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563B1 -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563B1
KR101665563B1 KR1020160049546A KR20160049546A KR101665563B1 KR 101665563 B1 KR101665563 B1 KR 101665563B1 KR 1020160049546 A KR1020160049546 A KR 1020160049546A KR 20160049546 A KR20160049546 A KR 20160049546A KR 101665563 B1 KR101665563 B1 KR 101665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metal basket
soil
filled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윤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솔엔지니어링
서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솔엔지니어링, 서영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솔엔지니어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흙이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흙(3)이 충전되는 토낭(20)을 금속바구니(10)의 내부 전방에 배치하고, 그 후방에 흙(3)을 충진한 후, 토낭(20)의 단부가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부를 덮도록 하고, 상면판(11)을 이용하여 금속바구니(10)의 상면을 막음으로써, 금속바구니(10)에 충진된 흙(3)이 유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ECO-FRIENDLY VEGETATION SOIL-BAG BASKE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흙이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개지나 하천의 호안 또는 법면 등의 설치되는 돌망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흙(3)이 충진되는 돌망태본체(1)와, 상기 돌망태본체(1)의 내부에 구비되어 돌망태본체(1)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방지시트(2)로 구성된다.
상기 돌망태본체(1)는 상, 하면판과, 상기 상, 하면판의 둘레부를 연결하는 전, 후면판 및 양측면판을 갖는 박스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 하면판과 전, 후면판 및 양측면판은 사각의 금속망체로 구성된다.
상기 유출방지시트(2)는 일반적인 식생매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돌망태본체(1)의 내부에 전면판 내측으로 배치되어, 각 면이 상기 하면판의 상면과 전면판의 내측면 및 상면판의 하측면에 고정됨으로써, 돌망태본체(1)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이 돌망태본체(1)의 하측면과 전면 및 상면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돌망태본체(1)를 상호측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돌망태의 내부에 상기 유출방지시트(2)를 고정한 후, 상기 돌망태본체(1)의 내부에 흙(3)을 충전하여 돌망태를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돌망태를 시공한 후, 그 상부에 후방으로 단차지도록 여러단의 돌망태를 추가로 시공함으로써, 절개지나 하천의 호안 또는 법면 전체를 돌망태로 덮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돌망태는 상기 유출방지시트(2)를 이용하여 돌망태본체(1)의 하측면과 전면 및 상면만을 막음으로, 상기 돌망태본체(1)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돌망태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돌망태는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유출방지시트(2)의 외측면에는 식물의 씨앗이 부착되어, 돌망태를 시공한 후, 상기 식물 씨앗이 소단부(4)에서 자연적으로 발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씨앗은 유출방지시트(2)의 외측면에 부착고정됨으로, 작업중에 식물 씨앗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과, 전면부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소단부(4) 외에는 식물의 발아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사면이나, 제방 등에는 내부에 흙(3)이 충진되는 토낭을 적층하기도 한다.
상기 토낭은 일측에 입구가 형성된 주머니형태로 구성되며, 외죽면에는 식물의 씨앗이 부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충진된 흙(3)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표면에 부착된 식물의 뿌리나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토낭은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등록특허 10-125030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흙(3)이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재의 망을 사각박스 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된 금속바구니(10)와, 상측에 입구(21)가 형성되고 내부에 흙(3)이 충진되며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전방에 구비되는 토낭(20)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바구니(10)는 상, 하면판(11,12)과, 상기 상, 하면판(11,12)의 둘레부를 연결하는 전, 후면판(13,14) 및 양측면판(15)이 구비되어, 상기 상면판(11)을 열어 상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토낭(20)은 상하방향의 길이가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높이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상기 전면판(13)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토낭(20)을 배치하고, 상기 토낭(20)과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흙(3)을 충진시킨 후, 상기 토낭(20)의 단부를 후방으로 연장시켜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하고, 상기 상면판(11)을 덮어 시공을 완료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전면판(13)은 내부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지더라도 전면판(13)을 구성하는 철선이 끊어지거나 또는 철선 사이의 결속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강도의 아연도금 와이어 철선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토낭(20)의 전면에는 부직포재질의 포켓(22)이 구비되어, 상기 포켓(22)에 식물의 씨앗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토낭(20)의 단부에 구비된 고무재질의 탄성로프(23)와, 상기 탄성로프(23)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판에 고정되는 고리부재(23a)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흙(3)을 충진시킨 후, 상기 고리부재(23a)를 후면판에 걸어 상기 토낭(20)의 단부가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로프(23)의 기단부에는 상기 토낭(20)의 입구(21) 둘레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보조고리(23b)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고리(23b)에는 상기 토낭(20)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지지판(24)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4)이 상기 토낭(20)의 입구(21)를 밀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시공하고자 하는 절개지나 하천의 호안 또는 법면에 상면판(11)이 개방된 상태의 금속바구니(10)를 설치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설치되어진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전면판(13)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토낭(20)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토낭(20)과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흙(3)을 충진시키는 단계, (d)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전면판(13)이 타원형상으로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지도록 내부에 충진된 흙(3)을 다지는 단계, (e) 상기 토낭(20)의 단부를 후방으로 연장시켜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하는 단계, (f) 상기 상면판(11)을 덮고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g) 씨드스프레이(seed-spray)를 이용하여 야생화 또는 씨앗을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은 내부에 흙(3)이 충전되는 토낭(20)을 금속바구니(10)의 내부 전방에 배치하고, 그 후방에 흙(3)을 충진한 후, 토낭(20)의 단부가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부를 덮도록 하고, 상면판(11)을 이용하여 금속바구니(10)의 상면을 막음으로써, 금속바구니(10)에 충진된 흙(3)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출방지시트(2)를 이용하여 돌망태본체(1)의 전면만을 막는 종래의 돌망태에 비해 내부에 충진된 흙(3)이 유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돌망태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낭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낭을 도시한 측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토낭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토낭을 도시한 측단면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를 도시한 것으로, 금속재의 망을 사각박스 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된 금속바구니(10)와,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 전방에 구비되는 토낭(20)으로 구성되어, 절개지나 하측의 호안 또는 법면에 시공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금속바구니(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면판(11,12)과, 상기 상, 하면판(11,12)의 둘레부를 연결하는 전, 후면판(13,14) 및 양측면판(15)이 구비되어, 상기 상면판(11)을 열어 상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 하면판(11,12)과, 전, 후면판(13,14)과 양측면판(15) 및 상면판(11)은 굵은 와이어로 구성된 사각형의 테두리부재(16)와, 상기 테두리부재(16)에 비해 얇은 금속와이어를 망체형태로 엮어서 구성되며 둘레부가 상기 테두리부재(16)에 고정된 망부재(17)로 구성된다.
상기 토낭(20)은 상측에 입구(21)가 형성되어 내부에 흙(3)이 충진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토낭(20)의 전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6)는 상기 토낭(20)의 전면을 이루는 부재를 상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된 흙(3)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 식물의 뿌리는 둘레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토낭(20)의 재질은 종래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PE) 합성섬유 재질로 제작된 토낭(20)이 선호되어지며 시공자가 시공환경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상기 토낭(20)은 측방향 폭이 상기 금속바구니(10)의 폭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 전방에 배치하면, 토낭(20)에 의해 금속바구니(10)의 전면판(13) 전체가 완전히 가려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낭(20)은 상하방향의 길이가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상하방향 높이에 비해 충분히 길게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낭(20)의 전면에는 부직포재질의 포켓(22)이 구비된다.
상기 포켓(22)은 부직포재질의 시트의 양측과 하측을 상기 토낭(20)의 전면에 박음질하여,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식물의 씨앗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포켓(22) 이외에도 토낭(20)의 내부 전면에는 씨앗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형성된 씨앗지(seed sheet) 또는 얇게 형성된 종자매트(seed mat)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을 시공할 위치에, 복수개의 금속바구니(10)를 상호 측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상면은 개방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토낭(20)을,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전면판(13)의 내측면이 밀착되도록 배치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낭(20)의 내부에 일정량의 흙(3)을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모자란 높이로 충진한다.
그리고, 상기 토낭(20)의 내부에 흙(3)이 충진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흙(3)을 충진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흙(3)이 충진되면, 작업자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낭(20)의 단부를 후방으로 당겨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토낭(20)의 단부가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면을 덮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상면판(11)을 덮어 금속바구니(10)의 상면을 막음으로서,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낭(20)의 단부는, 상기 상면판(11)에 의해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면에 밀착가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상측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단차지도록 여러단의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를 적층함으로써, 절개지나 하천의 호안이나 법면을 덮도록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금속바구니(10)는 내부에 충진된 흙(3)과, 상측에 적층된 다른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무게에 의해 전면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소단부 뿐만 아니라 전면판(13)의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토낭(20) 위 공간에도 식물의 발아가 이루어짐으로써, 소단부에만 식물이 자라는 종래의 돌망태보다 식생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전면판(13)은 내부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지더라도 전면판(13)을 구성하는 철선이 끊어지거나 또는 철선 사이의 결속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강도의 아연도금 와이어 철선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본 발명의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고강도 재질의 철선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는 내부에 흙(3)이 충진되는 토낭(20)을 금속바구니(10)의 내부 전방에 배치하고, 그 후방에 흙(3)을 충진한 후, 토낭(20)의 단부가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부를 덮도록 하고, 상면판(11)을 이용하여 금속바구니(10)의 상면을 막음으로써, 금속바구니(10)에 충진된 흙(3)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출방지시트(2)를 이용하여 돌망태본체(1)의 전면만을 막는 종래의 돌망태에 비해 내부에 충진된 흙(3)이 유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돌망태의 경우, 유출방지시트(2)가 상기 돌망태본체(1)의 전면을 완전히 덮도록 고정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 전방에 토낭(20)을 배치하고, 토낭(20)의 내부에 흙(3)을 충진하기만 하면, 토낭(20)에 의해 금속바구니(10)의 전방 하측과, 전면 및 상면이 밀폐됨으로, 시공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특히, 상기 토낭(20)의 단부가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됨으로,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상면판(11)을 덮으면, 상기 상면판(11)에 의해 상기 토낭(20)의 단부가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면에 밀착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토낭(20)의 입구(21)가 강하게 밀폐되어, 토낭(20)의 입구(21)를 별도로 막을 필요가 없으면서, 토낭(20)의 내부에 저장된 흙(3)이 토낭(20)의 입구(2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토낭(20)의 전면에는 부직포재질의 포켓(22)이 구비되어, 상기 포켓(22)에 식물의 씨앗을 저장할 수 있음으로,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시공중에 씨앗이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포켓(22)은 강도가 낮은 부직포재질로 구성됨으로, 씨앗이 발아되면 포켓(22)이 파손되면서 식물이 외측으로 자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토낭(20)의 단부를 후방으로 당길 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후방으로 당기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낭(20)의 단부에 고무재질의 탄성로프(23)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로프(23)의 단부에 상기 후면판에 고정되는 고리부재(23a)를 연결하여, 상기 토낭(20)과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흙(3)을 충진한 후, 토낭(20)의 단부로 금속바구니(10)에 충진된 흙(3)의 상면을 덮도록 할 때, 상기 고리부재(23a)를 후면판(14)에 걸어서, 상기 탄성로프(23)에 의해 토낭(20)의 단부가 적절한 힘으로 후방으로 당겨져 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로프(23)의 선단부와 기단부에는 상기 후면판(14)에 고정되는 고리부재(23a)와, 상기 토낭(20)의 입구(21) 둘레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보조고리(23b)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보조고리(23b)에는 상기 토낭(20)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지지판(24)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4)이 상기 토낭(20)의 입구(21) 양측을 가압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토낭(20)에 흙을 충진한 후, 상기 토낭(20)에 상기 지지판(24)과 보조고리(23b)를 결합하고,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흙(3)을 충진시킨 후, 상기 고리부재(23a)를 상기 금속바구니(10)의 후면판(14)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는 상기 토낭(20)으로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을 덮을 때, 상기 고리부재(23a)와 탄성로프(23)에 의해 상기 토낭(20)의 단부가 지속적으로 후방으로 당겨짐으로, 상기 상면판(11)을 덮어 금속바구니(10)의 상면을 막을 때, 토낭(20)의 단부가 움직이지 않고 흙(3)의 상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23a)와 보조고리(23b)가 구비된 탄성로프(23)를 이용하여, 상기 토낭(20)의 단부가 적절한 힘으로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24)을 이용하여 토낭(20)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음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금속바구니 20 : 토낭

Claims (6)

  1. 금속재의 망을 사각박스 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된 금속바구니(10)와,
    상측에 입구(21)가 형성되고 내부에 흙(3)이 충진되며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전방에 구비되는 토낭(20)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바구니(10)는
    상, 하면판(11,12)과, 상기 상, 하면판(11,12)의 둘레부를 연결하는 전, 후면판(13,14) 및 양측면판(15)이 구비되어, 상기 상면판(11)을 열어 상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토낭(20)은 상하방향의 길이가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높이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상기 전면판(13)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토낭(20)을 배치하고,
    상기 토낭(20)과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흙(3)을 충진시킨 후,
    상기 토낭(20)의 단부를 후방으로 연장시켜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하고,
    상기 상면판(11)을 덮어 시공을 완료할 수 있도록 되어지며,
    상기 토낭(20)의 단부에 구비된 고무재질의 탄성로프(23)와,
    상기 탄성로프(23)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판에 고정되는 고리부재(23a)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흙(3)을 충진시킨 후, 상기 고리부재(23a)를 후면판에 걸어 상기 토낭(20)의 단부가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할 수 있도록 되어지며,
    상기 탄성로프(23)의 기단부에는 상기 토낭(20)의 입구(21) 둘레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보조고리(23b)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고리(23b)에는 상기 토낭(20)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지지판(24)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4)이 상기 토낭(20)의 입구(21)를 밀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전면판(13)은 내부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지더라도 전면판(13)을 구성하는 철선이 끊어지거나 또는 철선 사이의 결속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강도의 아연도금 와이어 철선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낭(20)의 전면에는 부직포재질의 포켓(22)이 구비되어, 상기 포켓(22)에 식물의 씨앗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시공하고자 하는 절개지나 하천의 호안 또는 법면에 상면판(11)이 개방된 상태의 금속바구니(10)를 설치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설치되어진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전면판(13)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토낭(20)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토낭(20)과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흙(3)을 충진시키는 단계;
    (d) 상기 금속바구니(10)의 전면판(13)이 타원형상으로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지도록 내부에 충진된 흙(3)을 다지는 단계;
    (e) 상기 토낭(20)의 단부를 후방으로 연장시켜 상기 금속바구니(10)의 내부에 충진된 흙(3)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하는 단계;
    (f) 상기 상면판(11)을 덮고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g) 씨드스프레이(seed-spray)를 이용하여 야생화 또는 씨앗을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의 시공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60049546A 2015-11-06 2016-04-22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 KR101665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5774 2015-11-06
KR1020150155774 2015-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563B1 true KR101665563B1 (ko) 2016-10-12

Family

ID=5717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546A KR101665563B1 (ko) 2015-11-06 2016-04-22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674B1 (ko) * 2017-02-23 2018-02-01 이강덕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288A (ja) * 1998-07-24 2000-02-15 Nisshoku Corp 緑化工法
KR100821351B1 (ko) * 2006-12-29 2008-04-11 변우일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20090005809A (ko) * 2007-07-10 2009-01-14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하천변 식물성장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KR101250304B1 (ko) 2013-01-28 2013-04-03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1525404B1 (ko) * 2015-02-09 2015-06-09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288A (ja) * 1998-07-24 2000-02-15 Nisshoku Corp 緑化工法
KR100821351B1 (ko) * 2006-12-29 2008-04-11 변우일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20090005809A (ko) * 2007-07-10 2009-01-14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하천변 식물성장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KR101250304B1 (ko) 2013-01-28 2013-04-03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1525404B1 (ko) * 2015-02-09 2015-06-09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674B1 (ko) * 2017-02-23 2018-02-01 이강덕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20290A1 (en) Watering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KR101273514B1 (ko) 암비탈면의 녹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325595B2 (ja) 栽培培地及び栽培容器
US20110232175A1 (en) Reusable plant container apparatus
KR101665563B1 (ko) 친환경 식생 토낭 바구니 및 그 시공방법
KR102084588B1 (ko) 모종심기가 가능한 식생매트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JP2001238544A (ja) 植生枠およびその植生枠を備える植生構造体、並びにその植生構造体からなる連続植生構造体および沿道植生構造体
KR20160143357A (ko) 식생 개비온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US20110289838A1 (en) Reusable plant container apparatus
KR101334975B1 (ko) 하천 사면 또는 절개지에 형성되는 식생돌망태 시공방법
KR101525404B1 (ko)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
KR101337411B1 (ko) 녹화 게비온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45472B1 (ko) 식생블록
JP6644963B2 (ja) 土嚢袋および土嚢を用いた護岸工法
KR101849523B1 (ko) 식생형 패널옹벽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CN207744452U (zh) 一种应用于黄土丘陵地区沟壑区的生态垫
JP6625327B2 (ja) 緑化土嚢袋、それを用いた緑化土嚢の形成方法並びに土留および緑化の方法
WO2008037990B1 (en) Manually foldable receptacles
KR101849700B1 (ko) 문자 표시형 돌망태
KR101726154B1 (ko) 복합형 식생토낭옹벽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GB2558545B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KR101710983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