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496B1 -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작업 차량, 관리 시스템 및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작업 차량, 관리 시스템 및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496B1
KR101666496B1 KR1020157003013A KR20157003013A KR101666496B1 KR 101666496 B1 KR101666496 B1 KR 101666496B1 KR 1020157003013 A KR1020157003013 A KR 1020157003013A KR 20157003013 A KR20157003013 A KR 20157003013A KR 101666496 B1 KR101666496 B1 KR 10166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oduction
processing
division
regeneration
occurrence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344A (ko
Inventor
도시히로 하시모토
다쓰로 나카자토
아키카즈 미야하라
미쓰요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11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6Indicating mainten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7Storing data relevant to operation of exhaust systems for later retrieval and analysis, e.g. to research exhaust system malfun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관리 장치인 엔진 컨트롤러(12)는, 배기 가스 중의 잔류 물질을 처리하는 후처리 장치(20)를 관리한다. 엔진 컨트롤러(12)는, 후처리 장치(20)의 재생 처리의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와, 상기 재생 처리의 실시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져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을 검출하는 재생 분단 검출부(123)를 구비한다.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분단 검출부(123)에서 검출된 분단 전의 재생 처리와, 상기 분단 후에 재개된 재생 처리가 일련의 재생 처리인 것을 해석 가능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한다.

Description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작업 차량, 관리 시스템 및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CONTROL DEVICE OF AFTERTREATMENT DEVICE, WORKING VEHIC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FTER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작업 차량, 관리 시스템 및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산이나 건설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이나 휠 로더(wheel loader) 등의 각종 건설 기계나, 덤프 트랙 등의 운반 차량 등의 작업 차량에서는, 위성 통신, 휴대 전화기 통신이나 광산 등의 소정 영역에 설정된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사용하여 관리 서버와 통신하고,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 가동 상황, 고장 이력 등의 정보를 관리 서버로 관리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런데, 상기 작업 차량에서는,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을 구동원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작업 차량에서는, 디젤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형 물질(PM: Particulate Matter)을, 전용의 필터(DPF: Diesel Particulate Filter; 디젤 미립자 필터)에 의해 포집(捕集)하는 후처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후처리 장치에서는, 포집된 PM의 퇴적량이 증가하면 필터의 눈막힘이 생기므로, 포집한 PM을 연소하여 필터의 눈막힘을 제거하는 재생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수동 조작에 의한 재생 작동 횟수를, 건설 기계의 컨트롤러로부터 건설 기계의 렌탈 회사의 서버에 송신하고, 유지보수비의 산정에 이용하는 것을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이 특허 문헌 2에서는, 통상은, 자동 재생에 의해 PM을 소각 제거하지만, 양호하게 제거되지 않을 경우에 표시 장치에 수동 재생을 촉구하는 경고를 표시한다. 오퍼레이터가 경고 표시를 볼 때 재생 스위치를 조작하면, 수동 재생이 행해진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재생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재생 작동 횟수를 카운트하고, 이 재생 작동 횟수를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관리 회사의 서버에 송신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8―248653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1―014003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재생 스위치를 조작했을 때,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재생 작동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으므로, 재생 작동 중에 오퍼레이터가 키 오프 조작을 행한 경우에, 정확한 재생 작동 횟수를 카운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재생 작동 중에 종업(終業) 시각 등으로 되어 키 오프 조작을 행하면, 작업 차량이 정지한다. 그러므로, 재생 처리도 정지한다. 이 경우, 다음날의 시업(始業) 시 등에 키 온 조작을 행하면, 전회의 재생 처리가 도중에 종료되어 있으므로, 재차, 표시 장치에 수동 재생을 촉구하는 경고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는 재생 스위치를 조작하여 수동 재생을 행하게 되어, 컨트롤러에 조작 신호가 입력되어 재생 작동 횟수가 1회분 증가한다.
그러므로, 본래라면 1회의 재생 작동 횟수로 카운트해야 할 때를 2회로 카운트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작업 차량으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작동 횟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자가 가동 상태를 파악하려고 하면, 건설 기계의 재생 처리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작업 차량이 정지한 경우라도, 재생 처리 상황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취득할 수 있는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작업 차량, 관리 시스템 및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기 가스 중의 잔류 물질을 처리하는 후처리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로서, 상기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의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와, 상기 재생 처리의 실시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져 재생 처리가 분단(分斷)된 것을 검출하는 재생 분단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는, 상기 재생 분단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분단 전의 재생 처리와, 상기 분단 후에 재개된 재생 처리가 일련의 재생 처리인 것을 해석 가능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는, 상기 재생 분단 검출부에 의해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을 나타내는 분단 정보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는, 상기 재생 처리의 실시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상기 재생 분단 검출부는, 키 온 조작 후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 처리가 분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는, 상기 재생 분단 검출부에 의해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을 나타내는 분단 정보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재생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는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flag)와 상기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재생 요부(要否)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 요부 판정부는, 재생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했을 때 상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하고, 상기 재생 분단 검출부에 있어서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재생 처리가 필요한 상태로부터 불필요한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판정했을 때 상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오프로 설정하고,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는, 상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고나서 오프로 설정될 때까지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1개의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상기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리 시스템은, 상기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와,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득하는 관리 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의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 발생 상황 출력 단계와, 상기 재생 처리의 실시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져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을 검출하는 재생 분단 검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 단계는, 상기 재생 분단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분단 전의 재생 처리와, 상기 분단 후에 재개된 재생 처리가 일련의 재생 처리인 것을 해석 가능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재생 분단 검출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져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을 검출하여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에 통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는, 분단 전후의 재생 처리가 일련의 재생 처리인 것을 해석 가능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관리 서버 등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라도, 배기 가스 중의 PM이나 NOx 등의 잔류 물질의 포집이나 환원 등의 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 상황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후처리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후처리 장치 및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처리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후처리 장치의 관리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관리 시스템(100)은, 작업 차량(1), GPS 위성(3), 통신 위성(4), 수신 장치(5), 기지국(6), 네트워크(7), 서버(관리 서버)(8), 단말기 컴퓨터(Personal Computer)(9), 및 휴대 전화기나 위성 통신기 등의 통신 단말기(10)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 차량]
작업 차량(1)은, 광산이나 도로 등의 건설 현장에 있어서, 굴삭, 땅고르기(leveling) 등의 작업이나 토사 등의 운반을 행하는 기계이며, 예를 들면, 유압 셔블, 휠 로더, 불도저(bulldozer),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나, 포크리프트 등의 운반 차량이 해당된다.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작업 차량(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디젤 엔진)(11)과, 엔진(11)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12)와, 엔진(11)으로 구동되어 도시하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회전계를 구동하는 유압 모터 또는 작업기를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 등)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가변(可變) 용량형의 유압 펌프(13)와, 유압 펌프(13)의 경사판 또는 경사축의 경전각(傾轉角)을 변경하는 서보 피스톤(14)과, 상기 서보 피스톤(14)의 동작을 제어하여 유압 펌프(13)의 유량(流量)을 조정하는 차체 컨트롤러(펌프 컨트롤러)(15)와, 모니터 장치(16)와, 상기 통신 위성(4)에 대한 위성 통신이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사용한 외부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컨트롤러(17)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12), 차체 컨트롤러(15), 모니터 장치(16), 통신 컨트롤러(17)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18)을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 장치]
모니터 장치(16)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표시부와 입력부와 연산부를 구비한다.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는, 냉각수온, 연료 잔량 등의 각종 정보, 주의 등을 표시한다.
입력부는, 표시부의 주변에 설치된 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에는, 각 입력부(버튼)의 기능이 아이콘 등으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오퍼레이터는, 재생 처리를 중단하는 경우에 어느 버튼을 누르면 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식의 모니터 장치(16)를 이용하면, 터치 패널 상에 표시된 버튼을 터치하면 된다.
또한, 입력부는, 모니터 장치(16)에 일체로 설치되는 버튼에 한정되지 않고, 모니터 장치(16)와는 다른 하우징 등에 설치되는 버튼으로 구성해도 된다.
연산부는, 입력부의 작업 모드의 설정의 입력 조작에 기초한 지령을 각 컨트롤러(12, 15)에 송신한다.
또한, 연산부는, 컨트롤러(12)의 가동을 연락(連絡)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가동한 시간의 누적으로 되는 SMR(서비스 미터)값을 누적한다. 그리고, 통신 컨트롤러(17)가 서버(8)에 대하여 통신할 때 SMR을 송신한다. 여기서 모니터 장치(16)로부터 송신되는 SMR은, 통신 컨트롤러(17)로부터의 정기적인 지령에 따라 송신된다.
[후처리 장치]
작업 차량(1)의 엔진(11)에는, 배기 가스 중의 PM이나 NOx 등의 잔류 물질의 포집이나 환원 등의 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20)가 접속되어 있다. 후처리 장치(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 장치인 엔진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후처리 장치(20)는, 엔진(11)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차로, 필터 장치로서의 디젤·미립자·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 이하 「DPF」라고 함) 장치(30)와, 환원제 수용액 믹싱 장치(이하, 믹싱 장치라고 함)(40)와, 선택 환원 촉매(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이하 「SCR」이라고 함) 장치(50)를 구비한다. 이들 장치(30, 40, 50)는, 엔진(11)으로부터의 배기 가스가 유통되는 배기관(21)의 도중에 설치된다. 이 배기관(21)은, 엔진(11)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DPF 장치(30)에 도입하는 입구관(21A)과, DPF 장치(30)의 출구에 접속된 출구관(21B)과, SCR 장치(50)의 출구에 접속된 출구관(21C)을 구비한다. 또한, 유압 셔블이나 휠 로더, 불도저이라는 작업 차량(1)에서는, 후처리 장치(20)는, 엔진(11)과 함께 엔진룸 내에 수용된다.
[DPF 장치]
DPF 장치(30)는, 케이스(31)를 구비하고, 케이스(31)의 내부에는 DOC(디젤 산화 촉매: Diesel Oxidation Catalyst)(32)와, CSF(촉매화 매연 필터: Catalyzed Soot Filter)(33)가 수용되어 있다.
[DOC]
DOC(32)는, 배기 가스 중에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도징(dosing) 연료를 산화, 발열시켜, 배기 가스 온도를 소정의 고온 지역까지 상승시키는 촉매이다. 이 상승한 배기 가스를 이용함으로써, 후술하는 CSF(33)에 퇴적된 PM을 자체 연소시켜 소각 제거하고, CSF(33)을 재생시킨다.
도징 연료는, 내연 기관이 디젤 엔진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엔진 연료와 같은 경유이며, 배기관에 설치된 도징용의 연료 분사 장치에 의해 배기 가스 중에 공급되고, 배기 가스와 함께 후처리 장치(20) 내에 유입된다. 또한, 도징용의 연료를 엔진 실린더 내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엔진 실린더 내 분사용의 연료 분사 장치에 의해 도징용의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CSF]
CSF(33)는, 상세한 도시하지 않지만, 다수의 작은 구멍을 배치한 구조로 되어 배기 가스 중의 PM을 포집하는 필터이다. CSF(33)의 작은 구멍은, 유입측으로부터 유출측을 향해 연통되어 있고, 그 단면(斷面)은 다각형상(예를 들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작은 구멍으로서는, 입구측으로 오픈(open)되rh 출구측에서 클로즈(close)된 것과, 입구측에서 클로즈되고 출구측에서 오픈된 것이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자(前者)의 작은 구멍으로부터 유입된 배기 가스가, 경계벽을 통과하여 후자의 작은 구멍으로 빠져 하류측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그 경계벽에서 PM이 포집된다.
CSF(33)의 재질은, 코디어라이트(cordierite)나 탄화규소 등의 세라믹스, 또는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그리고, CSF(33)의 입구측에는, DOC(32)와는 재질이 상이한 산화 촉매가 워쉬 코트 등에 의해 코팅되어 있어도 된다.
[믹싱 장치]
믹싱 장치(40)는, 배기 가스 중에 환원제 수용액으로서의 요소수(尿素水) 용액을 첨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믹싱 장치(40)는, DPF 장치(30)의 출구관(21B)에 장착되고, 출구관(21B) 내부에 요소수 용액을 분사하는 인젝터를 가지는 도징 모듈(41)과, 상기 요소수 용액이 저장되는 요소수 탱크(42)와, 요소수 탱크(42)로부터 도징 모듈(41)에 요소수 용액을 공급하는 공급 모듈(43)을 구비한다.
도징 모듈(41) 및 공급 모듈(43)은, 엔진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그리고, 도징 모듈(41)로부터 출구관(21B) 내의 배기 가스 중에 분사된 요소수 용액은, 배기 가스의 열에 의해 열분해되어 암모니아로 된다.
[SCR 장치]
SCR 장치(50)는, 도징 모듈(41)로부터 분출된 암모니아를 환원제로 함으로써, 배기 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환원 정화하는 것이다. 암모니아는, 환원제로서 배기 가스와 함께 SCR 장치(50)에 공급된다.
그리고, SCR 장치(50)의 하류측에 암모니아 저감 촉매를 설치해도 된다. 암모니아 저감 촉매는, SCR 장치(50)에서 미사용으로 된 암모니아를 산화 처리하여 무해화하는 것이며, 배기 가스의 이미션을 더욱 저감시킨다.
SCR 장치(50)는, 분사되는 요소가 출구관(21B) 중에서 결정화(結晶化)되어 석출(析出)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DPF 장치(30)를 재생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기 가스 온도를 고온으로 함으로써, 출구관(21B) 내의 석출물을 분해하는 재생을 행한다. 따라서, 후처리 장치(20)의 재생 처리에는, DPF 장치(30)의 재생을 행하는 경우와, SCR 장치(50)의 재생을 행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센서]
후처리 장치(20)에는, 후처리 장치(20)의 재생 처리 상황을 검출하기 위한 각종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구관(21A)은,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NOx)의 농도를 검출하는 NOx 센서(61)와, 배기 가스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63)가 설치되어 있다.
NOx 센서(61)에는, 전자 제어 컨트롤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고 함)(62)이 접속되어 있다. ECU(62)는, NOx 센서(61)의 검출값을 농도값으로 연산하고, CAN(18)을 경유하여 엔진 컨트롤러(12)에 NOx 농도를 출력하고 있다.
압력 센서(63)는, 배기 가스의 압력을 검출하고, CAN(18)을 경유하여 엔진 컨트롤러(12)에 배기 가스 압력값을 출력하고 있다.
[DPF 장치용 센서]
DPF 장치(30)에는, DOC(32)의 입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64)와, DOC(32)의 출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65)와, CSF(33)의 출구측(하류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66)가 설치되어 있다.
DPF 장치(30)에는, CSF(33)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차압(差壓)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67)가 설치되어 있다. 차압 센서(67)는, CSF(33)의 상류측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671)와, CSF(33)의 하류측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67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센서(64, 65, 66, 67)는, 엔진 컨트롤러(12)에 접속되고, 측정값을 엔진 컨트롤러(12)에 출력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12)는, 온도 센서(64, 65, 66)에 의해 측정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 등에 기초하여 도징 연료의 공급 제어 등을 행한다.
또한, 차압 센서(67)에 의해 측정되는 차압은, CSF(33)의 눈막힘 상태를 판정하는 정보 즉 재생 상태를 판정하는 정보 등에 사용된다.
[SCR 장치용 센서]
SCR 장치(50)에는, SCR 장치의 입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68), 출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69),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암모니아 센서(70)가 설치된다.
이들 각 센서(68, 69, 70)도, 엔진 컨트롤러(12)에 접속되고, 측정값을 엔진 컨트롤러(12)에 출력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12)는, 온도 센서(68, 69)에 의해 측정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 등에 기초하여 요소수 용액의 분출 제어 등을 행한다. 그리고, 요소수 용액의 분출 제어는, 암모니아 센서(70)에 의해 측정되는 암모니아 농도에 따라 제어해도 된다.
SCR 장치(50)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출구관(21C)에는, NOx 센서(71)가 설치되어 있다. NOx 센서(71)에는 ECU(72)가 접속되어 있다. ECU(72)는, NOx 센서(71)의 검출값을 농도값으로 연산하고, CAN(18)을 경유하여 엔진 컨트롤러(12)에 NOx 농도를 출력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12)는, NOx 센서(61) 및 NOx 센서(71)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SCR 장치(50)의 상류측의 NOx 농도에 대하여, 하류측의 NOx 농도가 저하하지 않을 경우(각 NOx 농도의 차분이 소정 임계값 이하의 경우)나, SCR 장치(50)의 하류측의 NOx 농도가 목표값까지 충분히 저하하지 않을 경우 등에, SCR 장치(50)의 탈초(脫硝) 능력이 저하되어 재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요소수 탱크(42)에는, 탱크 내의 요소수의 온도 및 액면 레벨(저장량)을 측정하는 센서(73)가 설치되어 있다.
ECU(72)와 센서(73)는, CAN(18)에 의해 엔진 컨트롤러(12)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ECU(72)는, 측정한 배기 가스의 NOx 농도를 CAN(18)을 통하여 엔진 컨트롤러(12)에 출력하고 있다. 또한, 센서(73)는, 측정한 요소수의 온도, 액면을 엔진 컨트롤러(12)에 출력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
다음에, 엔진 컨트롤러(1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 컨트롤러(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요부 판정부(121), 재생 제어부(122), 재생 분단 검출부(123),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 기억 수단(125)을 구비한다.
[재생 요부 판정부]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DPF 장치(30), 믹싱 장치(40), SCR 장치(50)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의 센서 정보를 취득하여 재생 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재생 제어부(122)는, 상기 재생 요부 판정부(121)에서 재생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면, 작업 기계의 가동을 계속하면서 재생 처리(자동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재생 제어부(122)는, DPF 장치(30)의 눈막힘 상태가 악화되었을 경우 등, 압력손실의 증가 등으로 수동 재생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모니터 장치(16)에 수동 재생을 촉구하는 경고와, 수동 재생을 지시하는 재생 버튼(126)을 표시한다. 오퍼레이터가 작업기에 의한 작업을 중지하여 재생 버튼(126)을 누르면, 재생 제어부(122)는 정치(定置) 수동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재생 제어부]
재생 제어부(122)는, 재생 처리 시에는, 엔진(11)의 엔진 실린더 내 분사용의 연료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도징용의 연료 공급량을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해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켜, CSF(33)에 포집된 PM의 강제 연소를 소정 시간 실시하고, CSF(33)을 재생한다. 또한, 재생 제어부(122)는, 믹싱 장치(40)를 제어하여 요소수 용액의 공급을 제어한다. 단, 이 요소수 용액의 공급 제어는, DPF 장치(30)의 재생과 달리, 재생 처리 중이라도, 재생 제어 고유의 공급 제어를 행하지 않고, 후처리와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그리고, 재생 처리 중인 모니터 장치(16)에는, 재생 처리를 중단하는 아이콘 등이 표시되고, 이 중단 표시에 대응하는 위치의 중단 버튼(127)을 오퍼레이터가 누르면, 모니터 장치(16)로부터 엔진 컨트롤러(12)에 중단 지령이 출력된다. 엔진 컨트롤러(12)의 재생 제어부(122)는, 중단 지령에 대응하여 재생 처리를 중단한다.
[재생 분단 검출부]
재생 분단 검출부(123)는, 재생 제어부(122)에 의해 재생 처리가 실행 중인 경우에, 작업 차량(1)의 키 스위치(128)가 오프된 경우, 재생 처리가 키 오프 조작에 의해 분단된 것을 판정하고, 그 검출 신호를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에 출력한다. 즉, 키 스위치(128)가 오프 조작되면, 키 스위치(128)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가 키 오프 조작을 검출한다. 엔진 컨트롤러(12)는,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진 것, 즉 엔진 정지 조작이 실행된 것을 판정하면, 엔진 정지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엔진 컨트롤러(12)는, 엔진 컨트롤러의 가동 시간인 ECU 가동 시간이나 분단 정보 등을 기억 수단(125)에 기억시킨다. 엔진 컨트롤러(12)의 전원은, 데이터의 기억 처리가 완료된 후에 정지된다.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요부 판정부(121)를 통하여 입력되는 센서 정보나, 재생 제어부(122)나 재생 분단 검출부(123)를 통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산출한다. 그리고,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통신 컨트롤러(17)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처리 중에 키 스위치(128)가 오프 조작되어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에, 그 시점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기억 수단(125)에 기억시킨다.
또한,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키 스위치(128)의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재생 처리가 분단된 후, 키 스위치(128)의 키 온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기억 수단(125)에 기억되어 있었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판독하여 통신 컨트롤러(17)에 출력한다. 그리고,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의 출력은, 모니터 장치(16)에 표시해도 되고, 프린터(도시하지 않음)와 종이에 인쇄해도 된다.
[기억 수단]
기억 수단(125)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EPROM(Erasable Progra㎜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지만, 반도체 기억 장치, 자기(磁氣) 기억 장치, 광학 기억 장치 등의 각종 기억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기억 수단(125)은, 키 스위치(128)의 오프 조작에 의해 엔진 컨트롤러(12) 등으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해도,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불휘발성의 기억 장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배터리 등의 UPS 장치를 설치하여 키 오프 시에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경우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통신 컨트롤러]
통신 컨트롤러(17)는, 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통신 컨트롤러(17)는, 각 컨트롤러(12, 15)나 모니터 장치(16)에 대하여 정보의 출력을 지령하거나, 또는 각 컨트롤러(12, 15)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취득하고, 출력된 각 정보를 정기 송신을 위해 적절히 보존한다.
통신 컨트롤러(17)는, 통신 단말기(171)를 통하여 서버(8)에 정기적 또는 재생 처리 등의 이벤트에 따른 정보 송신 필요 여부를 판정하고, 정보 송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했을 때 서버에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 컨트롤러(17)는, 정보를 송신하는 시에는, SMR·시각 정보를 부여한다.
통신 단말기(171)는, 안테나(172)가 접속되고, 위성 전화·휴대 전화기·무선 LAN 등을 사용하여 작업 차량(1)의 차량 외부와의 통신을 행한다.
통신 컨트롤러(17)는,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가 출력하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71)로부터 안테나(172)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 송신 데이터는, 예를 들면, 위성 전화를 사용한 경우에는, 통신 위성(4), 수신 장치(5), 기지국(6), 네트워크(7)를 경유하여 서버(8)에 보내진다. 또한, 휴대 전화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의 기지국, 네트워크 관제국 및 네트워크(7)를 경유하여 서버(8)에 보내진다.
서버(8)는, 수신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서버(8)의 기억 수단에 기억한다.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
여기서, 서버(8)에 기억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의 일례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 시각과 SMR(Service Meter)은,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재생 처리에 관한 이벤트에는, 재생 처리의 정상(正常) 종료와, 재생 처리의 중단과, 재생 처리의 분단이 있다. 따라서, 재생 처리 정상 종료의 이벤트 발생 시각은 재생 처리의 종료 시각이며, 재생 처리 중단의 이벤트 발생 시각은 재생 처리의 중단 시각이다. 또한, 재생 처리 분단의 이벤트 발생 시각은, 키 오프 조작에 의해 분단이 발생한 시각이다.
그리고, 재생 처리의 정상 종료 시와 재생 처리의 중단 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통신 컨트롤러(17)에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를 출력한다. 그리고, 통신 컨트롤러(17)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에 상기 이벤트 발생 시각을 부가하고, 통신 단말기(171)를 통하여 송신한다.
한편, 재생 처리의 분단 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를 기억 수단(125)에 기억한다. 또한 이벤트 발생 시각은, 통신 컨트롤러(17) 내에 기억된다.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작업 차량(1)이 정지하고, 통신 컨트롤러(17)에 의한 통신 처리도 실행할 수 없으므로이다. 이 분단 시에 기억 수단(125)에 기억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 및 통신 컨트롤러(17) 내에 기억된 이벤트 발생 시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키 온 시에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에 의해 통신 컨트롤러(17)에 출력된다. 통신 컨트롤러(17)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에 이벤트 발생 시각을 부가하고, 통신 단말기(171)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통신 컨트롤러(17)는, GPS 위성(3)으로부터 수신한 위성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위치 데이터 등을, 필요에 따라 상기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에 부가한다.
SMR은, 작업 차량(1)의 엔진(11)이 움직이고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모니터 장치(16)에 의해 출력되고, 통신 컨트롤러(17)에 있어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부가된다.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 누적 재생 필요 횟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에 있어서, 누적 재생 필요 횟수는, 재생 요부 판정부(121)에 있어서 재생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인크리먼트(1가산)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재생 처리가 분단된 후에 키 온된 경우에는,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차 재생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고, 그 시점에서 재생이 필요한 것으로 재차 판정된 경우에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도 재차 인크리먼트된다.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 누적 재생 중단 횟수]
누적 재생 중단 횟수는, 재생 처리가 중단된 누적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단 버튼(127)이 가압되어 재생 처리가 중단된 횟수와, 엔진 컨트롤러(12)가 재생을 비효율인 것으로 판단하는 등하여 자동 재생을 중단한 횟수를 누적한 횟수를 누적 재생 중단 횟수로 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12)가 재생을 비효율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예를 들면, 재생 처리를 행하여 소정 시간 경과해도 배기 가스의 온도가 오르지 않을 경우 등이다.
따라서, 재생 처리 중에 중단 버튼(127)이 가압되면 누적 재생 중단 횟수가 인크리먼트된다.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 누적 재생 완료 횟수]
누적 재생 완료 횟수는, 각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처리가 완료된 것을 재생 요부 판정부(121)가 판정하고, 재생 제어부(122)에 대하여 재생 처리의 완료를 지시한 경우에 인크리먼트된다.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 누적 재생 분단 횟수]
누적 재생 분단 횟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진 것을 재생 분단 검출부(123)가 검출하면, 인크리먼트된다.
그리고, 누적 재생 필요 횟수, 누적 재생 중단 횟수, 누적 재생 완료 횟수, 누적 재생 분단 횟수는,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에 의해 불휘발성 메모리인 기억 수단(125)에 기억된다. 그러므로, 후처리 장치(20)의 교환 시 등에 서비스 맨이 모니터 장치(16)를 조작하여 각각의 횟수를 리셋한 경우나 엔진 컨트롤러(12)가 교환된 경우에는, 기억 수단(125)에 기억되는 각각의 횟수는 초기값인 「0」으로 돌아온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횟수는, 서비스 맨이 모니터 장치(16)를 조작하여 각각의 횟수를 리셋하거나 엔진 컨트롤러(12)가 교환되지 않는 이상 감소하지 않는다.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 재생 개시 요인]
재생 개시 요인은, 재생 처리의 개시 이유가 기재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Scheduled deSoot」, 「Automatic deSoot」, 「Automatic deposit removal」의 3 종류가 기재되어 있다.
「Scheduled deSoot」는, 결정된 시간 간격이나 일시 등, 소정의 스케줄에 따라 재생 처리가 실행된 것을 의미한다.
「Automatic deSoot」는, 재생 요부 판정부(121)에 의해 DPF 장치(30)의 재생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어, 자동 재생이 행해진 것을 의미한다.
「Automatic deposit removal」은, 재생 요부 판정부(121)에 의해 SCR 장치(50)에서의 석출물의 자동 제거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어, 자동 재생이 행해진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느 경우에도, 누적 재생 필요 횟수는 인크리먼트된다.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 재생 계속 시간, 도징 연료 소비량, SMR]
재생 계속 시간은, 1회의 재생 처리의 계속 시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재생 계속 시간은 재생 처리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이다. 한편, 중단 버튼(127)이 가압되어 재생 처리가 중단한 경우나, 키 스위치(128)가 오프되어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에는, 상기 재생 계속 시간은 재생 처리의 개시로부터 중단이나 분단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도징 연료 소비량은, 재생 처리에 의해 소비된 도징 연료의 양이다.
[재생 처리 제어]
다음에, 엔진 컨트롤러(12)에 의한 재생 처리 제어에 대해서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재생 처리는, 재생 제어부(122)의 지령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또한, 재생 처리에는,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되는 경우와, 중단 버튼(127)의 조작에 의해 재생 처리가 중단되는 경우와, 재생 처리 중에 오퍼레이터가 키 오프 조작을 행함으로써 재생 처리가 분단되어 분단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 이들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분단 발생 판정>
오퍼레이터가 키 스위치(128)에 의한 키 온 조작을 행하면(단계 S1), 엔진 컨트롤러(12)의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전회(前回)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 조작에 의한 분단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 구체적으로는,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를 통하여 기억 수단(125)에 기억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취득하여 해석하고,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 조작이 있었던 것을 확인함으로써, 전회의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에 의한 분단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한다.
<재생 요부 판정>
단계 S2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즉 전회의 재생 처리 중에 분단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후처리 장치(20)에 설치된 각 센서 정보를 취득하여 재생 처리의 실시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 구체적으로는,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CSF(33)에 설치된 차압 센서(67)의 압력차 등으로부터, DPF 장치(30)에 퇴적된 PM의 퇴적량을 추정하고, 재생 처리의 실시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재생 처리의 스케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일시나 가동 시간이 재생 처리 스케줄에 해당한 경우에는, 재생 처리의 실시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한다.
재생 요부 판정부(121)가 재생 처리의 실시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3에서 No), 엔진 컨트롤러(12)는 재생 처리를 개시하지 않고, 재생 요부 판정부(121)에 의한 재생 처리의 실시 필요성의 판정 처리(단계 S3)을 계속한다.
<누적 재생 필요 횟수 갱신>
한편, 재생 요부 판정부(121)가 재생 처리의 실시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3에서 Yes),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에 1을 가산하여 인크리먼트한다(단계 S3). 그리고, 재생 제어부(122)가 누적 재생 필요 횟수를 증가시켜도 된다.
<재생 처리 실시>
다음에, 재생 제어부(122)는 재생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5). 즉, 재생 제어부(122)는, 엔진(11)의 도징 연료나 믹싱 장치(40)의 요소수 용액의 분출을 제어하여 재생 처리를 실시한다.
<재생 중 키 오프 판정>
다음에, 재생 분단 검출부(123)는, 재생 처리 실시 중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키 스위치(128)의 오프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 즉, 키 스위치(128)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가 키 오프 조작을 검출하면, 엔진 컨트롤러(12)는,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진 것, 즉 엔진 정지 조작이 실행된 것을 판정한다. 이로써, 재생 분단 검출부(123)는, 재생 처리 실시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진 것을 판정할 수 있다.
단계 S6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면, 키 오프 신호가 재생 분단 검출부(123)로부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에 입력한다(단계 S7).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 기억>
그러면,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기억 수단(125)에 기억한다(단계 S8). 이 때, 엔진 컨트롤러(12)는, 엔진 정지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ECU 가동 시간이나 분단 정보 등을 기억 수단(125)에 기억한다.
그리고,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작업 차량(1)이 정지하므로, 재생 제어 처리도 종료한다(단계 S9). 또한, 엔진 컨트롤러(12)의 전원은, 데이터의 기억 처리가 완료된 후에 정지된다.
<분단 후의 키 온 조작>
그 후, 오퍼레이터가 키 스위치(128)의 키 온 조작을 행하면, 단계 S1으로부터의 처리가 재차 실행된다.
<분단 발생 판정>
그러므로, 단계 S2에서는, 전회,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재생 처리를 분단하고 있으면,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분단 발생이 있었던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S2에서 Yes).
<누적 재생 분단 횟수 갱신>
그러면,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누적 재생 분단 횟수에 1을 가산하여 인크리먼트한다(단계 S11).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 출력>
다음에,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통신 컨트롤러(17)에,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 S12). 이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 및 누적 재생 분단 횟수가 인크리먼트된 데이터로 된다.
<재생 요부 판정>
단계 S11, S12의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도,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의 실시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 그리고, 단계 S3에서 재생이 필요한 것으로 재차 판정된 경우에도,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를 인크리먼트한다(단계 S4).
다음에, 엔진 컨트롤러(12)는, 단계 S5의 재생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단계 S6의 키 오프 조작의 유무의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재생 처리 실시 중에 재차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진 경우(단계 S6에서 Yes), 단계 S7, S8를 재차 실행하여 작업 차량(1)을 정지한다. 그 후, 키 온 조작이 행해지면, 단계 S1으로부터 처리를 반복한다.
<재생 처리 정상 완료의 경우>
한편, 재생 처리 실시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단계 S6에서 No),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취득하는 센서 정보로부터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13).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되면(단계 S13에서 Yes), 누적 재생 완료 횟수를 인크리먼트한다(단계 S14).
그리고,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통신 컨트롤러(17)에,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고(단계 S15), 재생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9). 이 때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 및 누적 재생 완료 횟수가 인크리먼트된 데이터로 된다.
<재생 처리 중단의 경우>
재생 처리 실시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지지 않아(단계 S6에서 No), 재생 처리가 정상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3에서 No),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중단 버튼(127)이 가압되어 재생 처리가 중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6).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가 중단된 경우에는(단계 S16에서 Yes), 누적 재생 중단 횟수를 인크리먼트한다(단계 S17).
그리고,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통신 컨트롤러(17)에,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고(단계 S15), 재생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9). 이 때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 및 누적 재생 중단 횟수가 인크리먼트된 데이터로 된다.
한편,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가 중단하고 있지 않은(단계 S16에서 No)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5의 재생 처리의 실시로 복귀하고, 단계 S5∼S17까지를 순차적으로 반복한다.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의 송신>
단계 S12나 단계 S15에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가 통신 컨트롤러(17)에 출력되면, 통신 컨트롤러(17)는, 통신 단말기(171)를 사용하여,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서버(8)에 송신한다. 그리고, 키 오프로부터 키 온의 사이도, 엔진 컨트롤러(12)나 통신 컨트롤러(17), 통신 단말기(171) 등의 전원만 보증할 수 있으면, 예를 들면, 키 오프 상태의 야간 중에 각 컨트롤러가 기동하여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서버(8)에서는, 작업 차량(1)으로부터 송신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축적한다. 전술한 도 4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는, 서버(8)의 기억 수단에 축적된 데이터의 일례이다.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의 분석예>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나 데이터 분석 담당자는, 단말기 컴퓨터(9) 등을 사용하여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는, 고장 원인인 추정이나 유지보수 시기의 예측에 이용할 수 있다.
도 4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의 분석예를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No.5(2013/10/7 19:06:42)의 데이터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가 No.4의 데이터의 「12」로부터 「13」으로 인크리먼트되어 있고, 재생 개시 요인이 「Automatic deposit removal」이므로, DPF 장치(30)의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재생 요부 판정부(121)에서 재생 처리의 실시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고(단계 S2에서 Yes), 단계 S3에서 누적 재생 필요 횟수가 인크리먼트되어 재생 처리가 개시된 것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누적 재생 완료 횟수가 No.4의 데이터의 「12」로부터 변경되어 있지 않고, 누적 재생 분단 횟수가 「0」으로부터 「1」로 인크리먼트되어 있으므로, No.5의 데이터는,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 조작이 있고(단계 S6에서 Yes), 그 후의 키 온 조작에 의해 단계 S1으로부터 재차 처리했을 때 단계 S4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단계 S11에서 누적 재생 분단 횟수가 인크리먼트되어, 단계 S12에서 출력된 데이터인 것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No.6(2013/10/7 19:33:09)의 데이터는, 직전의 No.5의 데이터에 대하여, 누적 재생 완료 횟수나 누적 재생 중단 횟수가 변화되어 있지 않고, 누적 재생 필요 횟수와 누적 재생 분단 횟수가 +1 가산되어 인크리먼트되어 있으므로, 단계 S12 후의 단계 S5에서 재생 처리를 실시하였으나, 재차, 키 오프 조작이 있고, 단계 S6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단계 S7, S8의 처리를 행한 후, 재차, 키 온 조작이 있어, 단계 S1∼S4, S11, S12에서 누적 재생 분단 횟수가 인크리먼트되어 출력된 데이터인 것을 분석할 수 있다.
즉, No.5, 6의 각 데이터는, 분단 후의 키 온으로 처리가 재개되었을 때 단계 S12에서 출력된 것이며, 재생 처리 중인 키 오프 조작에 의한 분단 발생이 연속하여 2회 행해진 것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No.7(2013/10/7 21:03:14)의 데이터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 및 누적 재생 완료 횟수가 함께 인크리먼트되어 있으므로, 단계 S12에서 No.6의 데이터를 출력 후, 단계 S3에서 누적 재생 필요 횟수가 인크리먼트되고, 단계 S13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단계 S14에서 누적 재생 완료 횟수가 인크리먼트된 것, 즉 분단 후의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된 것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No.8(2013/10/10 00:29:25)의 데이터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 및 누적 재생 완료 횟수가 함께 인크리먼트되어 있고, 재생 개시 요인이 「Scheduled deSoot」이므로,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재생 처리이며, 정상으로 완료된 것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No.9의 데이터에 대하여 No.10의 데이터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 등의 값이 감소하고 있으므로, 그 사이에 리셋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이유에서 No.19와 No.20과의 사이에서도 리셋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엔진 컨트롤러(12)로부터 통신 컨트롤러(17)를 통하여 서버(8)에 송신하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누적 재생 분단 횟수를 추가하였으므로, 서버(8)에 축적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를 해석함으로써, 재생 처리 중에 키 스위치(128)가 오프 조작되어 재생 처리가 중단된 것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처리 상황을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재생 처리 중인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재생 처리를 분단한 경우에, 누적 재생 분단 횟수가 인크리먼트 되므로, 누적 재생 분단 횟수가 인크리먼트된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No.5)와, 그 다음의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No.6)와는 일련의 재생 처리의 데이터인 것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분단 전후의 재생 처리를 2회의 별개의 재생 처리인 것으로 오판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라도, 배기 가스 중의 PM이나 NOx 등의 잔류 물질의 포집이나 환원 등의 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20)의 재생 처리 상황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재생 분단 검출부(123)를 설치하였으므로,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져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을 검출하여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에 통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분단 전후의 재생 처리가 일련의 재생 처리인 것을 해석 가능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서버(8)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8)에 축적되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자는, 분단 발생에 의해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가 2개로 나누어져 있어도 상기 분단 정보의 유무에 따라 2개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가 일련의 재생 처리의 것인지, 다른 재생 처리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가, 재생 분단 검출부(12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분단 전후의 데이터를 1개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로서 출력하면, 2개의 데이터로 나누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련의 재생 처리인 것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처리의 분단 전후의 재생 처리에 관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별개로 출력하는 경우에, 적어도 한쪽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분단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분단 정보(누적의 분단 횟수 등)를 부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버(8)에 축적되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자는, 상기 분단 정보의 유무에 따라 2개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가 일련의 재생 처리의 것인지, 다른 재생 처리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분단 정보의 유무로 판정할 수 있으므로, 서버(8)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라도, 재생 처리 상황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그 시점에서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125)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키 온 조작이 행해지면, 재생 분단 검출부(123)는 기억 수단(125)에 기억된 실제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 처리가 분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므로, 재생의 분단 발생을 확실하게 또한 키 온 조작 직후에 조기에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분단 검출부(123)에서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을 판정한 경우에, 상기 기억 수단(125)에 기억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분단 정보를 부가하여 출력하므로, 분단 발생 후의 키 온 조작의 직후에 조기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분단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서버(8)에 축적되는 데이터를 분석자나 프로그램이 분석함으로써, 2개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가 일련의 재생 처리의 것인지, 다른 재생 처리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재생 처리가 분단된 후, 재차 키 온 조작이 행해져 재생 처리가 재개되었을 때, 기억 수단(125)에 기억되어 있었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의 누적 재생 분단 횟수를 단계 S11에서 증가시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에, 단계 S8의 기억 수단(125)으로의 기억 처리를 행하는 대신에, 누적 재생 분단 횟수를 인크리먼트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통신 컨트롤러(17)에 출력하여 서버(8)에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키 스위치(128)의 오프 조작에 의해 작업 차량(1)이 정지하지만, 통신 컨트롤러(17)에 대한 전력 공급은 서버(8)에 대한 송신이 종료하고나서 정지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통신 컨트롤러(17)용의 전원(배터리)을 별도 설치하고, 작업 차량(1)이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정지해도, 서버(8)와의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누적 재생 분단 횟수를 부가함으로써 분단이 발생한 것을 분석 가능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의 엔진 컨트롤러(12)는, 누적 재생 분단 횟수를 부가하는 것은 아니고, 키 오프 조작에 의해 분단된 재생 처리를 엔진 컨트롤러(12) 측에서 처리하고, 분단이 발생해도 그 전후의 데이터를 모아서 1개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로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엔진 컨트롤러(12)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엔진 컨트롤러(12)의 재생 처리 제어를, 도 6의 플로우차트 및 도 7의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오퍼레이터가 키 스위치(128)에 의한 키 온 조작을 행하면(단계 S20), 엔진 컨트롤러(12)의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기억 수단(125)에 기억되는 PM 퇴적량 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1). 키 온 시에 PM 퇴적량 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회 재생 처리 중에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구체적으로는, 키 오프 조작에 의해 분단이 발생한 경우와, 중단 버튼(127)에 의해 재생 처리가 중단된 경우이다. 즉, 재생 처리가 필요한 경우이다.
<재생 처리 개시의 판정 처리>
단계 S21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전회의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종료한 경우이다. 그러므로,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DPF 장치(30)의 차압 센서(67) 등의 정보로부터 추정한 PM(매연)의 퇴적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정하고(단계 S22), 새롭게 재생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PM 퇴적량이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22에서 No), 재생 처리를 개시하지 않고, 재생 요부 판정부(121)에 의한 PM 퇴적량의 판정 처리(단계 S22)를 계속한다.
<재생 처리>
한편,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PM 퇴적량이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22에서 Yes), 기억 수단(125)에 기억되는 PM 퇴적량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다(단계 S23).
또한,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에 1을 가산하여 인크리먼트한다(단계 S24). 또한,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PM 퇴적량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하여 재생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하였으므로, 기억 수단(125)에 기억되는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ON으로 설정(단계 S25)하면, 재생 제어부(122)는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26).
<재생 중 키 오프 판정>
다음에, 재생 분단 검출부(123)는, 재생 처리 실시 중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키 스위치(128)의 오프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7).
단계 S27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면, 키 오프 신호가 재생 분단 검출부(123)로부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에 입력한다(단계 S28). 그러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처리가 정지(OFF)로 되어, 재생 처리가 분단된다.
<PM 퇴적량 플래그 및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오프 신호가 입력되어 재생 처리가 정지해도, 기억 수단(125)에 기억되어 있는 PM 퇴적량 플래그 및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는 ON의 상태로 유지한다(단계 S29). 즉,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에는,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는 도 7의 실선과 같이 ON으로 유지되고, 도 7의 점선과 같이 OFF로 변화하지 않는다.
그리고,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작업 차량(1)이 정지하므로, 재생 제어 처리도 종료한다(단계 S30). 그리고, 키 스위치(128)의 오프 조작에 의해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에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는 통신 컨트롤러(17)를 통하여 출력되지 않는다. 즉,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가 ON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일련의 재생 처리 중인 것을 판단할 수 있어, 키 오프 조작 시나 그 후의 키 온 시에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분단 후의 키 온 조작>
다음의 키 온 조작이 행해지면, 단계 S20로부터의 처리가 재차 실행된다. 그리고,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기억 수단(125)에 기억되어 있는 PM 퇴적량 플래그가 ON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21). 전회(前回)의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나, 중단 버튼(127)이 가압되어 재생 처리가 중단된 경우에는, PM 퇴적량 플래그는 ON(재생 처리가 필요)으로 되어 있으므로,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단계 S21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한다.
다음에,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가 ON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31). 전회의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에는,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는 ON으로 되어 있으므로,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단계 S31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분단 전의 재생 처리의 계속적인 재생 처리라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누적 재생 필요 횟수를 갱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재생 제어부(122)는 재생 처리를 개시(재개)한다(단계 S26).
한편,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계 S31에서 재생 처리 플래그가 OFF의 경우(단계 S31에서 No의 경우), 단계 S24로 진행하고, 누적 재생 필요 횟수를 인크리먼트하고,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다(단계 S25). 그리고, 재생 제어부(122)는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26).
<재생 처리 정상 완료의 경우>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단계 S27에서 No),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32). 예를 들면, 차압 센서(67) 등으로부터 취득되는 센서 정보로부터 PM 퇴적량이 임계값 미만으로 저하된 경우에,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종료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되면(단계 S32에서 Yes), 누적 재생 완료 횟수를 인크리먼트한다(단계 S33). 그리고,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PM 퇴적량 플래그를 OFF로 설정하고,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단계 S34).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되면,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통신 컨트롤러(17)에 출력하고(단계 S35), 재생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30). 이 때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 및 누적 재생 완료 횟수가 인크리먼트된 데이터로 된다.
<재생 처리 중단의 경우>
재생 처리 실시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지지 않아(단계 S27에서 No), 재생 처리가 정상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32에서 No),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중단 버튼(127)이 가압되어 재생 처리가 중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6).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가 중단한 경우에는(단계 S36에서 Yes), 누적 재생 중단 횟수를 인크리먼트하고(단계 S37),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단계 S38).
재생 처리가 중단된 경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통신 컨트롤러(17)에 출력하고(단계 S35), 재생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30). 이 때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 및 누적 재생 중단 횟수가 인크리먼트된 데이터로 된다.
한편,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가 중단되어 있지 않은(단계 S36에서 No)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27의 재생 처리의 실시로 돌아와, 단계 S27 이후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반복한다.
<재생 처리 중단 후의 키 온 조작 시의 처리>
그리고, 재생 처리가 중단되고(단계 S36에서 Yes), 단계 S37, S38의 처리를 행하여 단계 S30에서 제어를 종료한 후에, 키 온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PM 퇴적량 플래그는 ON인 채이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는 단계 S38에서 OFF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단계 S21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하고, 단계 S31에서 No인 것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누적 재생 필요 횟수를 인크리먼트하고(단계 S24),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다(단계 S25). 그리고, 재생 제어부(122)는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26).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의 송신>
재생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한 경우(단계 S32에서 Yes)와, 재생 처리가 중단한 경우(단계 S36에서 Yes)에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가 통신 컨트롤러(17)에 출력된다(단계 S35). 그러면, 통신 컨트롤러(17)는, 통신 단말기(171)를 사용하여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서버(8)에 송신한다. 그리고, 키 오프로부터 키 온의 사이에도, 엔진 컨트롤러(12)나 통신 컨트롤러(17), 통신 단말기(171) 등의 전원만 보증할 수 있으면, 예를 들면, 키 오프 상태의 야간 중에 각 컨트롤러가 기동하여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입자형 물질의 퇴적량을 검출하거나, NOx 농도를 검출함으로써, 재생 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재생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면 기억 수단(125)에 기억된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한다. 또한, 재생 요부 판정부(121)에 있어서 재생 처리가 필요한 상태로부터 불필요한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오프로 설정한다. 한편,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재생 처리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진 분단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는 온인 채 유지한다.
그리고,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가 온의 상태에서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고, 온으로부터 오프로 변화된 시점에서 출력한다. 그러므로, 분단 발생 시에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분단 전후의 일련의 재생 처리에 의해 1개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분단 발생 시에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가 2개의 데이터로 나누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련의 재생 처리인 것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경우라도, 재생 처리 상황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처리가 분단된 시점이나, 분단 후의 최초의 키 온 조작 시는,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가 ON인 채이므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는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로서는, 분단 전후의 재생 처리가 1개로 정리한 데이터로서 출력되므로, 서버(8)에 축적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우도, 재생 발생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서는, 분단이 발생한 것을 직접 나타내는 분단 정보(누적 재생 분단 횟수)의 데이터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분단 발생을 분석하는 경우에는,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가 ON의 상태에서, 키 스위치가 오프 조작되고 있는지의 여부로 판정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분단 정보로서는, 누적 재생 분단 횟수에 한정되지 않고, 분단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분단 발생시는 「1」, 분단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0」의 플래그 정보로 하면 된다. 단, 누적 재생 분단 횟수를 이용하면, 그 시점에서 분단이 발생한 것뿐 아니라, 누적의 분단 발생 횟수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에서의 누적 재생 필요 횟수, 누적 재생 중단 횟수, 누적 재생 완료 횟수도 누적 횟수의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플래그 정보라도 된다.
또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200)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항목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정보를 부가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의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는, 분단이 발생한 경우에, 일련의 재생 처리의 데이터를, 복수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있었지만, 복수의 데이터를 기억 수단(125)에 출력하여 기억하고, 서버(8)에 대해서는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124)가 기억 수단(125)에 기억된 복수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모아서 1개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로서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의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단계 S21에서의 판정 처리를, PM 퇴적량 플래그 즉 DPF 장치(30)에 있어서 재생이 필요했는지의 여부로 판정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SCR 장치(50)에서도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재생 요부 판정부(121)는, 단계 S21에서 DPF 장치(30) 및 SCR 장치(50) 중 적어도 한쪽에서 재생이 필요했는지의 여부로 판정하면 된다. 즉, 단계 S21에서는, 후처리 장치(20)에서 재생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면 된다.
본 발명은,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한정되지 않고, 후처리 장치(20)를 구비하는 각종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서버(8)에 축적하고, 서버(8)에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었지만, 작업 차량(1)의 기억 수단(125)에 축적하고, 작업 차량(1)을 유지보수하는 서비스 맨이 기억 수단(125)에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해도 된다.
1…작업 차량, 8…서버, 9…단말기 컴퓨터, 11…엔진, 12…엔진 컨트롤러, 17…통신 컨트롤러, 20…후처리 장치, 30…DPF 장치, 40…믹싱 장치, 41…도징 모듈, 42…요소수 탱크, 43…공급 모듈, 50…SCR 장치, 61…NOx 센서, 63…압력 센서, 64, 65, 66…온도 센서, 67…차압 센서, 68, 69…온도 센서, 70…암모니아 센서, 71…NOx 센서, 73…센서, 100…관리 시스템, 121…재생 요부 판정부, 122…재생 제어부, 123…재생 분단 검출부, 124…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 125…기억 수단, 126…재생 버튼, 127…중단 버튼, 128…키 스위치.

Claims (7)

  1. 배기 가스 중의 잔류 물질을 처리하는 후처리 장치를 관리하는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로서,
    상기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의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
    상기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가 필요한 지 여부, 및 재생 처리가 정상 완료되었는 지 여부를 판정하는 재생 요부 판정부; 및
    상기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의 실시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져 상기 재생 처리가 분단(分斷)된 것을 검출하는 재생 분단 검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요부 판정부는, 상기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때에 재생 필요 횟수를 변경하고, 재생 처리가 정상 완료되었다고 판정된 때에 재생 완료 횟수를 변경하고, 재생 분단 검출부가 재생 처리의 분단을 검출한 때에 재생 분단 횟수를 변경하고,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는, 상기 재생 요부 판정부에서 변경된 재생 필요 횟수, 재생 완료 횟수, 및 재생 분단 횟수를, 이벤트 발생 전의 재생 처리와, 상기 이벤트 발생 후에 재개된 재생 처리가 일련의 재생 처리인 것을 해석 가능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이벤트는 재생 처리의 분단을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는, 재생 처리의 실시 중에 키 오프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상기 재생 분단 검출부는, 키 온 조작 후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 처리가 분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는, 상기 재생 분단 검출부에 의해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에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을 나타내는 분단 정보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재생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는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flag)와 상기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 요부 판정부는,
    재생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했을 때 상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하고,
    상기 재생 분단 검출부에 있어서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및
    재생 처리가 필요한 상태로부터 불필요한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판정했을 때 상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를 오프로 설정하고,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부는, 상기 재생 처리 실시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고나서 오프로 설정될 때까지의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1개의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및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득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6.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의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 발생 상황 출력 단계;
    상기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가 필요한 지 여부, 및 재생 처리가 정상 완료되었는 지 여부를 판정하는 재생 요부 판정 단계; 및
    상기 재생 처리의 실시 중에 행해지는 키 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재생 처리가 분단된 것을 검출하는 재생 분단 검출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요부 판정 단계는, 상기 후처리 장치의 재생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때에 재생 필요 횟수를 변경하고, 재생 처리가 정상 완료되었다고 판정된 때에 재생 완료 횟수를 변경하고, 상기 재생 분단 검출 단계에서 재생 처리의 분단이 검출된 때에 재생 분단 횟수를 변경하고,
    상기 재생 발생 상황 출력 단계는, 상기 재생 요부 판정 단계에서 변경된 재생 필요 횟수, 재생 완료 횟수, 및 재생 분단 횟수를, 이벤트 발생 전의 재생 처리와, 상기 이벤트 발생 후에 재개된 재생 처리가 일련의 재생 처리인 것을 해석 가능한 재생 발생 상황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이벤트는 재생 처리의 분단을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
  7. 삭제
KR1020157003013A 2014-02-28 2014-02-28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작업 차량, 관리 시스템 및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 KR101666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5163 WO2015129046A1 (ja) 2014-02-28 2014-02-28 後処理装置の管理装置、作業車両、管理システムおよび後処理装置の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344A KR20150111344A (ko) 2015-10-05
KR101666496B1 true KR101666496B1 (ko) 2016-10-14

Family

ID=5400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013A KR101666496B1 (ko) 2014-02-28 2014-02-28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작업 차량, 관리 시스템 및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78072B2 (ko)
JP (1) JP5838265B1 (ko)
KR (1) KR101666496B1 (ko)
CN (1) CN105026706B (ko)
DE (1) DE112014000018T5 (ko)
WO (1) WO20151290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658A (ko) * 2020-01-03 2021-07-13 부산항만공사 트랜스퍼 크레인 배기가스 복합 처리 방법 및 트랜스퍼 크레인 배기가스 복합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8960B2 (en) * 2013-05-08 2017-07-18 Cummins Ip, Inc.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diagnostic and conditioning
DE112016000018T5 (de) * 2016-01-20 2016-12-01 Komatsu Ltd. Hybridarbeitsmaschinesteuervorrichtung, Hybridarbeitsmaschine und Hybridarbeitsmaschinensteuerverfahren
CN105545418A (zh) * 2016-01-29 2016-05-04 中国人民解放军军事交通学院 柴油机排气微粒过滤体喷射无水乙醇助燃再生方法及设备
DE102016002311B4 (de) * 2016-02-29 2020-06-25 Ammann Schweiz Ag Batterieüberwachungsmodul
JP6530351B2 (ja) * 2016-06-28 2019-06-12 株式会社クボタ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処理装置
TWI647405B (zh) * 2017-08-30 2019-01-11 國家中山科學研究院 Wisdom gas filter device control system judgment method
US10106175B1 (en) * 2018-03-28 2018-10-23 DiCAN, Inc. Aler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with extendable service component
JP7099100B2 (ja) * 2018-07-10 2022-07-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作業機械管理装置、作業機械管理方法
DE102018216467A1 (de) * 2018-09-26 2020-03-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Manipulationserkennung und zur Manipulationsüberwachung eines SCR-Katalysatorsystems
GB2579079B (en) * 2018-11-19 2021-05-19 Perkins Engine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GB2595436A (en) * 2020-03-12 2021-12-01 Cargotec Patenter Ab An electronic engi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truck mounted forklift
CN114575965A (zh) * 2021-03-04 2022-06-0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Dpf再生控制方法和装置、介质、设备、柴油车
JP2023175088A (ja) * 2022-05-30 2023-12-12 株式会社Subaru 車両の排気系触媒の管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3297A (ja) 2009-03-02 2010-09-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3610A1 (en) * 2007-01-05 2008-07-10 Matthew Thomas Baird Method and system for regenerating exhaust system filtering and catalyst components using variable high engine idle
JP4933938B2 (ja) 2007-03-30 2012-05-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盗難防止システム、および移動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2009138704A (ja) * 2007-12-10 2009-06-25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排気後処理装置
US8201444B2 (en) * 2008-08-19 2012-06-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ftertreatment device NOx conversion efficiency diagnostics using on board adaptive diagnostic algorithm
JP5248377B2 (ja) * 2009-03-16 2013-07-3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5487723B2 (ja) * 2009-05-25 2014-05-07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の再生方法
JP4852127B2 (ja) * 2009-06-25 2012-01-1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5037570B2 (ja) * 2009-07-02 2012-09-2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5350916B2 (ja) 2009-07-03 2013-11-27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の管理システム、排気浄化装置の管理方法
CN102803675B (zh) * 2009-12-21 2015-04-01 酷敏斯Ip公司 用于缓解柴油机排气流体沉积和关联条件的装置、系统和方法
US8631643B2 (en) * 2009-12-22 2014-01-21 Perkins Engines Company Limited Regeneration assist delay period
US8484956B2 (en) * 2010-02-12 2013-07-16 Woodward, Inc. Diesel particulate filter regeneration control using a wide band oxygen sensor
JP5307056B2 (ja) * 2010-03-05 2013-10-0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5839784B2 (ja) * 2010-06-02 2016-01-06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US8707807B2 (en) * 2010-06-22 2014-04-29 Cummins Inc. Particulate filter diagnostic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3297A (ja) 2009-03-02 2010-09-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658A (ko) * 2020-01-03 2021-07-13 부산항만공사 트랜스퍼 크레인 배기가스 복합 처리 방법 및 트랜스퍼 크레인 배기가스 복합 처리 시스템
KR102353118B1 (ko) * 2020-01-03 2022-01-19 부산항만공사 트랜스퍼 크레인 배기가스 복합 처리 방법 및 트랜스퍼 크레인 배기가스 복합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0018T5 (de) 2015-12-03
CN105026706A (zh) 2015-11-04
CN105026706B (zh) 2016-12-28
KR20150111344A (ko) 2015-10-05
US20150248794A1 (en) 2015-09-03
WO2015129046A1 (ja) 2015-09-03
JP5838265B1 (ja) 2016-01-06
US9478072B2 (en) 2016-10-25
JPWO2015129046A1 (ja)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496B1 (ko) 후처리 장치의 관리 장치, 작업 차량, 관리 시스템 및 후처리 장치의 관리 방법
KR101579313B1 (ko) 작업 기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CN104066940B (zh) 工程机械
EP1584802B1 (en) Control method for a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and a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CN103080489B (zh) 粒子状物质去除过滤器的再生控制装置及其再生控制方法
US20130312616A1 (en) Exhaust purification system for working machine
JP5987133B1 (ja) 排気浄化装置
CN104995380A (zh) 作业车辆及作业车辆用显示装置
WO2013021703A1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JP2018035807A (ja) 建設機械
WO2012109504A2 (en) Adaptive diesel particulate filter regeneration control and method
US10920648B2 (en) Determination method for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and determination system for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JP2010007562A (ja) 建設機械の排ガス浄化システム
CN110295983B (zh) 用于scr系统的废气处理液存储器的清洗警报系统和方法
JP2024036011A (ja) 排気浄化装置、排気浄化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21055542A (ja) 作業機械
JP2013113291A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