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372B1 -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372B1
KR102281372B1 KR1020200037022A KR20200037022A KR102281372B1 KR 102281372 B1 KR102281372 B1 KR 102281372B1 KR 1020200037022 A KR1020200037022 A KR 1020200037022A KR 20200037022 A KR20200037022 A KR 20200037022A KR 102281372 B1 KR102281372 B1 KR 102281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inged
support panel
support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원기
Original Assignee
백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원기 filed Critical 백원기
Priority to KR102020003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3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을 거치하여 지지하도록 된 휴대용 받침대로서,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저면에 상단부가 힌지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에 상면이 힌지연결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패널에는 연결브라켓이 더 마련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컵홀더가 회전되게 힌지결합되어,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된 휴대용 받침대에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컵홀더와 휴대폰을 흡착하여 고정시킬 있도록 흡착부를 마련하여 대상물을 지지하는 것 이외에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 Folding portable stand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된 휴대용 받침대에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컵홀더와 휴대폰을 흡착하여 고정시킬 있도록 흡착부를 마련하여 대상물을 지지하는 것 이외에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하고, 연결부의 길이가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각 구성들이 회전되게 체결되어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대부분의 일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책을 보기 위하여 수업시간 내내 목과 허리를 책상으로 심하게 구부린 채 하루 8시간 이상 잘 못된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잘못된 자세는 목과 허리에 변형 즉, 디스크 등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을 보는 시선 즉, 책과 눈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져 눈의 피로 및 시력 저하를 불러올 수 있다.
그래서 일반 가정에서는 장시간 책을 보는 자녀들을 위하여 독서대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 책을 읽을 때 사용되는 거치대(예컨대 "독서대")는 책을 손으로 잡지 않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면서 읽을 수 있도록 책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된다. 책 거치대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시선과 책이 통상 수직을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 즉, 학생들이 목과 허리를 과도하게 구부리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책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통상의 책 거치대는 책상과 일정 각을 이루며 책이 올려지는 메인패널과, 이 메인패널이 책상에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메인패널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대와, 메인패널에 올려진 책을 고정할 수 있도록 메인패널에 장착되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받침대의 종래기술을 보면, 등록번호 제20-0440212호 '휴대용 책 거치대'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분할되게 마련되어 상측 선단을 기준으로 접철되며, 지면에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상호 양립되게 설치되는 제1및 제2 서포트와;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가 지면에 양립되도록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의 상측 선단에 각각 회전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에 거치되는 책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바와; 상기 책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의 하단에 매입되는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마련되어 있는 받침대; 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책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받침대나 거치대는 단순히 책이나 휴대폰 같은 대상물을 지지하는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어, 대상물의 지지 이외에 다른 추가기능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으며, 높이가 조절되지 않아 사용자의 키에 맞게 대상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실용 제20-04402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된 휴대용 받침대에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컵홀더와 휴대폰을 흡착하여 고정시킬 있도록 흡착부를 마련하여 대상물을 지지하는 것 이외에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연결부의 길이가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각 구성들이 회전되게 체결되어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상물을 거치하여 지지하도록 된 휴대용 받침대로서,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저면에 상단부가 힌지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에 상면이 힌지연결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패널에는 연결브라켓이 더 마련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컵홀더가 회전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에는 대상물을 진공흡착하여 고정킬 수 있도록 흡착캡들로 이루어진 흡착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하부가 상기 지지패널의 저면 선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끝단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하단부가 힌지결합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홀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관부와, 상기 고정관부에 하단부가 인출가능하게 끼움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패널의 저면에 힌지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된 승강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관부에 인입된 상기 승강봉을 가압하여 상기 승강봉의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관부의 걸림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형가압고정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형가압고정수단은 상기 고정관부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고정패널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관부에 인입된 상기 승강봉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압패널과, 상기 가압패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봉의 하부와 맞닿게 배치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탄성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는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된 휴대용 받침대에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컵홀더와 휴대폰을 흡착하여 고정시킬 있도록 흡착부를 마련하여 대상물을 지지하는 것 이외에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의 길이가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각 구성들이 회전되게 체결되어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연결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연결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연결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연결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휴대용 받침대라 명명함)는 도서나 휴대폰 및 노트북과 같은 대상물을 거치하여 지지하도록 된 휴대용 받침대(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받침대는 지지패널(20)과 연결부(30)와 베이스부(40)로 이루어진다.
상지 지지패널(20)은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된다. 상기 지지패널(20)은 사각 또는 직사각형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패널(20)은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지지패널(20)의 저면에 상단부가 힌지연결된다.
상기 연결부(30)는 지주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지지패널(20)에 회동되게 힌지연결된다.
상기 지지패널(20)의 저면에는 고정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상기 연결부(30)의 상단부를 축결합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부(40)는 상기 연결부(30)의 하단부에 상면이 힌지연결된다. 상기 베이스부(40)는 사각 또는 직사각형의 패널구조로 형성시키게 되며, 바구조의 패널들이 상호 연결되는 프레임구조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부(40)은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부(40)의 상면에는 결합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브라켓에 상기 연결부(30)의 하단부를 축결합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40)는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부분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어디서든 착석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휴대용 책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패널(20)에는 저면에 연결브라켓(21)을 더 나사체결하거나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브라켓(21)에 컵홀더(22)를 회전되게 힌지(축)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컵홀더(22)는 링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면에 연결돌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부를 상기 연결브라켓(21)에 회동되게 힌지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컵홀더(22)는 보관이나 이동시 회전시켜 상기 지지패널(20)의 저면에 맞닿게 배치시키게 되고, 컵을 거치시 회동시켜 상기 지지패널(20)의 일측에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패널(20)에는 대상물을 진공흡착하여 고정킬 수 있도록 흡착캡(231)들로 이루어진 흡착부(23)가 더 마련된다.
상기 흡착캡(231)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캡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흡착캡(231)들은 상기 지지패널(20)의 상면에 부착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흡착캡(231)들은 상기 지지패널의 상면 일부분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를 흡착한 상태에서 도서를 거치하여 독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흡착부(23)는 상기 지지패널의 상면에 구획되는 가로세로 10cm의 사각의 틀 내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30)는 하부가 상기 지지패널(20)의 저면 선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베이스부(40)의 상면 끝단이 힌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구성들이 상호 절첩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30)의 상부가 지지부의 선단에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베이스부(40)의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절첩시 지지패널(20)과 베이스부(40)이 돌출되지 않고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베이스부(40)의 상면에 하단부가 힌지결합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홀(311)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홀(311)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걸림홈(312)이 형성된 고정관부(31)와, 상기 고정관부(31)에 하단부가 인출가능하게 끼움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패널(20)의 저면에 힌지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걸림홈(312)에 걸림되도록 걸림돌기(321)가 형성된 승강봉(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홈(312)이 상기 고정관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릿홀(31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홀(311)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321)를 승강시킨 후 상기 걸림홀중 어느하나세 상기 걸림돌기(321)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관부(31)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고정관부(31)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관부(31)의 내측면에는 안내롤러들을 마련하여 상기 승강봉(32)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안내롤러에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관부(31)의 내측면과 마찰되거나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홈(312)에는 상기 걸림돌기(321)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인입홈을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입홈의 표면에는 탄성마찰패널을 더 부착하여 상기 탄성마찰패널이 상기 걸림돌기(321)를 지지하여 마찰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찰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관부(31)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고정관부(31)와 상기 승강봉(32)에 전달되어 상기 승강봉(32)이 상기 고정관부(31)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과정에서 마찰이나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0)에는 상기 고정관부(31)에 인입된 상기 승강봉(32)을 가압하여 상기 승강봉(32)의 걸림돌기(321)가 상기 고정관부(31)의 걸림홈(31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형가압고정수단(5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가압고정수단(50)은 상기 고정관부(31)의 내측 하부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고정패널(51)과, 상기 고정관부(31)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고정패널(51)의 상면에 하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상기 고정관부(31)에 인입된 상기 승강봉(32)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코일스프링(52)과, 상기 가압코일스프링(52)의 상단부에 저면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가압패널(53)과, 상기 가압패널(53)의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승강봉(32)의 하부와 맞닿게 배치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완충탄성패널(54)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코일스프링(52)과 상기 완충탄성패널(5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승강봉(32)이 가압되어 상기 걸림홈(312)에 끼움된 상기 걸림돌기(321)가 상기 걸림홈(312)의 내면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걸림돌기(321)가 걸림홈(312)에서 이동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가압코일스프링(52)과 상기 완충탄성패널(54)의 탄성에 의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321)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마찰관을 끼운 후 접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가압코일스프링(52)과 상기 완충탄성패널(54)의 가압에 의해 탄성마찰관이 상기 걸림홈(312)의 내면에 가압되어, 탄성마찰관의 마찰과 탄성에 의해 걸림돌기(321)가 걸림홈(312)에서 이동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휴대용 받침대
20 : 지지패널
21 : 연결브라켓
22 : 컵홀더
23 : 흡착부
231 : 흡착캡
30 : 연결부
31 : 고정관부
311 : 슬릿홀
312 : 걸림홈
32 : 승강봉
321 : 걸림돌기
40 : 베이스부
50 : 탄성형가압고정수단
51 : 고정패널
52 : 가압코일스프링
53 : 가압패널
54 : 완충탄성패널

Claims (5)

  1. 대상물을 거치하여 지지하도록 된 휴대용 받침대로서,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의 저면에 상단부가 힌지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에 상면이 힌지연결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패널에는 연결브라켓이 더 마련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컵홀더가 회전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하단부가 힌지결합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홀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관부와, 상기 고정관부에 하단부가 인출가능하게 끼움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패널의 저면에 힌지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된 승강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관부에 인입된 상기 승강봉을 가압하여 상기 승강봉의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관부의 걸림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형가압고정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형가압고정수단은,
    상기 고정관부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고정패널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관부에 인입된 상기 승강봉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압패널과,
    상기 가압패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봉의 하부와 맞닿게 배치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탄성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에는 대상물을 진공흡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흡착캡들로 이루어진 흡착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부가 상기 지지패널의 저면 선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끝단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4. 삭제
  5. 삭제
KR1020200037022A 2020-03-26 2020-03-26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KR102281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22A KR102281372B1 (ko) 2020-03-26 2020-03-26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22A KR102281372B1 (ko) 2020-03-26 2020-03-26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372B1 true KR102281372B1 (ko) 2021-07-26

Family

ID=7712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022A KR102281372B1 (ko) 2020-03-26 2020-03-26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3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712B1 (ko) * 2021-11-29 2022-03-29 김석인 다기능을 가진 휴대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454708B1 (ko) * 2022-02-28 2022-10-14 주식회사 우드메탈 높낮이 조절 책걸상
KR102479852B1 (ko) 2022-09-29 2022-12-20 장태현 휴대용 받침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812Y1 (ko) * 2005-12-27 2006-03-17 김영주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걸상
KR200440212Y1 (ko) 2007-05-07 2008-05-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책 거치대
KR20080001591U (ko) * 2006-12-01 2008-06-05 김남진 광고현수막 게시대
KR20090110390A (ko) * 2008-04-18 2009-10-22 김예지 휴대용 책 받침기구
KR20130107569A (ko) * 2012-03-22 2013-10-02 이구호 휴대용 독서대
KR20160107987A (ko) * 2015-03-06 2016-09-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
KR20160109434A (ko) * 2015-03-11 2016-09-21 정창희 전자제품 받침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812Y1 (ko) * 2005-12-27 2006-03-17 김영주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걸상
KR20080001591U (ko) * 2006-12-01 2008-06-05 김남진 광고현수막 게시대
KR200440212Y1 (ko) 2007-05-07 2008-05-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책 거치대
KR20090110390A (ko) * 2008-04-18 2009-10-22 김예지 휴대용 책 받침기구
KR20130107569A (ko) * 2012-03-22 2013-10-02 이구호 휴대용 독서대
KR20160107987A (ko) * 2015-03-06 2016-09-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휠체어용 스마트 거치대
KR20160109434A (ko) * 2015-03-11 2016-09-21 정창희 전자제품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712B1 (ko) * 2021-11-29 2022-03-29 김석인 다기능을 가진 휴대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454708B1 (ko) * 2022-02-28 2022-10-14 주식회사 우드메탈 높낮이 조절 책걸상
KR102479852B1 (ko) 2022-09-29 2022-12-20 장태현 휴대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372B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휴대용 받침대
KR101744798B1 (ko) 상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테이블
CN112586887B (zh) 一种有收纳功能的课桌椅
CN111664343A (zh) 一种支架
CN111789399A (zh) 一种可调式美术用学生课桌
KR20130003288U (ko) 모니터받침대
CN203240212U (zh) 立式电脑平板支架
CN105476262B (zh) 一种可收拢式靠墙书桌的使用方法
KR101539201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이젤
CN203231057U (zh) 一种电脑平板支架
KR20210024858A (ko) 다용도 독서대
CN106235656B (zh) 一种桌板可倾斜的可拆卸式课桌
CN213177414U (zh) 一种用于平板电脑支架的平板电脑拉伸固定装置
CN211559155U (zh) 一种英语教学用可投射四线格的讲台
CN105901945A (zh) 一种思想政治教育用辅助装置
CN203131346U (zh) 一种平板电脑支撑架
CN214630859U (zh) 一种折叠式脊柱调理设备
CN208114404U (zh) 新型多功能儿童书桌
CN207679112U (zh) 便捷型教学实验桌
KR101136778B1 (ko) 확대경이 장착된 독서대
KR100552005B1 (ko) 독서대가 부설된 상
CN110782719B (zh) 一种课堂教学互动装置
CN213720544U (zh) 一种多功能语文教学读书架
CN209219431U (zh) 一种书本支撑架
CN211581974U (zh) 一种便携式多功能自然定位读写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