서 상기 신청자단말로부터 상기 구간별 배차계획에 대한 계약 요청을 접수하면, 상기 버스정보운용부 및 신청정보운용부는 상기 배차계획을 각각 상기 버스정보D/B와 신청정보D/B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배차계획을 상기 신청자단말 및 상기 배차계획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사단말 측으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정보의 운행일정은 도착지점과 도착예정일시를 포함하고,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은 지점 정보와, 지점별 출발일시를 포함하며,
    상기 배차계획수립부는 상기 배차계획을 수립할 시 상기 신청정보의 특정 지점에서 다음 지점까지의 운행예정시간을 산출하여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다음지점도착예정일시까지의 운행일정이 비어 있되, 상기 특정 지점에서의 출발일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상기 특정 지점과 인접한 위치로 도착예정인 버스를 우선 배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계획수립부는 상기 배차계획을 수립할 시 각 구간별 이동거리에 따른 비용 정보를 함께 산출하며,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일치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될 경우 정상 비용으로 산출하고,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일치하는 배차계획이 수립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신청정보의 희망일정과 인접하는 배차계획을 수립하면서 할인 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KR1020140110438A 2014-08-25 2014-08-25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 KR101672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438A KR101672279B1 (ko) 2014-08-25 2014-08-25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438A KR101672279B1 (ko) 2014-08-25 2014-08-25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882A Division KR101769492B1 (ko) 2016-10-27 2016-10-27 여행객에게 이동경로를 지도로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KR1020160140876A Division KR101769491B1 (ko) 2016-10-27 2016-10-27 운용시스템과의 제휴를 통해 일정공유를 할 수 있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
KR1020160140874A Division KR101769490B1 (ko) 2016-10-27 2016-10-27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여행후기를 공유할 수 있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103A KR20160024103A (ko) 2016-03-04
KR101672279B1 true KR101672279B1 (ko) 2016-11-03

Family

ID=5553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438A KR101672279B1 (ko) 2014-08-25 2014-08-25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56B1 (ko) * 2018-12-24 2020-10-05 (주)스타릭스 모빌리티 서비스에서의 기사 및 승객의 상호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102437472B1 (ko) * 2022-02-10 2022-08-29 (주)탑이앤씨코리아 휴대폰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중계기로 활용한 버스 정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6933A (ja) * 2004-03-31 2005-11-10 Fujitsu Ltd タクシー配車予約登録支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755A (ko) * 2007-03-30 2009-01-08 홍정선 버스 전세 중개 방법
KR101654948B1 (ko) * 2010-03-04 2016-09-22 한상우 역노선 버스 생성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통근차량 서비스 제공방법
KR20140053433A (ko) * 2012-10-25 2014-05-08 김현동 근거리 통신 전광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6933A (ja) * 2004-03-31 2005-11-10 Fujitsu Ltd タクシー配車予約登録支援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103A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7625A1 (zh) 基于行程的服务指引方法和系统、服务器及相关系统
US20020065711A1 (en) Wireless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wireless information distribution device, and mobile wireless device
WO20020845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queue situations and for ranging of queuing clients in service entities
US20130231965A1 (en) Transport booking management
KR101769491B1 (ko) 운용시스템과의 제휴를 통해 일정공유를 할 수 있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방법
JP6848141B2 (ja) 地域交通システムにおける配車装置、配車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72279B1 (ko)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및 콜버스 운용 방법
KR20160093912A (ko) 렌터카 기반 카쉐어링 시스템
KR101851893B1 (ko) 택시 합승 서비스 제공방법
KR101769490B1 (ko)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여행후기를 공유할 수 있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KR101882333B1 (ko) 출장 예약 시스템
US20220114635A1 (en) Traveling shopper ordering and fulfillment system
JP2020119441A (ja) 配車プログラム及び配車システム
KR101769492B1 (ko) 여행객에게 이동경로를 지도로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구간별 배차가 가능한 콜버스 운용 시스템
JP2017199236A (ja) 車両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72342B1 (ko)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방법, 및 숙박업소 예약 및 결제 시스템
KR101746327B1 (ko) 발렛 파킹 서비스 운영 시스템 및 발렛 파킹 서비스 운영 방법
AU2023202149A1 (en) Travel rostering tool, system and method
AU2014200101B2 (en) Method and computer implemented system providing automatic electronic miscellaneous document reconciliation
JP7295720B2 (ja) 配車管理装置及び配車管理方法
EP2755172A1 (en) Method and computer implemented system providing automatic electronic miscellaneous document reconciliation
KR20130117200A (ko) 렌트 차량 배차방법 및 배차시스템
KR20190141819A (ko) 합승자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JP7181514B1 (ja) 交通機関の利用料金算定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4195134A1 (en) Transportation guiding device, transportation guiding method, and transportation guid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