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480B1 -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6480B1 KR101666480B1 KR1020150031680A KR20150031680A KR101666480B1 KR 101666480 B1 KR101666480 B1 KR 101666480B1 KR 1020150031680 A KR1020150031680 A KR 1020150031680A KR 20150031680 A KR20150031680 A KR 20150031680A KR 101666480 B1 KR101666480 B1 KR 101666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ting
- coupled
- base
- arm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사용자가 각종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테이블의 기울기와 각도 등을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자세에서도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디지털 정보 접근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기기가 거치되는 테이블(10)과, 휠체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70)와, 상기 테이블(10)이 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부재(20)와; 상기 테이블(10)이 수평축을 기준으로 선회하여 상기 테이블(10)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20)에 결합된 선회부재(30)와, 상기 테이블(10)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70)에 결합되는 틸팅 부재(40)와,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2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틸팅 부재(40)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50)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10)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휠체어 사용자가 각종 스마트 기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기기를 거치하는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태블릿 PC, 전자 카메라 등 각종 스마트 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들은 현대인에게 있어 거의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으며, 많은 사람이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검색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고 있다.
그런데, 병원에 누워 있는 환자나 지체 장애인의 경우에는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이용에 제약을 받고 있으며, 특히 이동 중에는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일반인들은 이동 중에도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사용에 거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있어서, 환자나 지체 장애인들은 일반인에 비해 디지털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환자나 지체 장애인이 스마트 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휠체어나 보행기 및 인체의 손발 등에 휴대폰 거치대를 부착하여 휴대폰의 착탈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회전부를 통해 받침대를 회전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위치에서도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애인이 급한 사항이나 돌발사항에서 외인의 도움없이 휴대폰을 사용되도록 하는, 장애인을 위한 휴대폰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는, 고정암을 통해 일정한 두께를 가진 불특정 부재에 용이하게 고정하고, 회동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가 이동되어 고정되고, 거치암을 통해 PMP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킴과 동시에 PMP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하여 어디서든 사용자가 어떠한 상태에서든 편안하게 멀티미디어를 감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탠드로 활용할 수 있는 PMP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은 책상판 같은 판 형태의 모서리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과, 소형 전자기기를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홀더와, 일단은 홀더와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수단과 결합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하나 이상의 관절수단을 구비하여 여러 각도로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된 팔을 구비함으로써,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침대나 책상 모서리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홀더에 의해 고정된 소형 전자기기를 3차원 공간에서 임의의 위치에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소형 전자기기 홀딩 스탠드를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4는 침대에 누워있거나 몸이 불편한 환자들이 누운 상태에서 양팔을 자유롭게 활용하면서 단말기를 조작하도록 침대 프레임에 별도로 고정 설치되며, 단말기가 탄성적으로 걸릴 수 있게 한 거치용 헤드와 두 개의 연결 암으로 서로 상대회전되는 두 개의 연결 암을 포함하는 연결부분 및 침대 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는 바이스를 구비하여, 거치용 헤드에 거치된 단말기를 자유롭게 수직 및 수평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에도 유리한, 침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들에 기재된 거치대들은 일정한 두께가 있는 부재에 장착되도록 한정되어 휠체어와 같은 이동수단에 설치하기가 어렵고, 스마트 기기 이외의 제품을 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휠체어에 연결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나, 연결수단이 휠체어에 직접 고정되는 방식이어서 침대나 책상 등과 같은 다른 부재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기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가 용이하게 기울기와 각도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컵이나 음료수 병을 동시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카드 역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휠체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휠체어에 장착하는 용도 외에도 쉽게 분리하여 책상이나 침대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가 거치되는 테이블과; 휠체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테이블이 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테이블이 수평축을 기준으로 선회하여 상기 테이블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된 선회부재와; 상기 테이블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틸팅 부재와;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틸팅 부재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면 일측에 선회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스윙부재가 힌지 연결되는 상부판과, 상기 스윙부재의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하부판과, 상기 선회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원통형 스페이서와,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결합시키는 볼트 및 너트와, 상기 스윙부재가 상부판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에 각각 결합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상기 선회부재는 테이블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는 테이블 받침과, 하부에 면치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테이블 받침이 결합된 상부몸체와, 상부에 상기 상부몸체의 면치부에 대응하는 면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가 힌지 결합되고 저면에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캠 홈이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선회힌지와, 상기 하부몸체의 캠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판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회전부재와 하부몸체를 결합시키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스윙부재의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베이스 상판 및 베이스 하판과, 상기 스윙부재를 상기 베이스 상판 및 베이스 하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윙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손잡이와, 상기 베이스 하판의 저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틸팅 부재가 연결되는 베이스 받침과, 상기 베이스 상판과 베이스 하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받침에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베이스 상판과 베이스 하판을 결합시키도록 상기 손잡이의 몸체 및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스윙부재가 베이스 상판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손잡이의 몸체 및 볼트에 삽입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상기 스윙부재는 양단이 베이스 부재와 회전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부재가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프런트 암과,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회전부재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프런트 암과 이격된 위치에서 양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와 회전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된 리어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상기 스윙부재는 상기 프런트 암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와 회전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다수의 홈이 구비된 판 형상의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암이 결합되는 회전부재의 상부판 및 베이스 부재의 베이스 상판에는 볼트 및 손잡이의 몸체가 삽입되는 별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암이 회전 후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상기 틸팅 부재는 일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장부가 구비되고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된 틸팅 케이스와, 일측에 복수의 디텐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 케이스의 수용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텐트 홈의 반대쪽에서 틸팅 케이스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틸팅 암과, 일측에 복수의 래칫 홈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 암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래칫 암과, 상기 틸팅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틸팅 암의 디텐트 홈에 삽입되는 디텐트 돌기가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후크가 형성된 메인 래칫과, 상기 틸팅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래칫 암의 래칫 홈에 삽입되는 래칫 돌기가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상기 메인 래칫의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홈이 형성된 서브 래칫과, 상기 메인 래칫과 서브 래칫이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틸팅 케이스에 설치되는 한 쌍의 토션 스프링과, 상기 서브 래칫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서브 래칫이 결합되는 볼트에 결합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틸팅 암의 디텐트 홈에 삽입되는 디텐트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틸팅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틸팅 암의 회전을 제한하는 안전 레버와, 상기 틸팅 케이스에 의해 상기 안전 레버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안전 레버에 결합되는 스토퍼 핀과, 상기 틸팅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어주는 틸팅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휠체어에 결합되고 상기 틸팅 케이스의 연장부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는 연결몸체와, 일측 단부에 노브가 형성되고 상기 틸팅 케이스의 연장부와 연결몸체를 관통하여 양자를 결합시키는 연결구와,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상기 틸팅 케이스의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몸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와이어 형태의 컵 홀더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상기 컵 홀더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컵 홀더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의 배면에 카드 또는 신분증이 삽입되는 카드 홀더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침대 또는 책상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 대신 상기 틸팅 케이스의 연장부에 연결되는 보조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 장애인이 틸팅 부재와 회전부재 및 선회부재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가 놓인 테이블을 각 개인에게 맞는 높이와 각도 및 기울기로 직접 제어하고 조절함으로써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및 카메라 등의 스마트 기기는 물론 테이블에 놓일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정보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가벼울 뿐만 아니라 부식과 충격에 강하고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테이블이 평면상에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스마트 단말기와의 동기화를 통해 어떤 자세에서도 보고 싶은 화면을 볼 수 있게 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테이블에 컵 홀더 기능과 카드 홀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거나 카드를 소지하고 사용할 때 편의성이 증대되고 일상 생활에 있어서 독립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컵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컵 홀더가 테이블에 숨겨지게 되어 컵 홀더가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보조 브래킷을 이용하여 책상이나 침대 등 휠체어가 아닌 다른 장치에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 접근성과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따르면, 연결구를 이용하여 휠체어에 쉽게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테이블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테이블 및 선회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선회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스윙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베이스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틸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틸팅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예가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가 휠체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테이블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테이블 및 선회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선회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스윙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베이스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틸팅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틸팅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예가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가 휠체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는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가 거치되는 테이블(10)과; 휠체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70)와; 상기 테이블(10)이 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부재(20)와; 상기 테이블(10)이 수평축을 기준으로 선회하여 상기 테이블(10)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20)에 결합된 선회부재(30)와; 상기 테이블(10)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70)에 결합되는 틸팅 부재(40)와;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2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틸팅 부재(40)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50)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10)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10)은 자력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을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테이블(10)이 경사진 위치에 있더라도 스마트 기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도시 생략)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재(20)는 도 4와 같이, 상면 일측에 선회부재(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스윙부재(60)가 힌지 연결되는 상부판(21)과, 상기 스윙부재(60)의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판(21)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하부판(22)과, 상기 선회부재(30)가 결합되는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판(21)과 하부판(2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원통형 스페이서(23)와, 상기 상부판(21)과 하부판(22)을 결합시키는 볼트(24) 및 너트(25)와, 상기 스윙부재(60)가 상부판(2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24)에 각각 결합되는 부싱(2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회부재(30)는 도 5와 같이, 테이블(10)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는 테이블 받침(31)과, 하부에 면치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테이블 받침(31)이 결합된 상부몸체(32)와, 상부에 상기 상부몸체(32)의 면치부에 대응하는 면치부(3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32)가 힌지 결합되고 저면에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캠 홈(33")이 형성된 하부몸체(33)와, 상기 상부몸체(32)와 하부몸체(3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선회힌지(34)와, 상기 하부몸체(33)의 캠 홈(33")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부재(20)의 상부판(21)에 설치되는 스토퍼(35)와, 상기 회전부재(20)와 하부몸체(33)를 결합시키는 볼트(3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0)는 테이블(10)이 대략 0°~ 90°범위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몸체(33)의 캡 홈(33")은 대략 90도 각도로 형성된다. 하며, 상기 선회부재(30)는 테이블의 기울기가 -90°~ 90°범위에서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베이스 부재(50)는 도 8과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스윙부재(60)의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베이스 상판(51) 및 베이스 하판(52)과, 상기 스윙부재(60)를 상기 베이스 상판(51) 및 베이스 하판(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윙부재(60)의 위치를 고정하는 손잡이(53)와, 상기 베이스 하판(52)의 저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틸팅 부재(40)가 연결되는 베이스 받침(54)과, 상기 베이스 상판(51)과 베이스 하판(5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받침(54)에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56)에 의해 고정되는 스페이서(55)와, 상기 베이스 상판(51)과 베이스 하판(52)을 결합시키도록 상기 손잡이(53)의 몸체(53') 및 볼트(57)가 체결되는 너트(58)와, 상기 스윙부재(60)가 베이스 상판(5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손잡이(53)의 몸체(53') 및 볼트(57)에 삽입되는 부싱(59)을 포함한다.
상기 스윙부재(60)는 도 7과 같이, 양단이 베이스 부재(50)와 회전부재(20)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50)를 중심으로 회전부재(20)가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프런트 암(61)과, 상기 베이스 부재(50)에 대한 회전부재(2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프런트 암(61)과 이격된 위치에서 양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50)와 회전부재(20)에 각각 힌지 결합된 리어 암(62)과, 상기 프런트 암(61)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50)와 회전부재(20)에 각각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다수의 홈(63')이 구비된 판 형상의 홀더(6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암(61)이 결합되는 회전부재(20)의 상부판(21) 및 베이스 부재(50)의 베이스 상판(51)에는 별 형상의 관통공(21')(51')이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암(61)이 회전 후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윙부재(60)에 의한 회전부재(20)의 스윙 각도는 대략 0°~ 120°범위로 설정하며, 상기 스윙부재(60)에 의해 회전부재(20)가 좌우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테이블(10)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틸팅 부재(40)는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상기 연결부재(70)가 결합되는 연장부(41')가 구비되고 내측에 수용홈(42")이 형성된 틸팅 케이스(41)와, 일측에 복수의 디텐트 홈(42')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수용홈(42")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텐트 홈(42')의 반대쪽에서 틸팅 케이스(41)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50)에 결합되는 연결부(42")가 형성된 틸팅 암(42)과, 일측에 복수의 래칫 홈(43')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 암(42)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래칫 암(43)과, 상기 틸팅 케이스(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틸팅 암(42)의 디텐트 홈(42')에 삽입되는 디텐트 돌기(44')가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후크(44")가 형성된 메인 래칫(44)과, 상기 틸팅 케이스(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래칫 암(43)의 래칫 홈(43')에 삽입되는 래칫 돌기(45')가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상기 메인 래칫(44)의 후크(44")가 삽입되는 후크 홈(45")이 형성된 서브 래칫(45)과, 상기 메인 래칫(44)과 서브 래칫(45)이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틸팅 케이스(41)에 설치되는 한 쌍의 토션 스프링(48)과, 상기 서브 래칫(45)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서브 래칫(45)이 결합되는 볼트(47)에 결합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틸팅 암(42)의 디텐트 홈(42')에 삽입되는 디텐트 돌기(46')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틸팅 암(42)의 회전을 제한하는 안전 레버(46)와, 상기 틸팅 케이스(41)에 의해 상기 안전 레버(46)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안전 레버(46)에 결합되는 스토퍼 핀(46")과,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개구부를 덮어주는 틸팅 커버(4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틸팅 부재(40)는 틸팅 케이스(41)에 대한 틸팅 암(42)의 각도가 0°~ 90°범위에서 변화하도록 하며, 대략 3단계의 틸트 변화가 발생하도록 상기 틸팅 암(42)의 디텐트 홈(42') 및 래칫 암(43)의 래칫 홈(43')은 각각 4개씩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틸팅 암의 각도는 0°, 30°, 60°및 90°로 각각 변화되고, 그에 따라 틸팅 케이스(41)를 기준으로 한 상기 베이스 부재(50)의 높이가 달라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0)는 휠체어에 결합되고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연장부(41')가 수용되는 홈(71')이 형성되는 연결몸체(71)와, 일측 단부에 노브(72')가 형성되고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연장부(41')와 연결몸체(71)를 관통하여 양자를 결합시키는 연결구(72)와,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연장부(41')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몸체(71)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핀(7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몸체(71)에 틸팅부재(40)를 결합시키거나 분리할 때 상기 연결구(72)를 끼우거나 이탈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휠체어에 장착 및 탈착시키기가 매우 쉬워진다.
한편,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 와이어 형태의 컵 홀더(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상기 컵 홀더(15)가 수용되는 수용홈(1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컵 홀더(15)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블(10)의 배면에 카드 또는 신분증이 삽입되는 카드 홀더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 장애인이 음료수를 먹거나 카드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지고, 독립적인 일상 생활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컵 홀더(15)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컵 홀더(15)를 테이블(10)의 수용홈(11)에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테이블(10)에 스마트 기기를 거치할 때 컵 홀더(15)가 지장을 주지 않게 되고 테이블(10) 외부로 노출된 컵 홀더(15)로 인해 미관을 해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틸팅 부재가 휠체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11과 같이 틸팅 부재를 연결부재 연결하지 않고, 침대 또는 책상에 결합되는 보조 브래킷(75)을 상기 틸팅 케이스(61)의 연장부(61')에 연결함으로써, 휠체어가 아닌 다른 장치에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10...테이블
11...수용홈 12...가이드 홈
15...컵 홀더
20...회전부재
21...상부판 22...하부판
23...원통형 스페이서 26...부싱
30...선회부재
31...테이블 받침 32...상부몸체
33...하부몸체 34...선회힌지
35...스토퍼
40...틸팅부재
41...틸팅 케이스 42...틸팅 암
43....래칫 암 44...메인 래칫
45...서브 래칫 46..안전 레버
48...토션 스프링 49...틸팅 커버
50...베이스 부재
51...베이스 상판 52...베이스 하판
53...손잡이 54...베이스 받침
55...스페이서 59...부싱
60...스윙부재
61...프런트 암 62...리어 암
63...홀더
70...연결부재
71...연결몸체 72...연결구
73...고정 핀
75...보조 브래킷
11...수용홈 12...가이드 홈
15...컵 홀더
20...회전부재
21...상부판 22...하부판
23...원통형 스페이서 26...부싱
30...선회부재
31...테이블 받침 32...상부몸체
33...하부몸체 34...선회힌지
35...스토퍼
40...틸팅부재
41...틸팅 케이스 42...틸팅 암
43....래칫 암 44...메인 래칫
45...서브 래칫 46..안전 레버
48...토션 스프링 49...틸팅 커버
50...베이스 부재
51...베이스 상판 52...베이스 하판
53...손잡이 54...베이스 받침
55...스페이서 59...부싱
60...스윙부재
61...프런트 암 62...리어 암
63...홀더
70...연결부재
71...연결몸체 72...연결구
73...고정 핀
75...보조 브래킷
Claims (13)
- 스마트 기기가 거치되는 테이블(10);
휠체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70);
상기 테이블(10)이 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부재(20);
상기 테이블(10)이 수평축을 기준으로 선회하여 상기 테이블(10)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20)에 결합된 선회부재(30);
상기 테이블(10)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70)에 결합되는 틸팅 부재(40); 및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2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틸팅 부재(40)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50)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10)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선회부재(30)는,
상기 테이블(10)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는 테이블 받침(31);
하부에 면치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테이블 받침(31)이 결합된 상부몸체(32);
상부에 상기 상부몸체(32)의 면치부에 대응하는 면치부(3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32)가 힌지 결합되고 저면에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캠 홈(33")이 형성된 하부몸체(33);
상기 상부몸체(32)와 하부몸체(3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선회힌지(34);
상기 하부몸체(33)의 캠 홈(33")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부재(20)의 상부판(21)에 설치되는 스토퍼(35); 및
상기 회전부재(20)와 하부몸체(33)를 결합시키는 볼트(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는,
상면 일측에 선회부재(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스윙부재(60)가 힌지 연결되는 상부판(21);
상기 스윙부재(60)의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판(21)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하부판(22);
상기 선회부재(30)가 결합되는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판(21)과 하부판(2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원통형 스페이서(23);
상기 상부판(21)과 하부판(22)을 결합시키는 볼트(24) 및 너트(25); 및
상기 스윙부재(60)가 상부판(2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24)에 각각 결합되는 부싱(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5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스윙부재(60)의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베이스 상판(51) 및 베이스 하판(52);
상기 스윙부재(60)를 상기 베이스 상판(51) 및 베이스 하판(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윙부재(60)의 위치를 고정하는 손잡이(53);
상기 베이스 하판(52)의 저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틸팅 부재(40)가 연결되는 베이스 받침(54);
상기 베이스 상판(51)과 베이스 하판(5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받침(54)에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56)에 의해 고정되는 스페이서(55);
상기 베이스 상판(51)과 베이스 하판(52)을 결합시키도록 상기 손잡이(53)의 몸체(53') 및 볼트(57)가 체결되는 너트(58); 및
상기 스윙부재(60)가 베이스 상판(5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손잡이(53)의 몸체(53') 및 볼트(57)에 삽입되는 부싱(5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재(60)는,
양단이 베이스 부재(50)와 회전부재(20)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50)를 중심으로 회전부재(20)가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프런트 암(61); 및
상기 베이스 부재(50)에 대한 회전부재(2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프런트 암(61)과 이격된 위치에서 양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50)와 회전부재(20)에 각각 힌지 결합된 리어 암(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재(60)는,
상기 프런트 암(61)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50)와 회전부재(20)에 각각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다수의 홈(63')이 구비된 판 형상의 홀더(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부재(40)는,
일측에 상기 연결부재(70)가 결합되는 연장부(41')가 구비되고 내측에 수용홈(42")이 형성된 틸팅 케이스(41);
일측에 복수의 디텐트 홈(42')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수용홈(42")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텐트 홈(42')의 반대쪽에서 틸팅 케이스(41)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50)에 결합되는 연결부(42")가 형성된 틸팅 암(42);
일측에 복수의 래칫 홈(43')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 암(42)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래칫 암(43);
상기 틸팅 케이스(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틸팅 암(42)의 디텐트 홈(42')에 삽입되는 디텐트 돌기(44')가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후크(44")가 형성된 메인 래칫(44);
상기 틸팅 케이스(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래칫 암(43)의 래칫 홈(43')에 삽입되는 래칫 돌기(45')가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상기 메인 래칫(44)의 후크(44")가 삽입되는 후크 홈(45")이 형성된 서브 래칫(45);
상기 메인 래칫(44)과 서브 래칫(45)이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틸팅 케이스(41)에 설치되는 한 쌍의 토션 스프링(48)과, 상기 서브 래칫(45)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서브 래칫(45)이 결합되는 볼트(47)에 결합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틸팅 암(42)의 디텐트 홈(42')에 삽입되는 디텐트 돌기(46')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틸팅 암(42)의 회전을 제한하는 안전 레버(46); 및
상기 틸팅 케이스(41)에 의해 상기 안전 레버(46)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안전 레버(46)에 결합되는 스토퍼 핀(46")과,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개구부를 덮어주는 틸팅 커버(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70)는,
휠체어에 결합되고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연장부(41')가 수용되는 홈(71')이 형성되는 연결몸체(71);
일측 단부에 노브(72')가 형성되고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연장부(41')와 연결몸체(71)를 관통하여 양자를 결합시키는 연결구(72); 및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상기 틸팅 케이스(41)의 연장부(41')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몸체(71)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핀(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와이어 형태의 컵 홀더(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상기 컵 홀더(15)가 수용되는 수용홈(1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컵 홀더(15)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배면에 카드 또는 신분증이 삽입되는 카드 홀더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 - 삭제
- 테이블(10);
휠체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70);
상기 테이블(10)이 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부재(20);
상기 테이블(10)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20)에 결합된 선회부재(30);
상기 테이블(10)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70)에 결합되는 틸팅 부재(40); 및
상기 테이블(10)이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20) 및 상기 틸팅 부재(40)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50)에 연결되는 스윙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선회부재(30)는,
상기 테이블(10)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는 테이블 받침(31);
하부에 면치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테이블 받침(31)이 결합된 상부몸체(32);
상부에 상기 상부몸체(32)의 면치부에 대응하는 면치부(3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32)가 힌지 결합되고 저면에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캠 홈(33")이 형성된 하부몸체(33);
상기 상부몸체(32)와 하부몸체(3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선회힌지(34);
상기 하부몸체(33)의 캠 홈(33")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부재(20)의 상부판(21)에 설치되는 스토퍼(35); 및
상기 회전부재(20)와 하부몸체(33)를 결합시키는 볼트(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스마트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1680A KR101666480B1 (ko) | 2015-03-06 | 2015-03-06 |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 |
PCT/KR2016/001181 WO2016144008A1 (ko) | 2015-03-06 | 2016-02-03 |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1680A KR101666480B1 (ko) | 2015-03-06 | 2015-03-06 |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7987A KR20160107987A (ko) | 2016-09-19 |
KR101666480B1 true KR101666480B1 (ko) | 2016-10-14 |
Family
ID=5687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1680A KR101666480B1 (ko) | 2015-03-06 | 2015-03-06 |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6480B1 (ko) |
WO (1) | WO201614400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5091B1 (ko) * | 2021-11-05 | 2022-03-16 | (주)마이벨로 | 휠체어용 조이스틱거치대 고정브라켓 |
KR20240105064A (ko) | 2022-12-28 | 2024-07-05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포터블 멀티 거치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5190B1 (ko) * | 2018-04-13 | 2019-12-12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기능 거치대 |
KR102281372B1 (ko) * | 2020-03-26 | 2021-07-26 | 백원기 |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46240A (en) * | 1991-10-18 | 1993-09-21 | Romich Barry A | Apparatus for mounting equipment to wheelchairs |
US6254116B1 (en) * | 1995-06-16 | 2001-07-03 | Thomas S. Szumlic | Wheelchair accessory apparatus |
KR19980038933A (ko) * | 1996-11-27 | 1998-08-17 | 김영귀 | 자동차용 컵 홀더의 구조 |
KR200402992Y1 (ko) | 2005-09-10 | 2005-12-07 | 김주문 | 장애인을 위한 휴대폰 거치대 |
KR100843347B1 (ko) | 2007-04-13 | 2008-07-04 | 함효상 | Pmp거치대 |
KR101208860B1 (ko) | 2010-10-29 | 2012-12-05 | 세훈 고 | 소형 전자기기 홀딩스탠드 |
KR101402283B1 (ko) * | 2012-07-23 | 2014-06-02 | 대한민국 | 전동 휠체어 기반 스마트 단말기 거치대 |
GB2506208A (en) * | 2012-09-25 | 2014-03-26 | Penny & Giles Controls Ltd | Control module for electric wheelchair |
KR20140055396A (ko) * | 2012-10-31 | 2014-05-09 | 배상현 | 왕복식 컵홀더 장치 |
KR101434055B1 (ko) | 2012-12-21 | 2014-08-26 | 이건식 | 침대용 단말기 거치대 |
-
2015
- 2015-03-06 KR KR1020150031680A patent/KR1016664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2-03 WO PCT/KR2016/001181 patent/WO201614400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5091B1 (ko) * | 2021-11-05 | 2022-03-16 | (주)마이벨로 | 휠체어용 조이스틱거치대 고정브라켓 |
KR20240105064A (ko) | 2022-12-28 | 2024-07-05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포터블 멀티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7987A (ko) | 2016-09-19 |
WO2016144008A1 (ko) | 2016-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6480B1 (ko) |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 | |
US7118080B2 (en) | Multi-functional adjustable computer support stand | |
US8308125B2 (en) | Selectively adjustable device for securing a handbag | |
US10028875B2 (en) | Electronic device mount for releasably attaching to equipment in a hospital room | |
US20130068809A1 (en) | Supporting frame connectable to car seat | |
US20060032417A1 (en) | Modular tube and table retrofitable to a wheelchair | |
US6505797B1 (en) | Collapsible laptop stand | |
US20210140579A1 (en) |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EP2183995A1 (en) | Adjustable table | |
CA2357902A1 (en) | Therapeutic chair | |
KR20180095963A (ko) | 입원환자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링거대 | |
TWM306457U (en) | Hanging apparatus with gravity compensation | |
KR101353076B1 (ko) | 침대 프레임에 연결된 테이블 | |
US5458312A (en) | Inverted book holder | |
US5259581A (en) | Inverted book holding and page turning device | |
US8661990B2 (en) | Collapsible tray for fold-up chair | |
TW200839674A (en) | Adjustable 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s and viewing angle of displaying panel and displayer applied with the same | |
CN210319210U (zh) | 移动终端支架 | |
CN212900727U (zh) | 一种改进型ipad支架 | |
CN215522510U (zh) | 一种支架 | |
WO2013154441A1 (en) | A modular floor stand assembly and kit therefor | |
CN220529532U (zh) | 一种护眼学习支架 | |
US20210062962A1 (en) | Tablet Holder | |
CN217402145U (zh) | 一种平板电脑支架 | |
US20040174050A1 (en) | Chair with manually-adjustable mirr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