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920B1 -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920B1
KR101664920B1 KR1020150094068A KR20150094068A KR101664920B1 KR 101664920 B1 KR101664920 B1 KR 101664920B1 KR 1020150094068 A KR1020150094068 A KR 1020150094068A KR 20150094068 A KR20150094068 A KR 20150094068A KR 101664920 B1 KR101664920 B1 KR 101664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oor panel
door
mount fram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현
정종철
Original Assignee
조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현 filed Critical 조세현
Priority to KR102015009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L11/18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8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는, 차체의 지붕에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게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개방시켜 상기 배터리를 상기 차체의 상측에서 교체할 수 있게 형성된 루프도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도어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마운트 프레임;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후드패널;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며,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대하여 상방으로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게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연결된 도어패널; 및 공압에 의해 상기 도어패널을 작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공압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ROOF DOOR SYSTEM FOR BATTERY EXCHANGEABLE ELECTRIC BUS}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및 저탄소 수송수단에 대한 열망은 전기자동차의 수요와 필요성을 점점 증대시키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매연과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으므로 도시의 공기 정화에 도움이 되며, 진동이나 소음이 적어 승차감 개선에도 유리하다. 다만, 배터리의 용량 및 무게의 증가에 따른 장거리 주행의 제한 등은 문제로 남아 있다. 반면 충전여건이 양호하고 상대적으로 인구가 많은 도시에서는 대용량 교통수단인 전기버스의 사용이 장려되고 있다.
버스 등의 차량용 차체는 전통적으로 금속류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경량화를 통한 출력의 향상, 디자인의 유연성, 배기가스 배출감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파이버복합 수지도 점차 각광받아가고 있다. 파이버복합 수지의 적용은 차체를 중심으로 활발하며, 나아가 조인트나 이종재료와의 결합을 개선시킨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전기버스에는 운행하는 동안 사용될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가 탑재된다. 배터리는 차량의 운휴 또는 일정 지점에서 충전 및 점검을 해야 하는데, 충전보다는 완충된 배터리로 바로 교체를 하거나 노후된 배터리를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하는 일도 자주 일어난다. 따라서, 교체나 점검이 용이하도록 전기버스의 경우 차량내 설치위치 및 도어의 구조는 편의성과 시간을 단축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배터리의 위치 면에 있어, 배터리가 차체의 하부 또는 후방에 배치된 버스도 제시된 경우도 있으나 저상버스의 확대요구에 따라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교체나 점검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차체의 지붕에 설치함으로써 관리의 편의를 높이기도 한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에도 배터리실을 개방하고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한 도어 시스템으로서, 슬라이드 도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부재간의 마찰이나 간섭문제를 안고 있거나, 걸윙(gull wing) 형태로 됨으로써 제한적인 열림만이 가능한 정도이다.
관련 선행특허문헌:
한국 등록특허 제10-1402668호(2014.07.01. 공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60073호(2012.06.11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67838호(2013.06.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차체의 지붕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완전한 개방을 유도할 수 있으며, 동작이나 메카니즘이 단순하면서도 악천후 등에서도 작동상의 문제가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는, 차체의 지붕에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게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개방시켜 상기 배터리를 상기 차체의 상측에서 교체할 수 있게 형성된 루프도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도어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마운트 프레임;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후드패널;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며,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대하여 상방으로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게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연결된 도어패널; 및 공압에 의해 상기 도어패널을 작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공압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후드패널 및 상기 도어패널은 다중 적층형 파이버(fiber) 복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후드패널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패널;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사이드패널 및 제2사이드패널; 및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패널은, 일 연부가 상기 제1사이드패널의 상단과 평행한 제1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연결된 제1도어패널; 및 일 연부는 상기 제2사이드패널의 상단과 평행한 제2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연결되며, 타 연부는 닫힘시 상기 제2도어패널과 겹쳐질 수 있게 형성된 제2도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도어패널 및 상기 제2도어패널은 열림상태일 때,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상면에 대하여 세워져 있는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공압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도어패널의 상기 제2도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제1도어패널보다 높게 형성된 제1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가장자리측에 상기 돌출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제1배수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도어패널의 상기 제1도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제2도어패널보다 높게 되어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배수홈부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된 제2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도어패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제1웨더스트립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공압구동부는, 상기 도어패널에 부착된 고정브라켓; 일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에어실린더; 상기 복수의 에어실린더들을 연결하는 공압 호스; 및 열림시 상기 제2도어패널이 상기 제1도어패널보다 먼저 열리도록 공압이 제어되고, 닫힘시 상기 제1도어패널이 상기 제2도어패널보다 먼저 닫히도록 공압이 제어되도록 구성된 공압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과 각각 겹쳐질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면패널의 상기 도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전면패널의 끝단보다 낮게 형성된 제2배수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패널의 상기 전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전면패널의 끝단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된 제3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패널의 끝단에는 상기 제3돌출부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제2웨더스트립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후면패널의 상기 도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후면패널의 끝단보다 낮게 형성된 제3배수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패널의 상기 후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후면패널의 끝단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된 제4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패널의 끝단에는 상기 제4돌출부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제3웨더스트립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면패널은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외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패널은 상기 배터리 수용부 내부의 공기가 유출될 수 있는 내기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면패널은 수평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외기 유입구는, 상기 수평구간에 형성된 제1홀부; 상기 제1홀부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 및 상기 제1홀부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후면패널은 함몰되어 있는 수직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내기 유출구는, 상기 수직구간에 형성된 제2홀부; 및 상기 제2홀부의 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수용부를 차체의 지붕에 배치하고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도어를 상방으로 공압에 의해 한꺼번에 개폐시키는 형태로 구현한 것이므로, 적설 등에 의한 센서오작동의 위험성이 없으며 한 번의 열림동작으로 모든 배터리의 교체가 가능하며 교체도 용이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넓은 후드패널 및 도어패널을 다중 적층형 파이버 복합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므로, 대형화된 루프도어의 강성과 내구성 및 차체의 경량화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후드패널 및 도어패널의 연결에 있어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하고 배터리 수용부의 밀폐가 용이하며, 외기 유입부와 내기 유출부를 후드패널 내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배터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배터리 교체식 루프도어 장치가 설치된 차체의 외관을 보인 것으로 루프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태로부터 루프도어가 열려 있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루프도어 조립체의 프레임 및 공압요소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배터리 교체식 루프도어 장치가 설치된 차체의 외관을 보인 것으로 루프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로부터 루프도어가 열려 있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100)는 차체(110)의 지붕에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수납할 수 있게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120) 및 배터리 수용부(120)를 개방시켜 배터리를 차체(110)의 상측에서 교체할 수 있게 형성된 루프도어 조립체(200)를 구비하고 있다.
루프도어 조립체(200)는 전체적으로 마운트 프레임(210), 복수의 후드패널(220,230,240,250), 도어패널(260,270) 및 공압구동부(280)를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마운트 프레임(210)은 금속빔이나 링크부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구조용 실란트나 리벳으로 배터리 수용부(120)에 고정된다.
후드패널(220,230,240,250)은 마운트 프레임(210)의 측면에 부착되어 배터리 수용부(120)의 외벽을 형성하며, 구조적으로 내부의 배터리를 보호하고 빗물이나 이물의 침투를 방지한다. 부착위치에 따라 후드패널은, 마운트 프레임(2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패널(220), 마운트 프레임(210)의 좌우측면에 배치되는 제1사이드패널(230) 및 제2사이드패널(240) 및, 마운트 프레임(2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260,270)은 마운트 프레임(210)의 상면에 위치되어 있으며, 마운트 프레임(210)에 대하여 상방으로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게 마운트 프레임(210)에 연결된다. 도어패널(260,270), 구체적으로, 일 연부가 제1사이드패널(230)의 패널의 상단과 평행한 제1축(X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운트 프레임(210)에 연결된 제1도어패널(260)과, 일 연부가 제2사이드패널(240)의 상단과 평행한 제2축(X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운트 프레임(210)에 연결된 제2도어패널(270)을 포함한다. 제2도어패널(270)의 타 연부는 닫힘시 제1도어패널(260)과 겹쳐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제1도어패널(260) 및 제2도어패널(270)은 열림상태일 때, 마운트 프레임(210)의 상면에 대하여 세워져 있는 형태로 배치되도록 공압구동부(28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향 열림은 도어패널(260,270)에 의한 배터리 수용부(120)의 가림이 없으므로 배터리 수용부(120) 내부에 배치된 두 개의 배터리를 한꺼번에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패널(260,270)이 열린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배터리 수용부(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햇빛이나 반사광, 빗물 기타 오염물질을 차단하므로 배터리의 자동 교체를 위해 설치되는 광센서의 오작동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며, 배터리의 보호 및 교체작업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후드패널(220,230,240,250) 및 도어패널(260,270)은 다중 적층형 파이버(fiber) 복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드패널(220,230,240,250) 및 도어패널(260,270)을 각각 형성하기 위해,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성형법이 적용될 수 있다. 후드패널(220,230,240,250) 및 도어패널(260,270)은 탄소섬유를 다중 적층형으로 성형함으로서, 작동이 가능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중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내구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루프도어 조립체의 프레임 및 공압요소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 3과 같이, 배터리 수용부(120)의 내부에는 배터리를 지지하기 위한 배터리고정브라켓(121)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마운트 프레임(210)은 복수의 빔이 트러스나 링크 형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양 단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횡단지지요소 및 배터리의 컨터롤 박스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 요소(211)를 포함할 수 있다.
공압구동부(280)는 에어실린더(281), 공압 호스(282), 고정브라켓(283) 및 공압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실린더(281)는 하나의 도어패널에 대하여 적어도 2개소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공압 호스(282)는 이러한 복수의 에어실린더들(281)을 연결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고정브라켓(283)은 에어실린더(281)의 일단이 지지되는 부위로서, 도어패널(260,270)에 부착된다. 공압제어부는 제2도어패널(270)이 제1도어패널(260)보다 먼저 열리도록 하고, 닫힘시 제1도어패널(260)이 제2도어패널(270)보다 먼저 닫히도록 공압을 제어함으로써 제1도어패널(260)과 제2도어패널(270) 사이의 상호 겹쳐지는 부위에 의한 간섭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제1도어패널(260)의 제2도어패널(270)과 겹쳐지는 부위는 제1돌출부(261)와, 제1배수홈부(262)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제2도어패널(270)의 제1도어패널(260)과 겹쳐지는 부위는, 제2도어패널(270)보다 높게 되어 제1돌출부(261) 및 제1배수홈부(262)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된 제2돌출부(271)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빗물이나 이물은 일차적으로 제1돌출부(261)에 의해 배터리 수용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제1배수홈부(262)로 유입된 빗물 등은 흘러서 차체(110)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성된다. 제1도어패널(260)의 가장자리에는 제2돌출부(271)의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고무 등으로 형성된 제1웨더스트립(275)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외기나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도 6은 도 1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패널(260,270)은 전면패널(220) 및 후면패널(250)과 각각 겹쳐질 수 있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전면패널(220)의 도어패널(260,270)과 겹쳐지는 부위는 전면패널(220)의 끝단보다 낮게 형성된 제2배수홈부(221)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어패널(260,270)의 전면패널(220)과 겹쳐지는 부위는 전면패널(220)의 끝단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된 제3돌출부(264,274)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어패널(260,270)의 빗물 등은 제3돌출부(264,274)에 의해 내부유입이 방지되며, 전면패널(220)을 따라 유입된 빗물 등은 제2배수홈부(221)를 따라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전면패널(220)의 끝단에는 제3돌출부(264,274)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제2웨더스트립(225)이 결합될 수 있다.
전면패널(220)은 외기가 유입될 수 있게 외기 유입구(310)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패널(220)은 수평구간(223)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외기 유입구(310)는 수평구간(223)에 형성된 제1홀부(311)와, 제1홀부(311)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312) 및, 제1홀부(311)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외기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하며 빗물에 대하여는 하방연장부(312) 및 상방연장부(313)에 의해 차단하는 것을 돕는다.
도 7과 같이, 후면패널(250)의 도어패널(260,270)과 겹쳐지는 부위는 후면패널(250)의 끝단보다 낮게 형성된 제3배수홈부(231)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어패널(260,270)의 후면패널(250)과 겹쳐지는 부위는 후면패널(250)의 끝단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된 제4돌출부(266,276)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어패널(260,270)의 빗물 등은 제4돌출부(266,276)에 의해 차단되며 제4돌출부(266,276)를 넘는 빗물은 제3배수홈부(231)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외부러 배출된다.
후면패널(250)은 배터리 수용부(120)의 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내기 유출구(3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후면패널(250) 함몰되어 있는 수직구간(233)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내기 유출구(320)는 수직구간(233)에 형성된 제2홀부(321)와, 제2홀부(321)의 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덮개부(322)를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기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출되도록 하며, 빗물이나 이물은 덮개부(322)에 의해 차단된다.
이와 같은 외기 유입구(310) 및 내기 유출구(320)의 구성은 배터리의 과열 방지를 위하여 차량의 주행에 따라 자연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공냉식 구조를 구현한 것으로 별도의 팬이나 열교환기를 두는 경우에 비해 에너지 절감 및 경량화에 실질적으로 유용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110: 차체
120: 배터리 수용부 200: 루프도어 조립체
210: 마운트 프레임 220: 전면패널
230: 제1사이드패널 240: 제2사이드패널
250: 후면패널 260: 제1도어패널
270: 제2도어패널 280: 공압구동부
310: 외기 유입구 320: 내기 유출구

Claims (15)

  1. 차체의 지붕에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게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개방시켜 상기 배터리를 상기 차체의 상측에서 교체할 수 있게 형성된 루프도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도어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마운트 프레임;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후드패널;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며,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대하여 상방으로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게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연결된 도어패널; 및
    공압에 의해 상기 도어패널을 작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공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패널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패널;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사이드패널 및 제2사이드패널; 및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패널은,
    일 연부가 상기 제1사이드패널의 상단과 평행한 제1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연결된 제1도어패널; 및
    일 연부는 상기 제2사이드패널의 상단과 평행한 제2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연결되며, 타 연부는 닫힘시 상기 제1도어패널과 겹쳐질 수 있게 형성된 제2도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공압구동부는,
    상기 도어패널에 부착된 고정브라켓;
    일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에어실린더;
    상기 복수의 에어실린더들을 연결하는 공압 호스; 및
    열림시 상기 제2도어패널이 상기 제1도어패널보다 먼저 열리도록 공압이 제어되고, 닫힘시 상기 제1도어패널이 상기 제2도어패널보다 먼저 닫히도록 공압이 제어되도록 구성된 공압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패널 및 상기 도어패널은 다중 적층형 파이버(fiber) 복합 수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패널 및 상기 제2도어패널은 열림상태일 때,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상면에 대하여 세워져 있는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공압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패널의 상기 제2도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제1도어패널보다 높게 형성된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가장자리측에 상기 제1돌출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제1배수홈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패널의 상기 제1도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제2도어패널보다 높게 되어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배수홈부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된 제2돌출부를 갖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패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제1웨더스트립이 결합된,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과 각각 겹쳐질 수 있게 형성된,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상기 도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전면패널의 끝단보다 낮게 형성된 제2배수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패널의 상기 전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전면패널의 끝단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된 제3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패널의 끝단에는 상기 제3돌출부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제2웨더스트립이 결합된,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의 상기 도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후면패널의 끝단보다 낮게 형성된 제3배수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패널의 상기 후면패널과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후면패널의 끝단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된 제4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패널의 끝단에는 상기 제4돌출부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제3웨더스트립이 결합된,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외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패널은 상기 배터리 수용부 내부의 공기가 유출될 수 있는 내기 유출구를 포함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수평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외기 유입구는,
    상기 수평구간에 형성된 제1홀부;
    상기 제1홀부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 및
    상기 제1홀부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은 함몰되어 있는 수직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내기 유출구는,
    상기 수직구간에 형성된 제2홀부; 및
    상기 제2홀부의 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KR1020150094068A 2015-07-01 2015-07-01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KR10166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068A KR101664920B1 (ko) 2015-07-01 2015-07-01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068A KR101664920B1 (ko) 2015-07-01 2015-07-01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920B1 true KR101664920B1 (ko) 2016-10-11

Family

ID=5716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068A KR101664920B1 (ko) 2015-07-01 2015-07-01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9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1268A (zh) * 2019-11-06 2020-01-03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全承载客车动力电池防水密封可拆卸安装托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329A (ja) * 2000-08-17 2002-03-27 Arvinmeritor Gmbh 複数のモジュール部品からなる車両用閉止部材のための中間製品としてのモジュール部材、そのため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中間製品で構成された多部分からなる車両用閉止部材
JP2006188168A (ja) * 2005-01-07 2006-07-20 Toyota Motor Corp ガス燃料タンク搭載車両
KR20100012487A (ko) * 2008-07-29 2010-02-08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연료탱크 매립형 저상버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329A (ja) * 2000-08-17 2002-03-27 Arvinmeritor Gmbh 複数のモジュール部品からなる車両用閉止部材のための中間製品としてのモジュール部材、そのため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中間製品で構成された多部分からなる車両用閉止部材
JP2006188168A (ja) * 2005-01-07 2006-07-20 Toyota Motor Corp ガス燃料タンク搭載車両
KR20100012487A (ko) * 2008-07-29 2010-02-08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연료탱크 매립형 저상버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1268A (zh) * 2019-11-06 2020-01-03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全承载客车动力电池防水密封可拆卸安装托架
CN110641268B (zh) * 2019-11-06 2023-02-21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全承载客车动力电池防水密封可拆卸安装托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6097B2 (en) Cowl structure of vehicle
WO2019185024A1 (zh) 车身结构及汽车
CN104071108B (zh) 车辆的格栅风门构造
WO2019185030A1 (zh) 前地板总成及汽车
US8651563B2 (en) Bearing structure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body
CN103025964B (zh) 液压挖掘机
JP2009083601A (ja) 電気自動車
JP2020050127A (ja) 車体前部構造
US20130127187A1 (en) Rear structure of vehicle
CN100366492C (zh) 车辆的车身结构
JP2020050125A (ja) 車体前部構造
CN101973316B (zh) 一种前围上盖板结构
KR101664920B1 (ko) 배터리 교체식 전기버스의 루프도어 장치
JP2020050124A (ja) 車体前部構造
RU237223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2348594B (zh) 外车顶用防水结构
JP2009154825A (ja) 開口部の防水構造
JP2013103575A (ja) アンダーカバーの取り付け構造
CN209305501U (zh) 一种电动汽车多合一控制器线束固定支架及防护装置
JP2016066558A (ja) バッテリユニットボックスの通気口カバー
CN106184089A (zh) 保险杠
WO2020051947A1 (zh) 太阳能运输车
CN114750830B (zh) 车架结构
JP6341449B2 (ja) バッテリの防水構造
JP4681523B2 (ja) 作業車の防水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