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681B1 - 입체카드 - Google Patents

입체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681B1
KR101666681B1 KR1020160078977A KR20160078977A KR101666681B1 KR 101666681 B1 KR101666681 B1 KR 101666681B1 KR 1020160078977 A KR1020160078977 A KR 1020160078977A KR 20160078977 A KR20160078977 A KR 20160078977A KR 101666681 B1 KR101666681 B1 KR 10166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mensional
back plate
card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명
Original Assignee
김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명 filed Critical 김재명
Priority to KR102016007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4Foldable or multi-part cards or sheets
    • B42D15/042Foldable cards or sheets

Landscapes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카드를 개시한다. 각종 행사 등을 알리거나 초대하기 위한 초대장 등으로 이용되며, 개폐상태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가변형 입체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드는 사용자가 카드 본체를 당기거나 미는 동작을 통해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창이 순차적으로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수신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흥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체카드{A SOLID CARD}
본 발명은 입체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행사 등을 알리거나 초대하기 위한 초대장 등으로 이용되며, 개폐상태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가변형 입체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식, 회갑 및 돌잔치 등 각종 행사에 초대하는 초대장 또는 한 해가 저물 무렵 새해의 평안을 기원하는 연하장 등은 종이재질의 사각 카드가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종이카드는 통상적으로 중심부가 접힌 한 장의 종이내부에 수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 약도, 교통편안내 등의 여러 정보를 인쇄한 형태이다. 또한, 최근의 종이카드의 한 종류로서, 편지형 또는 카드형 등의 평면적인 것을 벗어나, 시각적 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입체화된 형상을 갖는 입체카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입체카드는 입체형상이 카드 본체 자체에 양각 또는 음각부를 이루거나, 또는 카드를 펼쳤을 때 입체구조가 튀어나오는 수준의 것으로서, 초기의 흥미를 유도할 수는 있으나, 그러한 관심이 오래 지속될 정도의 독창성을 갖거나, 또는 심미성을 극대화하기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입체카드는 단독으로 정보전달 이외에 기능을 갖지 못함에 따라, 일반적인 종이카드에 장식미를 추가한 것 이외에 종이카드로서 1차적 기능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수준이 아닌, 수신자가 카드 본체를 당기거나 미는 동작을 통해 복수의 표시창을 넘겨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수신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흥미를 극대화한 입체카드를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엽서 형태의 단순 카드가 아닌, 거치수단을 구비하여 진열대 또는 장식장 등에 기재된 내용을 전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입체카드를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드는 제1 절곡선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접혀 배면이 서로 부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표시창을 구비하는 입체부; 상기 입체부의 제1 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절곡선에 의해 후 3 측단이 이 후 방향으로 접혀 서로 접착됨에 따라 내부공간을 이루는 전면판을 구비하는 수납부; 및 상기 입체부의 제2 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절곡선에 의해 후 방향으로 접혀 배면이 서로 부착됨에 따라 형성되며 일측단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배면판을 구비하는 홀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창은, 하나가 이웃한 제1 및 제2 표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제2 표시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는, 배면의 모든 영역에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배면으로 미접착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는, 각각 별도의 종이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는, 상기 홀드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홀드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홀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모든 미접착영역이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모든 미접착영역이 상기 배면판에 접촉되는 상태까지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3 측단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두 측단과 이격되어 접힘에 따라, 상기 홀드부의 제1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드부는, 상기 배면판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판은, 상기 확장부가 상기 제3 절곡선에 의해 접혀 전면방향에서 부착됨에 따라, 단면이 2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카드 본체를 당기거나 미는 동작을 통해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창이 순차적으로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수신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흥미를 극대화한 입체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입체카드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드의 펼쳐진 상태에 따른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드에 대한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에 의해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입체카드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체카드는 제1 절곡선(L1)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접혀 배면이 서로 부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표시창을 구비하는 입체부(100)와, 상기 입체부(100)의 제1 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절곡선(L2)에 의해 후 3 측단이 후 방향으로 접혀 서로 접착됨에 따라 내부공간을 이루는 수납부(200)와, 상기 입체부(100)의 제2 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절곡선(L3)에 의해 후 방향으로 접혀 배면이 서로 부착됨에 따라 형성되며 일측단이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는 배면판을 구비하는 홀드부(300)를 포함한다.
입체부(100)는, 초대장 및 연하장 등의 글, 그림 및 사진 등의 내용이 부착되거나 인쇄되는 복수의 표시창(110)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나의 종이원단이 제1 절곡선(L1)을 중심으로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교번하여 접히고, 일면이 접착됨에 따라 다수의 돌출형태의 창을 이루는 구조이다.
이러한 입체부(10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단이 수납부(2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우측단은 홀드부(300)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양손으로 수납부(200) 및 홀드부(300)를 잡은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복수의 표시창(110)이 순차적으로 우방향 및 좌방향으로 넘겨지게 됨으로서, 사용자가 표시창(110)에 포함된 내용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하나의 표시창(110)은 평면으로 펼쳐졌을 때 이웃한 두 표시부(111, 112)로 구분될 수 있으며, 홀드부(300)의 이동에 따라 180°로 넘겨져 다음 페이지를 노출하게 된다.
수납부(200)는, 입체부(100)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후술하는 홀드부(300)의 배면판(310)이 삽입되는 것으로, 하나의 종이원단이 제2 절곡선(L2)에 의해 후 방향으로 접히며 3방향이 폐쇄되고 1방향이 개구되어 내부공간을 갖는 봉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개구부분에는 홀드부(300)의 배면판(310)이 삽입되어 있다.
홀드부(300)가 좌측방향으로 밀어짐에 따라 수납부(200)에 삽입되면, 표시창(110)이 우측방향으로 적층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분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수납부(200)의 상하 측단(320)은 상기 표시창(110)이 밀려들어갈 수 있도록 측부(220)에 의해 소정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홀드부(300)가 우측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수납부(200)로부터 추출되면, 표시창(110)은 전면판(210)의 상부로 표시창(110)이 적층되게 된다.
그리고, 수납부(200)의 양측단에는 표시창(110) 및 배면판(310)이 삽입됨에 따라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창(110)과 동일하게 전면판(210) 및 배면판(310)의 표면 여유공간에도 초대장 및 연하장 등의 글, 그림 및 사진 등의 내용이 부착되거나 인쇄될 수 있다.
홀드부(300)는 입체부(100)의 우측단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배면판(310)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손으로 입체카드를 당기거나 밀 수 있도록 잡는 부분이 된다. 홀드부(300)가 우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연결된 표시창(110) 또한 좌 방향으로 넘겨지게 되고, 좌 방향으로 밀리면, 표시창(110)이 우방향으로 넘겨져 배면판(310)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된다.
특히, 배면판(310)은 하나의 종이원단이 제3 절곡선(L3)에 의해 접혀 2중층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입체카드의 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드의 펼쳐진 상태에 따른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2a는 홀드부(300)가 좌 방향으로 밀려짐에 따라 입체부(100)가 우방향으로 완전히 젖혀진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도 2b는 하나의 표시창(110)이 정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2c는 홀드부(300)가 우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입체부(100)가 좌방향으로 완전히 젖혀진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초대장 등이 봉투에 담겨 수신자에게 배송되거나 전달될 때는 입체카드의 폭이 최소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드부(300)를 좌 방향으로 밀어 수납부(200)에 최대한 삽입하여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납부(200)의 전면판(210)은 전 영역이 정면으로 노출되며 우측단으로 연결된 입체부(100)가 배면판(300)의 상부로 적층되게 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체카드의 내용을 보고자 하는 경우, 홀드부(300)를 우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입체부(100)의 표시창(110)이 우에서 좌 방향으로 넘겨지게 되고, 내용이 인쇄된 표시창(110)의 좌우 표시부(111, 112)가 순차적으로 정면방향에서 노출되도록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홀드부(300)의 배면판(310)은 수납부(200)에서 어느 정도 추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홀드부(300)를 우 방향 또는 좌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각 표시창(110)의 전 후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표시창(110)에 인쇄된 내용물이 각 페이지별로 연관관계를 갖는 이미지, 즉 애니메이션과 같은 연속된 동작이 표현된 이미지들이라면, 사용자가 홀드부(300)에 대한 동작으로 움직이는 객체를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2c를 참조하면, 홀드부(300)가 최대한 당겨짐에 따라, 입체카드가 최대 폭을 갖는 상태로서, 입체부(100)가 수납부(200)의 전면판(210)상에 적층되고, 배면판(310)의 표면은 정면방향에서 완전히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입체카드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인쇄된 표시창을 제공할 수 있는 독창적인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입체부(100), 수납부(200) 및 홀드부(300)는 하나의 종이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종이원단의 가공과 입체카드의 제조방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둘 이상의 별도의 종이원단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드의 전개도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접착을 위한 양면 접착 스티커 또는 테이프가 구비되는 위치를 알파벳 대문자로 표기하고 있고, 양면 접착 스티커에 의해 부착되는 위치를 알파벳 소문자로 표기하고 있으며, 따라서 입체카드의 제조시 동일 알파벳으로 기재된 부분이 서로 접착되는 구조가 된다(ex. A-a부, J-j부 등).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드에 대한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접힌 상태에서 가로 및 세로길이가 약 21cm ×11cm, 펼쳐진 상태에서 가로 및 세로길이가 약 28cm ×11cm 인 입체카드의 제조를 위한 전개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체카드는 두 장의 종이원단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입체부(100)의 일부 및 수납부(200)를 구성하는 제1 전개도(도 3a) 및 입체부(100)의 일부 및 홀드부(300)를 구성하는 제2 전개도(도 3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전개도에서 입체부(100)는 제1 절곡선(L1)에 의해 전 방향 및 후 방향으로 접혀지며, 이웃하는 제1 및 제2 표시부(111, 112)가 서로 배면방향으로 접착되는 형태로 하나의 페이지를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표시부(112)의 배면으로는 양면 접착스티커가 부착되게 된다.
특히, 제1 표시부(111)의 폭(W1)은 제2 표시부(112)의 폭(W2) 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게 된다(W1 > W2). 이에 따라, 완성된 입체카드에서 제2 표시부(112)의 배면에는 미접착영역이 발생하게 되며, 그 미접착영역에 의해 입체카드의 접힘시 표시창(110)이 경사를 갖으며 적층되게 된다. 이러한 미접착영역은 홀드부가 당김지거나 밀려질 때 표시창(110)이 넘겨지는 축 역할을 하게 되며, 제1 및 제2 표시부(111, 112)의 이동시 모든 페이지가 동시에 펼쳐지는 것이 아닌 하나의 페이지씩 순차적으로 펼쳐지게 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표시부(111, 112)는 각각 A-a부, B-b부, C-c부, D-d부가 서로 부착되며, E부은 도 3b의 e부에 부착된다(E-e부).
여기서, 제1 표시부(111)는 약 109.6 mm × 50 mm, 제2 표시부(112)는 약 109.6 mm × 50 mm 의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체부(100)의 좌측단의 제2 표시부(112) 중 'A부'의 좌측으로는 수납부(200)에 해당하는 부분이 연장되어 있다. 수납부(200)는 3 측단을 제외하고 1 측단이 개구된 형태임에 따라, 제2 절곡선(L2)에 의해 3 측단 연장부(201)가 후 방향으로 접히고, O-o부 및 P-p부의 접착에 따라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배면판(210)을 포함하는 수납부(200)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201)와 배면판(210)사이에 측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 전개도에서 입체부(100)는 홀드부(300)의 좌측단에 배치되어 제1 절곡선(L1)에 의해 접혀지고, 서로 부착되는 F-f부, G-g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또한, 홀드부(300)는 제3 절곡선(L3)에 의해 두 부분(301, 302)이 접혀 배면방향에서 H-h부, I-i부, J-j부 및 K-k부가 서로 부착되어 전면판(310)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우측단부(302)는 입체카드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종이원단의 강성이 충분하다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우측단부(302)의 약 절반정도의 영역은 좌측단부(303)와 L-l부 및 M-m부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여기서, 홀드부(300)의 높이는 약 109.6 mm, 각 단부(301 ~ 303)의 폭은 각각 약 100mm, 190mm 및 189mm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배면판(310)에서 수납부(200)로 삽입되는 부분에서 홀드부(300)의 삽입 및 추출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3 절곡선(L3) 중, 중앙단부(301)과 좌측단부(302)가 접하는 선(L31)의 높이는 약간 짧은 107.6 mm 정도로 형성되어 미세한 경사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입체부 110 : 표시창
111 : 제1 표시부 112 : 제2 표시부
200 : 수납부 210 : 전면판
220 : 측부 250 : 배출구
300 : 홀드부 310 : 배면판
L1 : 제1 절곡선 L2 : 제2 절곡선
L3 : 제3 절곡선

Claims (9)

  1. 제1 절곡선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접혀 배면이 서로 부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표시창을 구비하는 입체부;
    상기 입체부의 제1 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절곡선에 의해 후 3 측단이 이 후 방향으로 접혀 서로 접착됨에 따라 내부공간을 이루는 전면판을 구비하는 수납부; 및
    상기 입체부의 제2 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절곡선에 의해 후 방향으로 접혀 배면이 서로 부착됨에 따라 형성되며 일측단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배면판을 구비하는 홀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표시창은, 하나가 이웃한 제1 및 제2 표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제2 표시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표시부는, 배면에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배면으로 미접착영역이 형성되는 입체카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는,
    각각 별도의 종이원단으로 이루어진 입체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는,
    상기 홀드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홀드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펼쳐지는 입체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모든 미접착영역이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모든 미접착영역이 상기 배면판에 접촉되는 상태까지 이동가능한 입체카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3 측단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제2 측단과 이격되어 접힘에 따라, 상기 홀드부의 제1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입체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부는,
    상기 배면판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입체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은,
    상기 확장부가 상기 제3 절곡선에 의해 접혀 전면방향에서 부착됨에 따라, 단면이 2중층 구조를 갖는 입체카드.
KR1020160078977A 2016-06-24 2016-06-24 입체카드 KR101666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77A KR101666681B1 (ko) 2016-06-24 2016-06-24 입체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77A KR101666681B1 (ko) 2016-06-24 2016-06-24 입체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681B1 true KR101666681B1 (ko) 2016-10-14

Family

ID=5715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977A KR101666681B1 (ko) 2016-06-24 2016-06-24 입체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8983A (zh) * 2019-08-12 2019-10-15 鸿兴印刷(鹤山)有限公司 一种抽拉式翻页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2259A1 (en) * 2002-10-11 2004-04-29 Yum Matthew Chak Ming Progressive display card
US20110107630A1 (en) * 2009-11-12 2011-05-12 Dave Sapp Flip Book Greeting Car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2259A1 (en) * 2002-10-11 2004-04-29 Yum Matthew Chak Ming Progressive display card
US20110107630A1 (en) * 2009-11-12 2011-05-12 Dave Sapp Flip Book Greeting Car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8983A (zh) * 2019-08-12 2019-10-15 鸿兴印刷(鹤山)有限公司 一种抽拉式翻页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1541B2 (en) Moveable animated display device
US7707757B2 (en) Multi-panel display product
JP3839458B1 (ja) 自立可能な平板状物、その展示方法および製造方法
CA2944205C (en) Combination greeting card and gift card presenter
US20100170822A1 (en) Gift card presenter
US6718676B2 (en) Presentation apparatus for artwork
US6449891B1 (en) Presentation apparatus for artwork
KR101666681B1 (ko) 입체카드
US7703808B2 (en) Expandable business card
US6431606B1 (en) Memory album
US7441355B2 (en) Folding trading card with magnifying region
KR101666682B1 (ko) 입체카드
US7007365B2 (en) Sliding panel photographic card
JP6070082B2 (ja) 紙製スタンド
US20090207112A1 (en) Viewing device and book-typ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viewing devices
US8595962B2 (en) Pull tab gift card holder
JP2007058181A (ja) 自立可能な平板状物の製造方法
JP2017156738A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シート部材
JP5964761B2 (ja) 簡易組み立て棚
JP3055010U (ja) 立体カード
KR200322924Y1 (ko) 스탠드형 사진 액자 경조카드
JP6881733B2 (ja) ヒンジ付き構造体
JP3146017U (ja) 立体的メモカードホルダー
JP2022156559A (ja) ポップアップカード
JP2023055394A (ja) 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