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267B1 -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및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및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267B1
KR101671267B1 KR1020150016301A KR20150016301A KR101671267B1 KR 101671267 B1 KR101671267 B1 KR 101671267B1 KR 1020150016301 A KR1020150016301 A KR 1020150016301A KR 20150016301 A KR20150016301 A KR 20150016301A KR 101671267 B1 KR101671267 B1 KR 101671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candidate images
candidate
frequency pulse
magnetic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010A (ko
Inventor
마티아스 블라쉐
프란즈 헤브란크
빌프리에드 쉬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9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6Electrical details, e.g. matching or coupling of the coil to the receiver
    • G01R33/3607RF waveform generators, e.g. frequency generators, amplitude-, frequency- or phase modulators or shifters, pulse programmers, digital to analog converters for the RF signal, means for filtering or attenuating of the RF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G01R33/56Image enhancement or correction, e.g. subtraction or averaging techniques, e.g. improvement of signal-to-noise ratio and resolution
    • G01R33/565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due to magnetic field inhomogeneities
    • G01R33/5659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due to magnetic field inhomogeneities caused by a distortion of the RF magnetic field, e.g. spatial inhomogeneities of the RF magnetic fi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 G01R33/341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comprising surface coils
    • G01R33/3415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comprising surface coils comprising arrays of sub-coils, i.e. phased-array coils with flexible receiver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G01R33/543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MR system, e.g. setting of acquisition parameters prior to or during MR data acquisition, dynamic shimming, use of one or more scout images for scan plane prescrip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중에 고주파 펄스열들(b1,…, bN)을 병행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S1,…, SN)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1)의 제어 동안 이용되는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을 결정하기 위한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JV, 300, 400, 500)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S1,…, SN)에 대한 제어 동안, 하나의 공통의 기준 펄스열(bR)이 사전 설정된다. 검사할 대상(O)의 복수의 후보 이미지(KB)는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의 상이한 후보 집합들로 수집된다. 이어서 고주파 송신 채널들(S1,…, SN) 각각에 대해 사전 설정된 기준의 관점에서 최적인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이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에 따라서 선택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은, 기술한 고주파 조정 방법을 이용하여 자기 공명 시스템(1)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그에 상응하게 작동하는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 및 상기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를 포함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1)에도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및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RF PULSE ALIGNMENT METHOD AND RF PULSE ALIGNMENT DEVICE}
본 발명은, 작동 중에 고주파 펄스열들을 병행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의 제어 동안 이용되는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transmit scaling factor)을 결정하기 위한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에 대한 제어 동안 하나의 공통의 기준 펄스열(reference pulse train)이 사전 설정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은,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을 위한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에도 관한 것이며, 상기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는,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을 위해, 고주파 송신 채널들에 대해 공통으로 사전 설정되는 기준 펄스열에 대한 각각의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를 결정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 중에 고주파 펄스열들을 병행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도 관한 것이며,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에 대해 하나의 공통의 기준 펄스열이 사전 설정되고, 고주파 송신 채널들 각각에 대해서는 기준 펄스열을 기반으로 송신 채널들에 대한 고주파 펄스열들을 계산하기 위해 송신 스케일링 인자가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과, 목표하는 측정을 실행하기 위해 고주파 송신 채널들을 통해 고주파 펄스열들을 병행하여 송출하도록 형성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자기 공명 시스템의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의 메모리 내로 직접 로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자기 공명 시스템 또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검사할 신체는 기본 자계 자석 시스템에 의해 예컨대 3 또는 7테슬라(Tesla)의 상대적으로 높은 ("B0-자계"로서도 지칭되는) 기본 자계에 노출된다. 추가로, 경사 자계 시스템에 의해 자계 경사가 인가된다. 그 다음, 고주파 송신 시스템을 통해, 적합한 안테나 장치들에 의해 고주파 여기 신호들(고주파 신호들)이 송출되고, 이 결과로, ("B1 자계"로서도 지칭되는) 상기 고주파 자계를 통해 공명 여기되는 특정한 원자들의 핵 스핀들은 공간 분해 방식으로 기본 자계의 자계선(magnetic field line)에 비해 정의된 숙임 각만큼 기울어진다. 상기 고주파 여기 또는 결과에 따른 숙임 각 분포는 하기에서 핵 자화 또는 짧게 "자화"로서도 지칭된다. 자화(m)와 기간(T)에 걸쳐 조사된 B1 자계 사이의 관계는 하기 공식에 따라 제공된다.
Figure 112015011222525-pat00001
(1)
상기 식에서, γ는 회전자기 모멘트이고, t는 시간 변수이며, B1(t)는 B1 자계의 시간에 따라 가변되는 자계 강도이다. 핵 스핀들의 이완 동안, 적합한 수신 안테나들을 통해 수신되고 그 다음 추가 처리되는 고주파 신호들, 이른바 자기 공명 신호들이 방출된다. 이렇게 수집된 미가공 데이터들로부터, 마지막으로 목표하는 이미지 데이터들이 재구성될 수 있다. 핵 스핀 자화를 위한 고주파 신호들의 송출은 대개 "바디 코일(body coil)"로도 지칭되는 이른바 "전신 코일(whole-body coil)"에 의해 수행되거나, 때때로 환자 또는 피검자에 인접하는 국소 코일들(local coil)로도 수행된다. 전신 코일의 전형적인 구성은,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검사 동안 환자가 위치되는 단층 촬영기의 환자 챔버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송신 로드(transmit rod)로 구성되는 케이지형 안테나[버드케이지 안테나(birdcage antenna)]이다. 단부면에서 안테나 로드들은 각각 환형으로 상호 간에 용량형으로 연결된다.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전신 안테나들은 "CP 모드"(원편광 모드)로 작동시켰다. 이를 위해, 단일의 시간 고주파 신호가 송신 안테나의 모든 컴포넌트들, 예컨대 케이지형 안테나의 모든 송신 로드들로 제공된다. 통상 이 경우, 개별 컴포넌트들로 동일한 진폭을 갖는 펄스의 전달은 송신 코일의 기하구조에 매칭되는 변위로 위상 오프셋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예컨대 케이지형 안테나가 16개의 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로드들은 각각 동일한 고주파 크기 신호에 의해 22.5°의 위상 변위로 오프셋 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결과는, x/y 평면에서, 다시 말하면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지형 안테나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원편광되는 고주파 자계이다.
또한, 그동안, 복합 송신 스케일링 인자를 통해 진폭 및 위상과 관련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송출될 고주파 신호,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기준 펄스열"로서 지칭되는) 수신되는 고주파 펄스 시퀀스를 수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경우, 위치(r)에서, 다시 말하면 픽셀 또는 복셀 위치(r)(r은 예컨대 ㎜ 단위로 직각 좌표 x, y, z의 값들을 갖는 벡터이다)에서 B1 자계는 하기 공식에 따라서 제공된다.
Figure 112015011222525-pat00002
(2)
위의 식에서, bc(t)는 채널(c = 1, …, N) 상에서 송출될 고주파 곡선, 다시 말하면 bc(t) = SFc·bR(t)를 통해 제공되는, 시간(t)에 걸친 고주파 펄스열의 전압 진폭 곡선(단위: V)이며, 상기 식에서 SFc는 채널(c)에 대한 복합 스케일링 인자이고, bR(t)는 기준 펄스열의 전압 곡선이다. Ec(r)는 특정한 위치(r)(즉, 픽셀 또는 복셀 위치)에서 고주파 송신 채널(c)의 안테나 부재의 민감도(단위: μT/V)이다. 이 경우, Ec(r)는 민감도 행렬의 형태인 위치에 따른 민감도 분포이다.
이런 경우에도, 안테나는, 진폭이 모든 송신 채널에서 동일한 레벨로 선택되고 송신 코일의 기하구조에 매칭된 위상 변위만이 제공되면서, "CP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그 밖에도, 각각의 피검체에 따라서, 고주파 자계가 x/y 평면에서 원편광되는 것이 아니라 타원 편광되는 "EP 모드"(타원 편광 모드)도 종종 이용된다. 어떠한 모드가 이용되는지는, 통상적으로 여기될 신체 부위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오히려 원통형 대칭인 대상들의 경우, 다시 말하면 예컨대 머리 부위에서 이미지를 수집할 경우, CP 모드가 더 자주 선택되며, 그에 반해 예컨대 흉부 또는 복부 부위처럼 보다 더 타원형인 형태의 경우 오히려 EP 모드가 선택된다. EP 모드의 목적은, 비원형 대칭인 신체 형태를 통해 야기되는 B1 자계의 불균일성을 보상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수의 사례에서, 상기 다중 채널형 고주파 송신 시스템의 이른바 "B1 보정(shimming)"도 실행된다. 이 경우, 개별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은, 환자 고유의 조정을 기반으로, 대부분 지금까지의 표준 CP 모드 또는 EP 모드에 비해 특히 균일한 여기를 달성할 목적으로 계산된다.
이 경우,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의 계산을 위해, 이론상 달성되는 실제 자화(A·b)로부터 완벽하게 균일하게 목표되는 목표 자화(m)의 크기 편차(magnitude deviation)를 최소화하는 최적화기(optimizer)가 이용된다.
Figure 112015011222525-pat00003
(3)
위의 식에서, A는, 특히 개별 송신 채널들(안테나 로드들)의 공간 송신 프로파일 및 존재하는 B0 자계 분포가 포함되는 선형 복합 방정식들로 이루어진 계로 구성되는 이른바 설계 행렬이다. 상기 설계 행렬은 예컨대 W. Grissom 등의 논문 "다중 코일 평행 여기에서 고주파 펄스의 설계를 위한 공간 도메인 방법"(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56, 620~629, 2006년)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b(t)는 병행 송출될 고주파 곡선들[bc(t)]의 벡터이다. 방정식 (3)의 해, 다시 말하면 방정식 (3)에서 정의되는 "목표 함수"의 최솟값이 구해지면, 결과로서 목표되는 스케일링 인자들(SF1, SF2, …, SFN)이 존재한다.
설계 행렬을 결정하기 위해, 우선, 실험을 바탕으로 설계 행렬의 계수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응하는 검사 측정이 실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검사할 환자는, 설계 행렬을 위한 데이터, 및 고주파 곡선들의 벡터 또는 b(t)에 대한 최적의 값들의 수집 및 계산의 전체 기간에 걸쳐서 MRT 내에 머물러 있어야 하고 이어서 실질적인 검사를 견뎌야 하며, 이는 특히 병이 들어 허약해진 사람의 경우 매우 피로하게 한다. 중도에 MRT에서 나오는 점은 명백한 이유에서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중도에 나올 경우 환자의 불가피한 위치 변경으로 인해 전체 조정, 즉 B1 보정이 반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질적인 검사 전에 B1 자계의 필요한 조정을 통해 환자는 너무 오랫동안 MRT 장치의 대부분 좁은 구조 내에서 머물러 있어야 하고 그로 인해 경우에 따라 불편하게 느낀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는 예컨대 환자의 위치 변경을 초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미지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심지어 환자가 이미지 수집이 종료될 때까지 견디지 못하는 경우, 이미지 수집의 불가피한 중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정 과정의 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B1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대안적 조정 방법 및 적합한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제1항에 따른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을 통해, 그리고 특허 청구항 제9항의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서두에 언급한 바와 같이, 원칙적으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면서 작동 중에 병렬 고주파 펄스열을 송출하는 복수 개, 다시 말하면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2개보다 많은 고주파 송신 채널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의 B1 자계를 조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 통상적인 것처럼,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 바람직하게는 모든 고주파 송신 채널에 대해 하나의 공통의 기준 펄스열이 사전 설정된다. 상기 유형의 자기 공명 시스템이란, 특히 간단한 실현에서 이른바 "단채널 시스템"을 의미하지만, 그러나 이 단채널 시스템은 실제로 2채널 시스템의 간단한 형태이며, 2개의 채널 상의 (공통의 기준 펄스열로서의) 동일한 고주파 신호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장치들을 통해 설정될 수 있는 상호 간의 위상 변위로 안테나 내로 공급된다(예컨대 CP 모드에서 90°만큼 위상 변위되고 EP 모드에서는 135°만큼 위상 변위된다).
그 밖에도,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에서는, 고주파 송신 채널들 각각에 대해 사전 설정된 목표 자화의 고려하에, 기준 펄스열을 기반으로 송신 채널들을 위한 고주파 펄스열들을 계산하기 위해, 예컨대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해당 고주파 송신 채널에 대한 기준 펄스열로 스케일링하거나 곱셈하기 위해, 개별 복합 송신 스케일링 인자가 보정 매개변수로서 결정된다.
그러나 이제 본 발명에 따라서,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에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은 선형 연립 방정식연립 방정식급한 복잡한 계산을 통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검사할 대상의 일련의 검사 이미지들(test images) 또는 후보 이미지들(candidate images)이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의 상이한 후보 집합들(candidate sets)로 수집된다. 이어서, 고주파 송신 채널들 각각에 대해 기준의 관점에서 최적인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이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에 따라서 결정된다.
검사 이미지들로서는 예컨대 2D 이미지들 또는 3D 이미지들이 수집될 수 있다. 검사할 대상은 예컨대 환자, 특히 사람, 또는 동물, 또는 미이라, 더 일반적으로는 직접적인 검사를 위해 접근이 어렵거나, 직접적인 검사에 대해 매우 민감한 대상일 수 있다.
언급한 기준은 예컨대 목표 부위에서 여기하는 고주파 자계의 균일성일 수 있다. 이 경우, 분명하게는, 모든 측정에서 최대 허용 B1 자계 및 최대 허용 SAR(적용 비흡수율: applied specific absorption rate)이 엄수되어야 한다.
또한, 기준은, 고주파 증폭기를 과부하시키지 않으면서, 고주파 증폭기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으로 최대로 달성될 수 있는, 정해진 목표 부위 내부의 달성 가능한 평균 B1 자계(여기 고주파 자계)일 수도 있다.
또한, 기준은 평균 B1-값이 정해진 경우(예: 11.7μT) 특정한 목표 부위에서 필요한 적용 비흡수율(SAR)일 수도 있다. 또한, 기준은 언급한 물리적 변수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거나, 그 조합의 특정한 가중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언급한 기준들에 상응하는 물리적 변수들을 결정하기 위해, 다음 접근법들이 선택될 수 있다. 개별 기준들에 상응하는 물리적 변수들은 이미지 수집 또는 각각의 후보 이미지에 따라서 결정되거나 계산된다. 여기 B1 자계의 국소 분포에 대해 민감한 시퀀스가 선택된다. 상기 시퀀스는 바람직하게는 문헌에서 이미 상세히 기술한 B1 매핑 방법(또는 B1 매핑 시퀀스)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예컨대 참고 문헌 "Chung, Kim, Breton 및 Axel: 터보플래시 판독으로써 고주파 펄스의 사전 조정을 이용한 고속 B1+ 매핑,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64: 439~446(2010)" 및 "Nehrke 및 Boernert: DREAM - 견고한 초고속 다중 절편 B1 매핑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68: 1517~1526(2012)" 참조]. 후보 이미지들의 수집 후에, B1 분포는 각각의 생성된 이미지에서 추출되며, 앞서 참조 지시되고 발행된 B1 매핑 방법에 의해 B1 분포들이 결정될 수 있다. 검사 이미지 또는 후보 이미지의 균일성이 결정되어야 한다면, 선택된 관심 부위에서 B1 자계의 균일성에 대한 기준을 나타내는 다양한 통계상 매개변수들의 계산이 수행된다. 예컨대 B1 자계의 자속 밀도의 최댓값(B1Max) 및 최솟값(B1Min)의 차이와 B1 자계의 자속 밀도의 평균값으로 이루어진 몫은 (B1Max - B1Min)/B1Mean으로 계산되거나, 에러의 표준 편차(σ) 또는 그 산술 또는 기하 평균[abs(B1 - B1Mean)]이 산출된다.
최대 평균 B1 자계를 결정할 때, 목표 부위에서 목표되는 평균 B1 값이 결정되거나 평가된다. 또한, 이를 위해 필요한, 고주파 증폭기의 최대 고주파 출력은 이미지 수집 매개변수들에서 결정된다. 현재의 B1 보정 매개변수화 동안 최대로 제공되는 출력은 송신 체인(안테나 내의 부하 상황)의 하드웨어 컴포넌트 보호의 고려하에 계산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값들은 제공되는 고주파 출력을 완전하게 이용할 때의 B1 자계의 최대 평균값으로 환산된다.
적용 비흡수율(SAR)을 결정할 때, 목표 부위에서 목표되는 평균 B1 값의 평가가 수행된다. 또한, 이미지 수집 매개변수들에서부터 상기 평가를 위한 적용 SAR의 평가가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값들은 B1 기준 값(예: 11.7μT)에서 SAR로 환산된다.
따라서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을 위한 적합한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는, B1 자계 조정 방법 또는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에서 복수의 검사 이미지를 고려하여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을 결정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는, 검사할 대상의 복수의 후보 이미지의 수집이 후보 이미지들에 할당된 다양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로 수행되도록 자기 공명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후보 이미지 생성 유닛을 포함한다.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는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과 각각의 후보 이미지들에 할당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닛과,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유닛과,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의 분석을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기준의 관점에서 최적인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공명 시스템은,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 및 예컨대 경사 자계 시스템, 기본 자계 자석 등과 같은 추가의 통상적인 시스템 컴포넌트들, 및 목표하는 측정의 실행을 위해 고주파 송신 채널들을 통해 고주파 펄스열들을 병행하여 송출하도록 형성된 제어 장치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도 포함한다.
이 경우,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는 특히 자기 공명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부분일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는,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컴퓨터, 예컨대 운영자 단말기, 또는 계산 집약적 연산을 내보내기 위한 기타 컴퓨터 내에도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의 적어도 대부분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 및/또는 제어 장치의 메모리 내로 직접 로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이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 및/또는 제어 장치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모든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섹션들을 포함한다. 이처럼 소프트웨어에 따른 실현은,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의 결정을 위해, 또는 B1 보정을 위해 이용되는 지금까지의 장치들, 예컨대 기존의 자기 공명 시스템들의 제어 장치들도,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B1 보정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구현을 통해 적합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의 기술 내용은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개선예들 및 구성들을 포함하며, 특히 한 범주의 청구항들도 또 다른 청구항 범주의 종속 청구항들과 유사하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도 임의의 방식으로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변형예들의 경우,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에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을 결정할 때 우선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이 분석되며, 그 다음 최적의 후보 이미지가 선택되고, 사전 결정된 기준과 관련하여 최적인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이,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의 분석을 통해 결정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본원의 방법의 특히 간단하게 실현될 구성에 따라서, 사전 결정된 기준의 관점에서 최적인 후보 이미지에 할당되는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의 후보 집합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은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로서 선택된다.
이는 가장 간단한 구성이다. 대안적인 방식으로, 경우에 따라 후보 이미지들 및 대응하는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의 이용하에,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이 계산될 수도 있다.
특히 간단한 실현은 이미 앞서 언급한 "단채널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단채널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CP 및 EP 모드만이 제공되고, 특히 두 채널 상의 펄스들 간의 위상 변위는 하드웨어로서 형성된 스위치를 통해서도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매우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현재의 환자를 위해 최적인 모드가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2개의 후보 이미지만이, 요컨대 CP 모드를 위한 하나와 EP 모드를 위한 하나만이 수집된다. 이런 방법의 구성에서, 최적의 후보 이미지의 선택은, 원편광된 고주파 자계로 생성된 후보 이미지, 및 타원 편광된 자계로 생성된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이용되는 후보 이미지들은 예컨대 대상의 개요 이미지들(overview images)일 수 있다.
개요 이미지들은, 대상의 검사를 준비할 때, 예컨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진단" 보조를 위해 이용되는 차후의 수집을 위해 관찰 영역(field of view)으로도 지칭되는 시야 영역(field of vision)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로컬라이저(localizer)로도 지칭되는 단층 사진들이다. 개요 이미지들은 예컨대 관상면으로, 시상면으로, 또는 축면으로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해 이용되는 후보 이미지들은 대상의 상이한 부위들 및/또는 뷰(view)들 또는 단면 평면들을 나타낼 수 있다.
시야 영역의 결정을 위해, 항상 복수의 단층 사진, 예컨대 환자를 통과하는 수평 종단면 및 수직 종단면, 그리고 경우에 따라 수직 횡단면이 필요하다. 이런 단층 사진들은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 따라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의 상이한 후보 집합들이 제공된 검사 이미지들 또는 후보 이미지들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비용 및 프로세스 관련 비용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검사받을 환자의 편의를 높이고 방법을 위한 비용을 절약한다.
후보 이미지들의 향상된 비교 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후보 이미지들의 수집을 위해 항상 동일한 영역 또는 동일한 단면 평면을 이용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본원의 방법의 특별한 구성에 따라서, 후보 이미지들을 분석할 때,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고 선택 신호는 신호 수신 유닛에서 수신된다. 신호 수신 유닛은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최적의 후보 이미지의 선택은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의 자동 분석에 따라서 수행될 수도 있다.
자동 분석은 이미지 최적화 알고리즘 또는 평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실현될 수 있다.
평가 알고리즘은 다음 부분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알고리즘에 따라서, 검출된 스카우트 MR 이미지들(Scout MR images) 또는 후보 이미지들 각각에 목표 값들, 또는 각각의 사전 설정된 기준들에 상응하는 물리적 변수들이 결정되고 계산된다. 각각의 사전 설정에 따라서, 하나의 기준 또는 복수의 기준의 가중된 중첩을 최적화하는 후보 이미지, 또는 사전 설정된 기준들에 가장 일찍 상응하는 후보 이미지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의 집합 또는 B1 매개변수 집합이 선택된다.
진보된 버전에서는, 검출된 스카우트 이미지들(Scout images) 사이에서 목표 기준들 및 B1 보정 매개변수들이 보간되며, 그 다음 훨씬 더 최적인,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의 집합 또는 B1 보정 매개변수 집합이 선택된다.
이미 앞서 방정식 (1)에 따라서 설명된 것처럼,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목표 함수에서 목표 자화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최적화가 수행되고 있다. 추가로, 목표 함수에서 적합한 추가의 함수 항을 통해 환자의 고주파 노출(RF exposure)은 감소될 수 있다. 고주파 노출은 제한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너무 높은 고주파 노출이 환자의 상해를 야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환자의 고주파 노출은 또한 이미 사전에 송출될 고주파 펄스들의 계획 동안 계산되고 고주파 펄스들은 결정된 한계에 도달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고주파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201202092에서 기술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고주파 노출의 제한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에 따라서, 후보 이미지들의 분석 동안 최대 B1 자계가 기준으로서 함께 고려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후보 이미지들을 측정할 때, 필요한 고주파 출력의 평가가 수행될 수 있고, 다시 말하면 상이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이 고주파 출력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의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라서 한 번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공명 시설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B1 보정을 도사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대체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대체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공명 시설(1) 또는 자기 공명 시스템(1)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기 공명 시설 또는 자기 공명 시스템은 한편으로 내부에 위치되는 검사 챔버(8) 또는 환자 터널(8)을 구비한 실질적인 자기 공명 스캐너(2)를 포함한다. 침상(7)은 상기 환자 터널(8) 내로 인입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침상 위에 누운 환자(O) 또는 피검자는 검사 동안 내부에 배치된 자석 시스템 및 고주파 시스템에 상대적으로 자기 공명 스캐너(2) 내부의 특정한 위치에 누여질 수 있거나, 측정 동안에도 상이한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자기 공명 스캐너(2)의 실질적인 컴포넌트들은 기본 자계 자석(3), x, y 및 z 방향으로 임의의 자계 경사들을 인가하기 위해 자계 경사 코일들을 구비한 경사 자계 시스템(4), 및 전신 고주파 코일(5)이다. 피검체(O) 내에서 유도된 자기 공명 신호들의 수신은, 일반적으로 자기 공명 신호들을 유도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들도 송출할 수 있는 전신 코일(5)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상기 신호들은 피검체(O) 상부 또는 그 하부에 배치된 국소 코일들(6)로 수신된다. 이런 모든 컴포넌트는 당업자에게 원칙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도 1에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전신 고주파 코일(5)은 여기서 이른바 버드케이지 안테나의 형태로 구성되고 복수 개(N)의 개별 안테나 로드를 포함하며, 이 안테나 로드들은 환자 터널(8)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환자 터널(8)의 외주 상에 균일하게 분포 배치된다. 단부 측에서 개별 안테나 로드들은 각각 용량형으로 환형 연결된다.
여기서 안테나 로드들은 개별 송신 채널들(S1, …, SN)로서 분리되어 제어 장치(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경우에 따라 공간상 분리되고 적합한 케이블 등을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는) 복수의 개별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는 제어 컴퓨터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는 단말기 인터페이스(17)를 통해 단말기(20)와 연결되고, 이 단말기를 통해 조작자는 전체 시스템(1)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경우에 상기 단말기(20)는 키보드와, 하나 또는 복수의 화면과, 예컨대 마우스 등과 같은 추가 입력 장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조작자에게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제어 장치(10)는 특히 경사 자계 제어 유닛(11)을 포함하며, 이 경사 자계 제어 유닛은 다시 복수의 부분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자계 제어 유닛(11)을 통해 제어 신호들(SGx, SGy, SGz)이 개별 경사 코일들에 인가된다. 이 경우 제어 신호는, 측정 동안 정확히 제공되는 시간 위치에서, 그리고 정확히 제공되는 시간별 거동으로 설정되는 경사 자계 펄스이다.
또한, 제어 장치(10)는 고주파 송/수신 유닛(12)을 포함한다. 상기 고주파 송/수신 유닛(12)은 마찬가지로, 각각 분리되어, 그리고 병행하여 개별 송신 채널들(S1, … SN) 상에, 다시 말하면 전신 고주파 코일(5)의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안테나 로드들 상에 고주파 펄스를 인가하기 위해 복수의 부분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또한, 송/수신 유닛(12)을 통해, 자기 공명 신호들도 수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통상적으로 국소 코일들(6)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국소 코일들(6)로 수신되는 신호들은 고주파 수신 유닛(13)에 의해 판독되고 처리된다. 이로부터, 또는 전신 코일로부터 고주파 송/수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자기 공명 신호들은 미가공 데이터(RD)로서 재구성 유닛(14)으로 전달되며, 이 재구성 유닛은 그로부터 이미지 데이터(BD)를 재구성하여 이를 메모리(16)에 저장하고, 그리고/또는 인터페이스(17)를 통해 단발기(20)로 전달하며, 그럼으로써 조작자는 그 이미지 데이터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BD)는 네트워크(NW)를 통해 또 다른 위치에 저장되고, 그리고/또는 표시되고 평가될 수도 있다.
경사 자계 제어 유닛(11), 고주파 송/수신 유닛(12), 및 국소 코일들(6)용 수신 유닛(13)은 측정 제어 유닛(15)을 통해 각각 상호 간에 조정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측정 제어 유닛은, 상응하는 명령을 통해, 목표하는 경사 자계 펄스열(GP)이 적합한 경사 자계 제어 신호들(SGx, SGy, SGz)을 통해 송출되도록 보장하며, 병행하여, 다중 채널 펄스열(b)이 송출되도록, 다시 말하면 개별 송신 채널들(S1, … SN) 상에서 병행하여 적합한 고주파 펄스가 전신 코일(5)의 개별 송신 로드들 상에 제공되도록, 고주파 송/수신 유닛(12)을 제어한다. 그 외에도, 적합한 시점에 국소 코일들(6) 상의 자기 공명 신호들이 고주파 수신 유닛(13)을 통해, 또는 전신 코일(5) 상의 경우에 따른 신호들이 고주파 송/수신 유닛(12)을 통해 판독되고 추가 처리되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측정 제어 유닛(15)은, 제어 프로토콜(P)에 사전 설정된 제어 시퀀스에 따라서, 상응하는 신호들, 특히 다중 채널 펄스열(b)을 고주파 송/수신 유닛(12) 상에 사전 설정하며, 경사 자계 펄스열(GP)을 경사 자계 제어 유닛(11) 상에 사전 설정한다. 상기 제어 프로토콜(P) 내에는, 측정 동안 설정되어야만 한 모든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다.
통상적으로 메모리(16)에는 다양한 측정들을 위한 복수의 제어 프로토콜(P)이 저장된다. 이런 제어 프로토콜들은, 단말기(20)를 통해 조작자에 의해 선택되며, 경우에 따라 결과적으로 현재의 목표하는 측정을 위해 측정 제어 유닛(15)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적합한 제어 프로토콜(P)을 제공하게 하기 위해 가변될 수 있다. 그 외에, 조작자는 네트워크(NW)를 통해서도 예컨대 자기 공명 시스템(1)의 제조업체로부터 제어 프로토콜(P)을 호출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제어 프로토콜을 경우에 따라 수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자기 공명 측정의 기본적인 시퀀스 및 제어를 위한 언급한 컴포넌트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이들에 대해 여기서는 상세히 추가로 논의되지 않는다. 그 외에, 상기 자기 공명 스캐너(2) 및 대응하는 제어 장치(10)는 여기서 마찬가지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다수의 추가 컴포넌트를 여전히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주지할 사항은, 자기 공명 스캐너(2)가 다른 방식으로도, 예컨대 측면으로 개방된 환자 챔버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원칙적으로 송신을 위해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는 버드케이지 안테나로서 구성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중요한 점은, 다만, 안테나 장치가 분리되어 제어될 수 있는 복수의 송신 채널(S1,…,SN)을 포함하고, 가장 간단한 경우에는 2개의 송신 채널을 포함한다는 점일 뿐이다.
여기서 제어 장치(2)의 측정 제어 유닛(15)은 예컨대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형태로 기준 펄스 생성 모듈(18)을 포함하며, 이 기준 펄스 생성 모듈은, 우선 제어 프로토콜(P) 내의 사전 설정값에 따라서, 적합한 방식으로 경사 자계 펄스들로 이용되어야 하는 기준 펄스열(bR)을 생성한다. 상기 기준 펄스열(bR)은, 우선, 여기서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측정 제어 유닛(15)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는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로 전달된다. 이런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또는 B1 보정 방법에서, 고주파 송신 채널들(S1,…,SN)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복합 송신 스케일링 인자(SF1,…,SFN)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는 후보 이미지 생성 유닛(21)을 포함하고, 이 생성 유닛에 의해 자기 공명 시스템(1)은, 검사할 대상(O)의 복수의 후보 이미지(KB)의 수집이 후보 이미지들(KB)에 할당된 상이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SFN)로 수행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그 밖에도,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는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 및 각각의 후보 이미지들에 할당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SFN)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닛(22)을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22)은 예컨대 메모리(16)의 일부분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 유닛(22)은 측정 제어 유닛(15) 내에 통합되거나, 메모리 섹션으로서, 메모리 장치가 이미 제공되어 있거나 통합될 수 있는 또 다른 유닛 내에도 통합될 수 있다. 그 밖에도,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는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유닛(23)을 포함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다양한 기준들의 관점에서의 분석은 상이한 평가 방법들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는,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의 분석을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기준의 관점에서 최적인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SFN)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유닛(24)도 포함한다. 결정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SFN)은 마지막으로 각각 기준 펄스열(bR)로 곱셈된다.
상기 B1 보정 방법의 마지막 단계는 한 번 더 개략적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확인되는 것처럼, 기준 펄스열(bR)은 한편으로 (이후 여전히 도 3에 의해 설명되는 것처럼) 복합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2, SF3…, SFN)을 결정하는 조정 장치(19)로 전달된다. 이런 복합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결과적으로 고주파 송/수신 유닛(12)을 통해 송출되는 다중 채널 펄스열(b)을 함께 형성하는 개별 펄스열들(b1, b2, b3,…, bN)을 획득하기 위해, 기준 펄스열(bR)과 곱셈된다.
대안적인 방식으로,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는 예컨대 측정 제어 유닛(15)으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거나, 고주파 송/수신 유닛(12)의 부분일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복합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2, SF3, …, SFN)과의 곱셈은 하드웨어에 따라 수행된다. 또한, 똑같은 정도로, 기준 펄스 생성 모듈(18)도 분리된 장치이거나, 예컨대 고주파 송/수신 유닛(12)의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재구성 유닛(14)은 분석 유닛(23) 및/또는 선택 유닛(24)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흐름도에서 식별되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우선 단계 3.I에서 검사할 대상의 복수의 후보 이미지(KB)가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 SFN)의 상이한 후보 집합들로 수집된다. 이어서, 단계 3.II에서, 고주파 송신 채널들(S1,…, SN) 각각에 대해 사전 설정된 기준의 관점에서 최적인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 SFN)이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에 따라서 결정된다.
B1 매핑으로도 지칭되는 문헌에서 기술한 추출 방법(앞 부분 참조)은 이미 (앞서 참조 지시된 간행물에 기술된 것처럼) 각각의 후보 이미지의 정량적 B1 분포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문제 설정에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예컨대 (특히 명백하고 예컨대 B1 값들의 표준 편차를 특징으로 하는) B1 균일성에 대한 기준들, 또는 최소 또는 최대 B1 값들에 대한 임계값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단계 4.I는 도 3에서 단계 3.I에 상응한다. 단계 4.II에서는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이 분석된다. 이어서 단계 4.III에서 최적의 후보 이미지(KB)가 선택되며, 단계 4.IV에서는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 SFN)이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의 분석을 통해 결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도 5에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단계 5.I는 도 3 또는 도 4의 단계 3.I 또는 4.I에 상응한다. 그러나 수집된 부호 이미지들(KB)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방법(500)의 경우 특히 간단한 접근법이 선택된다. 단계 5.II에서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은 디스플레이 유닛(20)에 표시되고, 이어서 후보 이미지들 중 하나의 선택은 예컨대 사용자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 후에, 단계 5.III에서 선택 신호가 신호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5.IV에서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 SFN)이, 선택 신호와 함께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신호 수신 유닛은 예컨대 컴퓨터, 예컨대 단말기(17)의 키보드일 수 있다.
상기 예시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B1 자계의 조정이 어떤 방식으로 훨씬 더 신속하고 더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최종적으로 한 번 더 주지할 사항은, 앞서 기술한 상세한 방법 및 구성들은 실시예들이고, 기본 원리는, 청구범위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점에 한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광범위한 범위에서 당업자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완벽함을 위해 주지할 사항은, 부정관사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의 이용이, 해당 특징들은 수회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똑같은 정도로 "유닛" 또는 "모듈"이란 개념은, 이 개념들이 경우에 따라 공간상 분포될 수도 있는 복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된다는 점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1. 자기 공명 시설 / 자기 공명 시스템
2. 자기 공명 스캐너
3. 기본 자계 자석
4. 경사 자계 시스템
5. 전신 고주파 코일
6. 국소 코일
7. 침상
8. 검사 챔버 / 환자 터널
10. 제어 장치
11. 경사 자계 제어 유닛
12. 고주파 송/수신 유닛
13. 고주파 수신 유닛
14. 재구성 유닛
15. 측정 제어 유닛
16. 메모리
17. 단말기 인터페이스
18. 기준 펄스 생성 모듈
19.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
20. 단말기
21. 후보 이미지 생성 유닛
22. 메모리 유닛
23. 분석 유닛
24. 선택 유닛
O. 대상 / 환자 / 피검체
P. 제어 프로토콜
NW. 네트워크
BD. 이미지 데이터
RD. 미가공 데이터
GP. 경사 자계 펄스열
SGx, SGy, SGz. 제어 신호
b. 다중 채널 펄스열
bR. 기준 펄스열
b1, …, bN. 펄스열
s1, …, sN. 송신 채널
SF1, …, SFN. 송신 스케일링 인자
m. 목표 자화
JV, 100, 200, 300.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Claims (12)

  1. 자기 공명 시스템(1)의 작동 중에 고주파 펄스열들(b1,…, bN)을 병행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S1,…, SN)을 포함하는 상기 자기 공명 시스템(1)의 제어 동안 이용되는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을 결정하기 위한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이며,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S1,…, SN)에 대한 제어 동안 하나의 공통의 기준 펄스열(bR)이 사전 설정되며, 상기 방법은
    -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의 상이한 후보 집합으로, 검사할 대상(O)의 복수의 후보 이미지(KB)를 수집하는 단계와,
    -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에 따라서 고주파 송신 채널들(S1,…, SN) 각각에 대해 사전 설정된 기준의 관점에서 최적인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을 결정하는 단계는,
    -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을 분석하는 단계와,
    - 최적의 후보 이미지(KB)를 선택하는 단계, 및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의 분석을 통해 결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최적의 후보 이미지에 할당되는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의 후보 집합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이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로서 선택되는,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최적의 후보 이미지의 선택은, 원편광된 고주파 자계로 생성된 후보 이미지, 및 타원 편광된 자계로 생성된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하는,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보 이미지들(KB)은 대상(O)의 개요 이미지들인,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보 이미지들(KB)은 대상(O)의 상이한 부위들 및 상이한 뷰(view)들로 이루어진 군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보 이미지들(KB)을 분석하는 단계는,
    - 디스플레이 유닛에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을 표시하는 단계와,
    - 신호 수신 유닛에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적의 후보 이미지(KB)의 선택은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의 자동 분석에 따라서 수행되는,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9. 자기 공명 시스템(1)의 작동 중에 고주파 펄스열들(b1,…, bN)을 병행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S1,…, SN)을 포함하는 상기 자기 공명 시스템(1)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며,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S1,…, SN)에 대해 하나의 공통의 기준 펄스열(bR)이 사전 설정되고, 고주파 송신 채널들(S1,…, SN) 각각에 대해서는, 기준 펄스열(bR)을 기반으로 송신 채널들(S1,…, SN)에 대한 고주파 펄스열들(b1,…, bN)을 계산하기 위해, 송신 스케일링 인자(SF1,…, SFN)가 결정되고,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이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을 결정하기 위해 적용되는, 자기 공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S1,…, SN)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1)을 위한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이며, 상기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는,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S1,…, SN)을 위해, 고주파 송신 채널들(S1,…, SN)에 대해 공통으로 사전 설정된 하나의 기준 펄스열(bR)에 대한 각각의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SF1,…, SFN)를 결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는
    - 검사할 대상의 복수의 후보 이미지(KB)의 수집이 후보 이미지들(KB)에 할당된 다양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로 수행되도록, 자기 공명 시스템(1)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후보 이미지 생성 유닛(21)과,
    -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과, 각각의 후보 이미지들에 할당된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닛(22)과,
    -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유닛(23)과,
    - 수집된 후보 이미지들(KB)의 분석을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기준의 관점에서 최적인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유닛(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
  11. 자기 공명 시스템(1)이며,
    - 복수의 고주파 송신 채널(S1,…, SN)과,
    - 목표하는 측정의 실행을 위해, 고주파 송신 채널들(S1,…, SN)을 통해 고주파 펄스열들(b1,…, bN)을 병행하여 송출하도록 형성되는 제어 장치(10)와,
    - 결정된 최적의 송신 스케일링 인자들(SF1,…, SFN)을 제어 장치(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청구항 제9항에 따른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를 포함하는 상기 자기 공명 시스템.
  12.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자기 공명 시스템(11)의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의 메모리 내로 직접 로딩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19) 내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의 모든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섹션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50016301A 2014-02-04 2015-02-02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및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 KR101671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1944.3A DE102014201944B4 (de) 2014-02-04 2014-02-04 HF-Puls-Justage-Verfahren und HF-Puls-Justage-Einrichtung
DE102014201944.3 2014-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010A KR20150092010A (ko) 2015-08-12
KR101671267B1 true KR101671267B1 (ko) 2016-11-01

Family

ID=5354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301A KR101671267B1 (ko) 2014-02-04 2015-02-02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및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26383B2 (ko)
KR (1) KR101671267B1 (ko)
CN (1) CN104820198B (ko)
DE (1) DE10201420194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5292B4 (de) * 2012-03-30 2013-1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steuerung eines Magnetresonanzsystems
JP6580040B2 (ja) * 2014-07-03 2019-09-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11067657B2 (en) * 2016-04-19 2021-07-20 Vanderbilt University Uniform radio frequency magnetic fields in the body for high field MR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7367A1 (en) 2010-02-04 2011-08-04 Thorsten Feiweier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system to reduce distortions in diffusion imaging
JP2012066149A (ja) 2012-01-13 2012-04-05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5165A (en) * 1992-11-06 1994-01-04 General Electric Company Magnetic resonance guided ultrasound therapy system with inclined track to move transducers in a small vertical space
US7777485B2 (en) * 2006-08-15 2010-08-1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ultiplexed MR tracking
JP5164443B2 (ja) * 2007-06-18 2013-03-21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DE102008046267B4 (de) * 2008-09-08 2011-04-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Bildverzeichnungskorrektur bei kontinuierlicher Tischbewegung
BR112012005688A2 (pt) * 2009-09-17 2017-05-30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método de ressonância magnetica, ressonancia magnetica de armazenamento que armazena instruções executivas atraves de um processador digital para realizar um metodo
DE102010013672B4 (de) 2010-04-01 2020-10-22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mittlung einer Magnetresonanzsystem-Ansteuersequenz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Magnetresonanzsystems
DE102010015066B4 (de) * 2010-04-15 2014-12-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mittlung einer Magnetresonanzsystem-Ansteuersequenz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Magnetresonanzsystems
DE102011087210B4 (de) 2011-11-28 2016-11-17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Ansteuerungssequenz beim parallelen Senden
DE102012212376B3 (de) * 2012-03-20 2013-08-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Ermittlung einer Magnetresonanzsystem-Ansteuersequenz
DE102012205292B4 (de) * 2012-03-30 2013-1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steuerung eines Magnetresonanzsystems
DE102012207132B3 (de) 2012-04-27 2013-09-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steuerung eines Magnetresonanzsystems unter Ermittlung von Sendeskalierungsfaktoren für eine vorgegebene Zielmagnetisierung
CN103371845A (zh) 2012-04-28 2013-10-30 株式会社东芝 Ct装置
DE102012215255B3 (de) * 2012-08-28 2014-02-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steuerung eines Magnetresonanzsystems unter Berücksichtigung aktueller komponentenbedingter B1-Feld-Maximalwer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7367A1 (en) 2010-02-04 2011-08-04 Thorsten Feiweier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system to reduce distortions in diffusion imaging
JP2012066149A (ja) 2012-01-13 2012-04-05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26383B2 (en) 2018-11-13
CN104820198B (zh) 2018-07-13
KR20150092010A (ko) 2015-08-12
DE102014201944A1 (de) 2015-08-06
US20150219733A1 (en) 2015-08-06
CN104820198A (zh) 2015-08-05
DE102014201944B4 (de)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6851B2 (ja) 磁気共鳴システム作動シーケンスの設定方法、磁場分布マップ分析装置、制御シーケンス設定装置、磁気共鳴システム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71905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領域撮像方法
US10175324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JP6598442B2 (ja) B1マップの算出
US10317492B2 (en) Magnetic resonance data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saturation with spin dependent on the anatomical structures to be imaged
US20150362578A1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JP5848606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および励起領域調整方法
KR20130121743A (ko) 자기 공명 시스템 컨트롤링
KR101671267B1 (ko) 고주파 펄스 조정 방법 및 고주파 펄스 조정 장치
RU2716870C2 (ru) Система магнитно-резонанс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имеющая зонды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ля
US20120161764A1 (en) Method and device to determine a magnetic resonance system activation sequence
JP5808659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T1ρイメージング法
JP6017443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および照射磁場分布計測方法
US91462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magnetic resonance system control sequence
JP6091965B2 (ja) 磁気共鳴システムを駆動するための方法
US20160011287A1 (en) Method for improving shim pre-settings of a magnetic resonance device
US103454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KR20160094667A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상기 자기 공명 영상 장치를 이용한 자기 공명 분광법
JP6527138B2 (ja) 核磁気共鳴撮像装置およびrfシミング方法
US2023017615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b0 map
US202303462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ing shaped radio frequency pulses
JP4969933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10209338B2 (en) Magnetic resonance tomography apparatus and method
JP7076224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201903171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structing contrast levels from magnetic resonance acqui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