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467B1 -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 - Google Patents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467B1
KR101670467B1 KR1020140113128A KR20140113128A KR101670467B1 KR 101670467 B1 KR101670467 B1 KR 101670467B1 KR 1020140113128 A KR1020140113128 A KR 1020140113128A KR 20140113128 A KR20140113128 A KR 20140113128A KR 101670467 B1 KR101670467 B1 KR 101670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wire
wheel
suppor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303A (ko
Inventor
서칠수
이채문
황정래
유근민
이건
이현승
박수란
서재수
Original Assignee
케이엔디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엔디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엔디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4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1Polarisation-affecting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 G01N23/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by irradiating the sample with X-rays or gamma-rays and by measuring X-ray flu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 G01N23/22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using electron or ion
    • G01N23/225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using electron or ion using incident electron beams, e.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nuclear magnetic resonance,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or other spin effects
    • G01N24/0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nuclear magnetic resonance,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or other spin effects by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 G01N24/081Making measurements of geologic samples, e.g. measurements of moisture, pH, porosity, permeability, tortuosity or visco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01N5/04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removing a component, e.g. by evaporation, and weighing the remainder
    • G01N5/045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removing a component, e.g. by evaporation, and weighing the remainder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00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using variation of the resonant frequency of an element vibrating in contact with the material submitted to ana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붐대(140)와, 제1와이어휠(164)과, 일단부는 제1와이어휠(164)에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1붐대(140)에 고정결합되는 제1와이어(166)와, 제1붐대(140)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필름고정틀(180)로 이루어지는 필름 지지수단(10)과; 제2붐대(240)와, 제2와이어휠(264)과, 일단부는 제2와이어휠(264)에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2붐대(240)에 고정결합되는 제2와이어(266)와, 제2와이어휠(264)과 구동벨트(284)에 의해 연동되는 가이드휠(282)과, 가이드휠(282)에 권취되되 연장되는 일단부는 제2붐대(240)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가이드관(286)으로 이루어지는 방사선원 지지수단(20)과; 방사선 지지수단(20)의 가이드휠(28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차폐박스(30)와; 가동휠(46)과, 가이드장치(44)와, 일단부위는 차폐박스(30) 내부에 위치하되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가이드장치(44)를 거쳐 가동휠(46)에 권취되는 가동와이어(48)로 이루어지는 방사선원 이송수단(40)과; 가동와이어(48) 일단부위에 마련되되 방사선 이송수단(40)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관(286)의 내부 관로를 통해 제2돌출붐대(248) 상부까지 이동하는 방사선원(50)으로; 이루어지는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Non-destructive test equipment for pipe which located in high place}
본 발명은 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성 및 휴대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비계나 작업대 등이 없더라도 일정 수직높이를 가지며 설치된 각종 배관의 내부 상태를 비파괴방식으로 검사할 수 있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유류저장소 등에는 각종 산업용 배관들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관들은 일정길이로 이루어지는 개별 관을 용접 작업에 의해 상호 연결시켜 완성하게 된다. 개별 관의 용접 작업은, 배관 내부를 통과하는 각종 유체가 그 용접부위를 통해 누설되지 않도록 그 밀봉성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배관의 용접부위에 대한 결함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근자 널리 시행되고 있는 것이 비파괴 검사이며, 비파괴 검사 중에는 배관의 용접부위 일측에 필름을 배치한 다음, 배관의 용접주위 타측에서 배관의 용접부위를 방사선으로 투사하여 배관의 용접부위에 대한 결함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투사장치 및 필름이 배관의 용접부위 좌, 우측 각각에 위치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배관의 하부에 일정 수직높이의 비계나 작업대(이하 작업대) 등을 설치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전체 검사비용 및 검사시간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였다. 더욱이, 검사해야 하는 배관의 수직높이가 각기 다른 경우에는 서로 다른 작업대를 설치해야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 중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08332호가 있다. 이 기술은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회전 및 각도 조절부(10)가 구비되며, 붐대(30)의 상단에는 필름지지판을 착탈 및 고정시키는 필름지지판 고정부(40)가 구비되되, 회전 및 각도 조절부(10)는 플레이트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12)과, 고정판의 상단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13)과, 회전판의 상단에 구비되어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붐대지지구(31)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일정 수직높이를 가지는 배관에 대한 결함여부를 검사함에 있어 작업대가 필요 없다는 점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붐대(30)의 상단부위에 방사선 투사장치는 물론 필름지지판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동시에 장착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 기술은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붐대 자체가 수직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있지 못함으로써 붐대보다 높은 수직높이를 가지는 배관에 대해서는 별도의 수직이동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단점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08332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작업대를 준비하지 않더라도 지면으로부터 다양한 수직높이를 가지는 배관의 결함여부를 피파괴 방식으로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음은 물론, 배관에 대한 결함여부 작업을 매우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검사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지지판(120)과, 하단부는 제1지지판(120)의 중앙부위에 고정결합되며 상부 일측에는 롤러(143)가 마련되는 제1지지붐대(142)와 하부 일측 및 상부 일측 각각에 롤러(144, 146)가 마련되어 제1지지붐대(142)에 삽입되는 제1중간붐대(145)와 하부 일측에 롤러(147)가 마련되어 제1중간붐대(145)에 삽입되는 제1돌출붐대(148)로 이루어지는 제1붐대(140)와, 제1구동모터(162)에 의해 구동되며 제1붐대(14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지지판(120)에 고정결합되는 제1와이어휠(164)과, 일단부는 제1와이어휠(164)에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1지지붐대(142)의 롤러(143) 및 제1중간붐대(145)의 하, 상부 롤러(144, 146)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1돌출붐대(148)의 롤러(147)에 고정결합되는 제1와이어(166)와, 제1돌출붐대(148)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필름고정틀(180)로 이루어지는 필름 지지수단(10)과; 제2지지판(220)과, 하단부는 제2지지판(220)의 중앙부위에 고정결합되며 상부 일측에는 롤러(243)가 마련되는 제2지지붐대(242)와 하부 일측 및 상부 일측 각각에 롤러(244, 246)가 마련되어 제2지지붐대(242)에 삽입되는 제2중간붐대(245)와 하부 일측에 롤러(247)가 마련되어 제2중간붐대(245)에 삽입되는 제2돌출붐대(248)로 이루어지는 제2붐대(240)와, 제2구동모터(262)에 의해 구동되며 제2붐대(24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지지판(220)에 고정결합되는 제2와이어휠(264)과, 일단부는 제2와이어휠(264)에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2지지붐대(242)의 롤러(243) 및 제2중간붐대(245)의 하, 상부 롤러(244, 246)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2돌출붐대(248)의 롤러(247)에 고정결합되는 제2와이어(266)와, 제2와이어휠(264)과 구동벨트(284)에 의해 연동되되 제2와이어휠(264)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지지판(220)에 고정결합되는 가이드휠(282)과, 가이드휠(282)에 권취되되 연장되는 일단부는 제2지지붐대(242)의 일측을 관통하여 제2지지붐대(242), 제2중간붐대(245)의 각 내부를 거쳐 제2돌출붐대(248)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가이드관(286)으로 이루어지는 방사선원 지지수단(20)과; 방사선 지지수단(20)의 가이드휠(28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가이드관(286)의 타단부위가 일측면에 고정결합되는 차폐박스(30)와; 고정판(42)과, 고정판(42) 상면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가동휠(46)과, 가동모터(43)가 마련되어 가동휠(46)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판(42) 상면 타측에 고정결합되며 연결관(45)에 의해 차폐박스(30)와 연결되는 가이드장치(44)와, 일단부위는 차폐박스(30) 내부에 위치하되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가이드장치(44)를 거쳐 가동휠(46)에 권취되는 가동와이어(48)로 이루어지는 방사선원 이송수단(40)과; 가동와이어(48) 일단부위에 마련되되 방사선 이송수단(40)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관(286)의 내부 관로를 통해 제2돌출붐대(248)의 상부까지 이동하는 방사선원(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방사선 이송수단(40)의 가동와이어(48) 외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와이어(48)의 요철은 상기 가동모터(43)의 회전기어(432)와 고정기어(436) 사이에 치합되어 가동모터(43)의 작동에 따라 전,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며; 상기 제1붐대(140)의 제1중간붐대(145) 및 제2붐대(240)의 제2중간붐대(245)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름 지지수단(10)의 필름고정틀(180)은, 제1돌출붐대(148) 상부에 마련되는 링크절(186)과, 상기 링크절(186)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름거치대(182)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방사선원 지지수단과 필름 지지수단을 별도로 마련하되, 이들 각 지지수단은 롤러가 구비되는 복수 개의 붐대로 구성하고, 각 붐대에 구비되는 롤러는 와이어에 의해 작동되어 전체 붐대의 수직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다양한 수직높이를 가지는 배관에 대한 비파괴 검사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선원과 필름을 지지하는 수단을 별개로 구성하고, 방사선원은 방사선원 지지수단의 붐대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관을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배관에 대한 검사작업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방사선원에 대한 외부 피폭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 필름 지지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방사선원 지지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 있어 제1, 2지지붐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에 있어 제1, 2중간붐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c는 본 발명에 있어 제1, 2돌출붐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에 있어 제1, 2지지붐대 및 제1, 2중간붐대 상호간의 결합 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에 있어 제1, 2중간붐대 및 제1, 2돌출붐대 상호간의 결합 구성도.
도 6은 종래 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도 6에 개시된 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필름 지지수단(10)과 방사선원 지지수단(20), 차폐박스(30)와 방사선원 이송수단(40), 그리고 방사선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필름 지지수단(10)은 방사선원(50)에 의해 배관(P)의 결함여부를 시각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필름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필름 지지수단(10)은 제1지지판(120), 제1붐대(140), 제1와이어휠(164) 및 제1와이어(166), 필름고정틀(180)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판(120)은 필름 지지수단(1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일정두께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평판 형상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붐대(140)는 배관의 수직높이에 맞추어 필름고정틀(180)의 수직높이를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제1지지붐대(142)와, 제1중간붐대(145)와, 제1돌출붐대(148)로 이루어진다.
도 4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지지붐대(142)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부가 개구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부가 제1지지판(120)의 중앙부위에 고정결합되어 수직하게 기립한다. 또한, 제1지지붐대(142)의 상부 일측에는 롤러(143)가 마련된다. 롤러(143)는 통상적인 휠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지지붐대(142)의 상부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b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중간붐대(145)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 하부가 개구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지지붐대(142)의 상부를 통해 삽입된다. 제1중간붐대(145)의 하부 일측 및 상부 일측 각각에는 롤러(144, 146)가 마련된다. 이중에서, 제1중간붐대(145)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롤러(144)는 제1중간붐대(145)의 하부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롤러(146)는 제1지지붐대(142)의 롤러(143)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1중간붐대(145)가 도 2와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다양한 수직높이를 가지는 배관(P)에 대하여 더욱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 가장 큰 외경을 가지는 제1중간붐대가 제1지지붐대 상부를 통해 삽입한 다음, 이후 외경 크기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삽입하면 된다. 제1중간붐대가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각 제1중간붐대의 상, 하부 각각에는 동일한 구성의 롤러가 마련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4c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돌출붐대(148)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중간붐대(145)의 상부를 통해 삽입된다. 제1돌출붐대(148)의 하부 일측에는 롤러(147)가 마련된다. 롤러(147)의 구성은 제1중간붐대(145)의 하부 롤러(144)와 대동소이하다.
제1와이어휠(164)은 제1붐대(14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지지판(120)에 고정결합되며, 제1구동모터(162)에 의해 구동된다. 제1구동모터(162)는 통상적인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와이어(166)의 일단부는 제1와이어휠(164)에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1지지붐대(142)의 롤러(143) 및 제1중간붐대(145)의 하, 상부 롤러(144, 146)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1돌출붐대(148)의 롤러(147)에 고정결합된다. 제1와이어(166)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고정틀(180)은, 제1돌출붐대(148) 상단에 마련되며 필름(f)이 거치되는 부분이다. 필름고정틀(180)은 필름거치대(182)와 링크절(1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절(186)은 제1돌출붐대(148)의 상단부위에 설치되며, 필름거치대(182)는 링크절(186)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럴 경우, 굴절된 배관 구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방사선원 지지수단(20)은 방사선원(50)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2지지판(220), 제2붐배(240), 제2와이어휠(264) 및 제2와이어(266), 가이드휠(282), 가이드관(2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지지판(220)은 방사선원 지지수단(2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필름 지지수단(10)의 제1지지판(120)과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다.
제2붐대(240)는 배관(P)의 수직높이에 맞추어 방사선원(50)의 수직높이를 조절하는 부분이다. 방사선원(50)의 수직높이는 배관(P)을 사이에 두고 필름의 중앙부위와 맞추어진다. 제2붐대(240)는 제1붐대(140)와 동일하게 제2지지붐대(242)와, 제2중간붐대(245)와, 제2돌출붐대(248)로 이루어진다.
제2지지붐대(242), 제2중간붐대(245), 제2돌출붐대(248) 이들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a 내지 도 4c 각각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지지붐대(142), 제1중간붐대(145), 제1돌출붐대(148)와 동일하다.
즉, 제2지지붐대(242)의 하단부는 제2지지판(120)의 중앙부위에 고정결합되며 상부 일측에는 롤러(243)가 마련된다. 제2중간붐대(245)는 제2지지붐대(242)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며 하부 일측 및 상부 일측 각각에는 롤러(244, 246)가 마련된다. 제2돌출붐대(248)은 제2중간붐대(245)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며 그 하부 일측에는 롤러(247)가 마련된다. 또한, 제2중간붐대(245)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도 동일하다.
제2와이어휠(264)은 제2붐대(24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지지판(220)에 고정결합되며, 제2구동모터(262)에 의해 구동된다. 제2구동모터(262)는 통상적인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와이어(266)의 일단부는 제2와이어휠(264)에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2지지붐대(242)의 롤러(243) 및 제2중간붐대(245)의 하, 상부 롤러(244, 246)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2돌출붐대(248)의 롤러(247)에 고정결합된다. 제2와이어(266)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휠(282)은 제2와이어휠(264)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지지판(220)에 고정결합되며, 제2와이어휠(264)과는 구동벨트(284)에 의해 연동된다. 즉, 제2구동모터(262)의 작동에 따라 제2와이어휠(264)이 일방향(또는 타방향)으로 작동하면, 이에 연동되어 함께 일방향(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관(286)은 방사선원(50)이 이동하는 통로로서 가이드휠(282)에 권취되되, 일단부는 도 1과 같이 제2지지붐대(242)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된 다음, 제2지지붐대(242), 제2중간붐대(245), 제2돌출붐대(248) 각 내부를 거쳐, 제2돌출붐대(248)의 상부에 고정된다. 가이드관(286)의 일단부는 밀폐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방사선원(50)의 최종위치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가이드관(286)이 제2붐대(240)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위치하게 되면, 제2붐대(240)는 기립한 상태에서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관(286)의 외면은 방사선원(50)에 의한 외부 피폭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박스(30)는 방사선 지지수단(20)의 가이드휠(28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그 내부에는 차폐판이 마련된다. 차폐판은 납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관(286)의 연장되는 타단부위가 차폐박스(3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방사선원 이송수단(40)은 방사선원(50)을 이송시키는 수단으로서, 고정판(42), 가동휠(46), 가이드장치(44), 가동와이어(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각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고정판(42)은 방사선원 이송수단(4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일정넓이를 가지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정두께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휠(46)은 가동와이어(48)가 권취되는 부분으로서, 고정판(42) 상면 일측에 고정결합된다.
가이드장치(44)는 연결관(45)에 의해 차폐박스(30)와 연결되되, 가동휠(46)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판(42) 상면 타측에 고정결합된다. 가이드장치(44)에는 통상적인 모터로 이루어지는 가동모터(43)가 마련된다. 가이드장치(44) 내부에는 회전기어(432)와 고정기어(436)가 마련된다. 회전기어(432)는 가동모터(43)와 축연결되며, 고정기어(436)는 회전기어(436)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호형상으로 가이드장치(44) 내면에 마련된다.
가동와이어(48)는 일단부위는 차폐박스(30) 내부에 위치하며,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연결관(45) 및 가이드장치(44)를 거쳐 가동휠(46)에 권취된다. 가동와이어(48)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면에는 도면과 같이 요철이 마련된다. 이럴 경우, 가동모터(43)가 작동하면, 회전기어(432)와 고정기어(436) 사이에 치합된 가동와이어(48)는 가동모터(43)의 작동방향에 따라 전, 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된다.
방사선원(50)은 가동와이어(48)의 일단부위에 마련된다. 즉, 검사가 시작되기 이전, 그리고 검사가 완료된 이후에는 차폐박스(30) 내부의 차폐판에 의해 외부와 격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검사가 시작되면 가동와이어(48)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관(286) 내부 관로를 통해 제2붐대(240)의 제2돌출붐대(248) 상부측까지 이동하게 된다.
한편, 방사선원(50)은 도면과 같이 가이드봉(52)에 매개되어 그 일단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럴 경우, 가이드봉(52)의 타단부위는 가동와이어(48)의 일단부위와 결합된다. 가이드봉(52)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검사대상으로서 배관(P)이 정해지면, 배관(P)의 직하방을 기준으로 배관(P)의 일측에는 필름 지지수단(10)을 배치하고, 배관(P)의 타측에는 방사선원 지지수단(20)을 배치하며, 방사선원 지지수단(20)의 일측에 차폐박스(30) 및 방사선원 이송수단(40)을 각각 배치한 다음, 필름 지지수단(10)의 필름거치대(182)에 필름(f)을 거치하고, 필름(f)이 거치된 필름거치대(182)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필름(f)이 필름거치대(182)에 거치되어 각도가 조절되면, 제1구동모터(162)를 작동시켜 제1와이어휠(16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와이어휠(16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와이어(166)는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실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제1와이어휠(164)에 권취되고, 이에 따라 제1지지붐대(142)에 삽입되어 있던 제1중간붐대(145)는 점선과 같이 점차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제1지지붐대(142)에 대한 제1중간붐대(145)의 수직방향 상승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와이어휠(164)의 계속 회전하여 제1와이어(166)를 권취하면, 도 5b와 같이 제1와이어(166)의 실선방향 이동에 따라 제1중간붐대(145)에 삽입되어 있던 제1돌출붐대(148)가 점선과 같이 점차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제1돌출붐대(148)에 거치되어 있는 필름(f)의 중앙부위가 배관(P)의 중앙부위와 일치하면 제1구동모터(162)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필름 지지수단(10)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방사선원 지지수단(20)에 대해서도 동일한 작업을 반복한다. 즉, 제2구동모터(262)를 작동시켜 제2와이어휠(26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와이어휠(26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와이어(266)가 전술한 제1와이어(166)와 같이 이동하면서 제2와이어휠(264)에 권취되고, 동일한 작동원리에 따라 제2중간붐대(245) 및 제2돌출붐대(248)가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관(286)의 일단부위는 제2돌출붐대(248)의 내부 상측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휠(282)은 제2와이어휠(264)과 구동벨트(284)에 의해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휠(28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휠(282)에 권취되어 있던 가이드관(286)의 일단부위는 제2와이어(266)가 권취되는 만큼 가이드휠(282)에서 풀려나간다. 즉, 가이드관(286)은 제2돌출붐대(248)가 상승하는 수직높이만큼 가이드휠(282)에서 풀려나가게 되는 것이다.
제2돌출붐대(248) 내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가이드관(286)의 일단부위가 배관(P)의 중앙부위와 일치하면 제2구동모터(262)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필름 지지수단(10)의 필름(182) 중앙부위와 방사선원 지지수단(20)의 가이드관(286) 일단부위는 배관(P)을 기준으로 좌, 우측 각각에 위치하여 상호 대향한 상태로 정렬되며, 도 1은 이러한 상태를 보여준다.
배관(P)에 대하여 필름(182)의 중앙부위와 가이드관(286)의 일단부위가 정렬되면, 가동모터(43)를 작동시킨다. 가동모터(43)가 작동되면 가동휠(46)에 권취되어 있던 가동와이어(48)가 일방향으로 풀리면서 서서히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동와이어(48)의 일단부위에 장착되어 차폐박스(30)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방사선원(50)은 가이드관(286)의 타단부위를 통해 삽입된 다음 그 내부 관로를 따라 서서히 이동한다.
가동와이어(48)를 따라 이동한 방사선원(50)이 제2지지붐대(242), 제2중간붐대(245) 각 내부관로를 통해 이동한 다음, 가이드관(286)의 일단부위가 위치한 제2돌출붐대(248)의 상측까지 이동한다. 이후, 방사선원(50)은 밀폐된 가이드관(286)의 일단부위의 내면과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와이어(48)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면 가동모터(43)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가동모터(43)의 작동 제어는, 밀폐된 가이드관의 일단부위에 별도의 센서를 장착하여 방사선원(50)이 센서와 접촉할 때 가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을 것이다.
방사선원(50)이 가이드관(286)의 일단부위에 도달하게 되면, 방사선원(50)에서 생성된 방사선이 배관(P)를 투사한 다음 필름(182)을 감광시킨다. 이에 따라 배관(P)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필름(182)에 순차적으로 형상화된다.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충분한 정보가 형상화되면, 가동모터(43)를 역 방향으로 작동시켜 가동와이어(48)를 권취한다. 가동와이어(48)가 가동휠(46)에 권취되면, 방사선원(50)은 가동와이어(48)와 함께 가이드관(286) 내부 관로를 따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 방사선원(50)이 차폐박스(30) 내부로 회수되면 가동모터(43)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방사선원(50)이 회수되어 차폐박스(30) 내부에 위치하면, 제1, 2구동모터(162, 262)를 역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2와이어휠(164, 264) 각각에 권취되어 있던 제1, 2와이어(166, 266)가 서서히 풀리면서 제1, 2돌출붐대(148, 248)와 제1, 2중간붐대(145, 245) 각각은 순차적으로 제1, 2중간붐대(145, 245) 및 제1, 2지지붐대(142, 242)에 삽입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가이드휠(282)은 구동벨트(284)에 의해 제2와이어휠(264)와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제2와이어휠(264)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휠(282)도 역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관(286)은 가이드휠(282)에 서서히 권취된다. 즉, 제2붐대(240)의 수직높이만큼 상승하여 있던 가이드관(286)은 제1돌출붐대(248) 및 제2중간붐대(245)와 함께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가이드휠(282)에 권취되는 것이다.
제1, 2붐대(140, 240) 각각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제1, 2구동모터(162, 262)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필름 지지수단(10)에 거치되어 있던 필름(182)을 회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P)에 대한 검사작업은 완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필름 지지수단 20 : 방사선원 지지수단
30 : 차폐박스 40 : 방사선원 이송수단
50 : 방사선원

Claims (4)

  1. 제1지지판(120)과, 하단부는 제1지지판(120)의 중앙부위에 고정결합되며 상부 일측에는 롤러(143)가 마련되는 제1지지붐대(142)와 하부 일측 및 상부 일측 각각에 롤러(144, 146)가 마련되어 제1지지붐대(142)에 삽입되는 제1중간붐대(145)와 하부 일측에 롤러(147)가 마련되어 제1중간붐대(145)에 삽입되는 제1돌출붐대(148)로 이루어지는 제1붐대(140)와, 제1구동모터(162)에 의해 구동되며 제1붐대(14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지지판(120)에 고정결합되는 제1와이어휠(164)과, 일단부는 제1와이어휠(164)에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1지지붐대(142)의 롤러(143) 및 제1중간붐대(145)의 하, 상부 롤러(144, 146)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1돌출붐대(148)의 롤러(147)에 고정결합되는 제1와이어(166)와, 제1돌출붐대(148)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필름고정틀(180)로 이루어지는 필름 지지수단(10)과;
    제2지지판(220)과, 하단부는 제2지지판(220)의 중앙부위에 고정결합되며 상부 일측에는 롤러(243)가 마련되는 제2지지붐대(242)와 하부 일측 및 상부 일측 각각에 롤러(244, 246)가 마련되어 제2지지붐대(242)에 삽입되는 제2중간붐대(245)와 하부 일측에 롤러(247)가 마련되어 제2중간붐대(245)에 삽입되는 제2돌출붐대(248)로 이루어지는 제2붐대(240)와, 제2구동모터(262)에 의해 구동되며 제2붐대(24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지지판(220)에 고정결합되는 제2와이어휠(264)과, 일단부는 제2와이어휠(264)에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2지지붐대(242)의 롤러(243) 및 제2중간붐대(245)의 하, 상부 롤러(244, 246)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2돌출붐대(248)의 롤러(247)에 고정결합되는 제2와이어(266)와, 제2와이어휠(264)과 구동벨트(284)에 의해 연동되되 제2와이어휠(264)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지지판(220)에 고정결합되는 가이드휠(282)과, 가이드휠(282)에 권취되되 연장되는 일단부는 제2지지붐대(242)의 일측을 관통하여 제2지지붐대(242), 제2중간붐대(245)의 각 내부를 거쳐 제2돌출붐대(248)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가이드관(286)으로 이루어지는 방사선원 지지수단(20)과;
    방사선 지지수단(20)의 가이드휠(28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가이드관(286)의 타단부위가 일측면에 고정결합되는 차폐박스(30)와;
    고정판(42)과, 고정판(42) 상면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가동휠(46)과, 가동모터(43)가 마련되어 가동휠(46)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판(42) 상면 타측에 고정결합되며 연결관(45)에 의해 차폐박스(30)와 연결되는 가이드장치(44)와, 일단부위는 차폐박스(30) 내부에 위치하되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가이드장치(44)를 거쳐 가동휠(46)에 권취되는 가동와이어(48)로 이루어지는 방사선원 이송수단(40)과;
    가동와이어(48) 일단부위에 마련되되 방사선 이송수단(40)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관(286)의 내부 관로를 통해 제2돌출붐대(248)의 상부까지 이동하는 방사선원(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방사선 이송수단(40)의 가동와이어(48) 외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와이어(48)의 요철은 상기 가동모터(43)의 회전기어(432)와 고정기어(436) 사이에 치합되어 가동모터(43)의 작동에 따라 전,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며; 상기 제1붐대(140)의 제1중간붐대(145) 및 제2붐대(240)의 제2중간붐대(245)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름 지지수단(10)의 필름고정틀(180)은, 제1돌출붐대(148) 상부에 마련되는 링크절(186)과, 상기 링크절(186)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름거치대(18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13128A 2014-08-28 2014-08-28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 KR101670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128A KR101670467B1 (ko) 2014-08-28 2014-08-28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128A KR101670467B1 (ko) 2014-08-28 2014-08-28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303A KR20160027303A (ko) 2016-03-10
KR101670467B1 true KR101670467B1 (ko) 2016-10-31

Family

ID=5553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128A KR101670467B1 (ko) 2014-08-28 2014-08-28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4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753B1 (ko) 2013-05-07 2014-07-09 한국시설안전공단 Gpr 탐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332B1 (ko) 2007-12-21 2009-07-17 주식회사 한국공업엔지니어링 고공 작업시 비계가 필요 없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753B1 (ko) 2013-05-07 2014-07-09 한국시설안전공단 Gpr 탐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303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588B1 (ko) 굽은 강관 자동용접 장치
US78452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d testing lengths of pipe
CN107965633B (zh) 核电矩形变截面管道内部自动化探伤系统
JP2011514529A (ja) 容器や水槽の水中に位置する壁部位における損傷箇所の修繕装置
KR20200130961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CN105571790A (zh) 一种气密性检测装置
CN214663236U (zh) 一种基于x射线探伤机的锅炉焊接口无损检测装置
JP2002168992A (ja) 原子炉圧力容器内補修方法及び補修装置
KR101670467B1 (ko) 고소배관의 비파괴 검사장비
US3844164A (en) End area inspection tool for automated nondestructive inspection
JP6110735B2 (ja) Ut検査装置
CN108006365B (zh) 核电矩形变截面管道内部自动布片装置
KR101080937B1 (ko) 원자로 헤드 관통관의 유지보수 시스템
KR101798015B1 (ko) 잭업 리그의 레그 용접부 그라인딩 장치
CN216462563U (zh) 一种管材环缝焊接装置
CN105784739A (zh) 一种用于现场管道探伤的滚动拍片装置
CN105758878A (zh) 一种用于现场管道探伤的可移动拍片装置
CN107367623B (zh) 一种棒料自动探伤设备
US3844165A (en) End area inspection tool for automated nondestructive inspection
KR101488712B1 (ko) 원자로 헤드 검사 및 정비 장치의 이동플랫폼
JP6772562B2 (ja) 長尺管の製造設備
JP2004037390A (ja) 沸騰水型原子炉のcrdスタブチューブ溶接部の検査方法及び装置
CN216132966U (zh) 一种管道环焊缝无损检测装置
CN219016195U (zh) 一种塔身焊缝探伤仪
KR102434340B1 (ko)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