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199B1 -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바디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199B1
KR101663199B1 KR1020140071638A KR20140071638A KR101663199B1 KR 101663199 B1 KR101663199 B1 KR 101663199B1 KR 1020140071638 A KR1020140071638 A KR 1020140071638A KR 20140071638 A KR20140071638 A KR 20140071638A KR 101663199 B1 KR101663199 B1 KR 101663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flow path
path circuit
solenoid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526A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4007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19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31Pump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바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체로 성형되는 밸브바디에 관한 것이다.
밸브바디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솔레노이드밸브와 밸브바디 사이에 간극이 없으므로 밸브바디로 이물질이 유입될 여지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바디{Valve Body with Solenoid Valv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바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체로 성형되는 밸브바디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는 토크 컨버터와 이 토크 컨버터에 연결되어 있는 다단의 변속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변속기어 메커니즘의 기어단 중 어느 하나의 기어단을 선택하기 위한 유압작동 마찰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장치는 오일펌프로부터 발생한 유압을 제어 밸브를 통하여 마찰요소를 선택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적절한 변속이 자동으로 행하여 질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장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유로를 개폐하여 작동유체를 공급 또는 해제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마찰요소로 작동유체를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밸브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밸브바디의 구조는 상단에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솔레노이드밸브와 마찰요소를 연통하는 복잡한 형상의 유로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압제어 장치의 제조방법은 보통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밸브바디를 마련하는 공정, 밸브바디의 장착홀에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장착하는 공정, 및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일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브라켓을 밸브바디와 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솔레노이드밸브와 밸브바디의 장착홀은 예컨대 7um 정도의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밸브를 장착홀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공차에 의한 미세한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생기며, 조립과정에서 이러한 공차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가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밸브바디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밸브는 외부에 배치되는 TCU와 전기배선으로 연결되어 TCU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밸브를 개폐하게 되는데 차량의 지속적인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하여 전기배선과 솔레노이드밸브 간에 전기적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밸브와 밸브바디가 간극없이 결합하는 밸브바디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TCU가 설치된 밸브바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바디 조립체의 일 실시예는 작동유체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1밸브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연통하여 상기 작동유체를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분배하기 위한 제2유로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바디와 결합하는 제2밸브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일 실시예는
작동유체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형성되는 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1밸브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를 클러치 또는/및 브레이크로 분배하기 위한 유로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바디와 결합하는 제2밸브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밸브바디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 제조방법은 작동유체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고,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전원연결부와,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원연결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포트부를 가지는 솔레노이드밸브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서트하고 사출하여 제1밸브바디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를 분배하는 제2유로회로가 형성된 제2밸브바디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부와 상기 제2유로회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밸브바디와 상기 제2밸브바디를 맞붙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 제조방법은 작동유체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형성되는 포트부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서트하고 사출하여 제1밸브바디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를 분배하는 유로회로가 형성된 제2밸브바디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부와 상기 유로회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밸브바디와 상기 제2밸브바디를 맞붙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바디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솔레노이드밸브와 밸브바디가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하므로, 솔레노이드밸브와 밸브바디 사이에 간극이 없게 되어 밸브바디로 이물질이 유입될 여지가 없게 된다. 또한, 표면 공차관리를 안해도 되므로 제작공정의 수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 등 밸브바디에 장착되는 부품을 생략하게 되어 부품의 수가 간소화되므로 밸브바디의 중량이 감소하고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솔레노이드밸브가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 성형된 제1밸브바디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제1밸브바디에 제2밸브바디가 조립된 밸브바디 조립체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제2밸브바디가 솔레노이드밸브가 삽입된 제1밸브바디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밸브바디 조립체의 모습을 측면에서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5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밸브바디 조립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인 밸브바디 조립체(1)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바디 조립체(1)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20)와 제1밸브바디(10)와 제2밸브바디(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솔레노이드밸브가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 성형된 제1밸브바디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20)는 솔레노이드 자기장에 의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그 구조는 금속제의 원통 형상의 하우징(22)과 하우징(22)의 축방향을 따라 일측에 설치되는 터미널 단자부(21)와 하우징(22)의 축방향을 따라 타측에 형성되는 포트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트부(23)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스풀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외면과 내면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포트들(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포트들(23a)은 솔레노이드밸브(20) 및 밸브바디의 유로와 연결되어,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마찰요소, 예컨대,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 등으로 선택적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밸브바디(10)는 솔레노이드밸브(20)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밸브바디에 장착하는 방식은 솔레노이드밸브(20)와 밸브바디를 각각 별도로 제작한 뒤에 밸브바디의 장착홀에 솔레노이드밸브(20)를 장착하게 되는데, 밸브 장착과정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직경과 장착홀 간에 공차로 인한 미세한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게 되어 유압제어장치의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공차를 관리하기 위하여 밸브바디의 장착홀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밖에 없으므로 가공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바디 조립체(1)는 솔레노이드밸브(20)와 제1밸브바디(10)를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므로 솔레노이드밸브(20)와 밸브바디의 밸브안착부 사이에 틈이 생길 여지가 없으므로 이물질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밸브바디에 솔레노이드밸브(20)를 설치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20)를 장착한 상태에서 별도의 부품인 브라켓으로 밸브를 밸브바디에 고정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브라켓을 밸브바디에 설치하기 위하여 볼트 또는 나사로 체결하게 되는데, 이러한 체결작업은 번거로우며, 노동력이 많이 들어가는 작업이므로 제조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솔레노이드밸브(20)와 밸브바디를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방식은 별도의 브라켓을 장착하는 공정 및 브라켓을 밸브바디에 나사체결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작공수가 줄어들게 되어 제작시간이 단축되며, 적은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도 2는 도 1의 제1밸브바디에 제2밸브바디가 조립된 밸브바디 조립체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제2밸브바디가 솔레노이드밸브가 삽입된 제1밸브바디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바디 조립체(1)는 솔레노이드밸브(20)와 제1밸브바디(10)를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결합하고, 솔레노이드밸브(20)가 삽입된 제1밸브바디(10)에 제2밸브바디(30)를 결합하여 완성할 수 있다. 즉, 제1밸브바디(10)는 그 자체로 완성된 밸브바디가 아닐 수 있으며, 후술할 제2밸브바디(30)와 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밸브바디 또는 밸브바디의 반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는 솔레노이드밸브(20)의 포트부(23)가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밸브(20)의 터미널 단자부(21)와 하우징(22)은 제1밸브바디(10) 외부로 노출되고, 포트부(23)만이 제1밸브바디(10)에 둘러싸이는 형태로 솔레노이드밸브(20)는 제1밸브바디(10)와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포트부(23)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2)도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2)의 원통 형상의 직경은 포트부(23)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즉, 포트부(23)는 하우징(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우징(22)의 직경이 작아지는 축경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2)과 포트부(23)는 같은 재질일 수 있으며, 상이한 재질일 수도 있다. 예컨대 하우징(22)은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포트부(23) 중에서 하우징(22)과 연결되는 쪽의 부분은 하우징(22)과 같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포트부(23)의 하우징(22)과 인접한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플랜지부가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포트부(23)의 끝단(23c)까지의 길이(L)만큼이 제1밸브바디(10)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는 포트부(23)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반원통면(A)이 묻히도록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원통면(A)은 포트부(23)가 가지는 원통 형상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두면 중 하나를 의미할 뿐이다. 다만, 여기서 반원통면(A)은 완전히 똑같은 양으로 이등분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해야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제1밸브바디(10)는, 포트부(23)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둘레면의 일부(A)가 제1밸브바디(10)에 인서트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에 인서트되는 포트부(23)의 둘레면(A)은, 포트부(23)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제1각도에서 제2각도까지 형성되는 원주면(A)일 수 있다. 제1밸브바디(10)는 이 원주면(A)이 사출 성형물과 접촉하는 상태로 성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에는 작동유체를 클러치 또는/및 브레이크로 분배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20) 포트들(23a)과 제2밸브바디(30)에 형성된 제2유로회로(31)를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밸브바디(10)에는 솔레노이드밸브(20)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며, 제2유로회로(31)와 함께 작동유체를 클러치 또는/및 브레이크로 분배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회로(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제1밸브바디(10)에 제1유로회로(11)가 형성된 경우를 보여준다.
이하, 제1밸브바디(10)에 제1유로회로(11)가 형성된 경우를 가지고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는, 포트부(23)의 둘레면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제1밸브바디(10)의 제1유로회로(11)가 형성된 면과 평행하도록 포트부(23)가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솔레노이드밸브(20)는 제1밸브바디(10)의 제1유로회로(11)가 형성된 면과 솔레노이드밸브(20)의 길이방향 축선(P)이 평행한 위치가 되도록 제1밸브바디(10)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는 솔레노이드밸브(20)의 포트부(23) 주변으로는 제1유로회로(11)가 형성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도면 1 내지 도면 4는 TCU와 금속선이 제1밸브바디(10)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 또는/및 제2밸브바디(30)에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40)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 또는/및 제2밸브바디(30)는 TCU(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41)는 제1밸브바디(10) 또는 제2밸브바디(30)가 사출 성형될 때 함께 성형될 수 있으며, 제1밸브바디(10) 또는 제2밸브바디(30)에 별도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41)는 예컨대 볼트가 체결되는 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 또는/및 제2밸브바디(30)가 사출 성형될 때 TCU(40)와 통전하기 위한 금속선(50)이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선(50)은 솔레노이드밸브(20)의 터미널 단자부(21)와 TCU(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TCU(40)로부터 제어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금속선(50)은 터미널 단자부(21)로부터 돌출하는 단자(21a)와 접촉하여 솔레노이드밸브(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선(50)은 제1밸브바디(10)의 제1유로회로(11)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인서트될 수 있으며, 단자(21a)는 제1유로회로(11)가 형성된 쪽에서 금속선(50)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터미널 단자부(21)와 TCU(40)는 제2유로회로(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은 편에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솔레노이드밸브(20)의 터미널 단자부(21)는 밸브바디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TCU(40)는 밸브바디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터미널 단자부(21)와 TCU(40) 사이에 제1유로회로(11)와 제2유로회로(31)가 형성한 유로가 위치할 수 있다. 금속선(50)은 이 유로를 가로질러 터미널 단자부(21)와 TCU(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밸브바디 조립체의 모습을 측면에서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밸브바디(30)는 솔레노이드밸브(20)가 삽입되어 사출성형된 제1밸브바디(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밸브바디(30)의 일면에는 제2유로회로(3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밸브바디(30)는 사출 성형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제2밸브바디(30)의 제작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밸브바디(30)의 제2유로회로(31)가 형성된 면에는 솔레노이드밸브(20)의 포트부(23)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3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안착부(34a)에 솔레노이드밸브(20)의 포트부(23)의 부분 중 제1밸브바디(10)에 삽입되지 않고 노출된 나머지 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34a)에는 포트부(23)와 제2유로회로를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와 제2밸브바디(30)는 제1밸브바디(10)에 형성된 제1유로회로(11)와 제2밸브바디(30)에 형성된 제2유로회로(31)가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유로회로(11)와 제2유로회로(31)는 서로 접합되어 하나의 복잡한 경로를 가지는 입체적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유로는 솔레노이드밸브(20)와 클러치 또는/및 브레이크를 연결되어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마찰요소로 유압을 분배할 수 있다.
제1밸브바디(10)와 제2밸브바디(30) 각각은 서로 대응하는 체결부(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체결부(12)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2)는 예컨대 볼트 또는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밸브바디(30)는 복수 개의 피스(Piece, 32,33,34)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 개의 피스(32,33,34) 각각은 그 내부에 제2유로회로(31)와 함께 작동유체를 클러치 또는/및 브레이크로 분배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제4유로회로들(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와 제2밸브바디(30) 사이에는 작동유체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씰링부재(60)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밸브바디(30)의 복수 개의 피스(32,33,34) 각각의 사이에는 작동유체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씰링부재(60)가 개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10)와 제2밸브바디(30) 사이에는 상기 작동유체가 포함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가 개재될 수 있다. 필터는 제1밸브바디(10)와 제2밸브바디(30) 사이의 전체 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부의 면에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밸브바디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바디 조립체는 포트부, 제1밸브바디, 제2밸브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트부는 작동유체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하나의 구성으로써 제공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트는 예컨대, 작동유체가 유입 공급되는 공급포트, 유입된 작동유체가 제어된 압력으로 배출되는 제어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포트부는 솔레노이드밸브에서 전술한 포트가 형성된 부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미완성의 솔레노이드밸브 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밸브 완성품이 되기 이전 단계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예컨대 하우징 또는 전원공급부 등과 같이 솔레노이드밸브를 완성품으로 만드는 부품을 결합하기 전단계의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 조립체에도 미친다.
제1밸브바디는 포트부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밸브바디는 상기 작동유체를 클러치 또는/및 브레이크로 분배하기 위한 유로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밸브바디는 상기 제1밸브바디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유로회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2유로회로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밸브바디 조립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밸브바디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작동유체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고,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전원연결부와,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원연결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포트부를 가지는 솔레노이드밸브를 마련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연결부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거나,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전원연결부는 예컨대, 컨텍트 포크, 콘텍 가이드 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서트하고 사출하여 제1밸브바디를 성형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체를 분배하는 유로회로가 형성된 제2밸브바디를 마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부와 상기 유로회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밸브바디와 상기 제2밸브바디를 맞붙이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로회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2유로회로(31)와 대응하는 구성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밸브바디 또는 제2밸브바디에는 TCU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부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밸브바디 또는 제2밸브바디는 솔레노이드밸브와 통전하기 위한 금속선이 함께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 금속선은 솔레노이드밸브와 TCU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바디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작동유체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형성되는 포트부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트부는 작동유체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하나의 구성으로써 제공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트는 예컨대, 작동유체가 유입 공급되는 공급포트, 유입된 작동유체가 제어된 압력으로 배출되는 제어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포트부는 솔레노이드밸브에서 전술한 포트가 형성된 부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미완성의 솔레노이드밸브 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밸브 완성품이 되기 이전 단계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를 인서트하고 사출하여 제1밸브바디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를 분배하는 유로회로가 형성된 제2밸브바디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부와 상기 유로회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밸브바디와 상기 제2밸브바디를 맞붙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포트부에 제1밸브바디를 성형하는 단계 이후에는 포트부에 하우징 또는 전원연결부 등 다른 부품을 결합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완제품 또는 반제품을 만드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밸브바디 조립체(1)를 포함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밸브바디 조립체를 적용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자동변속기 자체는 종래에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밸브바디 조립체
10: 제1밸브바디 11: 제1유로회로
12: 체결부 20: 솔레노이드밸브
21: 터미널 단자부 22: 하우징
23: 포트부 23a: 포트들
A: 반원통면 30: 제2밸브바디
31: 제2유로회로 34a: 안착부
40: TCU 41: 설치부
50: 금속선 60: 씰링부재

Claims (18)

  1. 작동유체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작동유체를 클러치 또는/및 브레이크로 분배하기 위한 제1유로회로가 형성된 제1유로회로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제1유로회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포트부의 원통면의 일부분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는 솔레노이드밸브 사출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밸브바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연통하고 상기 제1유로회로부를 덮으며, 상기 제1유로회로와 함께 상기 작동유체를 클러치 또는/및 브레이크로 분배하기 위한 제2유로회로가 형성된 제2유로회로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제2유로회로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 원통면의 나머지 일부를 덮으며 상기 포트부와 상기 제2유로회로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안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밸브바디와 결합하는 제2밸브바디;
    상기 제1밸브바디와 상기 제2밸브바디 사이에는 작동유체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 및
    상기 제1밸브바디와 상기 제2밸브바디 사이에는 상기 작동유체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씰링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밸브바디 또는 상기 제2밸브바디는 상기 제1유로회로부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 또는 상기 제2유로회로부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상기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TCU와 통전하기 위한 금속선이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된 터미널 단자부와,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터미널 단자부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포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밸브바디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 단자부와 상기 포트부 중 상기 포트부에 대해서만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바디는 상기 포트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반원통면이 인서트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바디에는 상기 TCU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 조립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선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터미널 단자부와 상기 TCU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 조립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바디는 서로 적층된 복수 개의 피스(Piec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은 그 내부에 상기 제2유로회로와 함께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클러치 또는/및 브레이크로 분배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제4유로회로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 조립체.
  15. 삭제
  16.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8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밸브바디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17. 삭제
  18. 삭제
KR1020140071638A 2014-06-12 2014-06-12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바디 KR101663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638A KR101663199B1 (ko) 2014-06-12 2014-06-12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638A KR101663199B1 (ko) 2014-06-12 2014-06-12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바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526A KR20150142526A (ko) 2015-12-22
KR101663199B1 true KR101663199B1 (ko) 2016-10-06

Family

ID=5508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638A KR101663199B1 (ko) 2014-06-12 2014-06-12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003A (ko) 2018-10-02 2020-04-10 (주)듀링 유압제어유닛용 누유 방지 밸브 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8336B (zh) * 2018-11-27 2019-10-01 武汉理工大学 一种矿业防爆车的全自动紧急制动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1653A (ja) * 2007-11-19 2009-06-04 Aisin Aw Co Ltd バルブ取付装置
WO2012015679A2 (en) * 2010-07-30 2012-02-02 Borgwarner Inc. Integrated plastic solenoid module
JP2013253653A (ja) * 2012-06-07 2013-12-19 Aisin Aw Co Ltd 油圧制御装置のバルブボディ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4895B1 (en) * 2004-02-10 2005-06-14 Eaton Corporation Electro-hydraulic manifold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1653A (ja) * 2007-11-19 2009-06-04 Aisin Aw Co Ltd バルブ取付装置
WO2012015679A2 (en) * 2010-07-30 2012-02-02 Borgwarner Inc. Integrated plastic solenoid module
JP2013253653A (ja) * 2012-06-07 2013-12-19 Aisin Aw Co Ltd 油圧制御装置のバルブボディ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003A (ko) 2018-10-02 2020-04-10 (주)듀링 유압제어유닛용 누유 방지 밸브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526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2791B2 (en) Overmolded or pressed-in sleeve for hydraulic routing of solenoid
CN107923515B (zh) 自动变速器及自动变速器的制造方法
EP3181962B1 (en) Control valve having a metal sleeve within a plastic valve body
US8714179B2 (en) Solenoid valve
US9500286B2 (en) Valve apparatus with belt-shaped filter
KR102186670B1 (ko) 보상 챔버를 포함한 압력 조절 밸브
US7905248B2 (en) Strainer and control valve
US9869399B2 (en) Slide valve, in particular for controlling a moto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KR101663199B1 (ko)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바디
KR20100003785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US20160178079A1 (en) Control device for selectively fluidically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fluid connection points
US10598298B2 (en) Control valve and hydraulic control module including the same
US7174996B2 (en) Hydraulic fluid feeder
US9772045B2 (en) Valve cartridge
CN105247219B (zh) 用于泵机组的操纵装置
US7650906B2 (en) Valve apparatus having O-ring
JP6625645B2 (ja) プラスチックからなる少なくとも1つのハウジングを備える、車両圧縮空気設備用の圧縮空気供給装置
KR101486141B1 (ko) 솔레노이드밸브
US20090072181A1 (en) Hydraulic block
JP2011112077A (ja) 電磁弁装置
WO2018061689A1 (ja) 車両用駆動装置の油圧制御装置
CN110822130A (zh) 电动切换阀及其阀块
KR20110100401A (ko) Abs용 인렛 솔레노이드 밸브
JP2009168155A (ja) バルブ装置
CN107532595A (zh) 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