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959B1 -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 Google Patents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959B1
KR101663959B1 KR1020150101732A KR20150101732A KR101663959B1 KR 101663959 B1 KR101663959 B1 KR 101663959B1 KR 1020150101732 A KR1020150101732 A KR 1020150101732A KR 20150101732 A KR20150101732 A KR 20150101732A KR 101663959 B1 KR101663959 B1 KR 101663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weight
sealed container
hermetically seal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준수
Original Assignee
(주)코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엠피 filed Critical (주)코엠피
Priority to KR102015010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90/00Compositions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렌계(TPS) 및 올레핀계(TPO)의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수지; 열가소성 합성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자가 열융착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난 패킹을 제공할 수 있는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Packing composition for airtight container and packing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틸렌계(TPS) 및 올레핀계(TPO)의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수지; 열가소성 합성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는 반찬, 야채, 과일, 생선 등의 각종 음식물을 담아 보관하는 것으로, 이러한 밀폐용기는 음식물 등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저장용기와, 저장용기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한다. 또한, 커버에는 저장용기의 밀폐를 위하여 커버에 장착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 패킹이 마련되고, 이러한 패킹은 커버의 내측 테두리부에 마련된 소정 깊이의 패킹홈에 끼워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저장용기와 커버는 록킹장치에 의해 상호 결합됨에 따라 패킹이 저장용기의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되어 저장용기와 커버 사이의 틈을 밀폐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저장용기 내부로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음식물로부터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밀폐용기에 패킹용으로 일반적인 실리콘 고무를 사용할 경우, 제조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밀폐용기와 용기뚜껑이 장기간 높은 압력으로 밀착되어 있어 실제로 소비자들이 사용시 밀폐용기면과 실리콘 패킹과의 부착이 일어나 패킹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음식물에 의하여 패킹이 변색이 됨에 따라 소비자가 사용시 불편함을 가질 수 있었다. 그에 따른 해결책으로 밀폐용기와 실리콘 패킹 사이에 필름 투입이나 오일을 발라서 해결을 하였으나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의 투입이 많아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밀폐용기용 패킹의 경우에는 용기의 크기에 따른 금형을 각각 제작하여, O-ring 형태로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나, 이 경우 제조단가가 너무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이에, 일(一)자 형태로 성형 제작된 실리콘, 고무 등의 재료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두 말단부를 접착하여 밀폐용기용 패킹을 제조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접착부의 내구성이 확실히 떨어지기 때문에 밀폐용기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간편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O-ring 형태로 성형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밀폐용기의 커버에 장착된 패킹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기 밀폐용기용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스틸렌계(TPS) 및 올레핀계(TPO)의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및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수지는 스틸렌계(TPS) 및 올레핀계(TPO)가 1: 2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폴리스틸렌이 1: 0.5 내지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은 상기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시안화비닐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에 방향족비닐화합물과 시안화 비닐화합물을 그라프트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안화비닐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는 시안화비닐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 내 시안화비닐화합물이 5 내지 40 중량% 범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을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을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은 효과적으로 자가 열융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을 일(一)자 형태로 성형 제작한 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두 말단부를 열융착하여 접착함으로써, 매우 간편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O-ring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밀폐력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뛰어나,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밀폐용기의 커버에 장착된 패킹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혼합"이라 함은 하나 이상의 성분이 단순하게 물리적으로 혼합되는 것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성분이 서로 공중합되어, 화학적으로 혼합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스틸렌계(TPS) 및 올레핀계(TPO)의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및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수지는 스틸렌계(TPS) 및 올레핀계(TPO)가 1: 2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내구성 및 내열노화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스틸렌계(TPS) 및 올레핀계(TPO)가 1: 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내구성뿐만 아니라, 밀폐용기용 패킹의 자가 열융착시, 정밀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수지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수지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TPEE), 폴리우레탄계(TPU), 폴리아미드계(TPE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폴리스틸렌이 1: 0.5 내지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밀폐용기용 패킹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폴리스틸렌이 1: 0.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은 밀폐용기용 패킹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시안화비닐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는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90 내지 99 중량% 및 시안화비닐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여, 밀폐용기용 패킹의 내후성을 좋게 하고, 자가열융착을 보다 효과적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알킬아크릴레이트 고무에 방향족비닐화합물과 시안화 비닐화합물을 그라프트시킨 것을 사용하여, 밀폐용기용 패킹의 자가 열융착을 효과적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아크릴레이트계(ASA)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안화비닐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는 시안화비닐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 내 시안화비닐화합물이 5 내지 40 중량% 범위인 것을 사용하여, 밀폐용기용 패킹의 내구성을 보다 더 좋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안화비닐화합물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비닐화합물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틸렌, 알파-메틸스틸렌, p-메틸스틸렌, p-t-부틸스틸렌, 2,4-디메틸스틸렌, 클로로스틸렌, 비닐톨루엔, 비닐나프탈렌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스틸렌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내후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난연제, 충진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첨가제의 종류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을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밀폐용기용 패킹은 효과적으로 자가 열융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을 일(一)자 형태로 성형 제작한 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두 말단부를 열융착하여 접착함으로써, 매우 간편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O-ring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밀폐력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뛰어나,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밀폐용기의 커버에 장착된 패킹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스틸렌계(TPS) 및 올레핀계(TPO)의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및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은 상기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시안화비닐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수지는 스틸렌계(TPS) 및 올레핀계(TPO)가 1: 2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폴리스틸렌이 1: 0.5 내지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에 방향족비닐화합물과 시안화 비닐화합물을 그라프트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비닐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는 시안화비닐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 내 시안화비닐화합물이 5 내지 40 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KR1020150101732A 2015-07-17 2015-07-17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KR101663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732A KR101663959B1 (ko) 2015-07-17 2015-07-17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732A KR101663959B1 (ko) 2015-07-17 2015-07-17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959B1 true KR101663959B1 (ko) 2016-10-24

Family

ID=5725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732A KR101663959B1 (ko) 2015-07-17 2015-07-17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105A (ko) 2021-12-17 2023-06-26 (주)스포시스 밀폐 용기 및 결착 뚜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015A (ja) * 1996-10-18 1998-05-12 Nikko:Kk パッキン付きキャ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54311A1 (en) * 1998-09-16 2003-03-20 Kanakkanatt Sebastian V. Plastoelastomeric polymer and products made therefrom
KR20120022877A (ko) * 2009-05-13 2012-03-12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엘라스토머 조성물
JP5558889B2 (ja) * 2010-03-31 2014-07-2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着性シール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015A (ja) * 1996-10-18 1998-05-12 Nikko:Kk パッキン付きキャ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54311A1 (en) * 1998-09-16 2003-03-20 Kanakkanatt Sebastian V. Plastoelastomeric polymer and products made therefrom
KR20120022877A (ko) * 2009-05-13 2012-03-12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엘라스토머 조성물
JP5558889B2 (ja) * 2010-03-31 2014-07-2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着性シール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105A (ko) 2021-12-17 2023-06-26 (주)스포시스 밀폐 용기 및 결착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2387B (zh) 使用较硬的材料来对较软的材料进行包覆模制的方法、以及由该方法制成的防潮容器组件
US10392165B2 (en) Method for sealing materials
CA2702003C (en) Packaging system with an overcap
US20060231117A1 (en) Protective shields for standard cosmetic containers
TW201141413A (en) Dual compartment sandwich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663959B1 (ko) 밀폐용기용 패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패킹
KR20140120773A (ko)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TWM420158U (en) Front cov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EP1632208A4 (en) A CLOSED CONTAINER CONTAINING AEROSOL PREPARATION AND AEROSOL COMPOSITION CONTAINING IT WITH A MAKROLIDE COMPOUND
KR100856469B1 (ko) 밀폐용기
KR101247532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용기
KR101682293B1 (ko) 이물질의 끼임 방지와 다단적층이 가능한 밀폐용기
KR101510393B1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KR10124003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ITTO980195U1 (it) Coperchio in due pezzi e relativo metodo di fabbricazione.
KR200406737Y1 (ko) 포장용 에어캡 백
CN209777179U (zh) 一种具有双重密封结构的环保打包盒
KR200281022Y1 (ko) 음식용기의 밀폐장치
KR200347917Y1 (ko) 식품용기
KR20220002718U (ko) 밀폐 용기
KR200483477Y1 (ko) 김치용 밀폐용기
KR200448870Y1 (ko) 냉장고용 김치용기
KR100475629B1 (ko) 밀폐용기
KR200469104Y1 (ko) 밀폐용기의 락요소의 조립구조
KR20190000259U (ko) 음식물 보관용 트레이를 가지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