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361B1 -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361B1
KR101666361B1 KR1020140184434A KR20140184434A KR101666361B1 KR 101666361 B1 KR101666361 B1 KR 101666361B1 KR 1020140184434 A KR1020140184434 A KR 1020140184434A KR 20140184434 A KR20140184434 A KR 20140184434A KR 101666361 B1 KR101666361 B1 KR 101666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light emitting
link
idle roll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025A (ko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3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는, 아이들 롤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DRIVING STATUS OF IDLE ROLLER}
본 발명은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를 조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압연 중 스트립(strip)을 이송하는 장치와 같이 제품을 이송하는 장치에는 동력에 의해서 구동되는 롤러(roller)들 사이에 제품의 장력에 의해서 공전하는 아이들 롤러(idle roller)들이 설치된다.
아이들 롤러의 구동 불량시 아이들 롤러의 탈락 등의 설비 사고 및 스트립 손상, 스트립 판파단 등의 품질 사고가 발생되는 바, 아이들 롤러의 구동 불량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말하면, 아이들 롤러의 마모 등에 의하여 스트립과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회전 불능 상태가 되면 그 상부에서 이송되는 스트립에 중대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는 바,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아이들 롤러는 그 설치상의 특이성에 의해 육안 점검이 불가능하고, 고속으로 진행하는 스트립 하부에서 스트립과 맞물려 회전하는 아이들 롤러의 특성상 촉수 점검 역시 불가능하였다. 게다가, 아이들 롤러의 설치 개소가 공장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아이들 롤러의 설치 개수가 많으므로 모든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를 일일이 감시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330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를 조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는, 아이들 롤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외주면에 설치된 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발전기 축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발전기 축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전기는 그 축의 외주연에 상기 아이들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로부터 회전력을 상기 발전기의 축에 전달하는 마찰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발전기의 축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발전기가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암과,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발전기 사이에 연계된 제1 스프링과,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발전기 사이에 연계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 교체시 상기 발전기를 상기 아이들 롤러와 이격된 상태로 위치 고정시키는 스토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롤러 지지대에 그 일단이 힌지축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일단과 대향하는 상기 제1 회동 링크의 타단과 상기 발전기에 그 양단이 각각 힌지축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회동 링크와, 상기 제1 회동 링크의 외주연에 설치된 제1 이탈방지판과, 그 중심부에 상기 제1 회동 링크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판과 상기 제1 회동 링크의 타단 사이의 상기 제1 회동 링크의 측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홈에 조립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이동되는 핀이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 설치된 스토퍼와, 상기 제1 이탈방지판과 상기 스토퍼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2 회동 링크에 끼워진 제2 스프링과, 상기 제2 회동 링크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2 회동 링크간 결합 부위를 지나쳐 상기 제2 회동 링크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의 한계 위치를 단속하는 제2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제2 회동 링크의 전개시에 상기 제2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2 회동 링크간 결합 부위를 감싸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제2 회동 링크의 전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발광 소자의 광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한 전기 신호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운전자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한 전기 신호의 오프(OFF)시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경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장치는 경광등, 사이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한 전기 신호의 오프(OFF)시 해당 전기 신호에 관련된 아이들 롤러와 연계되어 가동되는 설비의 가동을 중단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수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수광 소자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에 따라서 발광 소자가 작동되고, 운전자 모니터상에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므로 조업자는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 및 운전자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확인을 통해서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아이들 롤러의 구동 불량시 아이들 롤러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설비의 가동이 중단되므로 아이들 롤러의 구동 불량에 따른 설비 사고 및 품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아이들 롤러 구동시 아이들 롤러 지지대와 유도 발전기간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스토퍼 유닛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아이들 롤러 교체시 아이들 롤러 지지대와 유도 발전기간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스토퍼 유닛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이들 롤러(10)는 그 회전축의 양단이 롤러 지지대(11)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고속으로 진행하는 스트립(S) 하부에서 스트립(S)과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는, 아이들 롤러(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20)와, 발전기(20)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발광 소자(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이들 롤러(10)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서 랙기어(12)가 설치되어 있고, 발전기(20)는 그 일단부에 랙기어(12)에 기어 결합되는 발전기 축 기어(21)를 구비하며 발전기 축 기어(21)를 통해서 아이들 롤러(10)에 설치된 랙기어(1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아이들 롤러(10)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11)의 측면에는 고정암(13)이 설치되고, 발전기(20)는 힌지축(14)에 의해 고정암(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롤러 지지대(11)와 발전기(20) 사이에는 발전기 축 기어(21)가 아이들 롤러(10) 외주면에 설치된 랙기어(12)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15)이 연결되고, 아이들 롤러(10) 교체시에 아이들 롤러(10)와 발전기(20)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 지지대(11)와 발전기(20) 사이에는 발전기(20)를 아이들 롤러(10)와 이격시킨 상태로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 유닛(16)이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스토퍼 유닛(16)은 롤러 지지대(11)와 발전기(20)의 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발전기(20)와 아이들 롤러(10)간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접힘 및 전개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1,제2 회동 링크(16A,16B)와, 제1,제2 회동 링크(16A,16B)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회동 링크(16A)는 중공형의 파이프 소재로, 그 일단은 롤러 지지대(11)에 힌지축(17A)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제2 회동 링크(16B)에 힌지축(17B)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회동 링크(16A)의 외주연에는 제1 회동 링크(16A)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이탈방지판(18A)이 설치되고, 제2 회동 링크(16B)와 결합된 제1 회동 링크(16A)의 타단과 제1 이탈방지판(18A) 사이의 제1 회동 링크(16A)의 측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로 가이드홈(H)이 설치된다.
스토퍼(16C)는 제1 회동 링크(16A)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 소재로, 그 중심부에는 제1 회동 링크(16A)가 끼워지는 관통홀(TH)이 형성되고, 관통홀(TH)의 내측면에는 제1 회동 링크(16A)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홈(H)에 끼워지는 핀(16D)이 설치되어, 가이드홈(H)을 따라서 이동되는 핀(16D)에 의해 안내되어 제1 회동 링크(16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회동 링크(16A)에는 제1 이탈방지판(18A)과 스토퍼(16C) 사이에 설치되도록 제2 스프링(19)이 삽입된다.
제2 회동 링크(16B)는 중공형의 파이프 소재로, 그 양단이 각각 힌지축(17B,17C)을 통해서 제1 회동 링크(16A)의 타단 및 발전기(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제2 회동 링크(16A,16B)의 접힘시 스토퍼(16C)를 제1 이탈방지판(18A)을 향해 밀어 제2 스프링(19)을 압축시키도록 작동된다. 한편, 스토퍼(16C)에 의해 밀려 압축된 제2 스프링(19)은 제1,제2 회동 링크(16A,16B)의 전개시에 그 복원력에 의해서 스토퍼(16C)를 제1 이탈방지판(18A)의 반대측의 제1,제2 회동 링크(16A,16B)간 결합 부위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제1,제2 회동 링크(16A,16B)는 제1,제2 회동 링크(16A,16B)의 전개시에 그들 결합 부위의 외측을 둘러싸는 스토퍼(16C)에 의해서 접히지 않고 전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제2 회동 링크(16B)의 외주연에는 스토퍼(16C)가 제1,제2 회동 링크(16A,16B)간 결합 부위를 지나쳐 제2 회동 링크(16B) 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스토퍼(16C)의 한계 위치를 단속하는 제2 이탈방지판(18B)이 설치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30)는 전기선(22)을 통해서 발전기(20)에 연계되어 발전기(2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광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발광 소자(30)로는 낮은 전원으로도 작동 가능한 LED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는 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40)에 그 일부분이 개구를 통해서 케이스(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는 케이스(40)의 개구를 통해서 케이스(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제1 발광 소자(31)와, 케이스(40) 내부에 설치된 제2 발광 소자(32)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발광 소자(31) 및 제2 발광 소자(32)가 1개씩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제1 발광 소자(31) 및 제2 발광 소자(32)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이 어레이(array)을 이루어 설치될 수도 있다.
수광 소자(50)는 케이스(4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2 발광 소자(32)로부터의 광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수광 소자(50)에 의한 전기 신호는 전기선(60)을 통해서 중앙운전실의 제어 모듈(PLC)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PLC)은 수광 소자(5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운전자 모니터(70)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는 제어 모듈(PLC)에 연계되고 사이렌, 알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고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모듈(PLC)은 수광 소자(5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의 오프(OFF)시에 경고 장치를 가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PLC)은 수광 소자(50)에 의한 전기 신호의 오프(OFF)시에 해당 전기 신호와 관련된 아이들 롤러(10)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설비의 가동을 중단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PLC)의 동작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비록,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아이들 롤러(10)의 외주면에 랙기어(12)를 설치하고, 랙기어(12)와 기어 결합된 발전기 축 기어(21)를 발전기(20)에 설치하여, 아이들 롤러(10)의 회전시에 아이들 롤러(10)의 외주면에 설치된 랙기어(1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발전기 축 기어(21)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기(20)가 발전하도록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발전기 축의 외주연에 고무 등과 같이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된 마찰 패드를 설치하고 마찰 패드가 아이들 롤러에 접촉되도록 발전기를 설치하여, 아이들 롤러의 회전시에 마찰 패드를 통해서 아이들 롤러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발전기 축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기가 발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이들 롤러(10)가 정상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하는 아이들 롤러(10)의 외주면에 설치된 랙기어(12)에 맞물려 발전기 축 기어(21)이 회전되고, 발전기(20)는 발전기 축 기어(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킨다. 발전기(20)에 의해 생성된 전기는 전기선(22)을 통해서 발광 소자(30)에 제공되며, 발광 소자(30)는 전기 신호를 빛으로 변환하여 광을 출력한다. 수광 소자(50)는 발광 소자(30)에서 출력되는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이 전기 신호는 전기선(60)을 통해서 중앙운전실의 제어 모듈(PLC)로 전송된다. 제어 모듈(PLC)은 수광 소자(50)로부터 수신되는 온(ON) 상태의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아이들 롤러(10)가 회전 구동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전자 모니터(7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이상 발생으로 아이들 롤러(1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전기 축 기어(21)가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발전기(20)에서 전기가 생산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기 공급 중단으로 인해 발광 소자(30)가 꺼지게 되고, 수광 소자(50)에서 전기 신호가 생성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중앙운전실의 제어 모듈(PLC)에는 수광 소자(50)로부터 전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게 된다. 제어모듈(PLC)은 수광 소자(50)로부터 전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이렌, 알람 등의 경고 장치를 작동시키고, 해당 전기 신호와 관련된 아이들 롤러(10)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설비의 가동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조업자는 발광 소자(30)의 발광 상태, 경고 장치의 작동 상태 및 운전자 모니터(7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등을 확인하여 쉽고 빠르게 아이들 롤러(10)의 구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이들 롤러(10)의 구동 불량시 아이들 롤러(10)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설비의 가동이 중단되므로 아이들 롤러의 구동 불량에 따른 설비 사고 및 품질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업시에 스토퍼 유닛(16)의 제1,제2 회동 링크(16A,16B)를 접으면 제1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아이들 롤러(10)의 외주면에 설치된 랙기어(12)와 발전기(20)의 발전기 축 기어(21)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맞물리게 된다. 이때 스토퍼(16C)는 제2 회동 링크(16B)에 의해 제1 이탈방지판(18A)쪽으로 밀리면서 제2 스프링(19)을 압축시킨다.
아이들 롤러(10)의 교체시에 스토퍼 유닛(16)의 제1,제2 회동 링크(16A,16B)를 전개시키면 압축되었던 제2 스프링(19)의 복원력에 의하여 스토퍼(16C)가 제1,제2 회동 링크(16A,16B)간 결합 부위로 이동되며, 제1,제2 회동 링크(16A,16B)는 그들의 결합 부위의 외측을 감싸는 스토퍼(16C)에 의해 접히지 않고 전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아이들 롤러(10) 교체시에 아이들 롤러(10)와 발전기(20)간 간섭이 방지되어 아이들 롤러(10) 교체 작업이 용이해진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아이들 롤러
11: 롤러 지지대
12: 랙기어
13: 암
14: 힌지
15: 스프링
16: 스토퍼 유닛
16A,16B: 제1,제2 회동 링크
16C: 스토퍼
16D: 핀
H: 홈
TH: 관통홀
17A,17B,17C: 힌지축
18A,18B: 제1,제2 이탈방지판
19: 제2 스프링
20: 발전기
21: 발전기 축 기어
22, 60: 전기선
30: 발광 소자
31,32: 제1,제2 발광 소자
40: 케이스
50: 수광 소자
PLC: 제어 모듈
70: 운전자 모니터

Claims (11)

  1. 아이들 롤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소자;
    상기 아이들 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발전기가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암;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발전기 사이에 연계된 제1 스프링;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발전기 사이에 연계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 교체시 상기 발전기를 상기 아이들 롤러와 이격된 상태로 위치 고정시키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롤러 지지대에 일단이 힌지축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회동 링크;
    상기 제1 회동 링크의 일단과 대향하는 상기 제1 회동 링크의 타단과 상기 발전기에 그 양단이 각각 힌지축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회동 링크;
    상기 제1 회동 링크의 외주연에 설치된 제1 이탈방지판;
    중심부에 상기 제1 회동 링크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판과 상기 제1 회동 링크의 타단 사이의 상기 제1 회동 링크의 측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홈에 조립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이동되는 핀이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 설치된 스토퍼;
    상기 제1 이탈방지판과 상기 스토퍼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2 회동 링크에 끼워진 제2 스프링;및
    상기 제2 회동 링크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2 회동 링크간 결합 부위를 지나쳐 상기 제2 회동 링크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의 한계 위치를 단속하는 제2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제2 회동 링크의 전개시에 상기 제2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2 회동 링크간 결합 부위를 감싸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제2 회동 링크의 전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작동되는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외주면에 설치된 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발전기 축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발전기 축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그 축의 외주연에 상기 아이들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로부터 회전력을 상기 발전기의 축에 전달하는 마찰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발전기의 축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광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및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한 전기 신호의 온/오프 상태를 운전자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한 전기 신호의 오프시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경고 장치를 더 포함하는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장치는 경광등, 사이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한 전기 신호의 오프시 해당 전기 신호에 관련된 아이들 롤러와 연계되어 가동되는 설비의 가동을 중단시키도록 작동되는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제1 발광 소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수광 소자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KR1020140184434A 2014-12-19 2014-12-19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KR101666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434A KR101666361B1 (ko) 2014-12-19 2014-12-19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434A KR101666361B1 (ko) 2014-12-19 2014-12-19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025A KR20160075025A (ko) 2016-06-29
KR101666361B1 true KR101666361B1 (ko) 2016-10-17

Family

ID=5636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434A KR101666361B1 (ko) 2014-12-19 2014-12-19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3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31B1 (ko) * 2010-06-29 2013-02-0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컨베이어용 롤러의 원격고장진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013B1 (ko) 2001-11-30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저장 루핑공정에서 스트립 사행 방지장치
KR101140996B1 (ko) * 2009-06-26 2012-05-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진행속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재 거동 표시 장치
KR101435038B1 (ko) * 2012-10-29 2014-08-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압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31B1 (ko) * 2010-06-29 2013-02-0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컨베이어용 롤러의 원격고장진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025A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2237B2 (ja) 位置可変型制御コンソール
KR20050061951A (ko) 저소음 체인이상감지장치
KR101040105B1 (ko) 활선내장 애자련 주행로봇
KR101597337B1 (ko) 고장 진단이 가능한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66569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장치
US10273128B2 (en) Rope hoist
KR100668800B1 (ko) 파이프의 균열 위치 검출장치
JPH0367237B2 (ko)
KR101666361B1 (ko) 아이들 롤러 구동 모니터링 장치
CN103660814A (zh) 用于维修车轮的设备
KR101517568B1 (ko) 무대설비
KR102131515B1 (ko) 도로 감시 시스템
EP3489151A1 (en) Friction-type drive apparatus and carousel comprising same
KR101557691B1 (ko) 전력 케이블 단선 방지 장치
JP6518371B2 (ja) コンベアローラの軸受損傷検出装置及び同装置に使用される軸受損傷検出部材
JP6889054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987466B1 (ko) 엔코더의 수명시험장치
CN108216675A (zh) 断链检测装置及登机桥
CN217525148U (zh) 一种c形臂同步带传动检测装置及其c形臂
KR102584634B1 (ko) 충격압력계전기
KR20180015839A (ko) 벨트컨베이어의 롤러유동 검출장치
JP2009096606A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駆動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2007039190A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駆動装置
JP3221439U (ja) ローラ
JP4570487B2 (ja) 標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