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231B1 -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 Google Patents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4231B1 KR101664231B1 KR1020140167203A KR20140167203A KR101664231B1 KR 101664231 B1 KR101664231 B1 KR 101664231B1 KR 1020140167203 A KR1020140167203 A KR 1020140167203A KR 20140167203 A KR20140167203 A KR 20140167203A KR 101664231 B1 KR101664231 B1 KR 1016642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el
- band
- roller
- product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45—Handling web roll by axial movement of ro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65H75/146—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flange between the two end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을 밴딩하기 위한 밴드를 감거나 풀어내는 릴을 구비하는 릴 세트; 상기 제품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밴드가 상기 제품의 주변을 두르도록 하는 아치부; 상기 릴의 회전 또는 역회전을 제어하는 본체부; 상기 제품에 밀착하여 상기 제품을 감싸는 밴드를 연결시키는 융착부; 및 상기 릴은, 좌우 방향으로 둘 이상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릴 세트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릴 사이에서 상기 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릴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매 대상이 되는 제품들은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되어 운송된다. 구체적으로 제품을 종이로 이루어진 박스 내에 넣어 보관하거나, 또는 제품의 외면을 비닐 등으로 래핑(wrapping)하여 제품 외관을 보호한다.
래핑된 제품 또는 박스에 담긴 제품은,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롤러로 구성된 이송 수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는 완성된 제품을 운송 수단인 차량 등에 탑재하거나, 추가적인 포장 작업 등을 하기 위해서이다.
이송되는 제품에 대해 2차적으로 포장을 하기 위해서, PP밴드(Polypropylene band) 또는 PET밴드(Polyester Band) 등을 이용하여 제품 또는 제품이 담긴 박스를 둘러 밴딩(banding)하게 된다. 밴딩은 열십자(十) 또는 우물정자(井)등과 같이 밴드가 직교되도록 하여, 포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밴드는 릴(reel)에서 풀려나와 제품을 둘러싸는 구조인 아치에 마련되어 밴딩을 준비하며, 릴의 역회전에 따라 밴드는 아치에서 빠져나와 제품의 외면에 밀착되고, 끝단은 열융착 등에 의해 절단 및 접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밴드는 릴과 아치 사이에서 일정 길이만큼 풀려있어야만 당김과 풀림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면서 원활하게 아치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밴드를 일정 길이만큼 풀어놓기 위해서 종래에는 풀 박스(Pull Box)가 마련되는데, 풀 박스 내에서 밴드는 서로 뒤틀려서 차후 제품 포장 시 밴드가 꼬이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밴드를 감아 보관하는 릴은 밴딩 장치마다 1개씩 구비되어 사용되는데, 릴에 감긴 밴드를 모두 사용함에 따라 릴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밴딩은 제품 각각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제품의 부피에 따라서는 둘 이상의 제품을 밀접하게 위치시킨 후 한꺼번에 밴딩할 수도 있다. 이때 제품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하여 롤러나 벨트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품은 지게차를 통한 운반을 위해서 팔레트(pallet) 위에 올려진 상태로 이송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밴드는 팔레트를 관통할 필요가 있는바, 종래의 밴딩장치는 밴드의 끝단을 팔레트에 관통시키는 슈터(shooter)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슈터를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팔레트에 형성되는 구멍에 슈터가 적절히 인입되지 못해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슈터의 인출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슈터의 끝단에 처짐이 발생하여 슈터가 팔레트를 완전히 관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제품을 이송하고 포장(밴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제품의 이송에 사용되는 롤러부를 복수 개로 마련하되, 복수 개의 롤러부가 하나의 롤러축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선택적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제어되도록 하여, 제품의 이송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롤러부를 따라 어느 하나의 제품을 이송시키면서 제2 롤러부의 작동을 정지하고, 이송된 제품을 제2 롤러부로 밀어낸 뒤 제2 롤러부를 가동하지 않으면서 제1 롤러부를 통해 다른 제품을 이송시킨 후, 두 제품을 밴딩하고 제1, 2 롤러부를 한꺼번에 구동하여, 제품이 정확하고 편리하게 운반되도록 하는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부의 회전이 인버터에 의해 전자적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제품을 이송할 경우 제품의 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할 수 있는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마련되던 풀 박스를 생략하고, 릴에 연결되는 2개의 보조 릴을 마련하고 릴에서 풀려나온 밴드가 한 쌍의 보조 릴에 감긴 뒤 아치부로 공급되도록 하며, 보조 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보조 릴 사이의 거리가 밴드의 풀림에 의해 자연스럽게 좁혀지거나 보조 릴의 자중에 의해 멀어지도록 하여 밴드의 원활한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를 권취하는 릴이 복수 개로 마련되도록 하며, 릴의 교체를 자동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교체된 릴의 위치 역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밴드의 꼬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팔레트를 관통하는 슈터의 인출과 인입을 구현하기 위해, 선형운동 가이드와 가이드 롤러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슈터가 길게 인출되었을 때 슈터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는, 제품을 밴딩하기 위한 밴드를 감거나 풀어내는 릴을 구비하는 릴 세트; 상기 제품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밴드가 상기 제품의 주변을 두르도록 하는 아치부; 상기 릴의 회전 또는 역회전을 제어하는 본체부; 상기 제품에 밀착하여 상기 제품을 감싸는 밴드를 연결시키는 융착부; 및 상기 릴은, 좌우 방향으로 둘 이상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릴 세트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릴 사이에서 상기 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릴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릴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바를 따라 상기 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릴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릴 중 어느 하나의 릴에 감긴 상기 밴드의 양이 임계값 이하일 경우,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바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릴 중 다른 하나의 릴이, 상기 어느 하나의 릴의 이동 전 위치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릴 연결부는, 상기 릴에 감긴 상기 밴드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하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한 쌍의 측판이 연결되는 형태의 상기 릴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측판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측판 방향으로 신호를 발사하여, 상기 신호가 상기 중심축에 감긴 밴드에 의해 가려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밴드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릴은, 하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한 쌍의 측판이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에 상기 밴드가 감기며,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측판은,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밴드의 양이 상기 측판의 외측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릴은, 하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한 쌍의 측판이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에 상기 밴드가 감기며,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측판은,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밴드의 양이 상기 측판의 외측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는, 제품 이송을 위한 롤러부가 하나의 롤러축에 복수 개로 설치되도록 하며, 폭이 비교적 작은 제품을 이송시킬 때, 제품 각각의 이송을 위해서는 복수 개의 롤러부 중 어느 하나만을 회전시키고, 서로 밀착된 복수 개의 제품을 한꺼번에 이송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롤러부를 모두 회전시켜서, 제품의 이송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부가 회전함에 따라 제품이 이송될 때 롤러부의 회전이 인버터에 의하여 자동 제어되도록 하여, 제품의 이송 거리 및 제동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복수 개의 제품을 포장할 때 제품의 정렬이 문제없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는, 풀 박스를 대신하여 릴에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릴을 구비하고, 한 쌍의 보조 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릴에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되 릴에 회전중심을 형성하여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보조 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며, 보조 릴 사이의 거리는 밴드의 풀림 또는 감김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밴드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아치부에 공급되거나 또는 아치부로부터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는, 릴을 측 방향으로 복수 개 갖는 릴 세트를 구비하고, 릴 세트를 본체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릴에서 풀리는 밴드의 위치를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릴의 적어도 일측면을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여 밴드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와 밴딩 장치는, 밴드의 끝단이 팔레트를 관통해 아치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슈터를 이용하여 밴드의 끝단을 팔레트에 관통시키되, 선형운동 가이드를 이용하여 슈터를 구동하여, 팔레트 관통을 위한 길이만큼 슈터가 인출될 때 슈터가 처져서 팔레트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릴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슬립부가 없는 이송 롤러에서 제품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에서 제품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릴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릴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릴에 동력이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슈터 및 선형운동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선형운동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가이드 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릴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슬립부가 없는 이송 롤러에서 제품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에서 제품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릴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릴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릴에 동력이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슈터 및 선형운동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선형운동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가이드 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1)는, 릴(10), 아치부(20), 본체부(30), 융착부(40), 이송 롤러(50)를 포함한다.
릴(10)은, 이송되는 제품(G)을 밴딩하기 위한 밴드(B)를 감거나 풀어낸다. 이때 밴드(B)는 PP밴드 또는 PET밴드이거나 금속 밴드 등일 수 있다. 릴(10)에 감겨있는 밴드(B)의 종류는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릴(10)은 중심축(100)과 한 쌍의 측판(110)으로 구성된다. 중심축(100)에는 밴드(B)가 감기게 되며, 중심축(100)에 감겨있는 밴드(B)는 릴(10)의 회전에 따라 풀릴 수 있다.
중심축(100)을 기준으로 좌우에는 한 쌍의 측판(110)이 연결된다. 한 쌍의 측판(110)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중심축(100)을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물론 중심축(1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측판(110)이 중심축(100)의 우측에 마련되는 측판(110)과 상이한 재질이나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측판(110)은 중심축(1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데, 측판(110)의 직경에 따라 중심축(100)에 감기는 밴드(B)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측판(110)을 넘어설 정도로 중심축(100)에 밴드(B)가 감기면 밴드(B)가 측판(110)의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중심축(100)에 감기는 밴드(B)의 양은 측판(110)이 가려줄 수 있는 정도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런데 측판(110)을 불투명한 재질로 할 경우, 본 발명의 사용자는 중심축(100)에 감겨있는 밴드(B)의 양을 정확하게 알기 어렵고, 밴드(B)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측판(110) 사이를 바라볼 수 있는 자리에 위치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측판(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판(110)은, 밴드(B)의 양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릴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릴(10)은,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측판(110)을 구비하면 밴드(B)의 양이 외부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측판(110)은 한 쌍이 모두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또는 어느 하나의 측판(110)만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릴(10)은,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크기만큼 투명하게 하거나, 도 7이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각 범위만큼 투명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측판(110)은, 투명한 재질과 불투명한 재질을 각각 이용하여 측판(110)의 부분을 형성하고, 차후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측판(110)의 전체 부분을 형성하고, 그 위에 불투명한 재질을 일정 각도 범위만큼 덮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는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측판(110)은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측판(110)에서 일정 각도 범위만큼 절개된 부분(112)을 통해 밴드(B)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측판(110)의 외측에 서있더라도 명확하게 밴드(B)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릴(10)은,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도록 하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도록 하여, 밴드(B)의 양이 측판(110)의 외측으로 보이도록 함으로써, 릴(10)의 교체 시기를 사용자에게 명확하고 간편하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투명한 부분(111)과 절개된 부분(112)에는, 일측에 눈금자 또는 다양한 형태의 식별 표시가 마련되어, 밴드(B)의 양이 임계값 이상인지 또는 이하인지 사용자가 단번에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아치부(20)는, 밴드(B)가 제품(G)의 주변을 두르도록 한다. 아치부(20)는 본체부(30)와 함께 제품(G)의 상부를 덮는 "ㅁ"형태를 구성할 수 있고, 아치부(20)는 "⊃" 또는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아치부(20)는 본체부(30)와 함께 제품(G)의 상부를 덮는 "∩" 또는 "" 등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아치부(20)는 "ㄱ"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제품(G)의 하부를 따라 밴드(B)를 이송시키기 위해 슈터(도 29의 70)가 별도로 마련되는데, 슈터(도 29의 70)가 마련되는 밴딩 장치(1)에 대해서는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아치부(20)는 후술할 이송 롤러(5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송 롤러(50)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G)의 상부를 두를 수 있다. 아치부(20)는 내부에 밴드(B)가 이동되도록 하는 경로(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다. 이때 아치부(20)는 "ㄱ"형태 등과 같이 절곡되는 외면을 가질 수 있지만, 내부의 경로는 곡선이 되도록 하여 밴드(B)가 아치부(20)를 따라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밴드(B)는 본체부(30)에서 배출되어 제품(G)의 하부를 따라 아치부(20)에 인입되며, 이후 밴드(B)는 아치부(20)의 내부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본체부(30)로 다시 유입된다. 즉 본체부(30)를 기점으로 밴드(B)는 아치부(20)의 내부 경로에 위치해 폐곡선에 가까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밴드(B)의 일단이 융착되면 밴드(B)는 진정한 폐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아치부(20)는, 아치부(20)에서 제품(G) 방향으로 밴드(B)가 큰 무리없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일례로 아치부(20)는 제품(G)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탄성을 갖는 가림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밴드(B)가 가림막을 밀어내면서 제품(G) 방향으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아치부(20)는 제품(G)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을 형성하며, 개방된 부분에 회전에 따라 개폐를 조절하는 가림막(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가림막의 회전에 의해 밴드(B)가 제품(G) 방향으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하는 것은, 아치부(20)에 밴드(B)가 유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밴드(B)의 이탈을 방지한 후, 제품(G)이 아치부(20)의 하방에 놓였을 때 비로소 아치부(20)에 위치한 밴드(B)가 아치부(20)로부터 이탈되어 제품(G)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밴딩의 대상이 되는 제품(G)은 아치부(20)의 내부로 위치하여야 하므로, 밴딩이 가능한 제품(G)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아치부(20)의 크기에 따라 제한된다. 따라서 아치부(20)의 크기를 크게 하면 밴딩이 가능한 제품(G)의 크기가 커지며, 아치부(20)의 크기를 작게 하면 밴딩이 가능한 제품(G)의 크기가 작아진다.
다만 크기가 작거나 크기가 큰 제품(G)을 모두 밴딩하기 위해 크기가 충분히 큰 아치부(20)를 사용할 수 있지만, 크기가 큰 아치부(20)에서 크기가 매우 작은 제품(G)을 밴딩하게 되면, 아치부(20)에서 이탈된 밴드(B)가 제품(G)의 외면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밴드(B)의 꼬임이나 휘어짐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품(G)의 크기는 아치부(20)의 크기에 따라 일정한 제한을 받는다. 즉 제품(G)의 크기보다 아치부(20)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고 하여 밴딩이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본체부(30)는, 릴(10)의 회전을 제어한다. 릴(10)의 회전은 밴드(B)가 릴(10)에서 풀리는 방향을 의미한다. 릴(10)을 회전시켜 밴드(B)를 릴(10)에서부터 풀어내는 것은, 아치부(20)에 밴드(B)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아치부(20)에 위치한 밴드(B)를 아치부(20)로부터 이탈시켜 제품(G)에 감을 경우에는, 릴(10)을 역회전시키는 것 대신 풀 박스(31)에 많은 밴드(B)가 임시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릴(10)과 아치부(20) 사이에서 밴드(B)의 풀림 또는 감김에 따라 밴드(B)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데, 후술할 풀 박스(31)는 릴(10)과 아치부(20) 사이에서 충분한 길이(일례로 아치부(20) 길이의 1.5배)의 밴드(B)가 풀려 있도록 할 수 있다.
본체부(30)는, 풀 박스(31)를 형성한다. 본체부(30)에 형성되는 풀 박스(31)는, 릴(10)에서 풀려나온 밴드(B)가 일정 공간 내에 자유롭게 풀려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풀 박스(31)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일례로 본체부(30)의 내부 육면체 공간일 수 있다. 또한 풀 박스(31)의 입구에는 밴드(B)를 가이드하는 보조롤러(3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풀 박스(31)는 일측이 개방되거나 일측의 덮개(도시하지 않음)가 투명한 재질이 되도록 하여, 미리 풀려 있는 밴드(B)의 상태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릴(10)에는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릴(10)의 회전이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릴(10)을 아이들 상태로 마련하여, 보조롤러(311)가 밴드(B)를 당길 때 릴(10)이 자연스럽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체부(30)는 보조롤러(311)의 가동을 통해 릴(10)의 회전을 구현하며, 릴(10)을 직접적으로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보조롤러(311)는 복수 개의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조롤러(311)는 풀 박스(31)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풀 박스(31)의 입구 및 출구에 마련된 보조롤러(311)가 회전하면 릴(10)이 회전하면서 릴(10)에서 밴드(B)가 풀려나와 풀 박스(31)를 거쳐 아치부(20)로 공급될 수 있으며, 풀 박스(31)의 출구에 마련된 보조롤러(311)가 역회전하면 아치부(20)에서 밴드(B)가 빠져나오면서 풀 박스(3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즉 릴(10)과 아치부(20) 사이에서 밴드(B)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본 발명은 릴(10)을 역회전시킬 필요 없이 풀 박스(31)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밴드(B)의 길이를 변경하여 밴드(B)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풀 박스(31)는 일정한 공간 내에 자유롭게 밴드(B)가 풀려 있도록 하는 것이어서, 밴드(B)의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풀 박스(31)를 생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융착부(40)는, 제품(G)에 밀착하여 제품(G)을 감싸는 밴드(B)를 연결시킨다. 융착부(40)는 열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밴드(B)를 녹이면서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밴드(B)는 제품(G)을 감싸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으로 나뉜다. 이때 나머지 부분의 일단은 다시 아치부(20)로 유입되어 제품(G)을 감싸는 폐곡선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융착부(40)는 본체부(30)에서 아치부(2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융착부(40)가 제품(G)과 이격된 상태로 밴드(B)를 연결시키게 되면, 융착부(40)와 제품(G)의 이격 거리만큼 제품(G)을 감싸는 밴드(B)가 느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융착부(40)는 최대한 제품(G)이 가까운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일례로 본체부(30)에서 제품(G)에 근접한 방향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융착부(40)는 밴드(B)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데, 이는 융착부(40)에 밴드(B)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보조롤러(311)가 역회전하여, 아치부(20)에 위치한 밴드(B)가 아치부(20)를 빠져나와 제품(G)에 감길 때 밴드(B)가 제품(G)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하기 위함이다.
융착부(40)가 밴드(B)를 절단 및 연결하는 방식은 밴드(B)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융착부(40)의 융착 방식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한 한정 사항을 두지 않는다.
다만 융착부(40)는, 연결되는 밴드(B)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밴드(B)가 길이 방향으로 "S"자 또는 "<"자와 ">"자가 반복되는 지그재그 모양이 되도록 압착할 수 있으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은 구멍을 형성하여 두 밴드(B)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멍을 형성하게 되면 결합되는 부분의 면적은 작아지지만, 구멍의 형성에 의해 두 밴드(B)가 구멍의 테두리에서 강하게 압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송 롤러(50)는, 제품(G)을 이송한다. 이송 롤러(50)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이송 롤러(50)는, 롤러축(51), 제1 롤러부(52), 제2 롤러부(53), 베어링(54), 구동원(55)을 포함한다.
롤러축(51)은,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다만 롤러축(51)은 회전되지 않게 마련될 수 있고, 롤러축(51)에 구비되는 제1, 2 롤러부(52, 53)는 롤러축(51)에 아이들(idle) 상태로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롤러축(51)을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다.
롤러축(51)에 구비되는 제1, 2 롤러부(52, 53)가 롤러축(51)의 고정에도 불구하고 아이들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2 롤러부(52, 53)의 내측과 롤러축(51) 사이에는 후술할 베어링(54)이 마련될 수 있다.
롤러축(51)은, 제1, 2 롤러부(52, 53)의 회전 중심을 한꺼번에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롤러축(51)에 2개의 롤러부(52, 5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롤러부(52, 53)마다 롤러축(51)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1 롤러부(52)는, 롤러축(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 롤러부(52)는 내부에 롤러축(51)에 삽입되도록 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길이가 긴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제1 롤러부(52)는 일측에 제1 스프로켓(52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프로켓(521)에는 후술할 구동원(55)이 연결되며, 구동원(55)에 의해 제1 스프로켓(521)이 회전되면 제1 롤러부(52)는 롤러축(5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롤러부(52)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롤러축(51) 역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롤러부(52)는 제품(G)의 이송 경로를 따라서 복수 개가 나란히 배열되며, 이때 복수 개의 제1 롤러부(52)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1 스프로켓(521)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스프로켓(521)은 일례로 체인(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스프로켓(521)을 서로 연결하는 것은, 복수 개의 제1 롤러부(52)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품(G)의 이송 경로를 따라 놓인 제1 롤러부(52)들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제품(G)은 앞으로 넘어가거나 또는 회전되면서 이송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롤러부(53)는, 롤러축(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 롤러부(53)는 제1 롤러부(52)와 나란히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는 하나의 롤러축(51)을 공유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하나의 롤러축(51)에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를 모두 구비하게 되는바,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다만 제품(G)의 이송 과정에서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를 개별로 회전시켜야 하거나, 또는 모두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2 롤러부(52, 53)는 선택적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제2 롤러부(53)는 타측에 제2 스프로켓(531)을 구비한다. 제2 스프로켓(531)은 제1 스프로켓(521)과 마찬가지로 구동원(55)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롤러부(53)를 롤러축(51) 기준 회전시킨다.
제2 스프로켓(531)과 제1 스프로켓(521)은 서로 멀리 떨어지도록 위치되며, 제1 스프로켓(521)과 제2 스프로켓(531) 사이에서 제품(G)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제품(G)의 이동은 롤러부(52, 53)에 놓여있는 상태로 롤러부(52, 53)의 회전에 의한 이동이 아닌, 롤러축(51) 방향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제2 롤러부(53)는 제1 롤러부(5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 롤러부(53)와 제1 롤러부(52)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롤러부(53)는 제1 롤러부(52)와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롤러부(52) 및 제2 롤러부(53) 상에 놓여있는 제품(G)을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함이다.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의 회전 속도가 상이할 경우에는 제품(G)이 제대로 이송되지 못하고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제품(G)이 제1 롤러부(52)에만 놓여있을 경우에는 제1 롤러부(52)는 회전하고 제2 롤러부(53)는 회전하지 않거나 또는 제1 롤러부(52)와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더라도 문제되지 않는다.
제2 롤러부(53)는 제1 롤러부(52)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로 마련되며, 제품(G)의 이송 경로에 따라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스프로켓(531) 역시 제1 스프로켓(521)과 마찬가지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스프로켓(531)은 체인(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54)은, 제1 롤러부(52)와 롤러축(51) 사이 및 제2 롤러부(53)와 롤러축(51) 사이에 마련되어, 롤러축(51)을 기준으로 제1 롤러부(52) 및 제2 롤러부(53)의 회전을 허용한다. 베어링(54)은 제1 롤러부(52)의 양측과 제2 롤러부(53)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54)은 롤러축(51)이 회전되지 않도록 구비될 때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가 롤러축(51)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롤러 베어링 등 베어링(54)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베어링(54)을 통해 제1, 2 롤러부(52, 53)가 롤러축(51)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기 위해, 제1 롤러부(52)의 내측과 롤러축(51)의 외측은 다소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이격된 틈을 통해 오일 등이 공급되어, 제1 롤러부(52)의 원활한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제2 롤러부(5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구동원(55)은,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원(55)은 하나의 롤러축(51)을 공유하는 제1, 2 롤러부(52, 53)에 대해서, 어느 하나만 회전하거나 또는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원(55)은, 제1 스프로켓(521)에 연결되는 제1 구동원(551)과, 제2 스프로켓(531)에 연결되는 제2 구동원(55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동원(55)은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 각각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동원(551)을 가동할 경우 제1 롤러부(52)가 회전하며, 이때 제2 구동원(552)을 가동하지 않으면 제2 롤러부(53)의 회전이 정지된다. 즉 제1 롤러부(52)에 의해서만 제품(G)의 이송이 가능하다. 또는 제1 구동원(551)과 제2 구동원(552)이 모두 가동하면 제1, 2 롤러부(52, 53)가 모두 회전한다.
이와 달리 구동원(55)은 하나로 마련되고, 제1 스프로켓(521)과의 연결 또는 제2 스프로켓(531)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구동원(55)이 하나로 마련되면, 구동원(55)이 제1 스프로켓(521)에만 연결될 경우 제1 롤러부(52)는 회전하고 제2 롤러부(53)는 정지된다. 또는 구동원(55)이 제2 스프로켓(531)에도 연결될 경우 제1, 2 롤러부(52, 53)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품(G)의 이송에 대해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G)은 제1 롤러부(52)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부(52)의 상부에 제품(G)이 올려지는 것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품(G)의 전후 중간에 밴드(B)가 감길 수 있도록 제품(G)이 일정한 위치까지 제1 롤러부(52)에 의해 이송되면, 제1 롤러부(52)는 회전을 멈춘다. 이때 제품(G)을 밴드(B)로 밴딩하여 포장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러나 제품(G)의 폭이 좁을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제품(G)을 묶어서 한꺼번에 밴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 경우 2개의 제품(G)을 한꺼번에 제1, 2 롤러부(52, 53)로 이송시키지 않고, 대신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를 선택적 또는 병합적으로 사용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밴딩 장치(1)는 가압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56)는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제품(G)을 롤러축(5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압부(56)는 제1 롤러부(52)에 위치한 제품(G)을 제2 롤러부(53)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제2 롤러부(53)에 위치한 제품(G)을 제1 롤러부(5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부(56)는 제품(G)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제1 롤러부(52) 사이 또는 복수 개의 제2 롤러부(5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56)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의 가압부(56)는 제1 롤러부(52)에 위치한 제품(G)을 제2 롤러부(53)로 이동시키며, 다른 하나의 가압부(56)는 제2 롤러부(53)에 위치한 제품(G)을 제1 롤러부(5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가압부(56)에 의해 제품(G)이 제1 롤러부(52)에서 제2 롤러부(53)로 이동할 경우, 다른 하나의 가압부(56)는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한 쌍의 가압부(56) 사이에 제품(G)이 밀착될 수 있다. 반면 어느 하나의 가압부(56)에 의해 제품(G)이 제2 롤러부(53)에서 제1 롤러부(52)로 이동하면, 다른 하나의 가압부(56)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제품(G)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움직이지 않는 가압부(56)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부(52)에 위치해있던 제품(G)은, 가압부(56)에 의하여 롤러축(51) 방향으로 움직여서 제2 롤러부(53)로 이동된다. 이때 제품(G)은 한 쌍의 가압부(56) 사이에 놓이게 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제품(G)이 제1 롤러부(52)에 놓인다. 이때 다른 제품(G)은 앞서 이송된 제품(G)과 전후 길이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제품(G)이 제1 롤러부(52)에 놓이기 이전에, 앞서 제품(G)을 제2 롤러부(53)로 밀어냈던 가압부(56)는 다시 제1 롤러부(52) 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한 쌍의 가압부(56) 사이에 2개의 제품(G)이 놓인다.
이때 제2 롤러부(53)에 놓인 제품(G)은 이미 밴딩을 위한 위치에 놓여있는 바, 추가적인 이송이 필요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2 롤러부(53)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제2 롤러부(53)는 제품(G)을 이송시키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1 롤러부(52)에 놓인 제품(G)은 아직 밴딩을 위한 위치로 이송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제1 롤러부(52)는 회전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하나의 롤러축(51)에 제1, 2 롤러부(52, 53)가 놓여있더라도 제1 롤러부(52)에만 동력이 전달되고 제2 롤러부(53)로의 동력 전달은 차단되기 때문에, 제1 롤러부(52)만 회전하게 된다.
제1 롤러부(52)의 회전에 의하여 두 제품(G)은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복수 개의 제품(G)을 나란하게 이송하기 위해서, 구동원(55)은 인버터(554)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원(55)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53)와, 인버터(554)를 포함하는데, 인버터(554)는 모터(553)의 회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1, 2 롤러부(52, 53)는 별도의 브레이크 구성이 없더라도, 인버터(554)에 의해 모터(553)의 회전 또는 제동이 구현되는 구동원(55)을 통하여, 제동이 가능하다.
즉 구동원(55)의 모터(553)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인버터(554)가 마련되므로, 제1, 2 롤러부(52, 53)는 복수 개의 제품(G)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게 회전 또는 제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품(G)이 밴딩을 위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2개의 제품(G)을 서로 밀착시켜야 한다. 이때 제2 롤러부(53)에 위치해 있던 가압부(56)가 제2 롤러부(53) 상의 제품(G)을 제1 롤러부(52)로 밀착시킴으로써, 2개의 제품(G)이 모두 본체부(30)에 밀접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아치부(20)에 있던 밴드(B)가 아치부(20)로부터 이탈되어 서로 밀착된 2개의 제품(G)의 외면을 밀접하게 감싸게 되고, 융착부(40)에 의해 밴드(B)가 연결 및 절단되면, 2개의 제품(G)에 대한 밴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 롤러(50)는 하나의 롤러축(51)을 공유하는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가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함께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2개 이상의 제품(G)이 모두 밴딩이 필요한 위치에 정확하게 놓이도록 한 뒤 밴딩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이송 롤러(50)는, 2개 이상의 제품(G)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작업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제2 롤러부(53)의 길이는 제1 롤러부(5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이는 제2 롤러부(53)의 경우 밴딩을 위한 위치까지 이송된 제품(G)들을 지지하고 있어야 하는 반면, 제1 롤러부(52)는 하나의 제품(G)만 이송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송 롤러(50)는,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가 하나의 롤러축(51)에 설치되도록 하면서도,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복수 개의 제품(G)을 밴딩할 때 효과적으로 제품(G)의 이송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G)은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나, 최근에는 휘어진 TV 등의 특수한 형태를 갖는 제품(G)이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여 가압부(56)는, 측면이 평면을 갖지 않고 곡면을 갖는 제품(G)을 가압하기 위해서, 제품(G)에 인접한 일면이 곡면 또는 경사진 평면을 가질 수 있다.
또는 가압부(56)는, 제품(G)을 밀어내는 가압판(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가압판의 후면에 복수 개의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함으로써, 가압부(56)가 제품(G)을 밀어낼 때 가압판이 제품(G)의 측면 형상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압판은 전체적으로 일체형인 판 형태로서 평면 또는 경사진 평면을 구현하거나, 또는 분할된 복수 개의 판 형태로서 평면 또는 경사진 평면이나 곡면까지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제품(G)을 가압부(56)에 의해 롤러축(51) 방향으로 밀게 되면, 제품(G)이 넘어질 위험이 크다. 이와 관련하여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슬립부가 없는 이송 롤러에서 제품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에서 제품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가압부(56)에 의해 제품(G)이 롤러축(51)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제품(G)의 하면과 롤러부(52, 53)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품(G)이 넘어질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56)가 제품(G)을 밀게 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G)의 하면은 마찰력에 의해 제품(G)의 상면보다 덜 밀리게 되어, 제품(G)의 상단이 가압부(56)에서 먼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이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G)은 돌이킬 수 없게 기울어져서 결국 넘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제품(G)에 가해진 충격으로 인하여 제품(G)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이송 롤러(50)는, 슬립부(57)를 더 포함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슬립부(57)는 제1 롤러부(52) 또는 제2 롤러부(53)의 외면을 감싸는 구성이며, 일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단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슬립부(57)는 제2 롤러부(53)의 외면을 감쌀 수 있고, 제1 롤러부(52)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서 테이퍼진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56)가 제품(G)을 롤러축(51) 방향으로 밀게 되면, 슬라이딩되는 제품(G)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에 나타난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이는 제품(G)의 상단이 슬라이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슬립부(57)의 일단이 테이퍼져 있기 때문이다.
즉 가압부(56)에 의해 제품(G)이 밀릴(10) 때 슬립부(57)의 테이퍼진 면을 따라 제품(G)의 하면이 기울게 되고, 이로 인해 제품(G)의 상단은 오히려 가압부(56) 쪽으로 기울게 된다. 이때 가압부(56)가 지속적으로 제품(G)을 슬라이딩시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G)은 테이퍼진 슬립부(57)의 일단을 벗어나면서 기울지 않은 상태로 회복될 수 있다.
이때 슬립부(57)는 양단이 테이퍼진 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G)이 슬립부(57)로부터 벗어날 때 반대로 기울 수 있지만, 이는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가압부(56) 또는 다른 제품(G)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폭이 좁은 제품(G)을 밀 때 제품(G)이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때 슬립부(57)는 합성수지, 천연수지, 합성섬유, 천연섬유, 나일론, 고무, 스폰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터, 면 및 가죽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서 제품(G)의 하면에 대해 마찰력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이송 롤러(50)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1) 외에, 상기의 이송 롤러(50)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송 장치는 상기의 이송 롤러(50)를 복수 개로 마련하여, 제품(G)의 이송 경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는, 이송 롤러(50) 외에 제품(G)의 이송을 위하여 필요한 공지의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공지 기술로써 갈음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송 롤러(50)의 일부 구성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지 않는 내용은 제1 실시예의 내용으로 갈음한다.
이송 롤러(50)는,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를 포함하는데, 제1 롤러부(52)는 삽입홈(522)을 갖는다. 이때 삽입홈(522)에는 후술할 제2 롤러부(53)의 피스톤(532)이 삽입되며, 삽입홈(522)은 링 형태 또는 원기둥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삽입홈(522)의 내측에는 선기어(도시하지 않음) 및/또는 링기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삽입홈(522)에 삽입된 피스톤(532)을 통해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 경우 삽입홈(522)의 기어와 피스톤(532)의 기어가 맞물려야 하는데,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의 각도에 의해 기어의 맞물림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홈(522)의 기어이 및/또는 피스톤(532)의 기어이는, 일단으로 갈수록 기어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이거나 또는 기어이의 돌출 높이가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2 롤러부(52, 53)의 각도가 다소 어긋나있더라도, 삽입홈(522)에 피스톤(532)이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인버터(554)를 갖는 구동원(55)을 통해서, 제1 롤러부(52)의 회전을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삽입홈(522)과 피스톤(532)의 맞물림 각도가 항상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삽입홈(522)의 내측에 기어를 구비하지 않고,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제1, 2 롤러부(52, 53)의 통합 회전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일례로 삽입홈(522)의 내측이 제2 롤러부(53)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고, 피스톤(532)이 삽입됨에 따라 삽입홈(522)과 피스톤(532)의 마찰력이 강화되어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롤러부(53)는, 피스톤(532)과 실린더(533)를 포함한다. 이때 피스톤(532)은 앞서 언급한 제1 롤러부(52)의 삽입홈(522)에 인입될 수 있는 구성이며, 삽입홈(522)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피스톤(532)은, 삽입홈(522)과 맞물리도록 선기어(도시하지 않음) 또는 링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고, 또는 삽입홈(522)에 인접한 피스톤(532)의 일단은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삽입홈(522)으로 인입되면서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제1, 2 롤러부(52, 53)가 피스톤(532)과 삽입홈(522)간의 마찰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삽입홈(522)이 복수 개로 마련되면, 피스톤(532) 역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삽입홈(522)의 개수보다 피스톤(532)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실린더(533)는, 피스톤(532)의 이동을 구현한다. 피스톤(532)은 실린더(533) 내에서 이동되도록 마련되며, 이때 실린더(533)는 제2 롤러축(51)에서 제1 롤러축(51)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533)를 통해 이동하는 피스톤(532)은, 제2 롤러축(5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롤러축(51)의 삽입홈(522)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533)의 내부에는 오일 등의 유체가 주입되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532)이 실린더(533)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다.
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533)에 공급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실린더(533) 내부의 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피스톤(532)은 다시 실린더(533)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532)과 삽입홈(522) 간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실린더(533)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실린더(533)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는 것은, 제2 롤러부(53)의 측단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2 롤러부(53)의 상단에 제품(G)이 놓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린더(533)는 제2 롤러부(53)의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532)과 삽입홈(522)의 결합을 통해 본 실시예는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의 회전 또는 제1 롤러부(52)만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제품(G)의 이송을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롤러부(53)만이 회전될 필요는 없을 수 있기 때문에, 구동원(55)은 제1 롤러부(52)에만 마련되며, 제2 롤러부(53)는 회전이 필요할 경우 피스톤(532)을 제1 롤러부(52)의 삽입홈(522)에 끼워서 제1 롤러부(5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삽입홈(522)을 생략하고, 피스톤(532)을 움직여 제1 롤러부(52)에 밀착시켜서, 마찰에 의해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가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스톤(532)은 제2 롤러부(53) 대신 제1 롤러부(52)에 마련되거나, 또는 제1 롤러부(52)와 제2 롤러부(53)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릴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릴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릴에 동력이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5에서 편의상 릴(10)에 감기는 밴드(B)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1)는, 릴 세트(60), 아치부(20), 본체부(30), 융착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제3 실시예의 밴딩 장치(1)는 릴 세트(60)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이 제1, 2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다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3 실시예의 밴딩 장치(1)는 제1, 2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50) 대신 종래에 널리 알려진 이송 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릴 세트(60)는, 제품(G)을 밴딩하기 위한 밴드(B)를 감거나 풀어내는 릴(10)을 구비한다. 이때 릴(10)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릴(10)과 동일하지만, 한 쌍이 나란히 배치되어 릴 세트(60)를 구비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릴(10)은 좌우 방향으로 둘 이상 나란히 구비될 수 있으며, 릴 세트(60)는 릴 연결부(61)를 통해 한 쌍의 릴(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릴(10)을 하나의 릴 세트(60)로 구성하는 것은, 밴딩 장치(1)에서 릴(10)에 감긴 밴드(B)를 사용할 때, 하나의 릴(10)만 구비하게 되면 교체 시기가 단축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한 쌍의 릴(10)을 갖는 릴 세트(60)를 이용하여, 2개의 릴(10)에 감긴 모든 밴드(B)가 소진될 때까지 릴(10)의 교체가 필요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릴 연결부(61)는, 일단이 한 쌍의 릴(10) 사이에서 릴(10)에 연결된다. 또한 타단은 본체부(3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릴 연결부(61)는, 한 쌍의 릴(1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다만 릴 연결부(61)는 한 쌍의 릴(10)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에만 후술할 베어링부(62)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릴(10)에 감긴 밴드(B)가 동시에 사용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즉 릴 연결부(61)는, 릴(10)에 연결되어 릴(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어링부(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부(62)는 볼 베어링 등일 수 있고, 베어링축(621)을 갖는다. 이때 베어링부(62)는 한 쌍의 릴(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62)는 베어링축(621)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릴(10)은 보조롤러(311)에 의해 밴드(B)가 당겨지면 자연스럽게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릴(10)에는 구동원이 구비되지 않으며 릴(10)은 아이들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보조 롤러(311)에 의해 밴드(B)가 풀려서 릴(10)이 회전할 경우, 관성에 의해 릴(10)의 회전이 필요 이상으로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부(62)는, 릴(10)의 회전 시 릴(10)의 회전을 가이드하면서도 릴(10)의 회전을 제동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밴드(B)의 풀림이 일어나지 않는 릴(10)에 대해서는 제동을 구현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발명은 베어링부(62)가 하나의 릴(10)에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베어링축(621)은, 베어링부(62)가 어느 하나의 릴(10)에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베어링축(621)은 릴(10)의 측판(110)에 형성되는 베어링연결부(11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축(621)에는 베어링 연결부(113)와 맞물리는 릴 베어링(622)이 마련될 수 있고, 릴 베어링(622)이 베어링 연결부(113)에 맞물리면 릴(10)의 회전 및 제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베어링축(621)은, 베어링부(62)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양측에 릴 베어링(622)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부(62)는, 베어링축(621)을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릴(10) 중 어느 하나의 릴(10)에만 릴 베어링(622)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축(621)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베어링축(621)의 릴 베어링(622)이 베어링부(62)의 좌측에 마련된 릴(10)의 베어링 연결부(113)에 맞물리도록 하면, 좌측의 릴(10)이 회전 또는 제동될 수 있다. 반면 우측의 릴(10)에 마련된 베어링 연결부(113)에는 릴 베어링(622)이 맞물리지 않으므로, 우측의 릴(10)은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축(621)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좌측의 릴(10)에 마련된 베어링 연결부(113)로부터 릴 베어링(622)이 이탈되어 좌측의 릴(10)에 대해서는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우측의 릴(10)에 마련된 베어링 연결부(113)에 릴 베어링(622)이 맞물림에 따라, 우측의 릴(10)은 회전 또는 제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베어링축(621)의 축방향 이동을 통해서 2개의 릴(10) 중 어느 하나의 릴(10)에만 릴 베어링(622)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축(621)의 이동은 베어링축(621)에 맞물리는 웜기어(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기술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릴 연결부(61)의 타단은, 본체부(30)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바(3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릴 연결부(61)는 릴(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본체부(30)에는 릴(10)의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바(32)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릴 연결부(61)의 타단은 슬라이딩바(32)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일단에 연결된 한 쌍의 릴(1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연결부(61)는 슬라이딩바(32)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이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바(32)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평면에서 바라보면 도 22 및 도 23과 같이 나타난다.
이때 슬라이딩바(32)의 양측에는 릴 연결부(6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프레임(33)이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3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바(32)를 고정하며, 슬라이딩바(32)를 따라 이동하는 릴 연결부(6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릴 연결부(61)가 이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유는, 한 쌍의 릴(10) 중 어느 하나의 릴(10)에 감긴 밴드(B)가 소진되었을 때, 다른 릴(10)에 감긴 밴드(B)를 사용하면서, 밴드(B)가 휘어지지 않고 원활하게 아치부(2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릴(10)이 변경되더라도 릴 연결부(61)가 슬라이딩바(32)를 따라 움직이면서 밴드(B)의 좌우 위치를 그대로 또는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여, 밴드(B)의 풀림과 감김을 문제없이 구현할 수 있다.
릴 연결부(61)는, 한 쌍의 릴(10) 중 어느 하나의 릴(10)에 감긴 밴드(B)의 양이 임계값 이하일 경우, 타단이 슬라이딩바(32)를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릴(10)은 본체부(30) 및 아치부(20)를 통해 풀리는 밴드(B)를 감는 릴(10)일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릴(10)에 감긴 밴드(B)의 양이 임계값 이하라는 것은, 릴(10)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사용자가 릴(10)을 수작업으로 교체하게 되지만,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릴(10)에 감긴 밴드(B)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는 릴(10)의 교체가 생략되도록 할 수 있다.
릴 연결부(61)가 슬라이딩바(32)를 따라 이동하면, 한 상의 릴(10) 중 다른 하나의 릴(10)이, 어느 하나의 릴(10)의 이동 전 위치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릴(10)이 교체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즉 좌측의 릴(10)이 모두 소진되면, 릴 연결부(61)가 좌측으로 움직여서 우측의 릴(10)이 좌측의 릴(10)이 있던 자리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릴(10)에서 풀려나오는 밴드(B)는, 좌측의 릴(10)에서 풀려나오던 경우와 우측의 릴(10)에서 풀려나오는 경우 모두 동일/유사하게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릴(10)에 감긴 밴드(B)의 양이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는,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릴(10)의 측판(110) 중 적어도 일부분을 투명으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릴 연결부(61)의 슬라이딩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센서(120)를 이용하여 밴드(B)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20)는 릴(10)에 감긴 밴드(B)의 양을 감지하는데, 하나의 측판(110)에서 다른 하나의 측판(110) 방향으로 신호를 발사하여, 발사된 신호가 반사되어 돌아온 것을 통해 밴드(B)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20)는, 신호가 릴(10)의 중심축(100)에 감긴 밴드(B)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측판(110)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올 경우, 밴드(B)의 양이 부족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고, 반대로 신호가 밴드(B)에 의해 가려져서 반사 신호가 생성되지 않거나 또는 반사 경로가 짧은 것으로 감지될 경우, 밴드(B)의 양이 충분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120)는 신호가 밴드(B)에 의해 가려지는지 여부에 따라 밴드(B)의 양을 감지할 수 있고, 밴드(B)의 양이 부족한 것으로 감지하면 릴 연결부(61)의 움직임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센서(120)는 릴(10)의 어느 하나의 측판(110)에 마련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측판(1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어느 하나의 측판(110)에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센서(120)는 발광부(도시하지 않음)와 수광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적외선, 초음파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파를 발생시켜서 밴드(B)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센서(120)는 릴(10)의 외측에 마련되며, 릴(10)의 측판(110) 중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측판(110)을 관통하도록 전자기파를 방출하여, 밴드(B)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20)는 회전하는 릴(10)과 별도로 릴(10)의 외측에 마련되므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릴(10)에 감긴 밴드(B)의 양이 센서(120) 또는 사용자에 의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릴 연결부(61)는 한 쌍의 릴(10)이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어느 하나의 릴(10)에서 풀려나오는 밴드(B)의 끝단은, 다른 하나의 릴(10)에서 풀려나오는 밴드(B)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밴드(B)의 연결은 융착부(40)에 의해 이루어지는 열 융착 방식 등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릴 연결부(61)는 어느 하나의 릴(10)의 밴드(B)와 다른 하나의 릴(10)의 밴드(B)를 서로 연결하는 보조 융착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융착부는 융착부(40)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유사하게 밴드(B)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어느 하나의 릴(10)에서 풀리는 밴드(B)의 끝단과 다른 하나의 릴(10)에서 풀리는 밴드(B)의 일단은 밴딩 장치(1)와 별도로 마련되는 융착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이때 융착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한 쌍의 릴(10)을 구비하여 릴(10)의 교체 간격을 2배로 연장함으로써, 밴딩 작업의 신속성과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밴딩 시 소비되는 인건비 등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1)는, 릴(10), 아치부(20), 본체부(30), 융착부(40), 보조 릴(130), 지지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 대비할 때 보조 릴(130)과 지지대(14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송 롤러(50)의 생략이 가능하며, 본체부(30)의 풀 박스(31)가 생략될 수 있다. 이외의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 릴(13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릴(10)에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보조 릴(130)은 릴(10)이 회전할 때 릴(10)에서 풀려나오는 밴드(B)를 감아서 아치부(20)로 전달하며, 반대로 본체부(30)의 보조롤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하면 보조 릴(130)은 아치부(20)로부터 이탈되는 밴드(B)를 감을 수 있다.
한 쌍으로 구성되는 보조 릴(130)은 릴(10)의 전방에 상하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릴(10) 및 보조 릴(130)은 후술할 지지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릴(10)과 한 쌍의 보조 릴(130)은 삼각형 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보조 릴(130)은, 고정 보조 릴(131)과 이동 보조 릴(132)을 포함한다. 고정 보조 릴(131)은, 릴(10)의 전방 상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고정 보조 릴(131)은 릴(10)에서 풀려나오는 밴드(B)를 감아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보조 릴(131)은 후술할 고정지지대(142)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보조 릴(131)은 릴(10)의 전방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동 보조 릴(132)은, 릴(10)의 전방에 마련되되, 고정 보조 릴(131)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때 밴드(B)는 릴(10)에서 풀려서 고정 보조 릴(131)에 감기고 이동 보조 릴(132)에 감겨서 아치부(20)로 공급되되, 고정 보조 릴(131)과 이동 보조 릴(132) 사이에서 수 회 이상 감길 수 있다.
이동 보조 릴(132)은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이동 보조 릴(132)은, 고정 보조 릴(131)과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보조 릴(132)이 상방으로 움직이면, 릴(10)의 전방 상측에 고정된 고정 보조 릴(131)과의 거리는 짧아지며, 반대로 이동 보조 릴(132)이 하방으로 움직이면, 고정 보조 릴(131)과의 거리는 멀어질 수 있다.
이때 이동 보조 릴(132)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 이상의 힘에 의해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다. 반면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보조 릴(132)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움직인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동 보조 릴(132)은, 후술할 회전지지대(143)에 의해 지지되며, 밴드(B)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이한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보조 릴(132)은, 아치부(20)로 밴드(B)가 공급될 때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아치부(20)로 밴드(B)가 공급될 때, 즉 릴(10)이 회전할 때, 이동 보조 릴(132)은 밴드(B)의 이송으로 인해 상방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며, 이러한 힘이 이동 보조 릴(132)의 자중 이상이 되면 이동 보조 릴(132)은 상방으로 움직여서 고정 보조 릴(131)과의 거리가 축소될 수 있다.
반면 아치부(20)에 마련된 밴드(B)가 아치부(20)를 이탈하여 제품(G)을 감쌀 때, 이동 보조 릴(132)은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는 아치부(20)에 공급되는 밴드(B)가 이동 보조 릴(132)에 가했던 당기는 힘이 해제됨에 따라, 이동 보조 릴(132)이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동 보조 릴(132)의 상하방 이동으로 인하여, 보조 릴(130)은 릴(10)과 아치부(20) 사이에서 밴드(B)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밴드(B)가 아치부(20)로 풀려나갈 때 또는 릴(10)에 다시 감길 때 밴드(B)에 가해지는 장력은, 이동 보조 릴(132)의 움직임에 의하여 일부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풀 박스(31)를 생략하고 보조 릴(130)을 구비하고, 고정 보조 릴(131)과 이동 보조 릴(132)에 밴드(B)가 감겨있도록 하면서 이동 보조 릴(132)이 움직여서 고정 보조 릴(131)과 이동 보조 릴(13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밴드(B)가 릴(10)에서 미리 풀려있다가 필요 시 감기도록 하는 역할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보조 릴(131)과 이동 보조 릴(132)은, 릴(10)과 좌우 방향으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일정한 좌우 폭을 가짐에 따라 수 회 밴드(B)가 감겨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대(140)는, 릴(10)과 보조 릴(130)을 지지한다. 지지대(140)는 메인지지대(141)와 고정지지대(142) 및 회전지지대(143)를 포함한다. 메인지지대(141)는 릴(10)을 지지하며,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메인지지대(141)는 릴(10)이 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메인지지대(141)는 하부에 중량물을 달아 릴(1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릴(1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메인지지대(141)는 지면에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돌출되는 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릴(10)의 좌우 측판(110)를 고정하기 위해 한 쌍의 기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메인지지재대(141)는 릴(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릴(10)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지지대(142)는, 고정 보조 릴(131)을 지지한다. 고정지지대(142)는 일단이 메인지지대(141)의 일측에 고정되며, 지면에서 수직한 기둥 형태인 메인지지대(141)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막대 형태로 마련되고, 타단이 고정 보조 릴(131)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지지대(142)는 고정 보조 릴(131)이 릴(10)의 전방 상측에 위치하도록 전방 상측을 향하게 메인지지대(141)에 연결될 수 있고, 메인지지대(141)와 적어도 둘 이상의 결합 지점을 형성함으로써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보조 릴(131)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고정지지대(142)에 마련되는 고정 보조 릴(131)은 아이들 상태로 고정 지지대(14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B)의 감김이나 풀림에 의해 고정 보조 릴(131)이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다.
회전지지대(143)는, 이동 보조 릴(132)을 지지한다. 회전지지대(143)는 메인지지대(14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에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회전중심은 고정지지대(14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지지대(143)의 일단은 회전중심이 되고, 회전지지대(143)의 타단에는 이동 보조 릴(132)이 구비되는바, 회전지지대(143)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타단에 마련된 이동 보조 릴(132)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이동 보조 릴(132)은 직상방 또는 직하방으로 움직이지 않고, 측면에서 볼 때 직선에 가까운 원호 형태로 움직일 수 있다.
회전지지대(143)의 회전중심은 아이들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이동 보조 릴(132)이 자중 이상의 힘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상방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회전지지대(143)의 타단에 마련되는 이동 보조 릴(132)은 고정 보조 릴(131)과 마찬가지로 아이들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밴드(B)의 감김이나 풀림이 막힘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지지대(143)와 고정지지대(142)는 "<" 모양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다만 회전지지대(143)와 고정지지대(142)는 서로 만나지 않게 마련된다. 즉 고정지지대(142)와 회전지지대(143)는 서로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회전지지대(143)의 회전에 의해 이동 보조 릴(132)이 움직일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지지대(143)의 가상 연장선과 고정지지대(142)의 가상 연장선은, 메인지지대(141)의 후방에서 교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회전지지대(143)가 하방으로 회전한 경우에 대한 것이며, 회전지지대(143)가 상방으로 회전한 경우 회전지지대(143)의 가상 연장선과 고정지지대(142)의 가상 연장선은, 메인지지대(141)의 전방에서 교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릴(10)의 전방에 고정 보조 릴(131)과 이동 보조 릴(132)을 구비하고, 이동 보조 릴(132)과 고정 보조 릴(131)에 릴(10)에서 풀린 밴드(B)가 감겨있도록 하며, 회전지지대(143)의 회전에 의해 이동 보조 릴(132)이 상하로 이동하여 이동 보조 릴(132)과 고정 보조 릴(131) 사이의 거리가 자연스럽게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풀 박스(31) 역할을 구현하여 풀 박스(31)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풀 박스(31)의 공간 내에서 밴드(B)가 휘어지거나 꼬이는 종래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1)는, 릴(10), 아치부(20), 본체부(30), 융착부(40), 슈터(70), 선형운동 가이드(71), 가이드 롤러(7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의 밴딩 장치(1)와 대비할 때 슈터(70)와 선형운동 가이드(71) 및 가이드 롤러(7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팔레트(P)에 올려진 제품(G)을 밴딩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슈터(70)는, 본체부(30)에서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는 팔레트(P)와 제품(G)을 한꺼번에 밴딩하기 위한 것인데,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송 롤러(50)를 따라 팔레트(P)를 이송시킨 후 밴딩하게 되면, 밴드(B)가 팔레트(P)의 하부를 감싸게 되어 제대로 밴딩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팔레트(P)의 구멍(H)으로 밴드(B)를 인입시킨 후, 팔레트(P)의 상면과 제품(G)을 한꺼번에 밴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는 팔레트(P)의 구멍(H)으로 밴드(B)를 인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슈터(70)를 포함한다. 슈터(70)는 밴드(B)의 일단을 잡은 상태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이동하여 밴드(B)의 일단이 팔레트(P)의 구멍(H)을 통과하여 아치부(20)의 내부 경로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슈터(70)는 제품(G)의 하부에 위치한 팔레트(P)에 형성된 구멍(H)을 통해 밴드(B)의 일단을 통과시킨다. 그런데 밴드(B)의 일단이 팔레트(P)의 구멍(H)을 모두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서, 슈터(70)는 길이가 최소한 팔레트(P)보다 긴 막대 형태이어야 한다.
이 경우 슈터(70)가 본체부(30)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슈터(70)의 일단은 본체부(3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더라도, 슈터(70)의 타단은 본체부(3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자유단으로 놓이게 된다. 이로 인해 슈터(70)의 타단에는 자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슈터(70)의 타단이 팔레트(P)의 구멍(H)을 통과하지 못하고 팔레트(P)에 충돌하는 상황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슈터(70)의 처짐을 최소화하기 위해, 슈터(70)를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 또는 카본 재질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슈터(70)의 단면을 사각형 또는 원이나 아래로 볼록한 반원 형태 등과 같이 처짐을 조금이라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만을 이용하여 슈터(70)의 이동을 구현하지 않고, 후술할 선형운동 가이드(71)를 통해 슈터(7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선형운동 가이드(71, LM Guide; Linear Motion Guide)는, 슈터(7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선형운동 가이드(71)에 대해서는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슈터 및 선형운동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선형운동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1)의 선형운동 가이드(71)는, 가이드 바(711), 이동부(712)를 포함한다. 가이드 바(711)는, 본체부(30)에 고정된다. 가이드 바(711)는 슈터(70)가 이동되어야 하는 길이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일 수 있으며, 본체부(30)에 고정되어 이동 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바(711)는 슈터(7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 견고한 고정이 필요하다.
가이드 바(711)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7111)가 형성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가이드 바(711)의 좌측과 우측은 각각 ">" 및 "<"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함몰부(7111)에는 후술할 이동부(712)가 맞물려서, 이동부(712)의 움직임 시 이동부(712)가 가이드 바(7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바(711)는 본체부(30)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고정될 수 있고, 특히 가이드 바(711)의 양단은 본체부(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슈터(70)의 처짐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가이드 바(711)의 처짐이 발생하여서는 안된다. 따라서 가이드 바(711)는 이동부(712)가 움직이더라도 처짐의 발생이 없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712)는, 가이드 바(711)에 안착되어 가이드 바(7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부(712)에는 상부에 슈터(7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부(712)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712)에 연결된 슈터(70)가 가이드 바(7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712)는 가이드 바(711)의 함몰부(7111)에 인입되는 돌출부(7121)가 형성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712)의 돌출부(7121)가 가이드 바(711)의 함몰부(7111)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부(712)가 움직이도록 하여, 이동부(712)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동부(712)는, 보조 베어링(7122)을 구비할 수 있다. 보조 베어링(7122)은 돌출부(7121)에 마련되며 가이드 바(711)의 함몰부(7111)에 밀착될 수 있다. 이동부(712)의 돌출부(7121)가 가이드 바(711)의 함몰부(7111)에 면 접촉하여 밀착되면, 마찰력으로 인해 이동부(712)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712)에는 보조 베어링(7122)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보조 베어링(7122)이 가이드 바(711)에 맞닿도록 함으로써 돌출부(7121)와 함몰부(7111)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생략 또는 최소화하고 슬라이딩 시 이동부(71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부(712)는 가이드 바(711)를 따라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때 본 발명은 이동부(712)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원(7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73)은, 체인부(731), 풀리부(732), 모터부(733)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부(731)는, 이동부(712)에 연결된다. 체인부(731)는 양단이 이동부(712)에 연결됨으로써 폐곡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체인부(731)가 일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부(712)가 가이드 바(711)의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반대로 체인부(7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부(712)가 가이드 바(711)의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풀리부(732)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체인부(731)의 양측에 마련된다. 풀리부(732)는 체인부(731)가 "⊂⊃"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체인부(731)의 양측에 걸릴 수 있다. 즉 체인부(731)에서 풀리부(732)에 감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부와 하부로 나뉘며, 모두 직선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풀리부(732)는, 가이드 바(7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풀리부(732)는 아이들 상태로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면 풀리부(732)는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체인의 회전이 구현될 수 있다.
모터부(733)는, 풀리부(732)를 회전시킨다. 모터부(733)는 한 쌍의 풀리부(7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풀리부(732)를 회전시켜서 체인부(7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모터부(733)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는데, 모터부(733)가 정회전할 경우 체인부(73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면을 기준으로 이동부(712)의 우측에 연결된 체인부(731)가 이동부(712)를 우측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이동부(712)는 가이드 바(711)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로 인해 이동부(712)에 연결된 슈터(70)가 팔레트(P)의 구멍(H)을 통과한다.
반면 모터부(733)가 역회전할 경우 체인부(73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도면을 기준으로 이동부(712)의 좌측에 연결된 체인부(731)가 이동부(712)를 좌측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이동부(712)는 가이드 바(711)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로 인해 이동부(712)에 연결되는 슈터(70)가 팔레트(P)로부터 빠져나와 본체부(30)의 내부로 후퇴될 수 있다.
즉 모터부(733)는, 하나의 풀리부(732)를 회전시켜서, 체인부(731)의 회전을 통하여 이동부(712)의 선형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모터부(733)와 풀리부(732)는, 보조 체인부(734)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모터부(733)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풀리부(732)는 체인부(731)와 보조 체인부(734)의 연결을 위하여, 다른 하나의 풀리부(732) 대비 폭이 클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풀리부(732)는 체인부(731)와 보조 체인부(734)가 서로 간섭 없이 감겨야 하지만, 다른 하나의 풀리부(732)는 보조 체인부(734)가 감길 필요없이 체인부(731)만 감기면 되기 때문이다.
구동원(73)은, 토크 리미트(7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크 리미트(735)는, 모터부(733)에 마련되어 모터부(733)의 공회전을 구현한다. 이는 모터부(733)가 회전력을 전달받은 풀리부(732)로 인해 체인부(731)가 회전해 이동부(712) 및 슈터(70)가 움직일 때, 슈터(70)가 팔레트(P)의 일부분에 충돌하게 되면 역으로 모터부(733)에 높은 부하가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토크 리미트(735)를 사용하여 모터부(733)가 공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모터부(733)에 높은 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토크 리미트(735)는, 슈터(70)가 팔레트(P)에 충돌할 때 모터부(733)가 공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슈터(70)를 이동시키는 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풀리부(732)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이들 상태에 놓여있고, 슈터(70)가 팔레트(P)에 부딪힐 때 토크 리미트(735)가 모터부(733)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므로, 체인부(731)의 회전은 멈추게 되고 슈터(70)는 부딪힌 뒤 멈춰있을 수 있다. 따라서 토크 리미트(735)는 슈터(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72)는, 슈터(7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롤러(72)에 대해서는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가이드 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1)의 가이드 롤러(72)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두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롤러(72)는 슈터(70)의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슈터(70)의 양측단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72)는 별도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 상태로 놓여 슈터(7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72)는 슈터(70)가 본체부(30)로부터 인출될 때 슈터(70)를 지지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롤러(72)가 슈터(70)의 직상방을 지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슈터(70)에 밴드(B)가 놓이도록 슈터(70)의 상방 일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어, 가이드 롤러(72)를 슈터(70)의 직상방에 배치할 경우 가이드 롤러(72)와 슈터(70) 간의 밀착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선형운동 가이드(71)와 함께 가이드 롤러(72)를 통해 슈터(70)를 2타점으로 지지함으로써, 슈터(70)가 본체부(30)에서 인출되더라도 슈터(70)의 타단이 처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달리 본 실시예는, 슈터(70)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슈터(70)를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즉 슈터(70)는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다단으로 형성되고, 슈터(70)의 각 단이 서로 겹치게 되면 슈터(70)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반대로 슈터(70)의 각 단이 인출되면 슈터(70)의 길이가 최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본체부(30)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슈터(70)는 고정된 형태를 가지므로, 슈터(70)가 본체부(30)의 내부로 충분히 후퇴할 수 있게 본체부(30)는 슈터(7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슈터(70)를 텔레스코픽 형태로 하여 길이의 신장이나 축소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체부(30)는 슈터(70)가 최소화되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만 구비하면 되도록 하여, 본체부(30)를 컴팩트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슈터(70)를 텔레스코픽 형태로 하여, 슈터(70)의 처짐이 거의 없도록 할 수 있으며, 선형운동 가이드(71) 및/또는 가이드 롤러(72)를 생략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선형운동 가이드(71) 및/또는 가이드 롤러(72)를 부가하여 슈터(70)의 처짐을 더욱 완벽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또는 선형운동 가이드(71) 및/또는 가이드 롤러(72)는, 슈터(70)의 내부에 위치하여 슈터(70)의 각 단이 원활하게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은 제2 실시예에서의 이송 롤러(50)와, 제4 실시예에서의 보조 릴(130)이 함께 마련되는 밴딩 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 외의 다양한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밴딩 장치 B: 밴드
G: 제품 P: 팔레트
H: 구멍 10: 릴
100: 중심축 110: 측판
111: 투명한 부분 112: 절개된 부분
113: 베어링 연결부 120: 센서
130: 보조 릴 131: 고정 보조 릴
132: 이동 보조 릴 140: 지지대
141: 메인지지대 142: 고정지지대
143: 회전지지대 20: 아치부
30: 본체부 31: 풀 박스
311: 보조롤러 32: 슬라이딩바
33: 프레임 40: 융착부
50: 이송 롤러 51: 롤러축
52: 제1 롤러부 521: 제1 스프로켓
522: 삽입홈 53: 제2 롤러부
531: 제2 스프로켓 532: 피스톤
533: 실린더 54: 베어링
55: 구동원 551: 제1 구동원
552: 제2 구동원 553: 모터
554: 인버터 56: 가압부
57: 슬립부 60: 릴 세트
61: 릴 연결부 62: 베어링부
621: 베어링축 622: 릴 베어링
70: 슈터 71: 선형운동 가이드
711: 가이드 바 7111: 함몰부
712: 이동부 7121: 돌출부
7122: 보조 베어링 72: 가이드 롤러
73: 구동원 731: 체인부
732: 풀리부 733: 모터부
734: 보조 체인부 735: 토크 리미트
G: 제품 P: 팔레트
H: 구멍 10: 릴
100: 중심축 110: 측판
111: 투명한 부분 112: 절개된 부분
113: 베어링 연결부 120: 센서
130: 보조 릴 131: 고정 보조 릴
132: 이동 보조 릴 140: 지지대
141: 메인지지대 142: 고정지지대
143: 회전지지대 20: 아치부
30: 본체부 31: 풀 박스
311: 보조롤러 32: 슬라이딩바
33: 프레임 40: 융착부
50: 이송 롤러 51: 롤러축
52: 제1 롤러부 521: 제1 스프로켓
522: 삽입홈 53: 제2 롤러부
531: 제2 스프로켓 532: 피스톤
533: 실린더 54: 베어링
55: 구동원 551: 제1 구동원
552: 제2 구동원 553: 모터
554: 인버터 56: 가압부
57: 슬립부 60: 릴 세트
61: 릴 연결부 62: 베어링부
621: 베어링축 622: 릴 베어링
70: 슈터 71: 선형운동 가이드
711: 가이드 바 7111: 함몰부
712: 이동부 7121: 돌출부
7122: 보조 베어링 72: 가이드 롤러
73: 구동원 731: 체인부
732: 풀리부 733: 모터부
734: 보조 체인부 735: 토크 리미트
Claims (5)
- 제품을 밴딩하기 위한 밴드를 감거나 풀어내는 릴을 구비하는 릴 세트;
상기 제품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밴드가 상기 제품의 주변을 두르도록 하는 아치부;
상기 릴의 회전 또는 역회전을 제어하는 본체부;
상기 제품에 밀착하여 상기 제품을 감싸는 밴드를 연결시키는 융착부; 및
상기 릴은, 좌우 방향으로 둘 이상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릴 세트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릴 사이에서 상기 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릴에 감긴 상기 밴드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릴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바를 따라 상기 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릴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릴 중 어느 하나의 릴에 감긴 상기 밴드의 양이 임계값 이하일 경우,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바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릴 중 다른 하나의 릴이, 상기 어느 하나의 릴의 이동 전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하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한 쌍의 측판이 연결되는 형태의 상기 릴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측판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측판 방향으로 신호를 발사하여, 상기 신호가 상기 중심축에 감긴 밴드에 의해 가려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밴드의 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은,
하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한 쌍의 측판이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에 상기 밴드가 감기며,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측판은,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밴드의 양이 상기 측판의 외측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은,
하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한 쌍의 측판이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에 상기 밴드가 감기며,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측판은,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밴드의 양이 상기 측판의 외측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7203A KR101664231B1 (ko) | 2014-11-27 | 2014-11-27 |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7203A KR101664231B1 (ko) | 2014-11-27 | 2014-11-27 |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4169A KR20140144169A (ko) | 2014-12-18 |
KR101664231B1 true KR101664231B1 (ko) | 2016-10-11 |
Family
ID=5267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7203A KR101664231B1 (ko) | 2014-11-27 | 2014-11-27 |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42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7427B1 (ko) * | 2021-08-02 | 2022-02-08 | (주)한얼환경산업 | 복수의 밴딩끈을 적용 가능한 자동 밴딩기 |
KR102468646B1 (ko) * | 2022-04-29 | 2022-11-21 | 주식회사 현진테크 | 직접 접촉 방식의 릴 언와인딩 시스템 및 릴 언와인딩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3162B1 (ko) * | 2002-09-02 | 2006-01-20 | 스트라팩 가부시키가이샤 | 자동 밴딩 포장 기계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628Y1 (ko) * | 2008-03-06 | 2010-05-03 | 배백수 | 자동포장기의 밴드공급장치 |
-
2014
- 2014-11-27 KR KR1020140167203A patent/KR1016642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3162B1 (ko) * | 2002-09-02 | 2006-01-20 | 스트라팩 가부시키가이샤 | 자동 밴딩 포장 기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4169A (ko) | 2014-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20998C (en) | Banding of a stack of articles | |
US20140331609A1 (en) | Pallet roping and wrapping apparatus | |
US20110079675A1 (en) | Medium storing and advancing apparatus | |
US7377213B1 (en) | Strapping machine with improved tension, seal and feed arrangement | |
KR101664231B1 (ko) | 릴의 교체가 용이한 밴딩 장치 | |
EP2896586B1 (en) | Inertia braking payout device and package system | |
KR101745657B1 (ko) | 밴드의 처짐을 방지하는 밴딩 장치 | |
US9598196B2 (en) | Manual wrapping apparatus | |
US3447448A (en) | Wire tying machines | |
CN209870866U (zh) | 一种带导向机构的自动打包机 | |
KR101706601B1 (ko) | 밴드의 엉킴을 방지하는 밴딩 장치 | |
FI95685C (fi) | Kalvon jakelulaite | |
JP2525640B2 (ja) | 巻取テ―プと一緒にずれ重なり編成で巻心に巻き取られた印刷物を繰出す装置 | |
KR101670764B1 (ko) | 하나의 롤러축을 공유하는 다수의 롤러부를 갖는 이송 롤러 | |
ES2930091T3 (es) | Envolvedora móvil | |
ITAR20090025A1 (it) | Macchina coperchiatrice, particolarmente per vaschette e cestini in materiale deformabile e similari | |
CS231999B2 (en) | Stacker of covers namely cigarette boxes | |
US20100000686A1 (en) | Roll holder for tape dispenser and Tape Dispenser Assembly Therewith | |
ITMI20010094A1 (it) | Macchina per l'avvolgimento in rotoli e/o l'imballaggio di rotoli di tessuti e simili | |
JP4668012B2 (ja) | 長尺物の包装方法及び長尺物の包装機 | |
KR101301870B1 (ko) | 밴드풀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결속기 | |
ITBO20070028A1 (it) | Dispositivo per la predisposizione di una confezione di prodotto. | |
US20130214077A1 (en) | Method of Packaging a Continuous Length of Product on a Spool using Indexed Layers | |
US8572931B2 (en) | Wrapping mechanism for applying adjacent rolls of wrapping material to a large round bale | |
JPS6313127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