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570B1 -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570B1
KR101669570B1 KR1020140091230A KR20140091230A KR101669570B1 KR 101669570 B1 KR101669570 B1 KR 101669570B1 KR 1020140091230 A KR1020140091230 A KR 1020140091230A KR 20140091230 A KR20140091230 A KR 20140091230A KR 101669570 B1 KR101669570 B1 KR 10166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connecting block
steel material
plat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177A (ko
Inventor
김윤기
유근우
이우종
Original Assignee
에스지신성건설 주식회사
김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신성건설 주식회사, 김윤기 filed Critical 에스지신성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5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교대(10);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대(10)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블록(20); 상기 교대(10) 상부에 설치되는 교량받침(30); 및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블록(20)에 고정되는 거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대(10)를 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교대(10) 상에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거더(40)를 거치한 뒤,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더(40)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블록(20)을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거더(40) 및 상기 연결블록(20) 내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함과 동시에 슬라브(50)를 타설하는 제3 단계; 뒤채움 재료를 채우는 제4 단계; 및 접속슬라브(52)를 타설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블록의 강도가 증가되고, 철근 배근을 배제하여 시공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강재의 연결블록과 거더를 설치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방법이 효율적이며, 미관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END PART STRUCTURE OF BRIDGE CONTAINING SEMI-INTEGRAL ABUTMENT USING STE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일체식 교대 교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더를 일체화시키는 연결블록이 강재로 이루어지는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대 및 교각 상부에 다수 개의 거더가 설치되고, 이어지는 거더 사이에 조인트(신축이음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온도에 따른 상부구조물의 신축량을 조절한다. 하지만 조인트는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의 승차감을 저하시키고,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것이 무조인트 교량으로, 조인트 없이 구성되는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무조인트 교량 중 하나가 반일체식 교대 교량(SEMI-INTERGRAL ABUTMENT BRIDGE)으로, '특허문헌 1'에 게재되어 있다.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상부구조물의 신축량을 접속슬라브, 본선 포장부 사이에 줄눈형식으로 설치되는 신축조절장치 및 뒷채움 재료의 강성으로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부 구조물에 조인트가 별도로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승차감이 개선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 게재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병렬로 배치된 거더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거더 단부에 격벽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거더 제작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개선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이 '특허문헌 2'에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교대 상부에 PC블록을 설치하고, PC블록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거더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2'의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거더를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 PC블록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거더를 일체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거더를 연결시키는 PC블록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므로, 만약 거더가 강재로 이루어질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강재 거더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PC블록을 연결시키기 위해 별도의 장치와 추가 공정이 필요해 공사기간 및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강재 거더는 상대적으로 PC블록보다 가볍기 때문에 시공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강재와 콘크리트의 결합으로 인해 미관상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KR 10-1034013 B1 (2011. 5. 9.) KR 10-1389285 B1 (2014. 4. 2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강재 거더를 연결시키는 연결블록이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은 지반 상부에 설치되는 교대;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거더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교대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블록; 상기 교대 상부 중 상기 거더수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교량받침; 및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 개의 거더수용홀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블록에 고정되는 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블록 및 상기 거더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반 상에 교대를 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교대 상에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거더를 거치한 뒤,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거더수용홀이 형성되어 상기 거더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블록을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거더 및 상기 연결블록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슬라브를 타설하는 제3 단계; 상기 교대 및 연결블록 배면에 뒤채움 재료를 채우는 제4 단계; 및 상기 슬라브 후단으로 접속슬라브를 타설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연결블록의 강도가 증가되고, 철근 배근을 배제하여 시공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강재의 연결블록과 거더를 설치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방법이 효율적이며, 미관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교대에 배수홈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교대 및 연결블록의 사시도
도 4는 전단연결재가 설치된 연결블록의 정단면도
도 5는 조립식 연결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A' 단면의 평단면도
도 7은 도 2의 B-B' 단면의 평단면도
도 8은 연결블록에 보강텐던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연결블록에 보강빔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도 1의 평면도
도 11은 거더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이 시공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교대에 배수홈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교대 및 연결블록의 사시도, 도 4는 전단연결재가 설치된 연결블록의 정단면도, 도 5는 조립식 연결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A' 단면의 평단면도 및 도 7은 도 2의 B-B' 단면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은 지반 상부에 설치되는 교대(10);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거더수용홀(22)이 형성되며, 교대(10)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블록(20); 교대(10) 상부 중 거더수용홀(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교량받침(30); 및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거더수용홀(22) 각각에 삽입되어 연결블록(20)에 고정되는 거더(40)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교대(10)는 교량의 하부 구조물로서, 지반 상에 설치되어 상부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교대(10)는 중력식 교대, 반중력식 교대, 역T형 교대, 부벽식 교대, 라멘식 교대, 특수 교대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배수홈(12)은 배수로와 같이 물이 흐르는 홈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10) 상면에 형성되되, 후술할 연결블록(20)이 설치되는 위치와 후술할 교량받침(30)이 설치되는 위치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교대(10) 상부로 침투수가 유입되면, 배수홈(12)을 따라 유도 배수시켜 교량받침(3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블록(20)은 교대(10) 상부에 설치되어 흉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교대(10)와 후술할 거더(40)를 일체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연결블록(20)은 프리캐스트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종래와는 달리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콘크리트(C)가 충전된다. 그리고 후술할 거더(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블록(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수용홀(22)이 형성된다. 즉, 연결블록(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사이에 거더수용홀(22)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전면판(20a); 전면판(20a)에 대향배치되는 후면판(20b); 전면판(20a)과 후면판(20b) 사이에 연결되는 두 개의 측면판(20c); 및 전면판(20a)과 후면판(20b) 사이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홈(20e)이 형성되는 하면판(20d)으로 이루어지고, 홈(20e)은 거더수용홀(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더(40)를 일체화시키는 연결블록(20)이 강재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가벼워 운반성이 우수하고, 강성이 높아 연결블록(20) 내부에 별도의 보강철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자재비가 절감되며, 영구적인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거더수용홀(22)은 후술할 거더(40)가 수용되는 곳으로, 연결블록(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거더수용홀(22)은 다수 개의 전면판(20a)이 소정의 간격을 둠으로써 형성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블록(20)에 거더(40) 단부의 측단면 형상 및 크기와 일치하게 형성되어 거더(40) 단부가 끼워진다.
전단연결재(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의 두께가 몸체보다 두꺼운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블록(20) 내부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타설될 콘크리트(C)와의 결합력을 높인다. 전단연결재(24)는 연결블록(20) 내면에 복수 개가 전반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철근 없이도 콘크리트(C)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연결블록(20)은 조립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20a), 후면판(20b), 측면판(20c), 하면판(20d)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된다. 조립식 연결블록(20)은 부피가 큰 일체형에 비해 운반이 용이하므로, 운반 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작업 여건에 따라 각 면들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블록(20)의 후면판(20b)만 탈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블록(20)의 측면판(20c) 후단에 ㄷ자 형태의 슬라이딩홈(26)이 각각 형성되고, 후면판(20b)이 슬라이딩홈(26)에 체결된다. 이는 교량의 단부 구조물을 설치 후 연결블록(20)의 후면이 빈번하게 부식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콘크리트(C) 양생이 끝난 후에 후면판(20b)을 제거함으로써 재활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재 소요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블록(20)은 강재로 이루어져 영구적인 거푸집 역할과, 전면이 거더(40) 단부를 연결시키는 단부 가로보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경제적이며,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한편, 후면판(20b)은 상단이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접속슬라브(52)가 얹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은 연결블록에 보강텐던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정단면도 및 도 9는 연결블록에 보강빔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보강텐던(28)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스트레스텐던(PRE-STRESSED TENDON)으로 이루어져 연결블록(20)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 형태의 보강빔(29)이 연결블록(20)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연결블록(20) 내부에 별도의 철근 없이 설치되므로, 연결블록(20)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이 연결블록(20)의 강재만으로 부족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보강텐던(28)과 보강빔(29)은 위와 같은 상황에 대비하는 것으로, 연결블록(20) 내부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인장응력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교량받침(30)은 상부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교대(1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로, 교대(10) 상부에 설치되어 거더(40)를 지지한다. 교량받침(30)으로는 탄성받침이나 강재받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평면도 및 도 11은 거더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거더(40)는 상부 구조물을 받치는 구성요소로, 거더수용홀(22)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거더(40)는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져 내부에 콘크리트(C)가 타설된다. 본 발명은 연결블록(20)과 거더(40)의 재질이 강재로 통일되므로 일체화시키는데 용이하고, 미관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한편, 거더(40)는 연결블록(20)과 연결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양측에 전단키(44)가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블록(20) 내부에서 거더(40)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이 시공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슬라브(50)는 상부 구조물 중 바닥의 기초가 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40)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브(50) 후단으로는 접속슬라브(52)가 설치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반 상에 교대(10)를 시공하는 제1 단계; 교대(10) 상에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거더(40)를 거치한 뒤,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거더수용홀(22)이 형성되어 거더(40)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블록(20)을 설치하는 제2 단계; 거더(40) 및 연결블록(20) 내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함과 동시에 슬라브(50)를 타설하는 제3 단계; 교대(10) 및 연결블록(20) 배면에 뒤채움 재료를 채우는 제4 단계; 및 슬라브(50) 후단으로 접속슬라브(52)를 타설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단계는 지반 상에 수직으로 교대(10)를 시공하는 단계로서, 성토작업을 하고 지반에 파일을 시공한 뒤 그 위에 교대(10)를 시공한다.
제2 단계는 교대(10) 상에 거더(40)를 거치하고, 연결블록(20)을 설치하는 단계로, 거더(40)와 연결블록(20)은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진다. 연결블록(20)은 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거더수용홀(22)이 형성되어 거더(40)가 수용되고, 연결된 부분을 용접이나 볼트체결 등을 통해 고정시켜 연결블록(20)과 거더(40)를 일체화시킨다.
한편, 연결블록(2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바로 설치될 수 있지만, 작업 환경에 따라 조립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블록(20)이 조립형으로 형성될 경우, 제2 단계는 거더(40)를 거치한 뒤, 전면판(20a), 후면판(20b), 측면판(20c), 하면판(20d)을 조립함으로써 연결블록(20)과 거더(40)를 일체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거치된 거더(40) 사이 사이에 전면판(20a)을 설치하고, 후면판(20b), 측면판(20c), 하면판(20d)을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각 판의 조립되는 순서는 작업자의 편의에 맞게 바꾸어도 무방하다.
제3 단계는 연결블록(20)과 거더(40) 내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슬라브(50)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이때, 교대(10)에 거더(40)를 거치하기 전 교량받침(3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은 연결블록(20)과 거더(40)가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져 일체형으로 결합됨으로써 콘크리트(C) 타설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슬라브(50)의 타설 역시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4 단계는 교대(10)와 연결블록(20) 배면의 공간에 뒤채움 재료를 채우는 단계로서, 뒤채움 재료로는 돌(자갈)이나 콘크리트 등이 사용된다. 따라서 뒤채움 재료들이 교대(10)의 후방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제5 단계는 접속슬라브(52)를 타설하는 단계로서, 슬라브(50)의 후단으로 접속슬라브(52)를 타설한다.
10: 교대 12: 배수홈
20: 연결블록 20a: 전면판
20b: 후면판 20c: 측면판
20d: 하면판 20e: 홈
22: 거더수용홀 24: 전단연결재
26: 슬라이딩홈 28: 보강텐던
29: 보강빔 30: 교량받침
40: 거더 44: 전단키
50: 슬라브 52: 접속슬라브

Claims (7)

  1. 지반 상부에 설치되는 교대(10);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거더수용홀(22)이 형성되며, 상기 교대(10)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블록(20);
    상기 교대(10) 상부 중 상기 거더수용홀(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교량받침(30) 및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 개의 거더수용홀(22)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블록(20)에 고정되는 거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블록(20) 및 상기 거더(40) 내부에 콘크리트(C)가 충전되고,
    상기 연결블록(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사이에 상기 거더수용홀(22)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전면판(20a);
    상기 전면판(20a)에 대향배치되는 후면판(20b);
    상기 전면판(20a)과 상기 후면판(20b) 사이에 연결되는 두 개의 측면판(20c) 및
    상기 전면판(20a)과 상기 후면판(20b) 사이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거더수용홀(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홈(20e)이 형성되는 하면판(20d)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20)의 상기 후면판(20b)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면판(20c) 후단에 ㄷ자 형태의 슬라이딩홈(2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20b)은 상기 슬라이딩홈(26)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20) 내부면에 전단연결재(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20) 내부에 횡방향으로 보강텐던(28) 또는 보강빔(29)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6. 지반 상에 교대(10)를 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교대(10) 상에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거더(40)를 거치한 뒤, 박스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거더수용홀(22)이 형성되어 상기 거더(40)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블록(20)을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거더(40) 및 상기 연결블록(20) 내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함과 동시에 슬라브(50)를 타설하는 제3 단계;
    상기 교대(10) 및 연결블록(20) 배면에 뒤채움 재료를 채우는 제4 단계 및
    상기 슬라브(50) 후단으로 접속슬라브(52)를 타설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블록(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사이에 상기 거더수용홀(22)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전면판(20a); 상기 전면판(20a)에 대향배치되는 후면판(20b); 상기 전면판(20a)과 상기 후면판(20b) 사이에 연결되는 두 개의 측면판(20c); 및 상기 전면판(20a)과 상기 후면판(20b) 사이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거더수용홀(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홈(20e)이 형성되는 하면판(20d)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거더(40)를 거치한 뒤, 상기 전면판(20a), 상기 후면판(20b), 상기 측면판(20c), 상기 하면판(20d)을 조립함으로써 상기 연결블록(2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의 시공방법.
  7. 삭제
KR1020140091230A 2014-07-18 2014-07-18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6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230A KR101669570B1 (ko) 2014-07-18 2014-07-18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230A KR101669570B1 (ko) 2014-07-18 2014-07-18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177A KR20160010177A (ko) 2016-01-27
KR101669570B1 true KR101669570B1 (ko) 2016-10-26

Family

ID=5530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230A KR101669570B1 (ko) 2014-07-18 2014-07-18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7323B (zh) * 2016-10-27 2018-04-27 四川西南交大土木工程设计有限公司 城市桥梁超高韧性混凝土横向挡块构造
KR20190014332A (ko) 2017-08-02 2019-02-12 허인구 대구경 강관파일과 상부콘크리트를 이용한 일체형 교각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209709B1 (ko) * 2020-06-05 2021-01-29 포엠 주식회사 포켓형 코핑부가 구비된 조립식 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32907B1 (ko) * 2020-08-20 2021-03-26 (주)국성건설엔지니어링 슬래브 일체형 psc거더 교량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85B1 (ko) * 2013-09-30 2014-04-25 이유미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335B1 (ko) * 2002-07-22 2004-10-15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단부 연결용 브래킷과, 이를이용하여 연속화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교량 및그 단부의 연속화 공법
KR101034013B1 (ko) 2011-01-06 2011-05-09 (주)지승컨설턴트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85B1 (ko) * 2013-09-30 2014-04-25 이유미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177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570B1 (ko) 강재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11895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KR102061224B1 (ko) 상하분리형 프리캐스트 암거 박스 및 그 시공 방법
KR101389285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KR10110782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횡방향 연결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034013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KR101318773B1 (ko) I형 콘크리트 충진거더와 바닥판을 일체로 결합한 t형 합성 단위거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1260863B1 (ko) 아치형 피에스씨빔을 이용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315290B1 (ko) 옹벽의 확장형 프리캐스트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KR100936944B1 (ko) 연속화 거더 및 거더의 연속화 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1613784B1 (ko) 조인트 노후 교량을 무조인트 교량으로 시공하는 방법
JP2004232328A (ja) 半プレキャスト式アーチカルバート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00296B1 (ko) 스템형상을 갖는 격벽교대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104298B1 (ko) 횡방향 긴장없이 중공박스체로 제작되는 측면빔과 슬래브를 일체화시켜 시공되는 하로교 시공방법
KR102014418B1 (ko)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0758711B1 (ko) 중공 형강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의 상부를 콘크리트속채움한 구성을 가진 복공판
KR100727683B1 (ko)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KR101196343B1 (ko)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KR101530761B1 (ko) 라멘교의 슬라브 연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라멘교 시공방법
JP7081744B2 (ja) 基礎梁構造及び基礎梁構築方法
KR101041435B1 (ko) 아치형 슬라브용 일체형 거더를 이용한 슬라브 구조체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10127399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사이의 연결콘크리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