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597B1 - 구기용 볼, 구기용 볼의 제조 방법 및 골프 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구기용 볼, 구기용 볼의 제조 방법 및 골프 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597B1
KR101666597B1 KR1020137021509A KR20137021509A KR101666597B1 KR 101666597 B1 KR101666597 B1 KR 101666597B1 KR 1020137021509 A KR1020137021509 A KR 1020137021509A KR 20137021509 A KR20137021509 A KR 20137021509A KR 101666597 B1 KR101666597 B1 KR 101666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pherical
region
core layer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915A (ko
Inventor
히로시 사에구사
쿠미코 시오타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96Spin r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5Protr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6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 A63B37/00065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located around the pole or the equa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2Dimple profile, i.e. cross-sectional vie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3Covers
    • A63B37/0024Materials other than ionomers or polyureth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39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51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51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 A63B37/0056Hollow; Gas-fil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4Two piece balls, i.e. cover an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5Three piece balls, i.e. cover, intermediate layer an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6Multi-piece balls, i.e. having two or more intermediat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88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2Special coverings, i.e. outer laye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4Speci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4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electrically conductive, e.g. for automatic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5/00Apparatu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6Angular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63B2220/35Spin

Abstract

[과제] 타출(打出) 조건의 계측이나 탄도 계측을 적확(的確)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하는데 있어서 유리한 구기용 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골프 볼(2)은, 구체(球體, 20)와,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20)는, 코어(core)층과, 코어층을 덮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버층을 구비하고, 커버층의 표면에 다수의 딤플(dimple, 2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22)은 구체(20)의 표면에 복수 형성되며 도전성(導電性)을 가지고 있다. 즉, 제1 영역(22)은,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球面) 상(上)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22)은 정점(頂點)이 구체(20)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가상된 정육면체의 6개의 정점에 위치하여, 제1 영역은 6개 형성되어 있다. 제2 영역(24)은, 제1 영역(22)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표면의 부분에 형성되며 도전성을 갖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영역(22)은 전파 반사율이 높은 영역이고, 제2 영역(24)은 제1 영역(22)보다도 전파 반사율이 낮은 영역이다.

Description

구기용 볼, 구기용 볼의 제조 방법 및 골프 볼의 제조 방법{BALL FOR BALL GAME, METHOD FOR MANUFACTURING BALL FOR BALL G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OLF BALL}
본 발명은 구기용 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구기용 볼, 특히 골프 볼의 타출(打出, 쳐서 물건을 내보내는 것) 조건(골프 볼의 초속(初速), 타출 각도, 스핀양)의 계측이나 탄도 계측을 행하는 계측 장치로서 도플러 레이더(Doppler radar)를 이용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장치에서는, 안테나로부터 골프 볼을 향하여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지는 송신파를 발사하고, 골프 볼에서 반사된 반사파를 계측하여, 송신파와 반사파로부터 얻어지는 도플러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속도나 스핀양을 구한다.
 이 경우, 이동 속도나 스핀양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계측하기 위해서는, 반사파를 효율 좋게 얻는 것이 중요하다. 바꾸어 말하면, 반사파를 효율 좋게 얻는 것이 계측 거리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한편, 외관성(外觀性)이나 디자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금속재료를 포함하는 층이나 막을 볼의 표면 전체에 걸쳐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3 참조).
또한, 반발성(反撥性)을 확보하기 위하여, 볼의 코어(core)층과 커버의 사이에 구면상(球面狀)의 금속층을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21204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66719호 특허문헌 3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75492호 특허문헌 4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076458호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금속재료를 포함하는 층이나 막이 볼의 표면 전체에 구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전파 반사 특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는 유리하게 되지만, 볼의 스핀양에 관해서는 계측 거리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불충분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타출 조건의 계측이나 탄도 계측을 적확(的確)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하는데 있어서 유리한 구기용 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기용 볼은, 구체(球體)와,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球面) 상(上)에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구면 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부분에 형성된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은, 상기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보다도 낮고, 상기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은 상기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의 2배 이상이고, 상기 제1 영역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표면 저항은 130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기용 볼은, 구체(球體)와,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球面) 상(上)에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구면 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부분에 형성된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은, 상기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보다도 낮고, 상기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은 상기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의 10배 이상이고, 상기 제1 영역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표면 저항은 130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계측 장치의 안테나로부터 발사된 송신파가 구기용 볼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는 복수의 제1 영역에 의하여 효율 좋게 반사되기 때문에, 도플러 신호에 있어서의 스핀양을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파수 분포의 신호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스핀양의 검출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타출 조건의 계측이나 탄도 계측을 적확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구체의 구면 상에 제2 재료를 증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형성된 구기용 볼 혹은 골프 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구기용 볼의 스핀양에 관하여 계측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과 함께 품질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도 1은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하여 구기용 볼의 타출 조건의 계측이나 탄도 계측을 행하는 계측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골프 볼(2)의 스핀양을 검출하는 원리의 설명도이다.
도 3은 골프 볼 타출 장치에 의하여 타출된 골프 볼(2)을 계측 장치(10)에서 계측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플러 신호 Sd를 웨이브렛 해석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영역(22)의 크기를 설명하는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전파 반사율의 비율과 계측 시간 및 추미 거리의 실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전파 반사율의 비율과 계측 시간 및 추미 거리의 실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골프 볼(2)의 딤플(26)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7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8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9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10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스핀양을 1000rpm으로 한 경우의 도플러 신호 Sd의 웨이브렛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스핀양을 3000rpm으로 한 경우의 도플러 신호 Sd의 웨이브렛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비교예 1에 있어서 스핀양을 1000rpm으로 한 경우의 도플러 신호 Sd의 웨이브렛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비교예 2에 있어서 스핀양이다.
도 25는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스핀양의 계측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예 2의 스핀양의 계측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비교예 3의 스핀양의 계측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비교예 4의 스핀양의 계측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비교예 3, 4,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스핀양의 계측 시간과 추미 거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제1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제1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2는 제1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제1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4는 제14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영역(22)이 형성되기 전의 골프 볼(2)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제1 영역(22)이 형성된 후의 구기용 볼(2)의 평면도이다.
도 36은 형(3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제15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마스킹 부재(50)로 덮인 구기용 볼(2)의 평면도이다.
도 38은 제15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 영역(22)이 형성된 구기용 볼(2)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제16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 영역(22)이 형성된 구기용 볼(2)의 평면도이다.
도 40은 제17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 영역(22)이 형성된 구기용 볼(2)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구기용 볼의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기 전에, 구기용 볼의 타출 조건의 계측이나 탄도 계측을 행하는 계측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여 둔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구기용 볼이란, 각 구기 종목에 있어서, 경기용, 연습용, 유희용, 그 외 볼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볼을 넓게 포함한다.
도 1은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하여 구기용 볼의 타출 조건의 계측이나 탄도 계측을 행하는 계측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기용 볼로서 골프 볼을 이용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계측 장치(10)로서, 예를 들어, TrackMan(TrackMan A/S사(社)의 등록상표)라는 종래 공지(公知)의 계측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명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계측 장치(10)에서 계측되는 계측 항목이 골프 볼의 이동 속도와 스핀양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측 장치(10)는, 안테나(12), 도플러 센서(14), 처리부(16), 출력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12)는, 도플러 센서(14)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신호에 기초하여 송신파 W1로서의 마이크로파를 골프 볼(2)을 향하여 송신하는 것과 함께, 골프 볼(2)에서 반사된 반사파 W2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도플러 센서(14)로 공급하는 것이다.
덧붙여, 골프 볼(2)은, 골프 클럽에 의하여 타격되는 것으로 타출되고, 혹은, 전용의 골프 볼 타출 장치(론처(launcher))에 의하여 타출된다.
도플러 센서(14)는, 안테나(12)로 상기 송신 신호를 공급하는 것과 함께, 안테나(12)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수신 신호를 받아들여 도플러 신호 Sd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플러 신호란, 상기 송신 신호의 주파수 F1과 상기 수신 신호의 주파수 F2의 차분(差分)의 주파수 F1-F2로 정의되는 도플러 주파수 Fd를 가지는 신호이다.
덧붙여, 상기의 송신 신호로서는, 예를 들어, 24GHz 또는 10GHz의 마이크로파가 사용된다.
처리부(16)는, 도플러 센서(14)로부터 공급되는 도플러 신호 Sd에 기초하여 골프 볼(2)의 이동 속도 및 스핀양을 계측하는 것이다.
출력부(18)는 처리부(16)에서 계측된 계측값을 출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부(18)는, 액정 패널과 같은 표시장치에 의하여 계측값을 표시 출력한다. 혹은, 프린터를 이용하여 계측값을 인자(印字)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8)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 계측값을 공급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골프 볼(2)의 속도 및 스핀양의 계측에 관하여 설명한다.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이, 도플러 주파수 Fd는 식 (1)로 나타내진다.
Fd = F1-F2 = V·2·F1/c   (1)
다만, V:골프 볼(2)의 속도, c:광속(3·108m/s)
따라서, (1) 식을 V에 관하여 풀면, (2) 식으로 된다.
V = c·Fd/F1    (2)
즉, 골프 볼(2)의 속도 V는, 도플러 주파수 Fd에 비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도플러 신호 Sd로부터 도플러 주파수 Fd를 검출하고 당해 도플러 주파수 Fd로부터 속도 V를 구할 수 있다.
도 2는 골프 볼(2)의 스핀양을 검출하는 원리의 설명도이다.
골프 볼(2)의 표면 중, 송신파 W1의 송신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90도에 가까운 표면의 부분인 제1 부분(A)에서는 송신파 W1이 효율 좋게 반사되고, 따라서, 제1 부분(A)에서는 반사파 W2의 강도가 높다.
한편, 골프 볼(2)의 표면 중, 송신파 W1의 송신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0도에 가까운 표면의 부분인 제2 부분(B), 제3 부분(C)에서는 송신파 W1이 효율 좋게 반사되지 않고, 따라서, 제2, 제3 부분(B, C)에서는 반사파 W2의 강도가 낮다.
제2 부분(B)은, 골프 볼(2)의 스핀에 의하여 이동하는 방향과 골프 볼(2)의 이동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되는 부분이다.
제3 부분(C)은, 골프 볼(2)의 스핀에 의하여 이동하는 방향과 골프 볼(2)의 이동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되는 부분이다.
제1 부분(A)에서 반사되는 반사파 W2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속도를 제1 속도 VA, 제2 부분(B)에서 반사되는 반사파 W2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속도를 제2 속도 VB, 제3 부분(C)에서 반사되는 반사파 W2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속도를 제3 속도 VC라고 한다.
그러면,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VA = V     (1)
VB = VA-ωr  (2)
VC = VA+ωr  (3)
(다만, V는 골프 볼의 이동 속도, ω는 각속도(rad/s), r은 골프 볼(2)의 반경(半徑))
따라서, 제1, 제2, 제3 속도 VA, VB, VC를 계측할 수 있으면, 식 (1)에 기초하여 제1 속도 VA로부터 골프 볼(2)의 이동 속도 V가 구하여질 수 있다. 또한, (2) 식 또는 (3) 식에 기초하여, 제2, 제3 속도 VB, VC로부터 각속도 ω가 구하여지기 때문에, 각속도 ω로부터 스핀양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속도 VA, VB, VC의 계측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골프 볼 타출 장치에 의하여 타출된 골프 볼(2)을 계측 장치(10)에서 계측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플러 신호 Sd를 웨이브렛(wavelet) 해석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가로축은 시간 t(ms), 세로축은 도플러 주파수 Fd(kHz) 및 골프 볼(2)의 속도 V(m/s)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선도(線圖)는, 예를 들어, 도플러 신호 Sd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에 받아들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당해 디지털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웨이브렛 해석, 혹은, FFT(Fast Fourier Transform) 해석하는 것으로 얻어진다.
도 3에 도시하는 주파수 분포에 있어서, 해칭(hatching)으로 도시한 부분은 도플러 신호 Sd의 강도가 크고, 실선으로 도시한 부분은 도플러 신호 Sd의 강도가 해칭으로 도시한 부분보다도 작은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부호 DA로 도시하는 주파수 분포는, 신호 강도가 강하고, 제1 속도 VA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부호 DB로 도시하는 주파수 분포는, 주파수 분포 DA보다도 신호 강도가 낮고, 제2 속도 VB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부호 DC로 도시하는 주파수 분포는, 주파수 분포 DA보다도 신호 강도가 낮고, 제3 속도 VC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도플러 신호 Sd의 강도를 주파수에 관하여 해석하는 것에 의하여, 주파수 분포 DA, DB, DC를 특정하고, 각각의 주파수 분포 DA, DB, DC로부터 상기의 식 (1), (2), (3)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제2, 제3 속도 VA, VB, VC를 시계열(時系列) 데이터로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처리는, 종래 공지의 다양한 신호 처리 회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혹은, 신호 처리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 가능하다.
그리고, 골프 볼(2)의 스핀양을 구하는데 있어서, 제2, 제3 속도 VB, VC의 계측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따라서, 도플러 신호 Sd의 계측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렇지만, 타격된 골프 볼(2)이 안테나(12)로부터 이간(離間)하는 만큼(시간이 경과하는 만큼), 안테나(12)에서 수신되는 반사파 W2의 신호 강도가 저하하여, 각 주파수 분포 DA, DB, DC의 신호 강도는 각각 저하한다.
이 때, 도플러 신호 Sd의 주파수 분포 DB, DC의 신호 강도는 주파수 분포 DA의 신호 강도에 비교하여 원래 약하다.
그 때문에, 제2, 제3 속도 VB, VC를 안정하게 계측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점이 있고, 안테나(12)에서 수신 가능한 신호 강도가 주파수 분포 DA보다도 단시간에서 하회(下廻)하여 버리기 때문에, 제2, 제3 속도 VB, VC의 계측 가능한 시간은 극히 한정된 기간으로 되는 불리한 점도 있다.
예를 들어, 계측 장치(10)가 골프 볼의 탄도를 해석하는 것과 같은 대규모의 장치이고, 송신파 W1의 출력이 높은 것이었다고 하여도, 제2, 제3 속도 VB, VC를 계측할 수 있는 기간은, 골프 볼(2)을 타출한 시점으로부터 겨우 2초 정도(程度)에 그치는 것이었다.
또한, 계측 장치(10)가 실내에 설치되는 골프 시뮬레이터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었을 경우에는, 송신파 W1의 출력이 낮기 때문에, 충분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주파수 분포 DB, DC를 얻는 것이 어렵다.
그 때문에, 골프 시뮬레이터 장치에서는, 골프 볼의 초속이나 타출각에 기초하여 볼이 날아가는 방향이나 비거리(飛距離)를 산출하는 것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상(現狀)이며, 스핀양을 반영시킨 것보다도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골프 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 볼(2)은, 구체(20)와,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20)는, 중실(中實, 속이 꽉 차 있는 상태)이며 구상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커버층의 표면에 다수의 딤플(2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22)은,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 상에 형성되고, 제2 영역(24)은, 구면 상에서 제1 영역(22)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영역(24)의 전파 반사율은, 제1 영역(22)의 전파 반사율보다도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골프 볼(2)의 표면이고, 골프 볼(2)의 표면은, 다수의 딤플(26)이 형성된 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영역(22)은,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 상에 형성된 전파 반사율이 높은 영역이다.
따라서, 제1 영역(22)은 높은 전파 반사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파(마이크로파)를 효율 좋게 반사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영역(22)은 구체(20)의 표면에(상기 커버층의 표면에) 복수 형성되며 도전성(導電性)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 제1 영역(22)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정원상(正圓狀)을 나타내고 있지만, 각 제1 영역(22)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혹은 정다각형 등이어도 무방하다.
각 제1 영역(22)이 정원인 경우, 반사파의 강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또한 계측 장치(10)에 있어서의 계측 정도(精度)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그 정원의 직경은 2mm 이상 1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제1 영역(22)이 정다각형인 경우, 반사파의 강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또한 계측 장치(10)에 있어서의 계측 정도(精度)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그 내접원의 직경이 2mm 이상 1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정원 또는 내접원의 직경이 2mm 이상 15mm 이하이면, 계측 정도(精度)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되는 것은, 송신파로서 24GHz 또는 10GHz의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경우의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에 의하여 확인된 것이다. 이 원인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1 영역(22)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와, 제1 영역(22)의 에지(edge) 부분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의 간섭이 계측 정도(精度)에 주는 영향이 작아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의 구면 상에 있어서(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표면 상에 있어서) 제1 영역(22)의 서로 대향하는 2개소와, 구체(20)의 중심(O)을 통하는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 θ는, 충분한 강도의 반사파를 얻는데 있어서 또한 반사파를 정도(精度) 좋게 수신하는데 있어서 5도 이상 4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1 영역(22)은, 정점(頂點)이 구체(20)의 표면(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에 위치하도록 가상된 정다면체 또는 준정다면체(準正多面體)의 각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영역(22)은 정점이 구체(20)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가상된 정육면체의 6개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영역은 6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에서는, 제1 영역(22)은 정점이 구체(20)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가상된 정사면체의 4개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영역은 4개 형성되어 있다.
혹은, 도 7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와 같이, 제1 영역(22)은 3개 형성되고, 3개의 제1 영역(22)을 접속하는 상상선(想像線)은, 구체(20)의 직경을 포함한 평면 상에서 정삼각형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요컨데, 제1 영역(22)은 구체(20)의 표면에 복수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그 수는 임의이다.
다만, 제1 영역(22)은, 구체(20)의 회전축이 어떠한 방향에 위치하여도, 되도록 많은 제1 영역(22)이 이동하면서(회전하면서) 송신파 W1를 반사하는 것이, 안정한 반사파 W2를 얻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도 4, 도 6, 도 7에 관하여 비교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6개의 제1 영역(2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회전축 상에 2개의 제1 영역(22)이 위치한 경우에, 유효한 반사파 W2를 반사하는 전파 영역(22)은 4개로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제1 영역(2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회전축 상에 1개의 제1 영역(22)이 위치한 경우에, 유효한 반사파 W2를 반사하는 전파 영역(22)은 3개로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제1 영역(2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회전축 상에 1개의 제1 영역(22)이 위치한 경우에, 유효한 반사파 W2를 반사하는 전파 영역(22)은 2개로 된다.
따라서, 안정한 반사파 W2를 얻는데 있어서는, 도 7보다도 도 6이 유리하고, 도 6보다도 도 4가 보다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영역(22)은 각각 구체(20)의 표면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직선상(狀)으로 연재(延在, 어떠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존재함)하여 격자상(格子狀)을 나타내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2 영역(24)은 직선상으로 연재하는 제1 영역(22)에 의하여 직사각형상으로 구획되는 것으로 된다.
제1 영역(22)은, 반사파 W2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다음에 도시하는 종래 공지의 관계식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영역(22)의 표면 저항으로서 필요한 범위를 구할 수 있다.
즉, 전파 반사율:Γ, 표면 저항:R로 하였을 때, 식 (1), 식 (2)가 성립한다.
Γ = (377-R)/(377+R)    (1)
R = (377(1-Γ))/(1+Γ)   (2)
Γ = 1은 전반사(全反射), Γ= 0은 무반사를 나타내고, 377은 공기의 특성 임피던스(impedance)를 나타낸다.
따라서, 식 (2)로부터
Γ = 1일 때 R = 0
Γ = 0일 때 R = 377
여기서, Γ = 0.5로 하면, R = 377(0.5/1.5) ≒ 130으로 된다.
따라서, 전파 반사율 Γ로서 충분한 값을 Γ = 0.5(50%) 이상으로 하면, 표면 저항 R은 130Ω/sq.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전파 반사율 Γ가 0.9(90%) 이상이고, 따라서, 표면 저항 R이 20Ω/sq. 이하인 것이, 반사파 W2의 강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덧붙여, 전파 반사율 Γ는, 도파관법(導波管法)이나 자유 공간법(自由空間法) 등 종래 공지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영역(2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는, 예를 들어,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도전성 도료(塗料)이다. 이와 같은 도전성 도료를 구체(20)의 표면에 도포(塗布)하는 것으로(인쇄하는 것으로) 제1 영역(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도료로서, 예를 들어 아연을 포함하는 녹 방지용의 도료를 사용하는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도료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는, 금속박(金屬箔)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금속박을 구체(20)의 표면에 접착제로 붙이는 것으로 제1 영역(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금속박으로서 알루미늄박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금속박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증착하는 것으로 형성된 증착막 혹은 불연속 증착막으로 제1 영역(22)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불연속 증착막은, 진공 중에서 행하는 불연속 증착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불연속 증착막이란, 타겟으로부터 증발한 원자가 비(非)증착체로서의 구체(20)의 표면에 부착하여 복수의 성장핵이 성장하는 과정에 있어서, 각 성장핵끼리가 접촉하지 않는 단계, 바꾸어 말하면 각 성장핵끼리가 연속하고 있지 않는 단계에서 증착을 멈추어, 성장핵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導通, 전기적으로 이어져 있는 것)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증착막이다.
따라서, 불연속 증착막에서는, 성장핵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하지 않아 비도전체로 되어 있지만, 전파 반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술한 금속 분말 혹은 금속박 혹은 증착막을 형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은, 동, 금, 니켈, 알루미늄, 철, 티탄, 텅스텐 등의 종래 공지의 다양한 금속이 사용 가능하다.
덧붙여,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서, 금속 이외의 도전 물질, 예를 들어 카본(carbon)을 포함하는 재료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제2 영역(24)은, 상기의 구면 상에서 제1 영역(22)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부분에 형성되며 전파 반사율이 제1 영역(22)보다도 낮은 영역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영역(24)은, 제1 영역(22)보다도 낮은 전파 반사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영역(24)은, 제1 영역(22)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표면의 부분에(제1 영역(22)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상기 커버층의 표면의 부분에) 형성되며 도전성을 갖지 않는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영역(24)은, 골프 볼(2)의 표면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계측 장치(10)로서, 종래 공지의 계측 장치인 TrackMan(TrackMan A/S사의 등록상표)을 이용한 경우, 제1 영역(22)의 전파 반사율과 제2 영역(24)의 전파 반사율의 비(차이)를 크게 취하면, 스핀양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있어서, 또한, 보다 장시간 스핀양을 검출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영역(24)의 전파 반사율을 5% 이하, 표면 저항을 340Ω/sq. 이상으로 하면, 제1 영역(22)의 전파 반사율과 제2 영역(24)의 전파 반사율의 비(차이)를 크게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을,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의 2배 이상으로 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핀양의 계측 시간 및 추미(追尾)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스핀양을 장시간 검출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을 상기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의 10배 이상으로 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핀양의 계측 시간 및 추미 거리를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스핀양을 보다 장시간 검출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덧붙여 도 8, 도 9는, 제1 실시의 형태의 골프 볼(2)에 관하여 실험을 행하여 얻은 것이다.
골프 볼(2)은, 6개의 제1 영역(22)을 설치한 것이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8에 있어서, 전파 반사율의 비율이 1배의 골프 볼(2)은 비교예로서 기재한 것이다. 이 비교예는,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과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이 동일하여, 바꾸어 말하면, 제1 영역이 없는 상태에 상당한다. 비교예에서는, 스핀양의 계측 시간 및 추미 거리가 짧아 스핀양을 장시간 검출하는데 있어서 불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골프 볼(2)을 골프 볼 타출 장치에 의하여 타출하고 계측 장치(10)를 이용하여 계측을 행하여,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골프 볼(2)의 스핀양을 얻었다.
골프 볼 타출 장치에 의하여 골프 볼(2)에 부여하는 초속은 60m/s, 골프 볼(2)에 부여하는 스핀양은 3000rpm으로 하였다.
계측한 골프 볼(2)의 개수는 각각 10개로 하였다.
도 8, 도 9는, 10개의 골프 볼(2)의 계측을 행한 경우에 있어서의 스핀양의 계측 시간과 추미 거리의 평균값을 도시한다.
덧붙여, 제1 영역(22)의 총면적은, 구체(20)의 표면적의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30%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영역(22)의 총면적이 구체(20)의 표면적(表面積)의 50% 이하이면, 제1 영역(22)에서 반사되는 전파의 반사 강도와, 제2 영역(24)에서 반사되는 전파의 반사 강도의 비(차이)를 크게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되고, 2% ~ 30%이면, 상기의 반사 강도의 비(차이)를 크게 확보하는데 있어서 보다 유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에서 반사 강도의 비(차이)를 크게 확보하면, 스핀양의 계측을 안정하게 행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영역(22) 및 제2 영역(24)의 전역이 합성 수지제의 막, 예를 들어,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막으로 덮여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합성 수지제의 막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보호되기 때문에, 골프 클럽 헤드에 의하여 골프 볼(2)이 타격된 경우에 제1 영역(22)이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 볼(2)의 표면(구면)에 형성된 딤플(26)에 제1 영역(22)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2 영역(24)은, 딤플(26)을 제외하는 골프 볼(2)의 표면(딤플(26)을 제외하는 구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딤플(26)보다도 돌출하는 볼록부(리지(ridge)부, 28)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보호되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1 영역(22)이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제1 영역(22) 및 제2 영역(24)의 전역을 합성 수지로 덮는 경우에 비교하여 재료와 제조 공수(工數)를 절약할 수 있고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의 골프 볼(2)의 작용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골프 볼(2)은,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 상에 형성된 제1 영역(22)과, 구면 상에서 제1 영역(22)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부분에 형성된 제2 영역(24)을 구비하고, 제2 영역(24)의 전파 반사율은, 제1 영역(22)의 전파 반사율보다도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계측 장치(10)의 안테나(12)로부터 발사된 송신파 W1이 골프 볼(2)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는 복수의 제1 영역(22)에 의하여 반사된다. 그 때문에, 반사파 W2의 전파 강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그 때문에, 타격된 골프 볼(2)이 안테나(12)로부터 이간하여 안테나(12)에서 수신되는 반사파 W2의 신호 강도가 저하하여도, 각 주파수 분포 DA, DB, DC의 신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주파수 분포 DA의 신호 강도에 비교하여 원래 약한 주파수 분포 DB, DC의 신호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제3 속도 VB, VC를 안정하게 계측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즉, 도플러 신호에 있어서의 스핀양을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파수 분포의 신호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스핀양의 검출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긴 기간 제2, 제3 속도 VB, VC를 계측하는 것으로, 보다 긴 기간에 걸쳐 스핀양의 계측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계측 장치(10)가 실내에 설치되는 골프 시뮬레이터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었을 경우에는, 송신파 W1의 출력이 낮아도, S/N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아도, 충분한 신호 강도를 가지는 주파수 분포 DB, DC를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골프 시뮬레이터 장치에 의하여, 골프 볼의 초속이나 타출각에 더하여 스핀양에 기초하여 볼이 날아가는 방향이나 비거리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고, 스핀양을 반영시킨 것보다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핀양을 반영시키는 것에 의하여, 지금까지 시뮬레이션이 불가능하였던 목표선에 대하여 골프 볼(2)이 되돌아오는 페이드(fade, 오른손잡이의 경우 타구한 볼이 낙하 지점에 가까워지고 나서, 오른쪽으로 꺾이는 것)계나 드로우(draw, 오른손잡이의 경우 타구한 볼이 낙하 지점에 가까워지고 나서,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굽어지는 것)계의 볼이 날아가는 방향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핀양을 반영시키는 것에 의하여, 비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제2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덧붙여,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 볼(2)은, 구체(20)를 가지고, 구체(20)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30)과, 이 코어층(30)을 덮는 커버층(32)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층(30)은, 당해 코어층(30)의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1 영역(22)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코어층(30)의 표면의 부분에 형성되며 도전성을 갖지 않는 제2 영역(24)을 구비한다.
즉, 제1 영역(22)은,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 상에 형성되고, 제2 영역(24)은,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 상에서 제1 영역(22)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22), 제2 영역(24)의 구성은, 제1 실시의 형태의 제1 영역(22), 제2 영역(24)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커버층(32)은, 제1 영역(22)에 의한 전파의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전파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재료 등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의 다양한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커버층(32)의 표면에는 다수의 딤플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커버층(32)을 불투명한 것으로 하면, 외부로부터 제1 영역(22) 및 제2 영역(24)을 숨길 수 있어 의장성(意匠性)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커버층(32)의 두께는 0.5mm 이상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커버층(32)의 두께가 0.5mm 이상 3.0mm 이하이면, 전파 반사성을 크게 확보하면서 내구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커버층(32)의 두께가 1.0mm 이상 2.0mm 이하이면, 전파 반사성을 크게 확보하면서 내구성을 확보하여, 한층 더 제조의 용이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제2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코어층(30)은 전파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로 형성된 커버층(32)에 의하여 덮이고, 코어층(30)의 표면에 도전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1 영역(22)이 설치되고, 제1 영역(22)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표면의 부분에 도전성을 갖지 않는 제2 영역(2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계측 장치(10)의 안테나(12)로부터 발사된 송신파 W1이 골프 볼(2)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는 복수의 제1 영역(22)에 의하여 반사된다. 그 때문에, 반사파 W2의 전파 강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되기 때문에,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커버층(32)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보호되기 때문에, 골프 클럽 헤드에 의하여 골프 볼(2)이 타격된 경우에 제1 영역(22)이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제3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제3 실시의 형태는, 제2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이고, 복수의 커버층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제2 실시의 형태와 다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 볼(2)은, 구체(20)를 가지고, 구체(20)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30)과, 이 코어층(30)을 덮는 제1, 제2 커버층(32A, 32B)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은 제2 커버층(32B)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3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제2 커버층(32B)의 외면이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제4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4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제4 실시의 형태는, 제1, 제2 영역(22, 24)을 설치하는 개소가 제3 실시의 형태와 다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은 제1 커버층(32A)의 외면, 바꾸어 말하면 제2 커버층(32B)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4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제1 커버층(32A)의 외면 혹은 제2 커버층(32B)의 내면이다.
이 경우, 제2 커버층(32B)은 도전성을 가지지 않고, 따라서, 전파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4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이고, 제2 커버층(32B)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보호되기 때문에, 골프 클럽 헤드에 의하여 골프 볼(2)이 타격된 경우에 제1 영역(22)이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제5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5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제5 실시의 형태는, 제1, 제2 영역(22, 24)을 설치하는 개소가 제3, 제4 실시의 형태와 다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은 코어층(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5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코어층(30)의 표면이다.
이 경우, 제1, 제2 커버층(32A, 32B)은 도전성을 가지지 않고, 따라서, 전파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5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이고, 제1, 제2 커버층(32A, 32B)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보호되기 때문에, 골프 클럽 헤드에 의하여 골프 볼(2)이 타격된 경우에 제1 영역(22)이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제6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6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제6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골프 볼(2)의 단면도이다.
제6 실시의 형태는, 코어층을 2층 구조로 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체(20)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30)과, 이 코어층(30)을 덮는 커버층(32)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층(30)은, 구상이며 중실인 내측 코어층(30A)과, 이 내측 코어층(30A)을 덮는 외측 코어층(30B)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은 내측 코어층(30A)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6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내측 코어층(30A)의 외면이다.
이 경우, 외측 코어층(30B), 커버층(32)은 도전성을 가지지 않고, 따라서, 전파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6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이고, 커버층(32), 외측 코어층(30B)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보호되기 때문에, 골프 클럽 헤드에 의하여 골프 볼(2)이 타격된 경우에 제1 영역(22)이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을 외측 코어층(30B)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외측 코어층(30B)의 외면 또는 내면이어도 무방하고, 이 경우도 제6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제7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7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제7 내지 제10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이 중공상(中空狀)의 구기용 볼, 예를 들어, 연식(軟式) 야구용 볼, 경식(硬式) 테니스볼, 연식 테니스볼, 발리볼(volleyball), 축구볼, 탁구용 볼 등에 적용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제7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기용 볼(4)은, 구체(20)와,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20)는, 구상이며 중공인 코어층(40)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은 코어층(4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7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코어층(40)의 외면이다.
이와 같은 제7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제8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8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제8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단면도이다.
제8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제2 영역(22, 24)을 설치하는 개소가 제7 실시의 형태와 다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체(20)는, 제7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상이며 중공인 코어층(40)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은 코어층(4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8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코어층(40)의 내면이다.
이 경우, 코어층(40)은 도전성을 가지지 않고, 따라서, 전파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8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이고, 코어층(40)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보호되기 때문에, 구기용 볼(4)이 배트나 라켓 등에 의하여 타격된 경우에 제1 영역(22)이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제9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9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제9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체(20)는, 구상이며 중공인 코어층(40)과, 이 코어층(40)을 덮는 커버층(42)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은 커버층(42)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9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커버층(42)의 내면이다.
이 경우, 코어층(40)은 도전성을 가지지 않고, 따라서, 전파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9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이고, 커버층(42)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보호되기 때문에, 구기용 볼(4)이 배트나 라켓 등에 의하여 타격된 경우에 제1 영역(22)이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제10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10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제10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단면도이다.
제10 실시의 형태는 제1, 제2 영역(22, 24)을 설치하는 개소가 제9 실시의 형태와 다르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체(20)는, 제9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상이며 중공인 코어층(40)과, 이 코어층(40)을 덮는 커버층(42)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은 커버층(42)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0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커버층(42)의 외면이다.
이와 같은 제10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덧붙여, 제9, 제10 실시의 형태에서는, 코어층(40)을 덮는 커버층(42)이 1층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코어층(40)을 덮는 커버층을 2층 이상으로 하여, 복수의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을 어느 하나의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이다.
(제11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11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제1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단면도이다.
제11 실시의 형태는, 구기용 볼(4)이 경식 야구용 볼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구체(20)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30)과, 이 코어층(30)을 덮는 커버층(32)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층(30)은, 구상이며 중실인 내측 코어층(30A)과, 이 내측 코어층(30A)을 덮는 외측 코어층(30B)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코어층(30A)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재료가 이용된다.
외측 코어층(30B)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모사(毛絲)나 면사(綿絲) 등의 실, 혹은, 발포(發泡) 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 재료가 이용된다.
외측 코어층(30B)은, 모사나 면사가 내측 코어층(30A)을 덮도록 감겨지는 것으로 구성되고, 혹은, 발포 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가 내측 코어층(30A)을 덮도록 성형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커버층(32)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소가죽이 이용되고, 커버층(32)은, 외측 코어층(30B)을 덮는 소가죽을 실로 봉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커버층(32)은, 제1 영역(22)에 의한 전파의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전파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재료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22), 제2 영역(24)은, 커버층(32)의 내면, 즉, 외측 코어층(30B)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혹은, 제1 영역(22), 제2 영역(24)은, 커버층(32)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바꾸어 말하면,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외측 코어층(30B)의 외면 또는 커버층(32)의 내면 또는 외면이다.
이와 같은 제1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제1 실험예)
다음으로 골프 볼(2)의 실험 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에서는, 제1 실시의 형태의 골프 볼(2)에 관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제1 실험 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비교예 1은, 골프 볼(2)에 제1 영역(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비교예 2는, 골프 볼(2)에 1개의 제1 영역(22)을 설치한 것이다.
실시예 1은, 골프 볼(2)에 6개의 제1 영역(22)을 설치한 것이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골프 볼(2)을 골프 볼 타출 장치에 의하여 타출하고, 계측 장치(10)를 이용하여 계측을 행하여, 도플러 신호 Sd를 웨이브렛 해석하였다.
골프 볼 타출 장치에 의하여 골프 볼(2)에 부여하는 스핀양은 1000rpm, 3000rpm으로 하였다.
비교예 1, 2, 실시예 1에서 계측한 골프 볼(2)의 개수는 각각 10개로 하였다.
도 2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스핀양을 1000rpm으로 한 경우의 도플러 신호 Sd의 웨이브렛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스핀양을 3000rpm으로 한 경우의 도플러 신호 Sd의 웨이브렛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비교예 1에 있어서 스핀양을 1000rpm으로 한 경우의 도플러 신호 Sd의 웨이브렛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비교예 2에 있어서 스핀양을 1000rpm으로 한 경우의 도플러 신호 Sd의 웨이브렛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가로축은 시간 t(ms), 세로축은 도플러 주파수 Fd(kHz) 및 골프 볼(2)의 속도 V(m/s)를 나타낸다.
도 25는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스핀양의 계측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10개의 골프 볼(2)의 계측을 행한 경우에, 스핀양을 계측할 수 있었던 골프 볼(2)의 개수를 비율(퍼센트)로 표시하고 있다.
도 21,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제2, 제3 주파수 분포 DB, DC가 시간 경과와 함께 감소하고 있지만 스핀양을 계측하는데 충분한 정도(程度)의 신호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즉,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출 시에 골프 볼(2)에 부여하는 스핀양이 1000rpm, 3000rpm 중 어느 하나여도 스핀양의 계측이 100%가능하게 되어있다.
즉, 스핀양이 높은 만큼, 도 2에서 설명한 제2 속도 VB가 보다 저하하고 또한 제3 속도 VC가 보다 상승하는 것으로부터, 제2, 제3 주파수 분포 DB, DC의 폭이 보다 커지고, 따라서, 제2, 제3 주파수 분포 DB, DC의 신호 강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덧붙여, 스핀양이 같아도, 제1 영역(22)의 개수가 많은 만큼, 단위 시간당 반사되는 반사파 W2의 신호 강도가 강해지기 때문에, 제2, 제3 주파수 분포 DB, DC의 신호 강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도 23,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2에서는, 도플러 신호 Sd의 주파수 분포의 폭이 도 21, 도 22에 비교하여 작고, 제2, 제3 주파수 분포 DB, DC의 신호 강도가 낮고, 제2, 제3 주파수 분포 DB, DC가 시간 경과와 함께 감소하여, 결국은 소실(消失)하고 있다.
즉,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출 시에 골프 볼(2)에 부여하는 스핀양이 1000rpm으로 낮은 경우에는, 비교예 1에서는 스핀양의 계측을 하지 못하고, 비교예 2에서는 스핀양의 계측을 30%밖에 할 수 없다.
또한, 스핀양이 3000rpm으로 높아지면, 비교예 1, 2 모두 스핀양의 계측이 100%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스핀양이 높은 만큼, 제2 속도 VB가 보다 저하하고 또한 제3 속도 VC가 보다 상승하기 때문에, 제2, 제3 주파수 분포의 폭(도플러 신호 Sd의 주파수 분포의 폭)이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의 골프 볼(2)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스핀양의 값에 관계없이, 스핀양의 계측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제2 실험예)
다음으로 제2 실험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비교예 3은, 골프 볼(2)에 제1 영역(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비교예 4는, 골프 볼(2)에 1개의 제1 영역(22)을 설치한 것이다.
실시예 2는, 골프 볼(2)에 6개의 제1 영역(22)을 설치한 것이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골프 볼(2)을 골프 볼 타출 장치에 의하여 타출하고 계측 장치(10)를 이용하여 계측을 행하여,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골프 볼(2)의 스핀양을 얻었다.
골프 볼 타출 장치에 의하여 골프 볼(2)에 부여하는 초속은 60m/s, 골프 볼(2)에 부여하는 스핀양은 3000rpm으로 하였다.
비교예 3, 4, 실시예 2에서 계측한 골프 볼(2)의 개수는 각각 10개로 하였다.
도 26은 실시예 2의 스핀양의 계측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비교예 3의 스핀양의 계측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비교예 4의 스핀양의 계측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덧붙여, 도 26, 도 27, 도 28에 도시되는 실선은, 스핀양의 각 계측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시간 경과와 스핀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직선이다.
도 29는 비교예 3, 4,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스핀양의 계측 시간과 추미 거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10개의 골프 볼(2)의 계측을 행한 경우에 있어서의 평균값을 도시하고 있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영역(22)이 0개의 경우, 계측 시간은 1.1초, 추미 거리는 66m였다. 그렇지만, 0.5초 이후의 스핀양의 계측 데이터는 흐트러짐이 커서, 스핀양의 계측 데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는 값으로서는, 계측 시간이 0.5초, 추미 거리가 30m였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영역(22)이 1개의 경우, 계측 시간은 1.25초, 추미 거리는 75m였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영역(22)이 6개의 경우, 계측 시간은 2.6초, 추미 거리는 156m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1 영역(22)이 0개의 경우는, 계측 시간이 0.5초, 추미 거리가 30m로 한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2)이 1개의 경우에 비교하여 6개의 경우는, 계측 시간 및 추미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의 골프 볼(2)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스핀양의 계측 시간 및 추미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스핀양의 계측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제12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12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제1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1은 제1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2 실시의 형태는, 제1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기용 볼(4)이 경식 야구용 볼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구기용 볼(4)은 구체(20)를 구비하고, 구체(20)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30)과, 이 코어층(30)을 덮는 커버층(32)으로 형성되고, 코어층(30)은, 구상이며 중실인 내측 코어층(30A)과, 이 내측 코어층(30A)을 덮는 외측 코어층(3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층(32)은, 복수의 외피(3202, 3204)가 바느질 실(34)을 통하여 꿰매어 이어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커버층(32)의 외면이다.
바느질 실(34)은 전파 반사성을 가지고 있다.
바느질 실(34)은, 제1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영역(22)과 마찬가지로 높은 전파 반사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파(마이크로파)를 효율 좋게 반사하는 것이다.
바느질 실(34)은, 반사파 W2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 되고,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표면 저항 R은 130Ω/sq.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바느질 실(34)로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된 실, 혹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가 함침(含浸)된 실을 이용할 수 있다.
혹은, 바느질 실(34)에 의하여 외피(3202, 3204)를 꿰매어 이은 후, 바느질 실(34)에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함침시키는 것으로 바느질 실(34)에 전파 반사성을 가지게 하여도 무방하다.
외피(3202, 3204)는, 그 전파 반사율이 바느질 실(34)의 전파 반사율보다도 낮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2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영역(22)은 바느질 실(34)로 구성되고, 제2 영역(24)은 외피(3202, 320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제13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13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제1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3은 제1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기용 볼(4)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3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기용 볼(4)이 연식 야구용 볼이며,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3 실시의 형태의 구기용 볼(4)은 구체(20)를 구비하고, 구체(20)는, 구상이며 중공인 코어층(36)과, 이 코어층(36)을 덮는 커버층(38)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중 부호 20A는 중공부를 도시한다.
이 경우,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커버층(38)의 외면이다.
코어층(36), 커버층(38)의 재료로서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커버층(38)의 외면은, 상기의 구면을 이루는 커버층(38)의 표면과, 이 표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재 형성된 띠 형상 영역(40)과, 띠 형상 영역(40)의 전장(全長)에 걸쳐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凹凸部, 42)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요철부(42)를 구성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쌍방 또는 일방(一方)에 전파 반사성을 가지는 반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44)는, 제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영역(22)과 마찬가지로 높은 전파 반사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파(마이크로파)를 효율 좋게 반사하는 것이다.
반사부(44)는, 반사파 W2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 되고,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반사부(44)의 표면 저항 R은 130Ω/sq.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반사부(44)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제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영역(22)과 마찬가지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는, 예를 들어,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도료이다. 이와 같은 도료를 복수의 요철부(42)를 구성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쌍방 또는 일방에 도포하는 것으로(인쇄하는 것으로) 반사부(44)가 형성된다.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는, 금속박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금속박을 복수의 요철부(42)를 구성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쌍방 또는 일방에 접착제로 붙이는 것으로 반사부(4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박으로서 알루미늄박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금속박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복수의 요철부(42)를 구성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쌍방 또는 일방에 증착하는 것으로 반사부(44)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반사부(44)는, 복수의 요철부(42)를 구성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쌍방 또는 일방에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가 증착되는 것으로 형성된 증착막 혹은 불연속 증착막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서, 금속 이외의 도전 물질, 예를 들어 카본을 포함하는 재료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반사부(44)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와 비도전성을 가지는 재료가 혼합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반사부(44)는, 띠 형상 영역(40)을 따라 당해 띠 형상 영역(40)에 매설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된 실, 혹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가 함침된 실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와 같은 실로서 금속제의 와이어를 이용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제13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영역(22)은 반사부(44)로 구성되고, 제2 영역(24)은 반사부(44)를 제외하는 커버층(38)의 외면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제14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제14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4 실시의 형태는, 구기용 볼의 제조 방법에 관련되는 것이다.
제14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기용 볼(2)이 골프 볼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증착 영역(22)이 형성되기 전의 골프 볼(2)의 평면도, 도 35는 증착 영역(22)이 형성된 후의 골프 볼(2)의 평면도, 도 36은 형(型, 3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34에 도시하는 구기용 볼(2)을 준비한다.
구기용 볼(2)은, 제1 재료로 형성된 구체(20)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체(20)는, 중실이며 구상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버층(32)으로 형성되고, 커버층(32)의 표면에 다수의 딤플(26)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층(32)은,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 상을 연재하고 있고, 커버층(32)은 제1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재료는, 전파 반사율이 전혀 없는 재료라도 무방하며, 혹은, 후술하는 제2 재료보다도 전파 반사율이 낮은 재료이고,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이 채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6에 도시하는 형(46)을 준비한다.
형(46)은, 중공의 반구상(半球狀)을 나타내는 제1, 제2 분할체(48A, 48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제2 분할체(48A, 48B)는, 그들의 원환상(圓環狀)의 가장자리부(4802)를 맞추는 것에 의하여 구체(20)의 외경(外徑)과 거의 같은 내경(內徑)을 가지는 중공의 구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제2 분할체(48A, 48B)는, 각각 구면 상을 연재하는 본체부(4804)와, 본체부(4804)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창(窓, 4806)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형(46)은, 후술하는 제2 영역(24)을 덮는 본체부(4804)와, 본체부(4804)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증착 영역(22)을 노출시키는 창(4806)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창(4806)은 동일 직경을 가지는 원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 각 창(4806)은, 정점이 상기의 중공의 구체의 표면(중공의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에 위치하도록 가상된 정다면체 또는 준정다면체의 각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구체(20)에 제1, 제2 분할체(48A, 48B)를 씌우고, 제1, 제2 분할체(48A, 48B)의 가장자리부(4802)를 맞춘 상태에서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체(20)를 형(46)에 수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구체(20)의 표면, 바꾸어 말하면,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각 창(4806)을 통하여 외방(外方)에 노출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제1 재료보다도 전파 반사율이 높은 제2 재료를 준비한다.
제2 재료로서는, 은, 동, 금, 니켈, 알루미늄, 철, 티탄, 텅스텐 등의 종래 공지의 다양한 금속, 혹은, 금속 이외의 도전 물질, 예를 들어 카본을 포함하는 재료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형(46)에 수용된 골프 볼(2)을 증착 장치에 넣어, 제2 재료의 증착을 행한다.
즉, 진공으로 한 용기의 안에서, 제2 재료를 가열, 기화, 혹은 승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46)에 수용되어 창(4806)으로부터 노출하는 구체(20)의 구면에 제2 재료를 증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체(20)의 구면 중 창(4806)을 통하여 노출하는 부분에 제2 재료가 증착되어 박막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영역(22)(증착 영역)이 형성된다. 이것과 함께, 구체(20)의 구면 중 본체부(4804)로 덮인 부분에는 제2 재료가 증착되지 않아 제2 영역(24)이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재료의 위에 진공증착에 의하여 제2 재료를 증착시키는 것으로 제1 영역(22)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제1 영역(22)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부분에 제2 재료를 증착시키지 않는 것으로 제1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영역(24)(비증착 영역)이 형성된다.
덧붙여, 이와 같은 증착 장치로서 종래 공지의 다양한 증착 장치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제1 영역(22)의 형상은 형(46)의 창(4806)에 대응하여 동일한 직경의 정원을 나타낸 것으로 되지만, 각 제1 영역(22)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혹은 정다각형 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각 제1 영역(22)의 수나 배치 위치는 임의이다. 요(要)는 제1 영역(22)에 의하여 송신파 W1를 반사할 수 있으면 된다.
덧붙여, 제1 영역(22)은, 증착막 및 불연속 증착막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증착막은 도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불연속 증착막은, 타겟으로부터 증발한 원자가 비증착체로서의 구체(20)의 표면에 부착하여 복수의 성장핵이 성장하는 과정에 있어서, 각 성장핵끼리가 접촉하지 않는 단계, 바꾸어 말하면 각 성장핵끼리가 연속하지 않는 단계에서 증착을 멈추고, 성장핵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증착막이다.
따라서, 불연속 증착막에서는, 성장핵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하지 않고 비도전체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영역(22)은, 증착막 및 불연속 증착막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요컨데 제1 재료보다도 높은 전파 반사율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즉, 제1 영역(22)은, 반사파 W2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 되고, 제1 영역(22)의 표면 저항으로서 필요한 범위는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체(20)의 구면 상에는,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이 형성된 구기용 볼(2)이 제조된다.
덧붙여, 제1 영역(22) 및 제2 영역(24)의 전역에 합성 수지제의 막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합성 수지제의 막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보호되기 때문에, 골프 클럽 헤드에 의하여 구기용 볼(2)이 타격된 경우에 제1 영역(22)이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상기의 합성 수지는 투명하여도, 불투명하여도 무방하다.
합성 수지가 투명하면, 제1 영역(22)이 시인(視認)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구기용 볼(2)이 도플러 레이더에 의한 계측에 적절한 것인 것이 한눈에 판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합성 수지가 불투명하면, 제1 영역(22)이 합성 수지제의 막으로 은폐되기 때문에, 구기용 볼(2)의 외관성을 높이고, 디자인성의 자유도(自由度)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구기용 볼(2)에 의하면 제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술의 효과를 가지는 구기용 볼(2)을, 증착을 이용하여 제조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금속박을 붙이는 것에 의하여, 혹은, 도료를 도포 또는 인쇄하는 것에 의하여 구체(20)의 구면에 전파 반사율이 높은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대량의 구기용 볼(2)을 단시간에 제조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제1 영역(22)은, 박막의 막 두께를 극히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막 두께를 고정도(高精度)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의 높은 측정용의 구기용 볼(2)을 얻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도료를 도포 혹은 인쇄하는 것에 의하여 구체(20)의 구면에 전파 반사율이 높은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막 두께에 흐트러짐이 생기지만, 제1 영역(22)은, 박막의 막 두께를 고정도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전파 반사율 Γ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어, 도플러 레이더에 의한 계측을 고정도로 행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제15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도 37, 도 38을 참조하여 제15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5 실시의 형태도 구기용 볼(2)이 골프 볼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5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14 실시의 형태와 다르다.
즉, 제15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재료의 증착은,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 중 제2 영역(24)에 대응하는 부분을 마스킹 부재(50)로 덮고, 제1 영역(22)에 대응하는 부분을 마스킹 부재(50)로부터 노출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마스킹 부재(50)로서는, 점착 테이프 혹은 열에 의하여 수축하는 수지 필름 등이 사용 가능하다.
열에 의하여 수축하는 수지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2 영역(24)에 대응한 개소를 이 수지 필름으로 덮은 후, 열을 가하는 것으로 수지 필름을 구체(20)의 구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마스킹 부재(50)로 덮은 상태에서 제2 재료를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증착시키고, 그 후, 마스킹 부재(50)를 구면으로부터 제거하면,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이 형성된 구기용 볼(2)을 얻을 수 있다.
덧붙여, 마스킹 부재(50)에 제1 영역(22)을 노출시키는 창을 미리 설치해 두고, 창으로부터 노출하는 구체(20)의 구면에 제2 재료를 증착시키는 것으로 제1 영역(22)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제15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4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제16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도 39를 참조하여 제16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6 실시의 형태도 구기용 볼(2)이 골프 볼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6 실시의 형태에서는, 형(46)이나 마스킹 부재(50)를 이용하는 것 없이, 다수의 딤플(26)을 포함하는 구면의 전역에 진공증착에 의하여 제2 재료를 증착시킨다.
다음으로, 구면을 연마하는 것에 의하여 구면으로부터 제2 재료를 제거한다.
이 제거에 의하여,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딤플(26)에 잔존하는 제2 재료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형성되고, 제2 재료가 제거된 구면에 의하여 제2 영역(24)이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을 제1 재료로 형성하고, 구면의 전역에 진공증착에 의하여 제2 재료를 증착시키는 것과 함께, 이 증착 후에 미리 정하여진 영역으로부터 제2 재료를 제거한다. 이것에 의하여, 구면에 잔존하는 제2 재료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형성되고, 제2 재료가 제거된 구면에 의하여 제2 영역(24)이 형성된다.
즉, 제1 영역(22)은, 딤플(26)에 형성되고, 제2 영역(24)은, 다수의 딤플(26)을 제외하는 구면에 형성된다.
덧붙여, 구기용 볼(2)이 딤플(26)을 가지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탁구용 볼인 경우에는, 탁구용 볼을 제1 재료로 형성하고, 그 표면 전역에 제2 재료를 증착시키고, 그 후, 기계적인 가공이나 화학적 처리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제2 재료를 제거하여,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제16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4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이고, 형(46)이나 마스킹 부재(50)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덧붙여,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이 커버층(32)의 표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20)의 구면은 코어층의 표면(혹은 커버층(32)의 내면)이어도 무방하고, 이 경우는, 코어층의 표면(혹은 커버층(32)의 내면)에 제1 영역(22)과 제2 영역(24)을 형성하면 된다. 요는, 구체(20)의 구면은, 구기용 볼의 표면(외면)에 위치하여도 무방하고, 구기용 볼의 내부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구체(20)의 구면이 구기용 볼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구기용 볼(4)이 경식 야구용 볼인 경우에 관하여 도 20을 유용(流用)하여 설명한다.
구체(20)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30)과, 이 코어층(30)을 덮는 커버층(32)으로 형성되고, 코어층(30)이, 구상이며 중실인 내측 코어층(30A)과, 이 내측 코어층(30A)을 덮는 외측 코어층(30B)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20)의 구면은, 내측 코어층(30A)의 외면(외측 코어층(30B)의 내면)이어도, 외측 코어층(30B)의 외면(커버층(32)의 내면)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구체(20)의 구면을 덮는 부분, 즉, 외측 코어층(30B), 커버층(32)은, 제1 영역(22)에 의한 전파의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전파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재료 등으로 형성하면 된다.
외측 코어층(30B)의 재료로서는, 모사나 면사 등의 실, 혹은, 발포 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 재료가 예시되고, 커버층(32)의 재료로서는, 소가죽이 예시된다.
이와 같이 제1 영역(22), 제2 영역(24)을 구체(20)의 내부에 형성하면, 제1 영역(22), 제2 영역(24)이 숨겨져 구기용 볼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1 영역(22), 제2 영역(24)의 디자인성, 외관성에 관하여 고려하는 것 없이 제1 영역(22), 제2 영역(24)을 형성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은, 골프 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경식 야구용 볼, 연식 야구용 볼 등 다양한 구기용 볼에 넓게 적용 가능하다.
(제17 실시의 형태)
다음으로, 도 40을 참조하여 제17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7 실시의 형태도 구기용 볼(2)이 골프 볼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7 실시의 형태는, 구체(20)가 코어층(30)과 커버층(32)으로 구성되고, 코어층(30)에 형성된 딤플(3010)에 제16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영역(22)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코어층(30)은, 구상을 나타내며 그 구면에 복수의 딤플(3010)이 형성된 표면을 가지고 있다.
커버층(32)은, 전파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코어층(30)을 덮고 구면에 상기의 딤플(3010)과는 다른 다수의 딤플(3210)이 형성된 표면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코어층(30)의 표면이다.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다.
우선, 제1 재료와, 제1 재료보다도 전파 반사율이 높은 제2 재료를 준비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재료로서 도전성 도료를 이용한다.
코어층(30)을 제1 재료로 형성한다.
복수의 딤플(3010)을 포함하는 코어층(30)의 표면의 전역에 도전성 도료를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코어층(30)의 표면의 전역을 제2 재료로 덮는다.
이어서, 코어층(30)의 구면을 연마하는 것에 의하여 코어층(30)의 구면으로부터 제2 재료를 제거한다.
이것에 의하여, 딤플(3010)에 잔존하는 제2 재료에 의하여 제1 영역(22)이 형성되고, 제2 재료가 제거된 코어층(30)의 구면에 의하여 제2 영역(24)이 형성된다.
그 후, 코어층(30)의 외측에 커버층(32)을 형성한다.
이 결과, 제1 영역(22)은, 코어층(30)의 복수의 딤플(3010)에 형성되고, 제2 영역(24)은, 복수의 딤플(3010)을 제외하는 코어층(30)의 구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7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6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이고, 제1, 제2 영역(22, 24)이 커버층(32)에 의하여 덮이기 때문에, 외관을 통상의 골프 볼과 같도록 할 수 있어, 디자인성을 높이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덧붙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코어층(30)의 표면의 전역에 도전성 도료를 도포하는 것으로 코어층(30)의 표면의 전역을 제2 재료로 덮었지만, 코어층(30)의 표면의 전역을 제2 재료로 덮는 방법은, 진공증착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채용 가능하다.
2, 4 : 구기용 볼 20 : 구체
22 : 제1 영역 24 : 제2 영역
26 : 딤플 30 : 코어층
30A : 내측 코어층 30B : 외측 코어층
32 : 커버층 32A : 제1 커버층
32B : 제2 커버층 3202, 3204 : 외피
34 : 바느질 실 36 : 코어층
38 : 커버층 40 : 띠 형상 영역
42 : 요철부 44 : 반사부
46 : 형 50 : 마스킹 부재
3010 : 코어층(30)의 딤플 3210 : 커버층(32)의 딤플

Claims (65)

  1. 구체(球體)와,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球面) 상(上)에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구면 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부분에 형성된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은, 상기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보다도 낮고,
    상기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은 상기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의 2배 이상이고,
    상기 제1 영역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표면 저항은 130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2. 구체(球體)와,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球面) 상(上)에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구면 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부분에 형성된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은, 상기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보다도 낮고,
    상기 제1 영역의 전파 반사율은 상기 제2 영역의 전파 반사율의 10배 이상이고,
    상기 제1 영역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표면 저항은 130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도전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3개 형성되고,
    상기 3개의 제1 영역을 접속하는 상상선(想像線)은, 상기 구체의 직경(直徑)을 포함한 평면 상에서 정삼각형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영역은, 각 정점(頂點)이 상기 구체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가상된 정다면체 또는 준정다면체(準正多面體)의 상기 각 정점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영역은 각각 상기 구체의 표면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직선상(直線狀)으로 연재(延在)하여 격자상(格子狀)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영역은, 직경 2mm 이상 15mm 이하의 정원(正圓), 또는, 내접원의 직경이 2mm 이상 15mm 이하의 정다각형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상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서로 대향하는 2개소와, 상기 구체의 중심을 통하는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5도 이상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는,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도료(塗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는, 금속박(金屬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구면 상에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가 증착(蒸着)되는 것으로 형성된 증착막 혹은 불연속 증착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구체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의 표면은 합성 수지제의 막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球狀)이며 중실(中實)인 코어(core)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코어층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복수의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코어층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층은, 구상이며 중실인 내측 코어층과, 이 내측 코어층을 덮는 외측 코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내측 코어층의 외면, 또는 외측 코어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용 볼은, 경식(硬式) 야구용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공(中空)인 코어층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코어층의 외면 또는 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공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1 이상의 커버층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용 볼은, 상기 구체를 이루는 골프 볼이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골프 볼의 표면이고,
    상기 골프 볼의 표면은, 다수의 딤플(dimple)이 형성된 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딤플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다수의 딤플을 제외하는 상기 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제1 영역은, 직경 2mm 이상 15mm 이하의 정원, 또는, 내접원의 직경이 2mm 이상 15mm 이하의 정다각형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3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상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서로 대향하는 2개소와, 상기 구체의 중심을 통하는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5도 이상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35. 삭제
  3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는,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3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구체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3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코어층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3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복수의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코어층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4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층은, 구상이며 중실인 내측 코어층과, 이 내측 코어층을 덮는 외측 코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내측 코어층의 외면, 또는 외측 코어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4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공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1 이상의 커버층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4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용 볼은, 상기 구체를 이루는 골프 볼이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골프 볼의 표면이고,
    상기 골프 볼의 표면은, 다수의 딤플이 형성된 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딤플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다수의 딤플을 제외하는 상기 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영역은, 정점이 상기 구체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가상된 정다면체 또는 준정다면체의 상기 각 정점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4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영역은, 직경 2mm 이상 15mm 이하의 정원, 또는, 내접원의 직경이 2mm 이상 15mm 이하의 정다각형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4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상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서로 대향하는 2개소와, 상기 구체의 중심을 통하는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5도 이상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50. 삭제
  5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는,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5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구체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5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코어층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5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복수의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코어층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5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층은, 구상이며 중실인 내측 코어층과, 이 내측 코어층을 덮는 외측 코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내측 코어층의 외면, 또는 외측 코어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5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공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1 이상의 커버층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5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용 볼은, 상기 구체를 이루는 골프 볼이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골프 볼의 표면이고,
    상기 골프 볼의 표면은, 다수의 딤플이 형성된 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딤플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다수의 딤플을 제외하는 상기 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58. 삭제
  5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는,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6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구체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6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코어층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6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복수의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코어층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6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실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커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층은, 구상이며 중실인 내측 코어층과, 이 내측 코어층을 덮는 외측 코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내측 코어층의 외면, 또는 외측 코어층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6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구상이며 중공인 코어층과, 이 코어층을 덮는 1 이상의 커버층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커버층의 외면 또는 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6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용 볼은, 상기 구체를 이루는 골프 볼이고,
    상기 구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은, 상기 골프 볼의 표면이고,
    상기 골프 볼의 표면은, 다수의 딤플이 형성된 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딤플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다수의 딤플을 제외하는 상기 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볼.
KR1020137021509A 2009-12-14 2010-12-14 구기용 볼, 구기용 볼의 제조 방법 및 골프 볼의 제조 방법 KR101666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3380 2009-12-14
JPJP-P-2009-283380 2009-12-14
JPJP-P-2010-090316 2010-04-09
JP2010090316 2010-04-09
PCT/JP2010/007258 WO2011074247A1 (ja) 2009-12-14 2010-12-14 球技用ボ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732A Division KR101440305B1 (ko) 2009-12-14 2010-12-14 구기용 볼, 및 골프 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915A KR20130105915A (ko) 2013-09-26
KR101666597B1 true KR101666597B1 (ko) 2016-10-14

Family

ID=441670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509A KR101666597B1 (ko) 2009-12-14 2010-12-14 구기용 볼, 구기용 볼의 제조 방법 및 골프 볼의 제조 방법
KR1020127012732A KR101440305B1 (ko) 2009-12-14 2010-12-14 구기용 볼, 및 골프 볼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732A KR101440305B1 (ko) 2009-12-14 2010-12-14 구기용 볼, 및 골프 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795832B2 (ko)
JP (1) JP5783048B2 (ko)
KR (2) KR101666597B1 (ko)
WO (1) WO2011074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1559B2 (en) * 2011-03-11 2014-02-04 Nike, Inc. Golf ball with adjustable tackiness
JP5966271B2 (ja) * 2011-07-27 2016-08-10 横浜ゴム株式会社 球技用ボール
JP6221746B2 (ja) * 2012-05-16 2017-11-01 横浜ゴム株式会社 球技用ボール
KR101321184B1 (ko) * 2012-08-21 2013-10-29 이재영 골프공
JP6048120B2 (ja) * 2012-09-03 2016-12-21 横浜ゴム株式会社 移動体の回転数計測装置
US20160101324A1 (en) * 2013-01-09 2016-04-14 Acushnet Company Golf ball incorporating an innermost hollow portion
US20160082320A1 (en) * 2013-01-09 2016-03-24 Acushnet Company Golf ball incorporating an innermost aspherical hollow portion
US20160096078A1 (en) * 2013-01-09 2016-04-07 Acushnet Company Golf ball incorporating an innermost hollow portion
WO2014110398A1 (en) 2013-01-10 2014-07-17 Edh Us Llc Ball spin rate measurement
US20150007931A1 (en) * 2013-07-05 2015-01-08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golf ball
WO2015071928A1 (ja) * 2013-11-13 2015-05-21 横浜ゴム株式会社 移動体の回転数計測装置
JP6864427B2 (ja) * 2014-06-06 2021-04-28 大下産業株式会社 ボール
CN105457235A (zh) * 2014-09-30 2016-04-06 赖永丰 复健球及复健球组
US10159874B1 (en) * 2018-01-12 2018-12-25 Blackstar Corp. Luminous ball
WO2019175650A1 (en) * 2018-03-13 2019-09-19 Trackman A/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pin axis of a sports ball
US11344784B1 (en) * 2018-07-13 2022-05-31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with wound core with integrated circuit
CN113518931A (zh) * 2019-07-11 2021-10-19 轨迹人有限责任公司 利用球标记确定自旋测量值的系统和方法
US20220161118A1 (en) * 2020-11-20 2022-05-26 Acushnet Company Golf ball having at least one radar detectable mark
JP2023089939A (ja) * 2021-12-16 2023-06-28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 少なくとも1つのレーダー検出可能マークを具備するゴルフボール
JP2023089935A (ja) * 2021-12-16 2023-06-28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 少なくとも1つのレーダー検出可能マークを具備するゴルフボ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071A (ja) 2005-11-08 2007-05-31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の性能評価システム
US20080000364A1 (en) 2006-06-23 2008-01-03 Dennis Paul Bevirt Golf ball locat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1810A (en) * 1954-12-10 1958-11-25 Veatch Franklin Golf ball
US4660039A (en) * 1985-02-14 1987-04-21 Barricks Mary S System for locating a sport object
DE4007454A1 (de) * 1990-03-09 1991-09-12 Int Patent Utilization Vorrichtung mit einer signalempfangseinheit zum orten von golfbaellen
JP2973172B2 (ja) * 1994-08-08 1999-11-08 株式会社麗光 金属光沢部が形成されたゴルフボール
US5662534A (en) * 1995-06-26 1997-09-02 Kroll; Braden W. Golf ball finding system
US5885173A (en) * 1995-09-18 1999-03-23 Lisco, Inc. Golf ball and method of applying indicia thereto
JP3862332B2 (ja) * 1996-12-02 2006-12-27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5820484A (en) * 1997-03-28 1998-10-13 Terry; Delmar Golf ball locating system
JPH1176458A (ja) 1997-09-10 1999-03-23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3015013B1 (ja) * 1998-11-17 2000-02-28 亀谷産業株式会社 マーキングされたゴルフ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10036871A1 (en) * 2000-04-26 2001-11-01 Lampinski Daniel B. Method of applying high-fidelity color printed indicia to a golf ball
US20020177490A1 (en) * 2001-05-24 2002-11-28 Yook-Kong Yo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for identifying and locating golf balls in driving ranges and golf courses
JP2003101207A (ja) * 2001-09-27 2003-04-04 Nec Kyushu Ltd 半田ボ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品接続構造
JP4047577B2 (ja) * 2001-11-26 2008-02-13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ウレタンカバーを有するゴルフボール
US7134974B2 (en) * 2001-12-04 2006-11-14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US6757353B2 (en) * 2002-08-28 2004-06-29 Acushnet Company Golf ball inspection using metal markers
JP2004166719A (ja) 2002-11-15 2004-06-17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ボール
US7029407B2 (en) * 2002-12-20 2006-04-18 Wilson Sporting Goods Co. Game ball cover with improved stripes and/or logos
US20040142766A1 (en) * 2003-01-17 2004-07-22 Chris Savarese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findable golf balls
JP4486374B2 (ja) * 2003-08-20 2010-06-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中航行体
US7691009B2 (en) * 2003-09-26 2010-04-06 Radar Golf, Inc. Apparatuses and methods relating to findable balls
US7766766B2 (en) * 2003-09-26 2010-08-03 Rada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relating to findable balls
US7614959B1 (en) * 2003-11-18 2009-11-10 Robert Gentile High impact game ball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US7303491B2 (en) * 2005-02-03 2007-12-04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improved dimple pattern
US7714888B2 (en) * 2005-03-07 2010-05-11 Blue Marlin Llc Reflection spectroscopic means for detecting patterned objects
US7717810B2 (en) * 2005-07-14 2010-05-18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US8002932B2 (en) 2005-12-28 2011-08-23 Bridgestone Sports Co., Ltd. Method for preparing golf ball with indicia having metallic luster
US20070207874A1 (en) * 2006-03-03 2007-09-06 Klein Bernard E Golf ball with optical feedback for improving putting stroke
JP2009226115A (ja) * 2008-03-25 2009-10-08 Sri Sports Ltd ゴルフボール
US20100240473A1 (en) * 2009-03-20 2010-09-23 Steven Aoyama Golf ball with improved symmet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071A (ja) 2005-11-08 2007-05-31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の性能評価システム
US20080000364A1 (en) 2006-06-23 2008-01-03 Dennis Paul Bevirt Golf ball locat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74247A1 (ja) 2013-04-25
US20110275462A1 (en) 2011-11-10
KR20120079145A (ko) 2012-07-11
WO2011074247A1 (ja) 2011-06-23
US20180036603A1 (en) 2018-02-08
US10478676B2 (en) 2019-11-19
KR101440305B1 (ko) 2014-09-15
KR20130105915A (ko) 2013-09-26
US9795832B2 (en) 2017-10-24
JP5783048B2 (ja)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597B1 (ko) 구기용 볼, 구기용 볼의 제조 방법 및 골프 볼의 제조 방법
US116730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pin measurements using ball marking
JP5617480B2 (ja) ボール計測装置およびボール計測方法
KR101969447B1 (ko) 구기용 볼
EP2943257A1 (en) Ball spin rate measurement
US11844990B2 (en) Launch monitor
JP5597997B2 (ja) 球技用ボール
US9272191B2 (en) Ball for ball game
KR101772521B1 (ko) 구기용 볼
CN112969139A (zh) 一种标枪飞行姿态的获取方法及系统
TW202116382A (zh) 球體測速系統
US20200179784A1 (en) Flex grip sports ball pitching machine t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