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719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719B1
KR101667719B1 KR1020100069217A KR20100069217A KR101667719B1 KR 101667719 B1 KR101667719 B1 KR 101667719B1 KR 1020100069217 A KR1020100069217 A KR 1020100069217A KR 20100069217 A KR20100069217 A KR 20100069217A KR 101667719 B1 KR101667719 B1 KR 101667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display
touch
touch sen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395A (ko
Inventor
선필원
문병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9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7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감지를 위한 수단을 다양화시킴으로써 입력이나 제어의 방법을 확장시키고 사용자의 편의를 높인 휴대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 입력 가능한 전면(front surface)을 갖는 본체; 및 상기 전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투광성 플립을 포함하고, 상기 플립은, 투광성의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립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터치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에 의하여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한꺼번에 탑재됨으로써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보다 심플하고도 슬림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터치에 의한 입력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터치감지를 위한 수단을 다양화시킴으로써 입력이나 제어의 방법을 확장시키고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 입력 가능한 전면(front surface)을 갖는 본체; 및 상기 전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투광성 플립을 포함하고, 상기 플립은, 투광성의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립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터치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터치감지층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제1면에 위치하는 제1터치감지층; 및 상기 제1면의 반대쪽인 제2면에 위치하는 제2터치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의 전면의 내측에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본체 터치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투광성 플립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터치감지층 내지 본체 터치감지부 중의 어느 하나만 활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투광성 플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층이 활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제2디스플레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특정의 모드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키에 의하여 구성된 키패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내용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터치감지층에 의하여 감지된 제1터치 및 상기 제1터치감지층에 의하여 감지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상기 제2터치감지층에 의하여 감지된 제2터치에 의한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투광성 플립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는 후면 플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후면 플립은 본체를 일정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후면 플립은 상기 후면 플립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터치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투광성의 플립은 본체의 전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터치에 의한 입력을 가능하게 하므로 입력수단의 다양성에 기여한다. 또한, 투광성 플립에 장착되는 투광성의 디스플레이는 본체의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투광성 플립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와 관련되어, 본체에 장착되는 키입력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1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2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8은 투광성 플립의 후면에 가해진 터치를 이용하여 입력을 하는 개념을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투광성 플립의 양면에 가해진 터치를 이용하여 입력을 하는 개념을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투광성 플립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101)와 본체(10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플립(110)을 포함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자책, 휴대용 컴퓨터(팜탑, 테블릿 PC, 랩탑, PDA 등),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 게임기,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MP3 player, portable media player(PMP)), 네비게이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1)는 대략 바(bar) 형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전면(front surface)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출력 수단을 갖추고 있다. 형상 또는 구조의 면에서 본체(101)는 바타입 뿐만 아니라,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플립은 2 이상의 바디 중 어느 하나의 바디에 장착되거나, 복수의 바디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로 구분되거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01)의 전면은 음향출력부(122), 디스플레이부(121), 제1키입력부(124), 영상입력부(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22)는 주로 통화음, 각종 시스템 알림음 또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음 등을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음향출력부(122)는 다이나믹 스피커 형태로 구성되거나, 골전도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21)는 디스플레이부(12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갖는 여러 모드에서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본체 터치감지부(130; 도 3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21)는 '터치스크린'이라 불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본체 터치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1)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체 터치감지부(130)는 투광성의 터치감지부를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구조를 포함한다.
영상입력부(123)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 위치되는 영상입력부(123)는 주로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는 것이므로 화상통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며, 추가적으로 단말기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키입력부(124)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제1키입력부(124)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부(1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키입력부(124)는 몇 가지의 간단한 키 조합에 의하여 단말기의 온/오프, 잠금/잠금해제, 선택 등과 같은 유용한 기능입력을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체(101)의 측면에는 음향입력부(125), 인터페이스부(127), 제2키입력부(128), 안테나(12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음향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2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2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키입력부(128)는 제1키입력부(124)와 더불어 조작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키입력부(128)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2키입력부(128)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키입력부(128)에 의하여, 영상입력부(123)의 제어, 음향출력부(12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2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체(101)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26)는 본체(101)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1)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상세히 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1)에는 본체(101)의 전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는 투광성 플립(110)이 연결되어 있다. 투광성 플립(110)은 장대화된 디스플레이(121) 또는 터치스크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이물이 묻는 것을 차단하는 것 외에 본 발명에서는 화면의 제공 및 터치입력을 제공한다. 투광성 플립(110)은 적어도 디스플레이부(121)의 영역만큼은 내부의 디스플레이부(121)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을 가질 수 있으며,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부분적으로 불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플립(110)은 본체(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121) 및 제1키입력부(124)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서, 투광성 플립(110)은 그 일단이 본체(101)와 힌지(11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다만, 힌지(115)는 회전을 지지하는 구조 외에, 가요성이 있는 재질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대체되는 것도 가능하다.
투광성 플립(110)은 투광성 디스플레이(111)와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투광성 플립(110)이 중간에 배치되어 있는 투광성 디스플레이(111)와, 투광성 플립(110)의 닫히는 내측면에 위치하는 제1터치감지층(112) 및, 투광성 플립(110)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제2터치감지층(113)으로 이루어진 예를 보이고 있다.
투광성 디스플레이(111), 제1터치감지층(112) 및 제2터치감지층(113)은 모두 연성이 있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 경우 투광성 플립(110)은 전체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투광성 디스플레이(111)는 이 페이퍼, 이 잉크, 투명 LCD, 또는 투명 OLED 등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제1터치감지층(112) 및 제2터치감지층(113)은 투광성의 모재에 투명한 전극이 증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투광성 디스플레이(111)와 제1터치감지층(112) 및 제2터치감지층(113)은 상호 접착되어 일체로 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이들을 지지하는 마운트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투광성 플립(11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본체(101)의 내부에는 플립 개폐 감지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플립 개폐 감지부(141)는 근접센서, 자기센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투광성 플립(110)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1)의 자세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본체(101)에는 본체(101)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감지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세감지부(142)는 가속도센서 또는 자이로센서 등의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키입력부(124)는 투광성 플립(110)이 열려진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투광성 플립(110)이 덮여지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키입력부(124)는 클릭감이 우수한 돔 스위치(146)와 회로기판(145)을 구비할 수 있다. 투광성 플립(11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제1키입력부(124)에 의하여 투광성 플립(110)이 들뜨지 않도록 제1키입력부(124)의 상면은 적어도 본체(101)의 표면과 같은 높이의 표면을 이루거나 그보다 들어가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1키입력부의 다른 예로서, 터치입력이 가능한 것을 제시하고 있다. 즉, 도 5는 도 4와 관련되어, 본체에 장착되는 키입력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제1키입력부는 터치키(124')와 회로기판(145')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하,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1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2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투광성 플립(110)은 그 자체로 투광성 디스플레이(111)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와 더불어 동시에 실행가능한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플립개폐 감지부(141)로부터 투광성 플립(110)이 닫혀 있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본체 터치감지부(130)와 투광성 플립(110)의 제1터치감지층(112) 또는 제2터치감지층(113)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 중 하나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자원의활용을 줄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본체 터치감지부(130)와 투광성 플립(110)의 제1터치감지층(112) 및 제2터치감지층(113)은 정전식(capacitive) 또는 정압식(resistive)으로 구현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예로서, 본체 터치감지부(130)와 투광성 플립(110)의 제1터치감지층(112) 및 제2터치감지층(113) 중의 일부는 정전식으로 구현되고 나머지는 정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를 사용하는데 용이한 정압식 방법의 장점과, 멀티 터치의 적용이 용이한 정전식 방법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에 따라 이들 본체 터치감지부(130)와 투광성 플립(110)의 제1터치감지층(112) 및 제2터치감지층(113) 중의 적절한 수단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드에 따른 본체 터치감지부(130)와 투광성 플립(110)의 제1터치감지층(112) 및 제2터치감지층(113)의 선택 결과는 기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광성 플립(110)이 닫힌 상태에서 어느 화면을 제공할 것인가에 대하여, 제어부(180)는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 및 투광성 플립의 투광성 디스플레이(11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와 투광성 플립(110)의 투광성 디스플레이(111)를 모두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가 특정의 화면을 출력하고 있을 때 투광성 디스플레이(111)는 보조 정보를 문자,그래픽, 아이콘 등의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보다 풍부한 정보 또는 상태를 구현한다. 이른바,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구조라고 볼 수 있다.
투광성 플립(110)이 닫힌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100)가 갖는 통화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투광성 플립(110)은 이를 위하여, 음향출력부(122)의 음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의 면에 있어서도, 도 1과 같이, 사용자는 투광성 플립(110)에 대하여 터치를 함으로써 필요한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자세 감지부(142)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각종 출력 수단, 예를 들어 본체(101)의 디스플레이부(121) 또는 투광성 디스플레이(111), 나아가 음향출력부(122) 등을 통하여 다양한 결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광성 플립(110)이 열린 상태에서도 본체 터치감지부(130)와 투광성 플립(110)의 제1터치감지층(112) 및 제2터치감지층(113)은 선택적으로 활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투광성 플립(110)이 열려진 상태에서 활용하는 일 예를 보인다.도 6은 투광성 플립(110)의 투광성 디스플레이(111)에 쿼티 키패드가 출력되고 있고, 사용자가 투광성 플립(110)에 대하여 터치를 하면, 그 결과가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에 출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투광성 플립(110)의 열림은 그 자체로 다양한(투광성 디스플레이(111)에 의하여 제공되는 화면이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수단의 제공을 의미한다.
도 7은 도 6과 반대로,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에 쿼티 키패드가 출력되어 있고, 사용자가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에 터치를 하면, 그 결과가 투광성 디스플레이(111)의 출력되는 모습을 보인다.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본체(101)를 잡고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도 6 또는 도 7과 달리, 투광성 플립(110)의 투광성 디스플레이(111)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터치감지층(112) 또는 제2터치감지층(113) 중의 어느 하나만을 활용함으로써 이른바 '터치패드'의 형태로 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와 투광성 플립(110)의 투광성 디스플레이(111)는 상호 조합됨으로서 보다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투광성 디스플레이(111)는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관련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투광성 플립의 후면에 가해진 터치를 이용하여 입력을 하는 개념을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즉, 도 8과 같이, 투광성 플립(110)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투광성 플립(110)의 후면에 가해진 터치(T)는 제1터치감지층(112) 또는 제2터치감지층(113)에 의하여 감지되어 입력작용이 실행된다. 이 경우, 터치입력을 하는 과정에서 투광성 플립(110)의 전면이 가려지지 않으므로 편의가 증진된다.
도 9는 투광성 플립의 양면에 가해진 터치를 이용하여 입력을 하는 개념을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상대적으로 얇으면서도, 투광성을 갖는 투광성 플립(110)은 양면 터치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입력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예로서,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는 제1터치감지층(112)에 의하여 감지된 제1터치(T1) 및 제1터치감지층(112)에 의하여 감지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제2터치감지층(113)에 의하여 감지된 제2터치(T2)에 의한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 의하면, 투광성 플립(110)의 전면에 가해진 제1터치(T1)와 투광성 플립(110)의 후면에 가해진 제2터치(T2)를 모으는 행위(제스처)를 하면, 본체(101)의 디스플레이(121)에 출력되었던 화면(M1)이 줄어든 형태(M2)로 출력되도롤 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양면 터치의 기능은 보다 확장되어 보다 다양한 결과를 도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일 사용 상태도이다.
본 예 휴대 단말기(200)는, 전면 플립(210) 외에 본체(201)의 후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는 후면 플립(250)이 추가적으로 장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후면 플립(250) 또는 전면 플립(210)은 본체(201)를 일정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후면 플립(250) 또한 후면 플립(250)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터치 입력 가능한 전면(front surface)을 갖는 본체; 및
    상기 전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투광성 플립을 포함하고,
    상기 플립은,
    투광성의 제1디스플레이;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제1면에 위치하는 제1터치감지층; 및
    상기 제1면의 반대쪽인 제2면에 위치하는 제2터치감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제2디스플레이가 배치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터치감지층에 의하여 감지된 제1터치 및 상기 제1터치감지층에 의하여 감지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상기 제2터치감지층에 의하여 감지된 제2터치에 의한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의 내측에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본체 터치감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립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터치감지층 내지 본체 터치감지부 중의 어느 하나만 활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터치감지층 중 어느 하나가 활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특정의 모드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키에 의하여 구성된 키패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내용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플립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는 후면 플립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플립은 본체를 일정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플립은 상기 후면 플립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터치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069217A 2010-07-16 2010-07-16 휴대 단말기 KR101667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217A KR101667719B1 (ko) 2010-07-16 2010-07-16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217A KR101667719B1 (ko) 2010-07-16 2010-07-16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95A KR20120008395A (ko) 2012-01-30
KR101667719B1 true KR101667719B1 (ko) 2016-10-19

Family

ID=4561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217A KR101667719B1 (ko) 2010-07-16 2010-07-16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7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094A (ja) 1997-12-17 2001-12-04 コムラッティ,アトス 2つのフラットスクリーンを有するポータブル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2002366283A (ja) 2001-06-07 2002-12-20 Ricoh Co Ltd 販売支援装置、販売支援方法、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6282B1 (en) * 2004-01-06 2006-11-14 Carlton Rebeske Tablet laptop and interactive conferencing station system
KR101537685B1 (ko) * 2008-06-04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094A (ja) 1997-12-17 2001-12-04 コムラッティ,アトス 2つのフラットスクリーンを有するポータブル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2002366283A (ja) 2001-06-07 2002-12-20 Ricoh Co Ltd 販売支援装置、販売支援方法、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95A (ko)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443B1 (ko) 파우치 및 이에 수납되는 휴대 전자기기
US20220187870A1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US1129449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rotective cas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80217709A1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JP4937677B2 (ja) タッチパッドを備えた携帯端末機
KR101553842B1 (ko) 멀티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20504B1 (ko) 휴대 단말기
US9137353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employed in electronic device
US20100328250A1 (en) Implementation of Touchpad on Rear Surface of Single-Axis Hinged Device
KR20160056778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19770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1183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445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7719B1 (ko) 휴대 단말기
KR2013005912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337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U2012202122B2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AU2013204587B2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KR2014014412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5022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