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111B1 -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 - Google Patents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111B1
KR101664111B1 KR1020150050116A KR20150050116A KR101664111B1 KR 101664111 B1 KR101664111 B1 KR 101664111B1 KR 1020150050116 A KR1020150050116 A KR 1020150050116A KR 20150050116 A KR20150050116 A KR 20150050116A KR 101664111 B1 KR101664111 B1 KR 101664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information
state
battery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우수
Original Assignee
나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우수 filed Critical 나우수
Priority to KR102015005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6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4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실시간은 물론 원하는 시간범위의 상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엔진;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스프링쿨러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엔진, 상기 펌프 및 상기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상가동 여부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는 감시부; 상기 감시부로부터 정상가동 여부에 대한 상태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 누적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상태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FIRE FIGHTING ENGINE PUMP CAPABLE OF CHECKING MAINTENANCE RECORD AND OPERATION CONDITION}
본 개시(Disclosure)는, 소방엔진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실시간은 물론 원하는 시간범위의 상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근래에 건축물에는 화재 발생시에 화재의 조기 진압을 통한 화재의 확산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화재 방지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화재 방지 시스템은, 건축물 실내 천정에 스프링클러(Sprinkler)를 설치하고, 화재 시 소방용 엔진펌프를 구동하여 물을 스프링클러의 공급하여 실내에 뿌려 주는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화재 방지 시스템은 장기간 관리 미흡으로 방치되어 실제로 화재의 발생시에는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지 않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 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소방용 엔진펌프에 사용되는 엔진의 냉각수, 엔진오일, 연료유의 부족, 배터리의 방전 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장에서는 관리 인력의 보충, 관리 주기의 단축 등 관리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취하고 있으나, 모두 인적(人的) 수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서, 관리가 용이하지 않고, 관리의 정확도가 낮으며, 관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2-0124001호는, 소방용 엔진펌프에 장착된 엔진의 가동 불능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 등에게 경보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화재 등과 같은 비상시에 엔진의 가동 불능 또는 가동 정지와 같은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방용 엔진펌프를 개시한 바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1443호는, 펌프 본체 또는 엔진에 이상이 발생 되면, 이상이 발생 된 부위를 안내하거나 이상을 수리 또는 점검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안내음성이 경보장치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소방용 엔진펌프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배경기술들은, 문제의 발생 시 경보를 통해 알려주거나, 경보와 함께 문제 발생 위치, 수리 점검 방법의 음성안내를 특징으로 하므로, 경보 또는 음성안내의 인식을 위해 그 주변 또는 특정 공간에 시설관리자가 항상 대기하고 있는 것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설정된 주기로 상태를 점검하고, 그 이력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시설점검자가 일정한 주기로 시설점검을 행하고 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설정된 주기로 상태를 점검하고, 그 이력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원하는 시간 범위의 상태 이력을 점검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향후 발생 될 수 있는 결함을 예측하여 수리할 수 있는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엔진;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스프링쿨러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엔진, 상기 펌프 및 상기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상가동 여부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는 감시부; 상기 감시부로부터 정상가동 여부에 대한 상태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 누적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상태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엔진을 시험가동하여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운전시작을 위한 스타트모터 및 상기 엔진의 출력단의 균일한 회전을 유도하는 플라이휠을 포함하며, 상기 감시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 상기 스타트모터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감지부,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RPM 감지부 및 상기 스프링쿨러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배터리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측정전압을 바탕으로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대비하여 상기 배터리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시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스타트모터의 동작 여부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타트모터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RPM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와 대비하여 상기 엔진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유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유량정보를 상기 플라이휠의 기준 회전속도에 기초하는 정상유량과 대비하여 상기 펌프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있어서, 상기 상태 이력 정보는, 상기 배터리 감지부, 상기 시동 감지부, 상기 RPM 감지부 및 상기 유량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 된, 가동 연월일, 가동시작시각, 가동종료시각, 가동시간, 가동구분, 가동상태 내용에 관한 정보로 구성되는 가동상태 종합현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있어서, 상기 상태 이력 정보는, 상기 가동상태 종합현황 정보로부터 연산하여 얻어지는 설정된 주기별 고장 정지 시간과 고장 정지 횟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들 정보로부터 연산 되는 평균 고장 주기(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 또는 이들 정보 및 고장 수리 시간에 관한 정보로부터 연산 되는 평균 고장 수리 시간(Mean Time To Repair; MTTR)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의하면, 감시부에 의해 주기적인 감시가 이루어지며, 상태 이력 정보가 메모리에 누적 저장되므로, 시간별 상태 이력 정보의 확인은 물론, 시설감시자의 의무 점검 상태에 대한 감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의하면, 누적된 정보로부터 연산 되는 평균 고장 주기(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 또는 평균 고장 수리 시간(Mean Time To Repair; MTTR)에 관한 정보로부터 향후 고장 발생 여부에 대한 예측 및 대응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의 제어 블럭도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있어서 표시부의 표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의 명료한 이해를 위해 제한된 실시형태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실시형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자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그 의미를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도록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있어서 표시부의 표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100)는, 엔진(110), 펌프(120), 배터리(130), 제어부(140), 감시부(150), 메모리(160) 및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엔진(110)은 스타트모터(111)와 플라이휠(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수신기(미도시)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나 스프링쿨러(101)의 배관 계통의 압력 저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40)에 신호가 입력되어, 엔진(110)의 스타트모터(111)가 기동 되고, 엔진(110)이 연속 가동되어 플라이휠(113)의 회전속도(RPM)가 기준 회전수로 감지되면, 펌프(120)의 가동이 시작되고, 스프링쿨러(101)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감지되는 것으로 정상 동작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화재수신기로부터 정지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엔진(110)과 펌프(120)는 자동 정지되고. 신호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한편, 소방엔진펌프의 기동은 화재 시 배터리(130)에 의해 동작하게 되어 있어, 배터리(130)는 항상 일정한 전압(12V 또는 24V)의 전압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는 감시부(150)에 의해 감시되며, 감시부(150)에 의해 감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배터리(130)를 자동으로 충전하는 충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110)은, 가솔린 등과 같은 연료를 이용하는 내연기관을 의미한다. 이는 화재 시 발생 되는 정전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엔진(110)는, 운전시작을 위한 스타트모터(111) 및 엔진(110)의 출력단의 균일한 회전을 유도하는 플라이휠(11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120)는, 엔진(110)에 의해 구동되어 스프링쿨러(101)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배터리(130)는, 엔진(11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엔진(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감시부(150)는, 엔진(110), 펌프(120) 및 배터리(130)의 정상 가동 여부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는 구성이다.
감시부(150)는, 설정된 주기마다 엔진(110)을 시험가동하여 엔진(110), 펌프(120) 및 배터리(130)의 정상 가동 여부를 감시하는 한다.
감시부(150)에 의한 감시 동작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시부(150)는, 배터리(130)의 전압을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130a), 스타트모터(111)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감지부(111a), 플라이휠(113)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RPM 감지부(113a) 및 스프링쿨러(101)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120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감시부(150)는, 배터리 감지부(130a)에 의해 감지된 측정전압을 바탕으로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대비하여 배터리(130)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시부(150)는, 시동 감지부(111a)에 의해 감지된 스타트모터(111)의 동작 여부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타트모터(111)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시부(150)는, RPM 감지부(113a)에 의해 감지된 플라이휠(113)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와 대비하여 엔진(110)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시부(150)는, 유량 감지부(120a)에 의해 감지된 유량정보를 플라이휠(113)의 기준 회전속도에 기초하는 정상유량과 대비하여 펌프(120)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160)는, 감시부(150)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방엔진펌프의 정상 가동 여부에 대한 상태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 누적 저장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태 이력 정보는, 배터리 감지부(130a), 시동 감지부(111a), RPM 감지부(113a) 및 유량 감지부(120a)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 된 정보이다.
연산은, 감시부(150) 또는 제어부(140)에 의해 이루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태 이력 정보는, 가동 연월일, 가동시작시각, 가동종료시각, 가동시간, 가동구분, 가동상태 내용에 관한 정보로 구성되는 가동상태 종합현황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태 이력 정보는, 가동상태 종합현황 정보로부터 연산하여 얻어지는 설정된 주기별 고장 정지 시간과 고장 정지 횟수에 관한 정보, 이들 정보로부터 연산 되는 평균 고장 주기(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를 포함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균 고장 주기(MTBF)의 연산을 위한 식은 아래와 같다.
MTBF = (작업시간 - 고장정지시간) / 고장정지횟수
여기서, 작업시간은 설정된 주기를 시간으로 표시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태 이력 정보는, 가동상태 종합현황 정보로부터 연산하여 얻어지는 설정된 주기별 고장 정지 시간과 고장 정지 횟수에 관한 정, 이들 정보 및 고장 수리 시간에 관한 정보로부터 연산 되는 평균 고장 수리 시간(Mean Time To Repair; MTTR)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평균 고장 수리 시간(MTTR)의 연산을 위한 식은 아래와 같다.
MTTR = 고장정지시간 누계 / 고장정지횟수 누계
메모리(160)에는, 주기마다 시간 순으로 상태 이력 정보가 누적되어 저장된다.
메모리(160)에는, 시설감시자의 수동 검사, 고장 수리 등에 의한 시험가동 시의 상태 이력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표시부(17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상태 이력 정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구성이다.
표시부(170)는, 시각적, 청각적인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를 예로 들 수 있다.
표시부(170)는, 고장이나 위험을 표시하는 경고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에 의하면, 감시부에 의해 주기적인 감시가 이루어지며, 상태 이력 정보가 메모리에 누적 저장되므로, 시간별 상태 이력 정보의 확인은 물론, 시설감시자의 의무 점검 상태에 대한 감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에 의하면, 누적된 정보로부터 연산 되는 평균 고장 주기(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 또는 평균 고장 수리 시간(Mean Time To Repair; MTTR)에 관한 정보로부터 향후 고장 발생 여부에 대한 예측 및 대응이 가능해진다.

Claims (9)

  1. 엔진;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스프링쿨러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엔진, 상기 펌프 및 상기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상가동 여부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되,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엔진을 시험가동하여 감시하는 감시부;
    상기 감시부로부터 정상가동 여부에 대한 상태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 누적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상태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진은, 운전시작을 위한 스타트모터 및 상기 엔진의 출력단의 균일한 회전을 유도하는 플라이휠을 포함하며,
    상기 감시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 상기 스타트모터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감지부,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RPM 감지부 및 상기 스프링쿨러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시부는, 상기 배터리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측정전압을 바탕으로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대비하여 상기 배터리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감시부는, 상기 시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스타트모터의 동작 여부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타트모터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시부는, 상기 RPM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와 대비하여 상기 엔진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감시부는, 상기 유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유량정보를 상기 플라이휠의 기준 회전속도에 기초하는 정상유량과 대비하여 상기 펌프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 이력 정보는, 상기 배터리 감지부, 상기 시동 감지부, 상기 RPM 감지부 및 상기 유량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 된, 가동 연월일, 가동시작시각, 가동종료시각, 가동시간, 가동구분, 가동상태 내용에 관한 정보로 구성되는 가동상태 종합현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태 이력 정보는, 상기 가동상태 종합현황 정보로부터 연산하여 얻어지는 설정된 주기별 고장 정지 시간과 고장 정지 횟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들 정보로부터 연산 되는 평균 고장 주기(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 또는 이들 정보 및 고장 수리 시간에 관한 정보로부터 연산 되는 평균 고장 수리 시간(Mean Time To Repair; MTTR)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
KR1020150050116A 2015-04-09 2015-04-09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 KR101664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16A KR101664111B1 (ko) 2015-04-09 2015-04-09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16A KR101664111B1 (ko) 2015-04-09 2015-04-09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111B1 true KR101664111B1 (ko) 2016-10-10

Family

ID=5714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116A KR101664111B1 (ko) 2015-04-09 2015-04-09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966B1 (ko) * 2020-09-03 2021-12-01 주식회사 알에이치디 소화수 공급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19A (ja) * 1989-06-07 1991-01-18 Fujitsu Ltd 周波数特性補正方式
JPH10248950A (ja) * 1997-02-06 1998-09-22 Tokyo Metropolis 身体防護シート及び収納カバーから構成される防災用具と身体防護方法
JP2001149494A (ja) * 1999-11-29 2001-06-05 Fuji Heavy Ind Ltd 消防ポンプ用操作表示装置
KR100737559B1 (ko) * 2006-08-29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 시동시스템의 스타터 모터 전원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19A (ja) * 1989-06-07 1991-01-18 Fujitsu Ltd 周波数特性補正方式
JPH10248950A (ja) * 1997-02-06 1998-09-22 Tokyo Metropolis 身体防護シート及び収納カバーから構成される防災用具と身体防護方法
JP2001149494A (ja) * 1999-11-29 2001-06-05 Fuji Heavy Ind Ltd 消防ポンプ用操作表示装置
KR100737559B1 (ko) * 2006-08-29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 시동시스템의 스타터 모터 전원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966B1 (ko) * 2020-09-03 2021-12-01 주식회사 알에이치디 소화수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0814B2 (ja) 圧縮エア監視システム
EP27611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onal state of a pump
WO2017002215A1 (ja) 冷媒漏洩検知システム
JP5161645B2 (ja) 時系列データ監視システム
WO2017002213A1 (ja) 冷媒漏洩検知装置
CN103357136A (zh) 消防作业控制装置及方法
WO2017002216A1 (ja) 冷媒漏洩検知装置
JP5342528B2 (ja) アクティブフィルタ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1664111B1 (ko) 상태 이력 확인이 가능한 소방엔진펌프
CN213333271U (zh) 一种燃气泄漏的报警系统
EA022908B1 (ru) Высоко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висз, hips) устья скважины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тестированием и самодиагностикой
KR101099662B1 (ko) 사전 경보기능을 구비한 소방용 엔진펌프
KR100906785B1 (ko)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CN108458887A (zh) 一种设备的故障自诊断系统及方法
JP2016217073A (ja) 給水装置、監視装置、及び、給水システム
JP2013085914A (ja) アラーム弁とそれを備えた消火設備および火災報知設備
KR101114971B1 (ko) 급유장치
KR101879385B1 (ko) 진동 감시 설비용 신호 처리 장치
US11084688B2 (en) Rescue/evacuation self-testing system for traction elevators
CN114153176A (zh) 发动机试验室安全运行监控系统
KR102034001B1 (ko) 냉각팬 제어부와 이를 이용한 변압기 냉각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3133310U (ja) アスベストを含む塵埃が発生する作業区域における負圧手段監視装置
JP4627980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5203922B2 (ja) 遮断弁故障検知方法及びガスメータ
KR101548978B1 (ko) 변전 설비 원격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