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350B1 -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350B1
KR101664350B1 KR1020160003548A KR20160003548A KR101664350B1 KR 101664350 B1 KR101664350 B1 KR 101664350B1 KR 1020160003548 A KR1020160003548 A KR 1020160003548A KR 20160003548 A KR20160003548 A KR 20160003548A KR 101664350 B1 KR101664350 B1 KR 10166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ste
impurity
pip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일
Original Assignee
박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일 filed Critical 박용일
Priority to KR102016000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350B1/ko
Priority to US15/775,909 priority patent/US10696905B2/en
Priority to PCT/KR2016/012560 priority patent/WO20171229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01D1/0017Use of electrical or wave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81Feeding the steam or the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7/00Distillation of hydrocarbon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7/00Distillation of hydrocarbon oils
    • C10G7/006Distillation of hydrocarbon oils of waste oils other than lubricating oils, e.g. PCB's containing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10G2300/1007Used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12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02Gaso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04Diesel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06Ga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28Propane and but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유류폐기물로부터 유류를 정제해내기 위한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의 유류폐기물을 투입한 후 가열하여 압력 상승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증기화된 유체(유류+불순물)를 이송 처리하되 압력밸브의 개폐를 수행함으로써 유체로부터 유류와 불순물을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냉각기를 통해 응결 처리하여 다시 액화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유류폐기물로부터 유류를 정제해내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플라스틱이나 폐유 등의 각종 폐기물로부터 이에 포함된 휘발유나 경유 등을 분별증류방식으로 용이하게 분리해내 재활용할 수 있고, 분리된 유류에 포함되는 가스를 별도로 분리하여 부탄가스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장치를 세척과정 없이 연속작업으로 가동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Oil Refinement Apparatus for Wastes}
본 발명은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온도에 따른 끓는점 및 압력에 따른 밸브제어를 이용함으로써 여러가지 섞인 유류폐기물로부터 휘발유나 경유 등을 따로 분리하여 정제할 수 있도록 하며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은 우리가 생활함에 있어서 사용하고 물질적 가치가 없어진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폐기물은 재활용이 가능한 품목을 제외하고 매립이나 소각 또는 중간처리 등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를 하게 된다.
여기에서, 소각 처리는 폐기물 관리체계 중 중간처리 과정의 하나로서 화학적 방법에 속하는 것이며, 폐기물을 땅에 묻는 것보다 부피는 95~99% 정도, 무게는 80~85% 정도 줄일 수 있고 아울러 매립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폐기물 처리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열에너지가 회수되는 경제성도 지니고 있으므로 점차 폐기물처리 분담비율이 늘고 있는 실정이나 대기 및 토양오염 원인물질이 생기므로 철저한 오염방지 시설을 갖추어야 하는 등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또한, 물리화학 처리는 폐수에 용해되어 있지 않은 물과 분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으로서, 부하를 감소시키고 고형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고형화 처리는 폐기물과 시멘트를 섞고 물을 부은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수화작용에 의하여 단단하게 굳어진 덩어리가 되는데, 폐기물이 견고한 시멘트 속에 갇힘에 따라 중금속 등의 유해성분이 주변으로 이동 및 침투하는 속도가 최대한 지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석유는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자원 가운데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자원인데, 플라스틱을 포함한 거의 대부분의 용품들 중에는 석유류를 이용하여 만든 제품들이 많다.
즉, 재료에 휘발유 또는 경유 등이 포함된 것, 다시 말해 휘발유나 경유 등을 이용하여 만든 제품들이 많은데, 이 역시 사용에 의해 물질적 가치가 없어지면 폐기물이 된다.
예를 들면, 폐플라스틱이나 폐유 등 탄화수소계 유기폐기물을 이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자원재활용의 관점에서 재활용이 바람직함은 당연한데, 이러한 탄화수소계 유기폐기물을 재활용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36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열온도에 따른 끓는점 및 압력에 따른 밸브제어를 이용함으로써 여러가지 섞인 유류폐기물로부터 휘발유나 경유 등을 따로 분리하여 정제할 수 있도록 하며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비중에 따라 끓는점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가열 온도에 따라 유류폐기물로부터 톨유나 휘발유 또는 경유 등을 따로 분리하여 정제할 수 있도록 한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류폐기물로부터 이에 포함된 휘발유나 경유 등을 분리해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정제된 유류에 포함된 가스를 별도 분리하여 부탄가스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유류폐기물에 대한 재활용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는, 외부에서 폐기물을 가열하여 얻어진 액상의 유류폐기물로부터 유류를 정제해내기 위한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류폐기물을 내부에 넣고 가열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가열로(110); 상기 가열로(110)의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 및 직립 설치되며, 상기 가열로(110) 내에서 가열을 통해 상승되는 압력에 따라 유류폐기물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증기화된 유류성분 및 불순물을 갖는 유체를 상측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유체이송관(120); 상기 유체이송관(120)의 상단부 일측에 위치하여 연통되게 연결되는 관체로서, 동일 평면상으로 다수가 분배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관(120)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유체 중에서 유류를 정제하되 유류성분의 종류에 따라 분별하여 배출하기 위한 유류배출관(130A); 상기 유체이송관(120)의 상단부 타측에 위치하여 연통되게 연결되는 관체로서, 동일 평면상으로 다수가 분배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관(120)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유체 중에서 불순물을 배출하되 분별하여 배출하기 위한 불순물배출관(130B); 상기 유체이송관(120)과 유류배출관(130A)의 연결부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관(120)에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개폐되며, 유류를 분별 정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 상기 유체이송관(120)과 불순물배출관(130B)의 연결부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관(120)에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개폐되며, 불순물을 분별 배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 상기 각 유류배출관(130A)을 통해 정제되는 유류를 응결 처리하여 액화시킴으로써 액상의 유류로 배출하기 위한 냉각관(151A)을 갖는 유류냉각기(150A); 상기 각 불순물배출관(130B)d을 통해 배출되는 불순물을 냉각 처리하기 위한 냉각관(151B)을 갖는 불순물냉각기(150B); 상기 유류냉각기(150A)를 통과하여 정제된 액상의 유류를 분별하여 저장하기 위한 정제유류 저장부(160A); 상기 불순물냉각기(150B)를 통과하여 배출된 불순물을 분별하여 저장하기 위한 불순물 저장부(160B); 상기 각 유류냉각기(150A)에 연결되며, 정제된 유류 중에 포함된 가스를 별도로 배출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스배출구(17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로(110)는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가열하는 방식인 전기로로 구성하고; 상기 유류배출관(130A)과 불순물배출관(130B)은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하고, 각각 5개로 분배 설치하며; 상기 각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와 각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는 개방과 폐쇄를 위한 압력설정치에 차이를 두어 압력 형성에 따라 서로 구별되게 동작하도록 구비하되,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 위치에 배치된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와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는 개폐동작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류냉각기(150A)에는 내부에 온도조절기를 장착하여 전체적으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온도에 따른 끓는점과 압력에 따른 밸브제어를 이용함으로써 휘발유나 경유 등 여러가지 유류가 섞인 유류폐기물로부터 휘발유나 경유 등 유류를 따로 분리하여 정제할 수 있고 재활용할 수 있게 하며, 유류와 불순물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가동 중에 관을 세척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고 연속작업으로 장치를 가동할 수 있어 유류 정제작업에 따른 장치의 효율성은 물론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정제된 유류에 포함되는 가스를 별도로 분리하여 부탄가스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가열로에 남아있는 폐기물찌꺼기는 탄소를 가지므로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류폐기물에 대해 소각이나 매립 등으로 폐기 처리하지 않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류를 정제해내 재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100)는 외부에서 폐기물을 1차 가열하여 얻어진 액상의 유류폐기물을 투입한 후 가열하여 유류폐기물로부터 유류를 정제해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열 온도에 따른 끓는점의 차이 및 형성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분별증류해내는 방식을 적용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때, 폐기물은 폐플라스틱이나 폐유 등일 수 있으며, 외부에서 1차 가열하여 액상의 유류폐기물을 얻어낸 후 사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로(110), 유체이송관(120), 유류배출관(130A), 불순물배출관(130B),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 유류냉각기(150A), 불순물냉각기(150B), 정제유류 저장부(160A), 불순물 저장부(160B), 및 가스배출구(170A)를 포함하되 이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로(110)는 액상의 유류폐기물을 내부에 넣고 가열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열 온도에 따른 끓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폐기물로부터 이에 포함된 휘발유나 경유 등의 유류를 따로 분리해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구성품이다.
이때, 상기 가열로(110)는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가열하는 방식인 전기로를 적용함이 편리성을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않는다 할 것이며, 다른 열원을 사용하는 방식의 것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로(110)는 유류폐기물을 정제 처리한 후, 가열로 안에 남아있는 폐기물찌꺼기를 연료로 사용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열로(110)는 로 본체(111)와, 상기 로 본체(111)의 밀폐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로 본체(111)에 인입 및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류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갖는 폐기물수용부(112)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로(110)는 상기 폐기물수용부(112)를 로 본체(111)로부터 인출하지 않은 상태로 액상의 유류폐기물을 내부에 투입할 수 있도록 로 본체(111)의 상부에 폐기물투입구(111a)를 구비할 수 있는데, 폐기물을 투입한 후 로 본체(111)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밀폐커버를 갖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이송관(120)은 상기 가열로(110)의 상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가열로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형태로 직립 설치되는 관체이다.
이때, 상기 유체이송관(120)은 상기 가열로(110) 내에서 형성되는 가열 온도에 따라 압력이 상승되며, 가열로(110) 내에서 끓는점의 차이에 의해 액상의 유류폐기물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증기화된 유류성분 및 불순물을 갖는 유체를 상측 방향으로 이송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유류배출관(130A)은 상기 유체이송관(120)의 상단부 일측에 위치하여 연통되게 연결되는 관체로서, 동일 평면상으로 다수가 분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류배출관(130A)은 다수를 분배 설치함으로써 유체이송관(120)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유체 중에서 유류를 정제하되 유류성분의 종류에 따라 분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유류배출관(130A)은 정제되는 유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유류냉각기(150A)와의 연결 배치에 따른 효율성을 위해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류배출관(130A)은 유류폐기물로부터 끓는점의 차이를 갖는 휘발유나 경유 등을 분별하여 각각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 평면상으로 5개를 분배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순물배출관(130B)은 상기 유체이송관(120)의 상단부 타측에 위치하여 연통되게 연결되는 관체로서, 동일 평면상으로 다수가 분배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불순물배출관(130B)은 상기 유체이송관(120)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유체 중에서 불순물을 배출하되 분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불순물배출관(130B)은 상기 유류배출관(130A)과 동일한 개수 및 위치로 대응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류배출관(130A)과 불순물배출관(130B)을 각각 별도 구성하되 다수 개로 분배 설치함으로써 유류폐기물로부터 유류를 정제하여 분리해내고 배출하는 과정 중에 관을 세척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며, 연속 작업으로 장치를 가동할 수 있는 등 장치의 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류배출관(130A)과 불순물배출관(130B)에 대해 다수의 분배 설치구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체이송관(120)의 상부에 케이스(C) 등 박스형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이송관(120)의 형상 및 크기를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는 상기 유체이송관(120)과 유류배출관(130A)의 연결부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관(120)에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위로 상승하는 유체 중에서 유류를 분별 정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는 상기 유체이송관(120)과 불순물배출관(130B)의 연결부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관(120)에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위로 상승하는 유체 중에서 불순물을 분별 배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와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는 상기 유류배출관(130A)과 불순물배출관(130B)의 설치개수에 대응하게 구비된다 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이송관(120) 내에 형성되는 압력이 밸브가 갖는 설정압력 범위일 시 자동으로 개방되어 열리고 그 반대로 설정압력 범위를 벗어날 시 자동으로 폐쇄되어 닫히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각 압력밸브(140A)(140B)는 유류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유체이송관(120) 내에 형성되는 압력에 차이가 발생되는데, 개방과 폐쇄를 위한 압력설정치에 차이를 두어 압력 형성에 따라 서로 구별되게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각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와 각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는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 위치에 배치된 밸브의 개폐동작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유류냉각기(150A)는 상기 각 유류배출관(130A)을 통해 정제되는 유류를 응결 처리하여 액화시킴으로써 액상의 유류로 만들고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각 유류배출관(130A)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냉각관(151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류냉각기(150A)는 각 냉각관(151A)의 끝단부에 대해 하향 절곡 배치하여 액상화된 유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정제유류 저장부(160A)로 자연스럽게 흘려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유류냉각기(150A)에는 내부에 온도조절기를 장착하여 다수의 냉각관(151A)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순물냉각기(150B)는 상기 각 불순물배출관(130B)을 통해 배출되는 불순물을 냉각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각 불순물배출관(130B)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냉각관(151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불순물냉각기(150B)는 또한 각 냉각관(151B)의 끝단부에 대해 하향 절곡 배치하여 액상화된 유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불순물 저장부(160B)로 자연스럽게 흘려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유류 저장부(160A)는 상기 유류냉각기(150A)의 각 냉각관(151A)에 대응하는 저장용기가 각각 구비된다 할 수 있으며, 상기 유류냉각기(150A)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정제된 액상의 유류를 유류별로 분별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정제유류 저장부(160A)에 구성하는 각 저장용기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휘발유나 경유 등 분별 정제된 액상의 각종 유류를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161A)가 구비된다 할 것이다.
상기 불순물 저장부(160B)는 상기 불순물냉각기(150B)의 각 냉각관(151B)에 대응하는 저장용기가 각각 구비된다 할 수 있으며, 상기 불순물냉각기(150B)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불순물을 분별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스배출구(170A)는 상기 유류냉각기(150A)의 각 냉각관(151A)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정제된 유류를 이송 배출하는 각 냉각관(151A)의 끝단부에 대해 상향으로 절곡된 배치구조를 갖도록 연결되며, 정제된 유류에 포함된 가스를 별도로 배출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가스배출구(170A)는 가스저장용기(180)로 가스를 보낼 수 있도록 연결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폐기물을 외부에서 1차로 가열하여 얻어진 휘발유나 경유 등의 여러가지 유류성분이 섞인 액상의 유류폐기물을 가열로(110) 내에 투입한다.
액상의 유류폐기물을 투입한 상태에 가열로(110)를 일정 온도로 설정하여 가동시킴으로써 가열한다.
이러한 가열에 따라 유류폐기물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끓게 되며, 유류폐기물에 포함된 성분 중에서 끓는점이 낮은 성분부터 분별증류되어 나오게 된다.
즉, 이러한 가열에 따라 장치 내에는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유류폐기물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증기화된 유류성분은 가열로(110)에 연결된 유체이송관(120)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 처리된다.
이때, 여러가지 유류성분이 섞인 액상의 유류폐기물은 성분의 끓는점 차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리되고 유체이송관(120)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며, 이와 더불어 장치 내 압력 상승에 따라 각각의 설정범위에 해당하는 각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와 각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가 그때마다 개방되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여기에서, 여러가지 유류성분이 섞인 액상의 유류폐기물로부터는 1차로 물이 분리되는데, 첫번째 유류배출관(130A)으로 정제되어 배출되고 이와 더불어 2차 정제가 이루어지기 전에 첫번째 불순물배출관(130B)으로 불순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어, 2차로 톨유가 분리되는데, 두번째 유류배출관(130A)으로 정제되어 배출되고 이와 더불어 3차 정제가 이루어지기 전에 두번째 불순물배출관(130B)으로 불순물을 배출하게 된다.
삭제
이어, 3차로 휘발유가 분리되는데, 세번째 유류배출관(130A)으로 정제되어 배출되고 이와 더불어 4차 정제가 이루어지기 전에 세번째 불순물배출관(130B)으로 불순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어, 4차로 경유가 분리되는데, 네번째 유류배출관(130A)으로 정제되어 배출되고 이와 더불어 5차 정제가 이루어지기 전에 네번째 불순물배출관(130B)으로 불순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어, 5차로 등유가 분리되는데, 다섯번째 유류배출관(130A)으로 정제되어 배출되고 이와 더불어 다섯번째 불순물배출관(130B)으로 불순물을 배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동작에는 각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와 각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이 관여하게 되며, 이들은 각 설정범위 이하로 장치 내 압력이 하강되면 폐쇄되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렇듯, 각각의 유류배출관(130A)으로부터 정제되어 배출되는 증기화된 유류는 이에 연결된 각각의 냉각관(151A)을 갖는 유류냉각기(150A)를 경유하게 되며, 이때 정제된 유류는 응결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액화되어 액상의 유류로 만들어진다.
또한, 각각의 불순물배출관(130B)으로부터 배출되는 불순물은 이에 연결된 각각의 냉각관(151B)을 갖는 불순물냉각기(150B)를 경유하게 되며, 이때 냉각 처리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유류냉각기(150A)의 각 냉각관(151A)을 통과하여 액화된 정제 유류는 정제유류 저장부(160A)로 배출되어 저장되고, 이와 더불어 정제 유류에 포함된 가스는 유류냉각기(150A)의 각 냉각관(151A)에 분기되어 연결된 가스배출구(170A)를 통해 별도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정제유류 저장부(160A)에 저장되는 각각의 유류는 분별 저장되므로 재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스배출구(170A)를 통해 정제 유류와 별도로 배출되는 가스는 가스저장용기(180) 측으로 보내 저장한 후 냉각시켜 부탄가스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때로는 가스저장용기(180)를 사용하지 않고 냉각시킨 다음 부탄가스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불순물냉각기(150B)의 각 냉각관(151B)을 통과하는 불순물은 불순물 저장부(160B)로 배출되어 저장되고, 이와 더불어 불순물에 포함된 가스를 가스배출구(170B)를 통해 별도로 배출하여 재활용토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100)는 가열로(110)에 남아있는 폐기물찌꺼기까지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등 유류폐기물에 대해 소각이나 매립 등 폐기 처분하지 않고 100%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110: 가열로
120: 유체이송관 130A: 유류배출관
130B: 불순물배출관 140A: 유류정제용 압력밸브
140B: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 150A: 유류냉각기
150B: 불순물냉각기 160A: 정제유류 저장부
160B: 불순물 저장부 170A: 가스배출구

Claims (3)

  1. 외부에서 폐기물을 가열하여 얻어진 액상의 유류폐기물로부터 유류를 정제해내기 위한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류폐기물을 내부에 넣고 가열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가열로(110);
    상기 가열로(110)의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 및 직립 설치되며, 상기 가열로(110) 내에서 가열을 통해 상승되는 압력에 따라 유류폐기물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증기화된 유류성분 및 불순물을 갖는 유체를 상측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유체이송관(120);
    상기 유체이송관(120)의 상단부 일측에 위치하여 연통되게 연결되는 관체로서, 동일 평면상으로 다수가 분배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관(120)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유체 중에서 유류를 정제하되 유류성분의 종류에 따라 분별하여 배출하기 위한 유류배출관(130A);
    상기 유체이송관(120)의 상단부 타측에 위치하여 연통되게 연결되는 관체로서, 동일 평면상으로 다수가 분배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관(120)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유체 중에서 불순물을 배출하되 분별하여 배출하기 위한 불순물배출관(130B);
    상기 유체이송관(120)과 유류배출관(130A)의 연결부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관(120)에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개폐되며, 유류를 분별 정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
    상기 유체이송관(120)과 불순물배출관(130B)의 연결부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관(120)에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개폐되며, 불순물을 분별 배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
    상기 각 유류배출관(130A)을 통해 정제되는 유류를 응결 처리하여 액화시킴으로써 액상의 유류로 배출하기 위한 냉각관(151A)을 갖는 유류냉각기(150A);
    상기 각 불순물배출관(130B)을 통해 배출되는 불순물을 냉각 처리하기 위한 냉각관(151B)을 갖는 불순물냉각기(150B);
    상기 유류냉각기(150A)를 통과하여 정제된 액상의 유류를 분별하여 저장하기 위한 정제유류 저장부(160A);
    상기 불순물냉각기(150B)를 통과하여 배출된 불순물을 분별하여 저장하기 위한 불순물 저장부(160B);
    상기 각 유류냉각기(150A)에 연결되며, 정제된 유류 중에 포함된 가스를 별도로 배출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스배출구(170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110)는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가열하는 방식인 전기로로 구성하고;
    상기 유류배출관(130A)과 불순물배출관(130B)은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하고, 각각 5개로 분배 설치하며;
    상기 각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와 각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는 개방과 폐쇄를 위한 압력설정치에 차이를 두어 압력 형성에 따라 서로 구별되게 동작하도록 구비하되,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 위치에 배치된 유류정제용 압력밸브(140A)와 불순물배출용 압력밸브(140B)는 개폐동작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냉각기(150A)에는 내부에 온도조절기를 장착하여 전체적으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KR1020160003548A 2016-01-12 2016-01-12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KR101664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48A KR101664350B1 (ko) 2016-01-12 2016-01-12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US15/775,909 US10696905B2 (en) 2016-01-12 2016-11-03 Pressure-controlled oil refining device
PCT/KR2016/012560 WO2017122913A1 (ko) 2016-01-12 2016-11-03 압력제어식 유류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48A KR101664350B1 (ko) 2016-01-12 2016-01-12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350B1 true KR101664350B1 (ko) 2016-10-11

Family

ID=5716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548A KR101664350B1 (ko) 2016-01-12 2016-01-12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96905B2 (ko)
KR (1) KR101664350B1 (ko)
WO (1) WO2017122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9254A (zh) * 2018-12-28 2019-04-12 成都山海油脂有限公司 一种食用动物油脂精炼过程中的控温系统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266A (ko) * 2003-01-22 2004-07-30 (주)인우엔터프라이즈 합성수지 폐기물의 건류유화용 장치
KR20070011054A (ko) * 2005-07-19 2007-01-24 비미크로 코포레이션 2차원 바코드 비디오 전송에 기초한 속도제어 방법 및시스템
KR20070044748A (ko) * 2005-10-25 2007-04-30 유덕명 폐플라스틱 정제유 제조장치
KR100943671B1 (ko) 2008-04-11 2010-02-22 권선대 탄화수소계 유기폐기물을 열분해 공정에 의해 정제유로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096928A (ko) * 2010-02-24 2011-08-31 백승필 폐석유화학제품으로부터 석유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063B1 (ko) 2002-09-09 2005-05-06 이돈우 폐합성수지 열분해유 재생장치
TW200728444A (en) * 2005-12-06 2007-08-01 Yuji Kohara Oil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s for plastic waste
KR20070111054A (ko) 2006-05-16 2007-11-21 오세평 오니 발생을 저하시킨 폐합성수지 유화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266A (ko) * 2003-01-22 2004-07-30 (주)인우엔터프라이즈 합성수지 폐기물의 건류유화용 장치
KR20070011054A (ko) * 2005-07-19 2007-01-24 비미크로 코포레이션 2차원 바코드 비디오 전송에 기초한 속도제어 방법 및시스템
KR20070044748A (ko) * 2005-10-25 2007-04-30 유덕명 폐플라스틱 정제유 제조장치
KR100943671B1 (ko) 2008-04-11 2010-02-22 권선대 탄화수소계 유기폐기물을 열분해 공정에 의해 정제유로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096928A (ko) * 2010-02-24 2011-08-31 백승필 폐석유화학제품으로부터 석유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6905B2 (en) 2020-06-30
WO2017122913A1 (ko) 2017-07-20
US20180327672A1 (en)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34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ycling plastic
KR101664350B1 (ko) 폐기물용 유류 정제장치
US10000401B1 (en) Produced water evaporation system
CN103509597B (zh) 一种废油回收处理方法及处理系统
US20030050519A1 (en) Method for decomposing plastic waste to produce fuel materials and equipment for the method
JP2015521100A (ja) 出発材料をガス化および/または精製するための反応装置および方法
KR20100100366A (ko) 폐합성수지 유화장치
US10787616B2 (en) Methods for separating light fractions from hydrocarbon feedstock
JP2011246721A (ja) 炭化水素を含有する製品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736845B1 (ko) 연료유정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열분해유화시스템
CN110407423B (zh) 一种含油污泥的资源化回收处理装置
KR200165579Y1 (ko) 플라스틱폐기물 유화장치
KR102171034B1 (ko)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및 유화방법
CN101015749A (zh) 冷焦水中废气处理方法及装置
US584638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hrough waste classification and calcination
KR100884720B1 (ko) 폐플라스틱의 오일 환원 장치
CN108893136B (zh) 一种延迟焦化大吹汽产生的污油的处理方法
KR20020095289A (ko) 폐합성수지의 열분해 공법 및 장치
CN101492217A (zh) 用于含白油污水处理的装置及方法
CN104498084B (zh) 原油脱盐脱酸的加工方法
KR101327169B1 (ko)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KR102280442B1 (ko) 폐아크릴로부터 아크릴원료를 획득하는 재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생방법
CN110578035B (zh) 一种工业危废处理方法及其装置
KR100818250B1 (ko) 오일 환원 장치에 장착되는 왁스 중간저장조
TW201718836A (zh) 延遲焦化鼓淬火系統及具有減少大氣排放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