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844B1 -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844B1
KR101671844B1 KR1020160033404A KR20160033404A KR101671844B1 KR 101671844 B1 KR101671844 B1 KR 101671844B1 KR 1020160033404 A KR1020160033404 A KR 1020160033404A KR 20160033404 A KR20160033404 A KR 20160033404A KR 101671844 B1 KR101671844 B1 KR 10167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hesive layer
layer composition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에이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에이치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에이치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03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4Carpet fasteners; Carpet-expanding devices ; Laying carpeting; Tools therefor
    • A47G27/0406Laying rugs or mats
    • A47G27/0412Anti-skid layers
    • C09J7/02

Abstract

본 발명은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프리폴리머 40 내지 80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폴리머 30 내지 6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20 내지 70중량%;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30 내지 7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80 내지 12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5 내지 45중량%; 친유성 수지 15 내지 60중량%; 및 유기실리콘 화합물 1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점착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잠착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는 기재 및/또는 부착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며,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A Detachable Adhesive Pad for Rack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매트를 놓고자 하는 기재, 예를 들면 자동차의 대시보드, 욕실의 거울과 벽면, 주방, 사무실 등의 생활환경과 버스나 지하철 등 이동시에도 벽면과 의자 등에 착탈 가능하면서도 그 상단에 놓이는 물건 예를 들면 핸드폰, 사무용품, 주방용품 등 생활용품 등이 점착매트에 부착되거나 탈락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 있는 대시보드는 단단한 플라스틱 물질로 성형되어 있는데, 이곳에 핸드폰이나 볼펜, 카드 등을 올려놓고 자동차를 운전하면, 자동차의 이동 시 가속이나 제동 및 도로 지면의 굴곡이나 조건에 따라 차량이 흔들리거나 하여 대시보드 위에 올려놓은 물건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미끄럼 방지 패드가 생산되어 시장에 판매된 바가 있는데, 그 예를 들면, 플라스틱 원료인 PVC를 발포하여 생산된 발포 PVC 원단을 소재로 하거나 좀 더 개선된 고무 성분의 발포 EPDM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재단하고 그 상면에 광고용 실크 인쇄 등을 하여 판촉 품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미끄럼 방지 패드는 자체 소재와 대시보드 사이의 밀착 면이 약해 여름철 또는 환기를 위해 자동차의 창문을 열거나 할 경우에 미끄럼 방지 패드가 바람에 의해 날아가 버려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이나, 사무실에 흔히 있는 주방용품, 볼펜, 또는 안경 등의 물건을 점착매트에 올려놓았을 경우엔 물건과의 마찰 계수가 낮아 튀거나 굴러 떨어져 본래의 목적인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21490호에는 점착 매트를 제시하고 있는데, 상기 선행문헌은 상,하부 점착 패드 사이에 연신율을 낮추는 필름이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차량의 대시보드, 욕실, 주방, 사무공간의 벽면 등의 기재에 완전히 접착되는 접착매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접착매트를 제거하면, 기재에 접착물질이 잔존하여 이를 떼어내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한번 떼어낸 접착매트는 다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기재 및/또는 부착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며, 또한,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점착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프리폴리머 40 내지 80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폴리머 30 내지 6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20 내지 70중량%;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30 내지 7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80 내지 12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5 내지 45중량%;
친유성 수지 15 내지 60중량%; 및
유기실리콘 화합물 1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점착층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점착성능을 갖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연결설치되는 이형층을 포함하는 점착매트를 구성하되,
상기 점착층이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프리폴리머 40 내지 80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폴리머 30 내지 6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20 내지 70중량%;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30 내지 7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80 내지 12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5 내지 45중량%;
친유성 수지 15 내지 60중량%; 및
유기실리콘 화합물 1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점착층 조성물이 반응하여 경화된 것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는 기재 및/또는 부착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며,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프리폴리머 40 내지 80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폴리머 30 내지 6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20 내지 70중량%;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30 내지 7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80 내지 12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5 내지 45중량%; 친유성 수지 15 내지 60중량%; 및 유기실리콘 화합물 1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점착층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점착성능을 갖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연결설치되는 이형층을 포함하는 점착매트를 구성하되,
상기 점착층이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프리폴리머 40 내지 80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폴리머 30 내지 6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20 내지 70중량%;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30 내지 7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80 내지 12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5 내지 45중량%; 친유성 수지 15 내지 60중량%; 및 유기실리콘 화합물 1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점착층 조성물이 반응하여 경화된 것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매트, 특정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는 자동차의 대시보드, 욕실의 거울과 벽면, 주방, 사무실 등의 생활환경과 버스나 지하철 등 이동시에도 벽면과 의자 등에 착탈 가능하면서도 그 상단에 놓이는 물건 예를 들면 핸드폰, 사무용품, 주방용품 등 생활용품 등 탈부착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매트는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성능을 제공하는 점착층 조성물로 제조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상부 및 하부, 바람직하게는 점착층의 양면에 점착층을 보호하는 동시에 사용시 점착층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이형층이 구비되어 있는데,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층 조성물은 주제 20 내지 70중량%; 경화제 5 내지 45중량%; 친유성 수지 15 내지 60중량%; 및 유기실리콘 화합물 10 내지 40중량%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제는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프리폴리머 40 내지 80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폴리머 30 내지 6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화제는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30 내지 7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80 내지 12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제를 구성하는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프탈레이트, 디부틸말레이트, 글리세린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추천하기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주제를 구성하는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폴리머는 경화속도를 향상시키기는 동시에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프리폴리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프리 폴리머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코폴리머 폴리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선택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물 25 내지 30중량%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를 들면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70 내지 75중량%를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은 경화 전에는 유동성에 영향을 주고, 경화 후에는 물리적, 화학적 성능에 영향을 주며, 과다하게 사용 시 경화 중 표면에 블리스터링(Blistering) 현상과 얼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프리폴리머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40 내지 8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유화제(Anionic emulsifier)는 점착층 조성물을 구성하는 용제에서 각 구성성분 및 반응물 등을 용이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음이온 유화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음이온 유화제로는 수지산나트륨염, 리그닌술폰산알카리금속염, 나프탈렌 설포닉 산(Naphthalene Sulfonic acid) 유도체,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유도체, 고급지방산알카리금속염, 알킬벤젠슬폰산염, 알파-올레핀슬폰산염, 폴리옥시에칠렌알킬페닐에텔류, 알킬아릴슬폰산나트륨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음이온 유화제의 사용량은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는 점착층 조성물이 경화하며 접착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폴리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폭시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30 내지 6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제 또는 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기용제 및 물은 고분자층을 형성한 후 기화되며 최종적인 점착층을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한 유기용제의 구체예로는 1.2-디클로로에탄(이염화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이염화아세틸렌), 사염화탄소, 이황화탄소, 1.1.2.2- 테트라클로로에탄(사염화아세틸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노말헥산, 1.4-디옥산, 디클로로메탄(이염화메틸렌), 메탄올, 메틸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놀, 메틸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1-부탄올, 2-부탄올,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헥사놀, 스티렌, 아세톤,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틸셀로솔브), 초산부틸, 초산이소부틸, 초산이소펜틸(초산이소아밀), 초산이소프로필, 초산펜틸(초산아밀), 초산프로필, 크레졸, 클로로벤젠, 크실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파-클로로에틸렌),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1.1.1- 트리클로로에탄,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부틸셀로솔브), N.N-디메틸포름아미드,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이소부틸알콜, 이소펜틸알콜(이소아밀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초산메틸, 초산에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용제의 사용량은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50 내지 15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를 구성하는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은 점착층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 N-부틸디에탄올아민, 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아민, 3-디메틸아미노-1-프로필아민, 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3-디부틸아미노프로필아민, 트리프로판올아민, 메틸아민, N,N-디메틸 에탄올아민, 사이클로헥실아민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를 구성하는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에 포함되는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는 에톡실화된 옥틸페놀 유도체로서, 점착층 조성물을 구성하는 경화제에 포함되어 주제와 혼합되어 경화를 진행시킨다.
바람직한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의 사용량은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30 내지 7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상기 옥티페놀 에톡실레이트와 같이 경화제에 포함되어 주제와 혼합되어 점착층을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경화성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삼량체,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폴리옥시알킬렌 에테르계 화합물을 축중합 시킨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량은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80 내지 12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경화제에 포함되는 용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제 또는 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기용제 및 물은 고분자층을 형성한 후 기화되며 최종적인 점착층을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한 유기용제의 구체예로는 1.2-디클로로에탄(이염화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이염화아세틸렌), 사염화탄소, 이황화탄소, 1.1.2.2- 테트라클로로에탄(사염화아세틸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노말헥산, 1.4-디옥산, 디클로로메탄(이염화메틸렌), 메탄올, 메틸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놀, 메틸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1-부탄올, 2-부탄올,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헥사놀, 스티렌, 아세톤,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틸셀로솔브), 초산부틸, 초산이소부틸, 초산이소펜틸(초산이소아밀), 초산이소프로필, 초산펜틸(초산아밀), 초산프로필, 크레졸, 클로로벤젠, 크실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파-클로로에틸렌),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1.1.1- 트리클로로에탄,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부틸셀로솔브), N.N-디메틸포름아미드,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이소부틸알콜, 이소펜틸알콜(이소아밀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초산메틸, 초산에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용제의 사용량은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50 내지 15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수지는 점착층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점착층에 점착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친유성 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수지, 실리콘계 아크릴수지, 메틸페닐계 실리콘수지, 비닐클로라이드의 호모중합체, 비닐클로라이드와 아세트산 비닐의 공중합체수지, 1,2-폴리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 폴리이소부틸렌 합성고무, 폴리스티렌수지, 아크릴산메틸의 호모중합체 및 공중합체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 기준으로 15 내지 6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실리콘화합물은 점착층 형성시 다양한 망상구조를 형성하여 점착성능 및 강도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기실리콘화합물은 오르가노알콕시실란 및 폴리알콕시실록산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오르가노알콕시실란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메틸디메톡시실란, 페닐디메틸메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 트리페닐메톡시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알콕시실록산은 폴리메톡시실록산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실리콘화합물은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은 상기 유기실리콘화합물을 구성하는 오르가노알콕시실란 및 폴리알콕시실록산의 가수분해 속도를 높이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가수분해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수분해촉매로 사용 가능한 것은 염산, 질산, 황산 또는 인산과 같은 무기산; 아세트산, 파라톨루엔술폰산, 벤조산, 프탈산, 말레산, 포름산 또는 옥살산과 같은 유기산;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알칼리 촉매; 유기 금속; 금속 알콕사이드;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디옥티에이트 또는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 주석화합물;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타늄테트라키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타늄비스(부톡시)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타늄비스(이소프로폭시)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지르코늄테트라키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지르코늄비스(부록시)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또는 지르코늄비스(이소프로폭시)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와 같은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또는 붕소 부톡사이드 또는 붕산과 같은 붕소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촉매 사용량은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점착층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 미만이면 가수분해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은 햇빛 등에 노출되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존열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존열화방지제는 6PPD (N-(1,3-dimethylutyl)-N'-phenyl-p-phenylenediamine) 및/또는 TAPDT(2,4,6-tris-(N-
1,4-dimethylpentyl-p-phenylenediamino)-1,3,5-triazine)를 포함하여 수중에서 활성화된 오존라디칼의 산화작용에 의한 점착층의 촉진열화작용을 오존열화방지제 분자구조에 아민과 결합된 방향족 고리화합물 거대분자의 이중결합부분이 자유전자 이동현상에 의해 활성화된 오존라디칼과 상쇄되어 점착층의 열화 방지 및 열화를 지연시키는 수지 혼합조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오존열화방지제는 페닐렌디아민(Phenylenediamine-based)계 왁스를 사용할 수 있고, 6PPD와 TAPDT을 포함하는 혼합수지 조성을 사용하거나 라디칼 생성이 활발한 방향족 폴리아민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페닐렌디아민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오존열화방지제의 사용량은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3 내지 3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은 자외선으로부터 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체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2 내지 2중량부의 노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노화방지제는 방향족 아민계, 페놀계,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은 점착층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정제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안정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무황변 폴리 우레아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은 실온에서 효과적으로 경화하고 내열성, 저온 성능, 내화학성, 내용매성 및 내유성과 같은 개선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미노 함유 실록산(Aminofunctional siloxa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 함유 실록산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서 아미노메틸폴리디메틸실록산을 들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은 경화되어 제조되는 점착층이 그 형태를 용이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섬유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망은 망상구조로서, 상기 점착층 조성물이 섬유망에 함침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상기 섬유망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섬유를 망상구조로 직조한 직조섬유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현무암 섬유, 유리섬유, 바졸트 섬유, 천연섬유, 카본섬유, 합성섬유, 비닐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중 적어도 두 개 이상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직조섬유는 위사와 경사방향의 섬유가 상하 맞물려서 직조되어 추후 늘어짐이나 올이 풀리는 경우를 최소화한다.
상기 직조섬유에 사용되는 원사의 두께는 적어도 10㎛ 이상의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마디의 두께도 5mm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직조하며, 직조 후 직물의 두께는 0.345 내지 0.38mm로 경량화된 고강도 직조섬유를 형성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은 점착층의 점탄성을 높이기 위하여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의 소듐 벤조 에이트(sodium benzoate)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소듐 벤조 에이트가 0.1중량부 보다 적을 경우 효과가 미미하며,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은 제조되는 점착층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의 변형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림직한 변형방지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뷰텐, 하임팩트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은 박리 방지를 위하여 점착층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의 다이머산(Dimer acid)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다이머산은 그 유래 및 형태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식물유 지방산의 이량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식물류 지방산은 올레익산, 리놀레익산, 스테아릭산 및 팔미틱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은 점착매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점착층 조성물을 특정 형태, 예를 들면 판상 형태로 경화시켜 점착층을 제조한 후 그 상단 및 하단에 이형층을 연결설치하여 최종적인 점착매트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이형층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이형층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점착매트는 사용 전 이형층을 제거한 후 원하는 기재, 예를 들면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접착시켜 사용하며, 재사용시에는 물로 간단히 세척하여 사용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00g,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60g, 리그닌술폰산알카리금속염 15g, 에폭시 수지 45g 및 물 100g을 혼합하여 주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 100g,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50g,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g 및 물 100g을 혼합하여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주제 50g, 경화제 15g, 폴리이소부틸렌 합성고무 20g, 오르가노알콕시실란 및 폴리알콕시실록산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유기실리콘 화합물 15g을 혼합하여 점착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파라톨루엔술폰산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6PPD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무황변 폴리 우레아수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미노메틸폴리디메틸실록산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상기 점착층 조성물을 현무암 섬유 및 유리섬유가 5:5의 중량비로 혼합된 섬유 원사를 이용하여 약 20mm의 격자를 갖도록 제조한 메쉬망 10g에 함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소듐 벤조 에이트 0.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뷰텐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다이머산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점착층 조성물을 판상형 몰드에 넣어 경화시켜 점착층을 제조한 뒤, 상기 점착층의 상부 및 하부에 이형층을 연결설치하여 점착매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 대신 실시예 2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 대신 실시예 3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 대신 실시예 4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 대신 실시예 5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 대신 실시예 6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 대신 실시예 7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 대신 실시예 8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 대신 실시예 9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 대신 실시예 10에 따른 점착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20에 따라 제조된 점착매트의 점착성능, 탈부착 성능, 부착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점착성능 탈부착 성능(회수) 부착강도(N/mm2)
실시예 11 좋음 151 1.0
실시예 12 좋음 147 0.9
실시예 13 좋음 152 1.1
실시예 14 좋음 149 1.2
실시예 15 좋음 132 0.8
실시예 16 좋음 166 1.1
실시예 17 좋음 158 1.0
실시예 18 좋음 152 1.2
실시예 19 좋음 151 1.2
실시예 20 좋음 152 1.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20에 따라 제조된 점착매트는 다수번 탈부착 가능하고 점착성능이 우수하며 부착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40 내지 80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폭시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30 내지 6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20 내지 70중량%;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30 내지 7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80 내지 12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5 내지 45중량%;
    친유성 수지 15 내지 60중량%; 및
    유기실리콘 화합물 1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점착층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조성물이 섬유망에 함침된 것을 포함하는 점착층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프탈레이트, 디부틸말레이트, 글리세린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층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삼량체, 폴리옥시알킬렌 에테르계 화합물을 축중합 시킨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층 조성물.
  5. 탈부착 가능한 점착성능을 갖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연결설치되는 이형층을 포함하는 점착매트를 구성하되,
    상기 점착층이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40 내지 80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폭시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30 내지 6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20 내지 70중량%;
    아민을 포함하는 물질 100중량부 기준으로,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30 내지 7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80 내지 120중량부; 및 용제 5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5 내지 45중량%;
    친유성 수지 15 내지 60중량%; 및
    유기실리콘 화합물 1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점착층 조성물이 반응하여 경화된 것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
KR1020160033404A 2016-03-21 2016-03-21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 KR10167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404A KR101671844B1 (ko) 2016-03-21 2016-03-21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404A KR101671844B1 (ko) 2016-03-21 2016-03-21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844B1 true KR101671844B1 (ko) 2016-11-03

Family

ID=5757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404A KR101671844B1 (ko) 2016-03-21 2016-03-21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8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518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씨엔지솔루션 사파이어 접합용 용제 조성물
CN111892886A (zh) * 2020-08-24 2020-11-06 赵玲萱 一种人造板用生态粘结剂
KR102239979B1 (ko) * 2020-07-13 2021-04-14 배호천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보호매트
KR102307617B1 (ko) 2021-04-15 2021-10-05 주식회사 경국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907A (ko) * 2003-12-01 2006-10-04 데구사 아게 접착제 및 밀봉제 시스템
KR20110022001A (ko) * 2008-06-03 2011-03-0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141457A (ko) * 2010-08-03 2013-12-26 바스프 에스이 복합 물품용 점착부여제
KR20150091505A (ko) * 2012-12-12 2015-08-11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점착제 층을 가지는 다층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907A (ko) * 2003-12-01 2006-10-04 데구사 아게 접착제 및 밀봉제 시스템
KR20110022001A (ko) * 2008-06-03 2011-03-0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141457A (ko) * 2010-08-03 2013-12-26 바스프 에스이 복합 물품용 점착부여제
KR20150091505A (ko) * 2012-12-12 2015-08-11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점착제 층을 가지는 다층 필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518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씨엔지솔루션 사파이어 접합용 용제 조성물
KR102210424B1 (ko) 2019-01-30 2021-02-01 주식회사 씨엔지솔루션 사파이어 접합용 용제 조성물
KR102239979B1 (ko) * 2020-07-13 2021-04-14 배호천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보호매트
CN111892886A (zh) * 2020-08-24 2020-11-06 赵玲萱 一种人造板用生态粘结剂
KR102307617B1 (ko) 2021-04-15 2021-10-05 주식회사 경국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844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
JP6648168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761428B2 (ja) 粘着テープ類
JP4158838B2 (ja) 湿気硬化性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積層シート
US9850411B2 (en) Use of an adhesive composition to provide a bonding in a wet environment
US20140065415A1 (en) Uretha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EP2431437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934662B1 (ko) 피혁 모양 시트의 제조 방법
TW200940581A (en) Moisture permeable film, producing method, and laminated body
KR101078353B1 (ko)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의 제조 방법
US20110212328A1 (en) Releasabl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tecting incompletely cured coating film
KR20120035167A (ko) 첩부재
JP4095794B2 (ja) 複合フィルム及び半導体製品保持シート
KR102539986B1 (ko) 표면 보호 필름
CN1653148A (zh) 含有热塑性含硅树脂的聚合物的剥离涂层
JP3908984B2 (ja) 複合フィルムおよびその複合フィルムを用いた粘着シート
US20120156483A1 (en) Ashesive tape or sheet, and base material therefor
KR20180007835A (ko) 고점도 접착제 및 신재 무연신 pet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JPH0144267B2 (ko)
CN1193053C (zh) 软聚氨酯泡沫塑料
US6720401B2 (en) Coating composition
JP2001316448A (ja) 軟質組成物
KR101693628B1 (ko) 점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성형품
EP2843021A1 (en) Substrate composition for bubble-dispersible foam tape, foam tape us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W201527473A (zh) 黏著劑組成物、黏著薄片、及黏著薄片之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