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859B1 - 쿨링모듈 - Google Patents

쿨링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859B1
KR101663859B1 KR1020130008703A KR20130008703A KR101663859B1 KR 101663859 B1 KR101663859 B1 KR 101663859B1 KR 1020130008703 A KR1020130008703 A KR 1020130008703A KR 20130008703 A KR20130008703 A KR 20130008703A KR 101663859 B1 KR101663859 B1 KR 101663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eat exchanger
guide
dispos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828A (ko
Inventor
박성욱
소원섭
민옥렬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8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02B29/0437Liquid 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eat exchang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materials, 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 F02B29/0462Liquid 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02Inter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70/00Details
    • F01P2070/52Details mounting heat-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은,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1 열교환기코어(210)와, 상기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측탱크(250a)와, 상기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측탱크(250b)를 포함하는 제1 열교환기(200);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2 열교환기코어(110)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열교환기(2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측면탱크(150a)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 측면탱크(150b)를 포함하는 제2 열교환기(100); 및 상기 제2 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 열교환기(200)를 차체 전방에 배치되는 캐리어(400)에 나란히 배치하여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 열교환기(200)를 상호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70, 2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쿨링모듈{COOLING MODULE}
본 발명은 쿨링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차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모듈화 하여 자동차 차체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간소화하여 생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쿨링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열교환기, 특히 차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자동차용 열교환기는 고온의 유체를 외기와의 열교환을 통해서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대표적으로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를 포함한다.
라디에이터(Radiator)는 엔진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은 항상 고온, 고압의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매우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며, 상기 열이 적절히 냉각되지 않으면 과열로 인하여 실린더와 피스톤을 포함하는 각종 부품이 손상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주위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재킷을 구비하고, 상기 재킷 내부의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냉각수가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함으로써 엔진이 냉각되도록 하고 있다.
즉, 라디에이터는 엔진 내부를 순환하면서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가 워터펌프에 의해 순환되면서, 외부에 열을 방출하도록 하여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며 최적의 운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열교환기이다.
한편, 상기 인터쿨러(Intercooler)는 엔진 출력을 높이기 위해 과급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를 식혀주는 장치이다.
상기 인터쿨러는 엔진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서 실린더에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를 유입시켜 주는 것이 좋으나, 공기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되므로, 상기 온도의 상승에 의해 산소의 밀도가 떨어져 결과적으로 실린더 내의 충전 효율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부품이며, 특히 발열량이 많은 고성능 엔진 장착 차량에 필수적인 부품이다.
도 1은 종래의 라디에이터(10) 및 인터쿨러(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열교환기(10, 20)가 차체 전방의 캐리어(40)에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세히는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10, 20)는 내부에 각각의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며, 일정 간격으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개의 튜브(12, 22)와 상기 튜브(12, 22) 사이에 개재되는 핀(13, 23)과 상기 튜브(12, 22)의 양 단이 고정되는 헤더부(14, 24)로 이루어진 코어부(11, 21) 및 상기 코어부(11, 21)의 헤더부(14, 24)에 구비되는 탱크(15, 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15, 25)에는 각각의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15, 25)의 일측에는 상기 캐리어(40)에 상기 열교환기들(10, 20)을 장착하기 위한 상단체결부재(16)가 상단에 2개씩 각각 구비되며, 하단체결부재(16a)가 하단에 2개씩 각각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열교환기들(10, 20)이 각기 따로 캐리어(40)에 설치됨에 따라 진동의 발생 시 진폭이 가장 크게 발생되는 캐리어(40)의 가로방향 중앙부분에 상단체결부재(16) 및 하단체결부재(16a)가 존재하게 되므로, 소음이 커질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들(10, 20)이 각각 지지되는 방향과 진동의 방향이 동일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결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들(10, 20)은 각각의 설치부재(16, 16a)를 캐리어(40)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설치부재(16, 16a)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상단지지부재(41) 및 하단지지부재(42)가 상기 캐리어(40)에 형성되어야 하며, 열교환기들(10, 20)을 각각 캐리어(40)에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 공정이 난해해지고 부품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상호간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모듈화 함으로써 이들의 진동 및 소음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쿨링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열교환기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중에서 캐리어의 중앙 부분의 지지부재를 생략하여 지지부재의 수를 최소화하며, 쿨링모듈을 일체로 캐리에어 조립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쿨링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은,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1 열교환기코어(210)와, 상기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측탱크(250a)와, 상기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측탱크(250b)를 포함하는 제1 열교환기(200);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2 열교환기코어(110)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열교환기(2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측면탱크(150a)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 측면탱크(150b)를 포함하는 제2 열교환기(100); 및 상기 제2 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 열교환기(200)를 차체 전방에 배치되는 캐리어(400)에 나란히 배치하여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 열교환기(200)를 상호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70, 27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70, 270)는, 상기 상측탱크(250a)와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단연결부재(270)와, 상기 하측탱크(250b)와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단연결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연결부재(270)는 상기 상측탱크(250a)로부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연결부재(270)는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1 본체부(271)와, 상기 제1 본체부(271)로부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단연결부재(270)의 제1 본체부(271)는 단면이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의 전면, 후면 및 상단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와 결합하는 제1 가이드 홈(15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2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단연결부재(270)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가 상기 제1 가이드 홈(151)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연결부재(270)는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1 후크부(27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는 상기 제1 후크부(273)에 결합되는 제1 체결홈(15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본체부(171)와, 상기 제2 본체부(171)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와, 상기 제2 본체부(171)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면을 향해 돌출된 센터링 가이드(17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제2 본체부(171)는 단면이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의 전면, 후면 및 하단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와 결합하는 제2 가이드 홈(251)과, 상기 센터링 가이드(174)에 결합하는 센터링 홈(25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2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제2 가이드 홈(251)과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가 결합되며, 상기 하측탱크(250b)의 센터링 홈(253)과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센터링 가이드(174)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2 후크부(173)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탱크(250b)는 상기 제2 후크부(173)에 결합되는 제2 체결홈(25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상호간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모듈화 함으로써 이들의 진동 및 소음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복수의 열교환기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중에서 캐리어의 중앙 부분의 지지부재를 생략하여 지지부재의 수를 최소화하며, 쿨링모듈을 일체로 캐리에어 조립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들(10, 20)이 차체의 캐리어(40)에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모듈이 차체의 캐리어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모듈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쿨링모듈의 상단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쿨링모듈의 하단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이 차체의 캐리어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모듈은,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1 열교환기코어(210)와, 상기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측탱크(250a)와, 상기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측탱크(250b)를 포함하는 제1 열교환기(200);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2 열교환기코어(110)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열교환기(2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측면탱크(150a)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 측면탱크(150b)를 포함하는 제2 열교환기(100); 및 상기 제2 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 열교환기(200)를 차체 전방에 배치되는 캐리어(400)에 나란히 배치하여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 열교환기(200)를 상호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70, 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열교환기(200)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튜브, 이들 튜브 사이에 구비되는 핀을 구비하는 제1 열교환기코어(210)와,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측탱크(250a) 및 하단에 구비되는 하측탱크(250b)로 구성된 제1 열교환기탱크(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열교환기탱크(250)에는 과급기에 의해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바람직하게는 압축공기가 되는 제1 열교환매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부분으로서, 제1 열교환기탱크(250)에는 제1 열교환매체를 위한 유입구 및 유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열교환기(200)는 차량용 인터쿨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열교환기(100)는, 엔진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한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튜브, 이들 튜브 사이에 구비되는 핀을 포함하는 제2 열교환기코어(110)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열교환기(200)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1 측면탱크(150a) 및 우측면에 구비되는 제2 측면탱크(150b)로 구성된 제2 열교환기탱크(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열교환기탱크(150)에는 고온의, 바람직하게는 냉각수가 되는 제1 열교환매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부분으로서, 제2 열교환기탱크(150)에는 제1 열교환매체를 위한 유입구 및 유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열교환기는 차량용 라디에이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열교환기(200)와 제2 열교환기(100)는 각각 고온/고압의 열교환매체의 유입 및 유출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특히, 종래 기술과 같이 제1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를 각각 별개로 차량의 캐리어에 장착하는 경우에 캐리어의 중앙 부분에서의 제1 열교환기/제2 열교환기의 상하방향 진동에 의한 소음이 증폭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열교환기(200)와 제2 열교환기(100)는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1 열교환기(200)와 제2 열교환기(100)의 진동특성을 개선하며, 진동 및 소음특성에 취약할 수 있는 캐리어(400)의 중앙 부분에서의 지지부재를 생략할 수 있는 쿨링모듈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은, 제1 열교환기(200)와 제2 열교환기(100)를 상호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70, 27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70, 270)는, 제1 열교환기(200)의 상측탱크(250a)와 제2 열교환기(100)의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단연결부재(270)와, 제1 열교환기(200)의 하측탱크(250b)와 제2 열교환기(100)의 제1 측면탱크(150a)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단연결부재(170)를 포함하는 이중 연결구조가 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은, 상기 상측탱크(250a)의 상단면 및 상기 제2 측면탱크(150b)의 상단면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상단체결부재(260) 및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면 및 상기 제2 측면탱크(150b)의 하단면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하단체결부재(260a)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체결부재(260)는 상기 캐리어(400)에 구비되는 상단지지부재(41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며, 상기 하단체결부재(260a)는 상기 캐리어(400)에 구비되는 하단지지부재(42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즉, 쿨링모듈을 지지하고 캐리어에 설치하기 위한 부재를 제1 열교환기(200)와 제2 열교환기(100) 상호간 공유함으로써, 캐리어(400) 중앙 부분에 지지부재가 생략되도록 함으로써 캐리어(400)를 통한 소음발생이 감소되며, 쿨링모듈의 설치가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은, 상기 상측탱크(250a)의 상단면 및 상기 제2 측면탱크(150b)의 상단면과 상기 상단지지부재(410) 사이,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면 및 상기 제2 측면탱크(150b)의 하단면과 상기 하단지지부재(42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댐핑부재(3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 기술에 비해서 댐핑부재(300)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단연결부재(270) 및 하단연결부재(170)를 포함하는 연결부(170, 27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모듈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모듈의 상기 상단연결부재(270)는 상기 상측탱크(250a)로부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를 향해 돌출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측탱크(250a)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를 향해 돌출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제1 측면탱크(150a)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는 도 4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열교환기(2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열교환기(200)의 상측탱크(250a)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상단연결부재(270)가 제2 열교환기(100)의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면을 덮으면서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면에 연결되고, 제2 열교환기(100)의 제1 측면탱크(150a)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하단연결부재(170)가 제1 열교환기(200)의 하측탱크(250b)의 하단면을 덮으면서 하측탱크(250b)의 하단면에 연결된다. 즉, 상단연결부재(270)는 제1 열교환기(200)의 상측탱크(250a)에 구비되며, 하단연결부재(170)는 제2 열교환기탱크(150)의 제1 측면탱크(150a)에 구비되는 교차연결구성을 취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연결구조가 달성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4에는 상단연결부재(270)가 제1 열교환기(200)의 상측탱크(250a)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하단연결부재(170)는 제2 열교환기(100)의 제1 측면탱크(150a)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반대로 상단연결부재(270)가 제2 열교환기(100)의 제1 측면탱크(150a)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하단연결부재(170)가 제1 열교환기(200)의 하측탱크(250b)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에 당연히 속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쿨링모듈의 상단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모듈의 상단연결부재(270)는, 제2 열교환기(100)의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1 본체부(271)와, 상기 제1 본체부(271)로부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본체부(271)는 단면이 디귿자(ㄷ)형상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측면탱크(150a)를 향하는 면과 하측면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의 전면, 후면 및 상단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열교환기(100)의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와 결합하는 제1 가이드 홈(15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2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단연결부재(270)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가 상기 제1 가이드 홈(151)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는 단수로 구비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제1 본체부(271)의 내측면 또는 제1 본체부(271)의 개방 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151)도 단수로 구비되거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열교환기(100)와 제1 열교환기(200)가 결합된 후 상호간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상단연결부재(270)는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1 후크부(27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는 상기 제1 후크부(273)에 결합되는 제1 체결홈(1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쿨링모듈의 하단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모듈의 하단연결부재(170)는, 제1 열교환기(200)의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본체부(171)와, 상기 제2 본체부(171)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본체부(271)와 마찬가지로 제2 본체부(171)는 단면이 디귿자(ㄷ)형상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탱크(250b)를 향하는 면과 상측면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의 전면, 후면 및 하단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와 결합하는 제2 가이드 홈(25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2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제2 가이드 홈(251)과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는 단수로 구비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제2 본체부(171)의 내측면 또는 제2 본체부(171)의 개방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251)도 단수로 구비되거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제2 본체부(171)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면을 향해 돌출된 센터링 가이드(17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면에는 상기 센터링 가이드(174)에 결합하는 센터링 홈(25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탱크(250b)의 센터링 홈(253)과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센터링 가이드(174)가 결합됨으로써 제1 열교환기(200)와 제2 열교환기(100)가 결합되는 위치가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단연결부재(270)와 마찬가지로, 제2 열교환기(100)와 제1 열교환기(200)가 결합된 후 상호간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2 후크부(173)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탱크(250b)는 상기 제2 후크부(173)에 결합되는 제2 체결홈(25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제1 열교환기(2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조립될 때, 제2 열교환기(100)와 제1 열교환기(200) 상호간 전후 방향이탈이 방지되며, 제2 열교환기(100)와 제1 열교환기(200) 중 일측에서 상호간 발생하는 전후방향/상하방향 진동을 타측에서 흡수할 수 있는 견고하면서 일체화된 조립구조가 달성된다.
나아가,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 및 제1 가이드 홈(151)의 결합,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 및 제2 가이드 홈(251)의 결합, 그리고 센터링 가이드(174) 및 센터링 홈(253)의 결합을 통해서 제2 열교환기(100)와 제1 열교환기(200) 상호간 결합 과정이 용이하게 되며, 결합 후에는 이를 통해 제2 열교환기(100)와 제1 열교환기(200) 상호간 측면방향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1 열교환기코어(210)와, 상기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측탱크(250a)와, 상기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측탱크(250b)를 포함하는 제1 열교환기(200);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2 열교환기코어(110)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열교환기(2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측면탱크(150a)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 측면탱크(150b)를 포함하는 제2 열교환기(100); 및
    상기 제2 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 열교환기(200)를 차체 전방에 배치되는 캐리어(400)에 나란히 배치하여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 열교환기(200)를 상호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70, 27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70, 270)는, 상기 상측탱크(250a)와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단연결부재(270)와, 상기 하측탱크(250b)와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단연결부재(170)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연결부재(270)는 상기 상측탱크(250a)로부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1 본체부(271) 및 상기 제1 본체부(271)로부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와 결합하는 제1 가이드 홈(15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2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272)가 상기 제1 가이드 홈(151)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연결부재(270)의 제1 본체부(271)는 단면이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의 전면, 후면 및 상단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연결부재(270)는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1 후크부(27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탱크(150a)는 상기 제1 후크부(273)에 결합되는 제1 체결홈(1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본체부(171)와, 상기 제2 본체부(171)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와, 상기 제2 본체부(171)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면을 향해 돌출된 센터링 가이드(1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제2 본체부(171)는 단면이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의 전면, 후면 및 하단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와 결합하는 제2 가이드 홈(251)과, 상기 센터링 가이드(174)에 결합하는 센터링 홈(25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2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제2 가이드 홈(251)과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가 결합되며, 상기 하측탱크(250b)의 센터링 홈(253)과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센터링 가이드(174)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2 후크부(173)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탱크(250b)는 상기 제2 후크부(173)에 결합되는 제2 체결홈(2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1.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1 열교환기코어(210)와, 상기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측탱크(250a)와, 상기 제1 열교환기코어(21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측탱크(250b)를 포함하는 제1 열교환기(200);
    제1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2 열교환기코어(110)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열교환기(2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측면탱크(150a)와, 상기 제2 열교환기코어(1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 측면탱크(150b)를 포함하는 제2 열교환기(100); 및
    상기 제2 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 열교환기(200)를 차체 전방에 배치되는 캐리어(400)에 나란히 배치하여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 열교환기(200)를 상호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70, 27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70, 270)는 상기 상측탱크(250a)와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단연결부재(270) 및 상기 하측탱크(250b)와 상기 제1 측면탱크(150a)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단연결부재(170)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제1 측면탱크(150a)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본체부(171)와, 상기 제2 본체부(171)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와, 상기 제2 본체부(171)로부터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면을 향해 돌출된 센터링 가이드(174)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와 결합하는 제2 가이드 홈(251)과, 상기 센터링 가이드(174)에 결합하는 센터링 홈(25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2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제2 가이드 홈(251)과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172)가 결합되며, 상기 하측탱크(250b)의 센터링 홈(253)과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센터링 가이드(174)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연결부재(170)의 제2 본체부(171)는 단면이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측탱크(250b)의 하단부의 전면, 후면 및 하단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연결부재(170)는 상기 하측탱크(250b)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돌출된 제2 후크부(173)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탱크(250b)는 상기 제2 후크부(173)에 결합되는 제2 체결홈(2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KR1020130008703A 2013-01-25 2013-01-25 쿨링모듈 KR101663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703A KR101663859B1 (ko) 2013-01-25 2013-01-25 쿨링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703A KR101663859B1 (ko) 2013-01-25 2013-01-25 쿨링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28A KR20140095828A (ko) 2014-08-04
KR101663859B1 true KR101663859B1 (ko) 2016-10-07

Family

ID=5174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703A KR101663859B1 (ko) 2013-01-25 2013-01-25 쿨링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5277B2 (en) * 2015-06-05 2019-05-2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lide-on heat exchanger restraining brack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2564A (ja) * 2002-10-08 2004-04-30 Denso Corp 熱交換器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395A (ko) * 1997-03-25 1998-11-05 김영귀 자동차용 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1716450B1 (ko) * 2011-03-16 2017-03-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2564A (ja) * 2002-10-08 2004-04-30 Denso Corp 熱交換器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28A (ko)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748B1 (ko) 쿨링모듈
US20140366816A1 (en) Modular cooling unit for automotive vehicle
KR102548211B1 (ko) 일체형 라디에이터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716450B1 (ko)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 조립체
KR101663859B1 (ko) 쿨링모듈
EP2402573B1 (en) Coolant water duc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20003033A (ko) 열교환기
KR101817580B1 (ko) 라디에이터
KR20110075148A (ko) 열교환기
KR20150099968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455698B1 (ko) 오일쿨러 및 라디에이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51260B1 (ko) 오일쿨러
KR101328523B1 (ko) 인터쿨러 일체형 라디에이터
KR101259555B1 (ko) 라디에이터
KR101396412B1 (ko) 오일쿨러 내장형 라디에이터 탱크
KR101217017B1 (ko) 라디에이터 탱크 및 오일쿨러 조립체
KR20110107709A (ko) 열교환기
KR102483754B1 (ko) 열교환기
KR101318639B1 (ko) 라디에이터 탱크와 오일쿨러 조립체
CN112412615B (zh) 一种前端冷却模组、发动机及车辆
KR101279065B1 (ko) 인터쿨러 고정 구조
KR101458934B1 (ko) 통합형 열교환기
CN215292700U (zh) 发动机冷却结构及发动机
KR101474236B1 (ko) 오일쿨러
KR20100067153A (ko) 오일쿨러 및 라디에이터 탱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