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368B1 -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368B1
KR101671368B1 KR1020150182832A KR20150182832A KR101671368B1 KR 101671368 B1 KR101671368 B1 KR 101671368B1 KR 1020150182832 A KR1020150182832 A KR 1020150182832A KR 20150182832 A KR20150182832 A KR 20150182832A KR 101671368 B1 KR101671368 B1 KR 101671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rod
sleeve
capsul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현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현금속
Priority to KR102015018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5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n expansible sleeve or dowel body driven against a tapered or spherical expander plu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브와 봉으로 이루어진 앵커 볼트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일측으로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외측형슬릿이 다수 개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봉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확장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타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는 외경이 확장부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확장부의 일측단에 걸림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브와 봉으로 이루어진 앵커 볼트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확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확대부는 일측으로 연통된 외측개구부가 형성된 압착부; 상기 고정부와 압착부 사이에 구비되며, 외측개구부와 연통되도록 내측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중심형슬릿이 다수 개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봉은 상기 외측개구부와 내측개구부를 통해 압착부와 날개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타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압착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또한 본 발명은 앵커 볼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와 스티로폼을 동일한 직경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단계에서 천공된 공간으로 앵커 볼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삽입된 앵커 볼트의 타측단을 일측방향으로 타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크리트의 천공깊이는 확대부의 길이보다 더 크게 이루어져, 상기 확대부가 콘크리트의 천공된 공간으로 완전히 내삽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ANCHOR BOL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조물을 콘크리트에 고정시키는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 등을 콘크리트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와 스티로폼의 천공된 공간에 앵커 볼트를 인입시키고, 걸림부가 구비된 봉을 감싸는 슬리브를 외부에서 망치 또는 함마 등으로 타격하여, 슬리브에 구비된 슬릿에 의해 슬리브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 볼트는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구멍을 천공 한 다음, 이 천공된 공간에 앵커 볼트를 인입시키고, 망치 또는 함마 등으로 타격하여 앵커 볼트의 부피가 커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앵커 볼트를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앵커 볼트 시공시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에 천공된 공간에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 등이 내포된 케미칼을 주입식용 건을 이용하여 주입하고 앵커 볼트를 시공함으로써, 앵커 볼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 등이 내포된 케이칼을 별도로 취급해야 하며, 반드시 케미칼 주입식용 건을 필요로 하여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건을 이용하여 케미칼을 주입시 건에 남아있는 케미컬은 재사용이 어려워 버리게 되는데, 이에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0839228호의 앵커 볼트를 살펴보면, 도 1은 종래 앵커 볼트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드릴 작업을 통해 내면에 나팔관 형태의 걸림턱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된 외장재 또는 벽면에 결합하기 위한 앵커 볼트에 있어서, 설치시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삽입 단부와 상기 결합홈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단부를 가지되 상기 노출 단부를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의 지름이 상기 삽입 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의 지름보다 작아 관통공의 중간 구간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 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구간까지에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절개된 슬릿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노출 단부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슬리브; 내주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한편 외주는 경사진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작은 지름을 갖는 측의 끝단이 상기 슬리브의 삽입 단부의 끝에 일정구간 삽입되도록 조립되어 상기 슬리브에 끼워지면 끼워질수록 슬릿이 형성된 삽입 단부의 지름이 확장되도록 장착된 확장너트; 및 볼트 머리의 직경은 상기 슬리브의 노출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에 체결되는 너트의 내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나사부의 길이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의 관통공에 나사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부의 끝단이 확장너트와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앵커 볼트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확장 너트(20)의 경사 외면을 육각 형태의 다각 뿔로 형성함으로써, 확장 너트(20)의 외면이 원통 형태의 슬리브(10) 하부가 밀착되도록 하되, 슬리브(10)의 삽입 단부에 형성된 각 슬리(14) 사이로 경사 외면의 모서리가 끼워져 상호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앵커 볼트는 회전 너트(20)가 각 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점은 긍정적이나,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천공된 공간에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케이칼을 주입해야 하는 구조로,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 등이 내포된 케이칼을 별도로 취급해야 하고, 반드시 케미칼 주입식용 건을 필요로 하여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건을 이용하여 케미칼을 주입시 건에 남아있는 케미컬은 재사용이 어려워 버리게 되는데, 이에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10)의 관통공에 조임볼트(30)가 끼워진 상태로 확장너트(20)와 결합하여, 상기 조임볼트(30)를 회전시켜 확장너트(20)가 조임볼트(30)의 볼트 머리) 측으로 이동되면서 슬리브(10)의 끝단 부분을 벌리도록 하는 구조로, 볼트와 너트 결합 구조에 의해 슬리브의 부피가 커지도록 하는 구성은 앵커 볼트를 구성함에 있어, 크기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즉 조임볼트(3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볼트 머리에 일자, 십자, 사각 또는 육각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홈을 파고, 상기 홈에 드라이버 또는 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체결한 뒤 회전시켜야 하는데, 앵커 볼트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공구를 통해 조임볼트를 회전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앵커 볼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홈을 크게 형성한다 하더라도, 상기 홈의 크기에 맞는 공구를 별도로 마련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대되는 등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습니다.
또한 조임볼트(30)와 확장너트(20)의 결합은 볼트, 너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볼트와 너트가 접촉되는 부분, 즉 조임볼트(3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확장너트(2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시키기 어렵고, 이에 이격이 발생되는 경우, 확장너트(20)에 의해 슬리브(10)의 끝단 부분이 벌어지도록 지지하는데 있어, 헐거운 문제점이 있습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39228호(2008.06.1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콘크리트의 천공된 공간에 인입되는 앵커 볼트의 일측단에 다양한 형태를 갖는 걸림부를 구비함으로써,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걸림부의 일측단면 또는 슬리브 내부에 에폭시 또는 우레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충진재가 저장되는 캡슐이 구비됨으로써, 앵커 볼트와 충진재가 일체로 구비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불필요한 충진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앵커 볼트 시공시, 앵커 볼트의 타측단을 타격하는 과정만으로 캡슐이 터져 충진재가 외부로 흘러나와 앵커 볼트를 더욱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는 슬리브와 봉으로 이루어진 앵커 볼트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일측으로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외측형슬릿이 다수 개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봉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확장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타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는 외경이 확장부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확장부의 일측단에 걸림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브와 봉으로 이루어진 앵커 볼트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확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확대부는 일측으로 연통된 외측개구부가 형성된 압착부; 상기 고정부와 압착부 사이에 구비되며, 외측개구부와 연통되도록 내측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중심형슬릿이 다수 개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봉은 상기 외측개구부와 내측개구부를 통해 압착부와 날개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타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압착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 볼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와 스티로폼을 동일한 직경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단계에서 천공된 공간으로 앵커 볼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삽입된 앵커 볼트의 타측단을 일측방향으로 타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크리트의 천공깊이는 확대부의 길이보다 더 크게 이루어져, 상기 확대부가 콘크리트의 천공된 공간으로 완전히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경사면을 갖는 걸림부가 구비된 봉을 감싸는 슬리브를 외부에서 망치 또는 함마 등으로 타격하여, 슬리브에 구비된 슬릿에 의해 슬리브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시공과정을 거쳐 앵커 볼트를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슬리브와 봉 상호간의 공회전을 방지함으로써, 공회전에 따른 마모 발생 및 수명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의 일측단면 또는 슬리브 내부에 에폭시 또는 우레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충진재가 저장되는 캡슐이 구비됨으로써, 앵커 볼트와 충진재가 일체로 구비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불필요한 충진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앵커 볼트 시공시, 앵커 볼트의 타측단을 타격하는 과정만으로 캡슐이 터져 충진재가 외부로 흘러나와 앵커 볼트를 더욱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앵커 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다양한 각을 갖는 단면으로 이루어진 걸림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육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걸림부에서 상기 육각형의 형태가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걸림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걸림부의 일측단에 캡슐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걸림부의 일측단에 캡슐이 구비된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슬리브의 내부에 캡슐이 구비된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걸림부의 일측단에 캡슐이 구비된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슬리브의 내부에 캡슐이 구비된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은 구조물 등을 콘크리트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와 스티로폼의 천공된 공간에 앵커 볼트를 인입시키고, 걸림부가 구비된 봉을 감싸는 슬리브를 외부에서 망치 또는 함마 등으로 타격하여, 슬리브에 구비된 슬릿에 의해 슬리브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는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 또는 각종 브라켓 등 다양한 구조물을 콘크리트(C)와 스티로폼(S)으로 이루어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슬리브(10) 및 봉(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리브(10)는 앵커 볼트의 몸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정부(100) 및 확장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00)는 슬리브(10)의 타측에 구비되며, 그 내부가 찬 원형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부(100)는 타측에 돌출된 형태의 나사부(도면부호 미표시)가 구비되며, 나사부에 너트(도면에 미표시) 등을 체결함으로써, 다양한 구조물을 앵커 볼트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확장부(200)는 슬리브(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개구된 형태의 개구부(210)가 형성되어 그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개구부(210)를 통해 후술되는 봉(2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확장부(2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리브(1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외측형슬릿(220)이 다수 개 구비된다.
다수 개의 외측형슬릿(220)은 일정 각도 간격을 갖도록 절개되어, 망치 또는 함마 등을 이용해 앵커 볼트의 타측단을 일측으로 타격하는 경우, 후술되는 봉(20)의 경사면에 의해 슬리브(10)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슬리브(10)는 콘크리트(C)와 스티로폼(S)으로 이루어진 벽면에 천공된 공간으로 삽입되되, 고정부(100)의 타측에 돌출된 형태의 나사부가 벽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나사부를 통해 다양한 구조물을 앵커 볼트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콘크리트(C)의 천공 깊이는 확장부(200)의 길이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다수 개의 외측형슬릿(220)이 구비된 확장부(200)가 콘크리트(C)의 천공된 공간으로 완전히 내삽됨으로써, 후술되는 봉(20)의 경사면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확장부(200)가 스티로폼(S)의 천공된 공간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콘크리트(C)의 천공된 공간에서 이루어져, 앵커 볼트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봉(20)은 확장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210)를 통해 슬리브(10) 내부로 인입되는 것으로, 로드(300) 및 걸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봉(20)은 개구부(210)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300)는 봉(20)의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개구부(210)로 인입되되, 개구부(210)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로드(300)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 다수 개의 각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구부(210) 또한 로드(30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앵커 볼트 설치시, 슬리브(10)와 봉(20)이 상호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슬리브(10)의 나사부에 너트 등을 체결시, 너트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10)가 같이 회전되어 앵커 볼트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부(400)는 로드(300)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되되, 외경이 가장 큰 값을 갖는 부분, 즉 걸림부(400)의 일측단은 슬리브(10)의 일측단 내경, 즉 개구부(2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개구부(210)에 로드(300)가 인입되고, 걸림부(400)의 일부분은 슬리브(1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리브(10)의 일측단에 걸림된다.
이때, 확장부(200)의 일측단에 걸림부(400)가 걸림상태에서 개구부(210)로 인입되는 로드(300)의 길이는 개구부(2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10)에 인입된 로드(300)의 타측단면과 개구부(210)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리브(10)를 일측으로 타격하는 경우, 상기 공간에 의해 슬리브(10)가 봉(20) 측으로 이동되어도, 로드(300)의 타측단면과 개구부(210)의 내측면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앵커 볼트가 시공되는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콘크리트(C)와 스티로폼(S) 벽면에 동일한 직경으로 천공하되, 확장부(200)의 길이보다 큰 깊이로 콘크리트(C)의 벽면을 천공한 후, 콘크리트(C)의 천공된 공간으로 확장부(200)가 완전히 내삽되도록 앵커 볼트를 인입시킨 후, 망치 또는 함마 등을 이용하여 앵커 볼트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타격하면, 슬리브(10)가 봉(20) 측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부(400)의 일부분이 슬리브(10)의 타측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걸림부(400)가 슬리브(10)의 타측으로 끼워질수록, 걸림부(400)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의 외측형슬릿(220)이 형성된 확장부(200)의 일측이 나팔관 형태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앵커 블록이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봉(20)에 구비되는 걸림부(400)의 형태는 통상 원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슬리브(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210)의 내경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개구부(210)의 일측단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에 접촉되는 걸림부(400)가 상호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슬리브(10)에 형성되는 외측형슬릿(220) 사이로 걸림부(400)의 모서리가 끼워져 슬리브(10)와 봉(20)이 상호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부(400)의 단면이 다양한 각을 갖는 다각 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되되, 그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부(400)가 갖는 단면각의 개수와 외측형슬릿(220)의 개수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상기 단면각이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이 외측형슬릿(220)에 끼워져 슬리브(10)와 봉(20)이 상호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도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걸림부(400)에서 도형을 이루는 변의 길이가 각각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면이 육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걸림부(400)에서 육각형을 이루는 6개의 변의 길이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6개의 변 중 2개 변의 길이가 가장 길며, 나머지 4개 변의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걸림부(400)가 슬리브(10)의 타측으로 끼워질수록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걸림부(400)에서 길이가 긴 부분이 길이가 짧은 부분보다 슬리브(10)를 더욱 압박하여 외측형슬릿(220)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확장부(200)의 일부분이 보다 강한 힘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걸림부(400)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도 5에서와 같이, 짧은 축과 긴 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걸림부(400)가 슬리브(10)의 타측으로 끼워질수록 긴 축을 갖는 부분이 짧은 축을 갖는 부분보다 강한 힘으로 슬리브(10)를 압박하여, 외측형슬릿(220)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확장부(200)의 일부분이 보다 강한 힘으로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걸림부(400)에 대응되도록 슬리브(10)의 일측단, 즉 개구부(210)의 내경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타원형의 걸림부(400)가 구비된 봉(20)이 개구부(210)를 통해 슬리브(1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슬리브(10)와 봉(20)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고, 서로 헛돌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앵커 볼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콘크리트(C) 벽면에 시공되는 앵커 볼트의 결합력은 슬릿에 의해 구획되는 슬리브(10)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구조에 의해서만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충진재(31)가 저장되는 캡슐(30)을 구비함으로써,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걸림부의 일측단에 캡슐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걸림부의 일측단에 캡슐이 구비된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앵커 볼트는 슬리브(10), 봉(20) 및 캡슐(30)을 포함하여 구비되되, 봉(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부(400)의 일측단면에 타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결합홈(4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410)은 후술되는 캡슐(30)이 걸림부(4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경우, 캡슐(30)의 일부분이 결합홈(410)에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결합홈(410)은 확장부(200)의 일측단면에서 타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설계조건에 따라, 캡슐(30)과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캡슐(30)의 겉면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걸림부(400)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요입홈(4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입홈(420)은 캡슐(30)이 터져, 캡슐(30)에 저장되어 있던 충진재(31)가 흘러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8에서와 같이, 걸림부(4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캡슐(30)이 터지면, 상기 요입홈(420)을 통해 충진재(31)가 걸림부(400)의 타측으로 흘러들어가 콘크리트(C)의 개구된 부분을 꽉 채워 앵커 볼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슬리브의 내부에 캡슐이 구비된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충진재(31)가 저장된 캡슐(30)이 개구부(210)의 내측면과 로드(300)의 타측단면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로드(300)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가이드홈(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310)은 도 8에서의 요입홈(4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개구부(210) 내에 구비된 캡슐(30)이 터져, 캡슐(30)에 저장되어 있던 충진재(31)가 가이드홈(310)을 따라 이동되어 콘크리트(C)의 개구된 부분을 꽉 채워 앵커 볼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치 또는 함마 등을 이용하여 앵커 볼트를 일측으로 타격하는 경우, 걸림부(400)가 슬리브(10)의 타측으로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걸림부(400)가 끼워질수록 개구부(210)의 내측면과 로드(300)의 타측단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즉 캡슐(30)에 충격이 전해지면서 외피가 터져 흘러나오는 충진재(31)가 가이드홈(310)을 따라 이동되어 콘크리트(C)의 천공된 공간을 매꾸게 된다.
캡슐(30)은 그 내부에 충진재(31)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8에서와 같이, 걸림부(400)의 일측단에 구비되거나 또는 도 9에서와 같이 슬리브(10)의 내부 공간인 개구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캡슐(30)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외피가 터져 내부에 저장된 충진재(31)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드러운 재질의 캡슐 형상으로 외피가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재(31)가 저장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부에 충진재(31)가 저장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캡슐(30)이 걸림부(400)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구조에서는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플라스틱과 같은 딱딱한 재질의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앵커 볼트의 취급시 작은 충격에 의해 캡슐(30)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고, 앵커 볼트 설치시 외부의 큰 충격에 의해서만 캡슐(30)이 터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캡슐(30)이 슬리브(10)의 내부 공간인 개구부(210)에 구비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에 의해 봉(20)이 슬리브(10)의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로드(300)의 타측단면과 개구부(21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외부에서의 압박에 의해 캡슐(30)이 터질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진재(31)는 캡슐(30) 내부에 저장되며, 캡슐(30)의 외피가 터질때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액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31)는 우레탄 또는 에폭시 수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우레탄은 단열 기능을 향상시키며, 에폭시는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앵커 볼트 시공시, 앵커 볼트가 삽입되는 천공된 부분을 우레탄이 긴밀하게 매꾸어 틈새를 차단하고, 단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폭시는 천공된 부분과 앵커 볼트 사이의 틈을 긴밀하게 매꾸어 접착력을 강화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앵커 볼트를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앵커 볼트는 걸림부(400)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슬리브(10)를 외부에서 망치 또는 함마 등으로 타격시, 걸림부(400)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의 외측형슬릿(220)이 형성된 확장부(200)의 일부분이 나팔관 형태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시공과정만으로 앵커 볼트를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갖는 걸림부(400)를 구비함으로써, 슬리브(10)와 봉(20) 상호간의 공회전을 방지하고, 이에, 공회전에 따른 마모 발생 및 수명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00)의 일측단면 또는 슬리브(10)의 내부에 에폭시 또는 우레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충진재(31)가 저장되는 캡슐(30)이 구비됨으로써, 앵커 볼트와 충진재(31)가 일체로 구비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불필요한 충진재(31)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앵커 볼트 시공시, 앵커 볼트의 타측단을 타격하는 과정만으로 캡슐(30)이 터져 충진재(31)가 외부로 흘러나와 콘크리트(C)의 천공된 공간을 꽉 채움으로써, 앵커 볼트를 더욱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9에서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는 슬리브(10) 및 봉(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리브(10)는 타측에 구비되며, 그 내부가 찬 원형바(bar) 형태의 고정부(100) 및 상기 고정부(100)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그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확장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확장부(200)는 그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봉(20)의 일부분이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슬리브(10)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압착부(230) 및 상기 고정부(100)와 압착부(230) 사이에 구비되는 날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착부(230)는 슬리브(10)의 일측단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개구된 형태의 외측개구부(231)가 형성되어 그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측단에 후술되는 봉(20)의 걸림부(400)가 걸림되도록 한다.
날개부(240)는 고정부(100)와 압착부(230) 사이에 구비되며, 외측개구부(231)와 연통되도록 내측개구부(241)가 형성되어 그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절개된 형태의 중심형슬릿(242)이 다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압착부(230)와 날개부(240) 각각에 형성된 외측개구부(231)와 내측개구부(241)를 통해 후술되는 봉(2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봉(20)은 확장부(200)에 형성되는 외측개구부(231)와 내측개구부(241)를 통해 슬리브(10) 내부로 인입되는 것으로, 로드(300) 및 걸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부(400)는 로드(300)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그 외경이 압착부(23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외측개구부(231)와 내측개구부(241)로 봉(20)을 삽입하는 경우, 압착부(230)의 일측단에 걸림되어 로드(300)가 외측개구부(231)와 내측개구부(241)로 인입되는 정도를 제한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앵커 볼트가 시공되는 다른 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콘크리트(C)와 스티로폼(S) 벽면에 천공된 공간으로 앵커 볼트를 인입시킨 후, 망치 또는 함마 등을 이용하여 고정부(100)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타격하면, 고정부(100)가 압착부(230) 측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부(400)에 걸림된 압착부(230)와 고정부(1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동시에, 중심형슬릿(242)에 의해 날개부(240)가 외측으로 확장된다.
이에, 날개부(240)의 확장에 따른 부피 증가와 더불어, 벽면에 앵커 볼트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는, 앵커 볼트의 길이에 비해 그 내부가 비어있으며, 중심형슬릿(242)이 다수 개 형성되는 날개부(240)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나타나는 좌굴(buckling)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망치 또는 함마 등을 이용하여 고정부(100)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타격하여 앵커 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압축하중이 가해지면, 날개부(240)가 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날개부(240)의 중간 부분에 만곡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부(243)는 날개부(24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며,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져, 앵커 볼트 시공시, 망치 또는 함마 등을 이용하여 고정부(100)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타격하는 경우, 좌굴현상이 날개부(240)에서 보다 원활하게 발생되도록 한다.
나아가, 좌굴현상에 의해 날개부(240)가 휘는 경우, 그 형상이 불규칙하게 발생됨으로써, 콘크리트(C)에 천공된 공간에서 불규칙하게 휘어진 날개부(240)에 의해 앵커 볼트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구성은,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의 구성에 캡슐(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걸림부의 일측단에 캡슐이 구비된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앵커 볼트는 슬리브(10), 봉(20) 및 캡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봉(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부(400)의 일측단면에 타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결합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10)의 일부분이 캡슐(30)이 결합된다.
또한 걸림부(400)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요입홈(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12에서와 같이, 콘크리트(C)와 스티로폼(S) 벽면에 천공된 공간으로 앵커 볼트를 인입시킨 후, 망치 또는 함마 등을 이용하여 고정부(100)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타격하면, 고정부(100)가 압착부(230) 측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부(400)에 걸림된 압착부(230)와 고정부(1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져 날개부(240)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캡슐(30)에 충격이 전해지면서 외피가 터져 흘러나오는 충진재(31)가 걸림부(400)의 요입홈(420)을 통해 걸림부(400)의 타측으로 흘러들어가 콘크리트(C)의 천공된 부분을 꽉 채워 앵커 볼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에서 슬리브의 내부에 캡슐이 구비된 앵커 볼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충진재(31)가 저장된 캡슐(30)이 내측개구부(241)의 내측면과 로드(300)의 타측단면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로드(300)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가이드홈(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310)은 도 12에서의 요입홈(4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내측개구부(241) 내에 구비된 캡슐(30)이 터져, 캡슐(30)에 저장되어 있던 충진재(31)가 가이드홈(310)을 따라 이동되면서, 내측개구부(241)와 외측개구부(231)를 꽉 채우고, 나아가, 중심형슬릿(242)을 통해 앵커 볼트 외부로 이동되어 콘크리트(C)의 천공된 부분을 꽉 채워 앵커 볼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13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 시공방법은 콘크리트(C)와 스티로폼(S)을 동일한 직경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단계에서 천공된 공간으로 앵커 볼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삽입된 앵커 볼트의 타측단을 일측방향으로 타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크리트(C)와 스티로폼(S)을 동일한 직경으로 천공하는 단계는 앵커 볼트가 벽체에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콘크리트의 천공 깊이는 앵커 볼트에서 확장부(200)의 길이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도 2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장부(200)에 형성되는 외측형슬릿(220)에 의해 확장부(200)의 부피 확장시 콘크리트(C)의 천공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도 10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장부(200)에 형성되는 중심형슬릿(242)에 의해 날개부(240)의 부피 확장시 콘크리트(C)의 천공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앵커 볼트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슬릿이 형성되는 확장부(200)가 콘크리트(C)의 청공된 부분에 완전히 내삽되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며, 만약 스티로폼(S)에 천공된 부분에 확장부(200)가 위치하게 되면, 확장부(200)의 부피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스티로폼(S) 자체의 약한 강성에 의해 앵커 볼트를 견고하게 지지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앵커 볼트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C)의 천공 깊이를 확장부(2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확장부(200)가 콘크리트(C)의 천공된 공간에 완전하게 내삽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C)와 스티로폼(S)에 천공된 공간에 앵커 볼트를 삽입한다.
앵커 볼트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3, 8, 9, 11, 12 및 13에서와 같이, 별도의 덮개(도면부호 미표시)를 슬리브(10)의 타측단에 위치한 후, 망치 또는 함마 등을 이용하여 상기 덮개를 앵커 볼트의 일측으로 타격하게 되면, 슬릿에 의해 확장부(200)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져 앵커 볼트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캡슐(30)이 구비된 경우, 타격에 의해 충격이 가해져 캡슐(30)에 저장된 충진재(31)가 콘크리트(C)의 천공된 공간으로 흘러나와 앵커 볼트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슬리브
100 : 고정부 200 : 확장부
210 : 개구부 220 : 외측형슬릿
230 : 압착부 231 : 외측개구부
240 : 날개부 241 : 내측개구부
242 : 중심형슬릿 243 : 만곡부
20 : 봉
300 : 로드 310 : 가이드홈
400 : 걸림부 410 : 결합홈
420 : 요입홈
30 : 캡슐
31 : 충진재

Claims (9)

  1. 삭제
  2. 슬리브(10)와 봉(20)으로 이루어진 앵커 볼트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는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100); 및
    상기 고정부(100)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확장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확장부(200)는
    일측으로 연통된 외측개구부(231)가 형성된 압착부(230); 및
    상기 고정부(100)와 압착부(230) 사이에 구비되며, 외측개구부(231)와 연통되도록 내측개구부(24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중심형슬릿(242)이 다수 개 형성된 날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봉(20)은
    상기 외측개구부(231)와 내측개구부(241)를 통해 압착부(230)와 날개부(240)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300); 및
    상기 로드(300)의 타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압착부(23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걸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날개부(240)는
    중간부분에 주름 형태의 만곡부(243)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400)는
    일측단면에 타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결합홈(410)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410)에 우레탄 수지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액상형태의 충진재(31)가 저장된 캡슐(30)이 일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400)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요입홈(420)이 형성되되, 걸림부(400)의 일측단면에 구비되는 캡슐(30)에 충격을 가하면, 외피가 터져 상기 요입홈(420)을 통해 걸림부(400)의 타측으로 충진재(31)가 흘러 이동되며,
    상기 로드(300)의 타측단면과 상기 타측단면에 대응되는 확장부(200)의 내측면 사이에 충진재(31)가 저장된 캡슐(30)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300)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가이드홈(310)이 형성되되, 상기 로드(300)가 슬리브(10)의 타측으로 끼워질수록 상기 확장부(200)의 내측면과 로드(300)의 타측단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캡슐(30)에 충격을 가하면, 외피가 터져 흘러나오는 충진재(31)가 상기 가이드홈(310)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2의 앵커 볼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C)와 스티로폼(S)을 동일한 직경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단계에서 천공된 공간으로 앵커 볼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삽입된 앵커 볼트의 타측단을 일측방향으로 타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크리트(C)의 천공깊이는 확장부(200)의 길이보다 더 크게 이루어져, 상기 확장부(200)가 콘크리트(C)의 천공된 공간으로 완전히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시공방법.
KR1020150182832A 2015-12-21 2015-12-21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71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832A KR101671368B1 (ko) 2015-12-21 2015-12-21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832A KR101671368B1 (ko) 2015-12-21 2015-12-21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368B1 true KR101671368B1 (ko) 2016-11-01

Family

ID=5748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832A KR101671368B1 (ko) 2015-12-21 2015-12-21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3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258B1 (ko) 2017-09-04 2018-10-31 노창기 내진앵커
KR101946717B1 (ko) 2017-07-31 2019-02-11 백승기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125B2 (ja) * 1974-09-02 1984-09-01 ヒルテイ.Ag 拡張アンカ−
JPH08135026A (ja) * 1994-11-02 1996-05-28 Nissan Chem Ind Ltd カプセルを具備したアンカー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184124Y1 (ko) * 2000-01-14 2000-06-01 이운규 앵커볼트
KR100839228B1 (ko) 2008-01-16 2008-06-19 김종성 앵커 볼트
KR101413191B1 (ko) * 2013-12-05 2014-06-30 경민금속주식회사 기능이 개선된 앵커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125B2 (ja) * 1974-09-02 1984-09-01 ヒルテイ.Ag 拡張アンカ−
JPH08135026A (ja) * 1994-11-02 1996-05-28 Nissan Chem Ind Ltd カプセルを具備したアンカー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184124Y1 (ko) * 2000-01-14 2000-06-01 이운규 앵커볼트
KR100839228B1 (ko) 2008-01-16 2008-06-19 김종성 앵커 볼트
KR101413191B1 (ko) * 2013-12-05 2014-06-30 경민금속주식회사 기능이 개선된 앵커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717B1 (ko) 2017-07-31 2019-02-11 백승기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KR101899258B1 (ko) 2017-09-04 2018-10-31 노창기 내진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6556A (en) Anchor unit with expansive anchor member expanded by utilizing turning force of bolt
FI86103B (fi) Expanderbar plugg.
US8821090B2 (en) Dowel composed of a strand arrangement
KR200456403Y1 (ko) 앵커볼트
KR101671368B1 (ko) 앵커 볼트 및 이의 시공방법
US6450745B2 (en) Dowel with a weakened section adjoining the leading threaded end thereof
KR101221365B1 (ko) 호스 클램프
SK280384B6 (sk) Rozperná príchytka z plastu
CA2630089A1 (en) Self-drilling wall anchor device
US20070160418A1 (en) Quick assembly bolt jacket
KR101115783B1 (ko) 이중관 직천공형 그라우팅 공법
KR102393584B1 (ko)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KR101395868B1 (ko) 락볼트
KR100891371B1 (ko) 앵커볼트
KR200464097Y1 (ko) 세트앙카
JP2018080495A (ja) アンカー固定金具
KR101395867B1 (ko) 락볼트용 고정장치
KR100596932B1 (ko) 록볼트용 고정장치
KR20100008363U (ko) 밀착식 앵커
KR100949195B1 (ko) 이형철근의 정착구
CN206592387U (zh) 一种膨胀螺栓
KR200402350Y1 (ko)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KR200266066Y1 (ko) 기초볼트
US20120282058A1 (en) Anchor Rod
KR101252254B1 (ko) 앵커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