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214B1 -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214B1
KR101662214B1 KR1020140089895A KR20140089895A KR101662214B1 KR 101662214 B1 KR101662214 B1 KR 101662214B1 KR 1020140089895 A KR1020140089895 A KR 1020140089895A KR 20140089895 A KR20140089895 A KR 20140089895A KR 101662214 B1 KR101662214 B1 KR 101662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ea
area information
interest
informa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782A (ko
Inventor
윤기영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214B1/ko
Priority to JP2015139697A priority patent/JP6219343B2/ja
Priority to US14/797,750 priority patent/US20160019867A1/en
Publication of KR2016000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이 등록된 지도를 출력하는 지도 출력 단계; 상기 지도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적어도 일부 영역인 화면영역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화면영역 제공 단계; 및 상기 지도 중 상기 화면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관심지점의 정보를 가공하여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가 상기 화면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of providing map ser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단말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을 의미한다. 단말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 및 삭제할 수 있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 망에 직접 접속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다.
위치 수신기(예컨대 GPS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이나, 인터넷 망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의 경우 단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도와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가 활발하게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한편, 단말의 표시부 크기에는 한계가 있어 지도의 모든 영역을 한번에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 무엇이 있는지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이 등록된 지도를 출력하는 지도 출력 단계; 상기 지도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적어도 일부 영역인 화면영역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화면영역 제공 단계; 및 상기 지도 중 상기 화면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관심지점의 정보를 가공하여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가 상기 화면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이 등록된 지도를 수신하는 지도 수신 단계; 상기 지도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화면영역으로 결정하는 화면영역 결정 단계; 및 상기 지도 중 상기 화면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관심지점의 정보를 가공하여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화면영역 및 상기 화면영역 내에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하는 지도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지도 영역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화면 내에 표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화면을 이동하지 않고서도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지도 영역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구비되는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표시 제어 장치(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도, 상기 지도 상의 화면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200)들,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200)들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지도 서비스는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한 요청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지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지도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요청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을 검색하고, 검색된 관심지점이 포함되는 지도를 제공한다. 지도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화면에는 지도의 적어도 일부(이하 “화면 영역”이라 한다.)가 표시되고, 상기 화면 영역 상에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지도의 나머지 부분에 포함되는 관심지점들의 정보가 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202)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3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지도 요청을 입력받고, 요청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지도를 제공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메모리,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사상은 다양한 실시예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구비되는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구에 대응되는 지도를 이용하여 화면영역과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표시 제어 장치(12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지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도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할 화면영역을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면영역과 비화면영역정보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200)의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관하여 각각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제2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며,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제1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므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중복하여 적용되는 설명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설명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구비되는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지도 출력부(111), 화면영역 제공부(112), 및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부(11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출력부(111)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이 등록된 지도를 출력한다. 관심지점은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지점이 부동산 매물을 나타내는 경우 관심지점은 종류에 따라 월세, 전세, 매매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영역 제공부(112)는 전체 지도 중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적어도 일부 영역인 화면영역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화면영역을 특정하는 방법으로는, 중심좌표와 축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꼭지점 좌표들로 표현하는 방법 등, 지도 상의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부(113)는 전체 지도 중 화면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정보를 가공하여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화면영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비화면영역 정보는 화면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비화면영역 정보는 비화면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 종류, 위치, 및 화면영역으로부터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화면영역 정보는 비화면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 및, 비화면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 중 화면영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화면영역 정보는 관심지점의 개수 또는 관심지점까지의 거리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개수 또는 거리를 관심지점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비화면영역 정보는 월세, 전세, 매매 각각에 해당하는 관심지점의 개수, 월세, 전세, 매매 각각에 해당하는 관심지점 중 화면영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화면영역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분할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면영역정보 제공부(113)는 복수의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화면영역 정보는 화면영역의 가장자리에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비화면영역 정보는 화면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각 비화면영역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는, 각 비화면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분할영역이 화면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방사각에 따라 나누어지는 경우, 각 분할영역에 대한 비화면영역 정보는 화면영역의 가장자리에서 각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방사각에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비화면영역 정보는 기저장된 아이콘과 함께 표시될 수 있는데, 예컨대 비화면영역 정보는 아이콘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예컨대 분할영역을 향하도록 표시됨으로써 분할영역의 가리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은 각각의 분할영역 별로 마련되고, 각 분할영역을 향하는 화살표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화면영역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명령이 수신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영역 제공부(112)는 이동 명령을 참조하여 화면영역을 갱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영역 제공부(112)는 이동 명령에 의해 선택되는 비화면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이 포함되도록 화면영역을 갱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명령에 의해 선택되는 비화면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은 복수일 수 있고, 이 경우 화면영역 제공부(112)는 상기 복수의 관심지점이 모두 포함되도록 화면영역을 갱신하거나, 상기 복수의 관심지점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되는 일부 관심지점이 포함되도록 화면영역을 갱신하거나, 상기 복수의 관심지점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되는 하나의 관심지점이 반드시 포함되도록 화면영역을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은, 화면영역으로부터의 거리, 관심지점의 인기도,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기준은 사용자 단말(200)에게 복수의 기준을 제공하여 그 중 하나를 선택받음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부(113)는 갱신된 화면영역을 기준으로 비화면영역 정보를 갱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면영역 및 비화면영역 정보를 갱신하여 제공하는 동작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동 명령이 수신될 때마다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명령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내부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되거나, 사용자 단말(200) 외의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등 다양한 요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동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 명령은 화면영역 상에 표시된 비화면영역 정보를 선택하는 신호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분할영역 각각에 대한 비화면영역 정보가 화면영역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중 어느 하나의 비화면영역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비화면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로 화면영역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 명령이 생성되어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에서 도 2의 지도 출력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대응되는 지도를 출력한다. 단계 32에서 도 2의 화면영역 제공부(112)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될 화면영역을 제공한다. 단계 33에서 도 2의 비화면영역 제공부(113)는 화면영역 외의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정보를 화면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제공한다.
<제2 실시예>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표시 제어 장치(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 장치(1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표시 제어 장치(12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20)는 지도 수신부(121), 화면영역 결정부(122),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부(123), 및 표시 제어부(12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수신부(121)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이 등록된 지도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영역 결정부(122)는 지도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화면영역으로 결정한다. 화면영역은 전체 지도 중 표시부에 표시될 영역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부(123)는 화면영역을 제외한 지도의 나머지 영역인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정보를 가공하여,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비화면영역 정보는 화면영역에 표시되어, 화면에 보이지 않는 비화면영역의 정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부(123)는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개수, 종류, 위치 및 상기 화면영역으로부터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비화면영역 정보는 예컨대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개수 및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 중 상기 화면영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부(123)는 관심지점의 종류를 더 참고하여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비화면영역 정보는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종류별 개수, 및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종류별로 상기 화면영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화면영역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분할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부(123)는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124)는 화면영역 결정부(122)에 의해 결정된 화면영역과,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부(123)에 의해 생성된 비화면영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의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한다. 비화면영역 정보는 화면영역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비화면영역 정보는 화면영역의 가장자리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124)는 전술한 분할영역 별로 생성된 비화면영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분할영역 별로 생성된 비화면영역 정보 각각을 표시하는 위치는 화면영역 내에서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124)는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된 비화면영역 정보를 기저장된 아이콘과 함께, 또는 아이콘의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분할영역 각각을 향하도록 분할영역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화살표 형태의 아이콘일 수 있다.
한편, 표시 제어 장치(120)는 화면영역이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입출력 장치로부터 화면영역을 이동하기 위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인식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명령은 화면영역 결정부(122)에 입력된다. 이동 명령은 비화면영역 정보를 선택, 또는 복수의 분할영역에 대한 비화면영역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영역 결정부(122)는 이동 명령이 수신될 때마다, 이동 명령을 참조하여 화면영역을 새롭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영역 결정부(122)는 이동 명령에 의해 선택되는 비화면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이 포함되도록 화면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명령에 의해 선택되는 비화면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은 복수일 수 있고, 이 경우 화면영역 결정부(122)는 상기 복수의 관심지점이 모두 포함되도록 화면영역을 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관심지점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되는 일부 관심지점이 포함되도록 화면영역을 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관심지점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되는 하나의 관심지점이 반드시 포함되도록 화면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은, 화면영역으로부터의 거리, 관심지점의 인기도,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기준은 복수의 기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부(123)는 새로 결정된 화면영역을 기준으로 비화면영역 정보를 새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화면영역 및 비화면영역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이동 명령이 수신될 때마다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명령은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생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200)의 내부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비롯한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동 명령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이동 명령은 화면영역 상에 표시된 비화면영역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분할영역 각각에 대한 비화면영역 정보가 화면영역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중 어느 하나의 비화면영역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비화면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로 화면영역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 명령이 생성되어 화면영역 결정부(122)에 입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제어 장치(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4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에서 도 4의 지도 수신부(121)는 복수의 관심지점이 등록된 지도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52에서 도 4의 화면영역 결정부(122)는 지도 수신부(121)가 수신한 지도 중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될 화면영역을 결정한다. 단계 53에서 도 4의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부(123)는 화면영역 외의 지도의 나머지 부분인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정보를 화면영역 내에 표시하기 위한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54에서 도 4의 표시 제어부(124)는 화면영역 및 상기 화면영역 내에 비화면영역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단계 52 내지 단계 54는 표시영역을 변경하기 위한 이동 명령이 수신됨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도의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지도(60)가 도시되고,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영역(61)이 도시되고, 지도(60) 중 화면영역(6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비화면영역(62)이 도시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도(60) 상에는 복수의 관심영역이 존재하며, 관심영역을 가리키는 핀이 지도 상에 표시된 예를 볼 수 있다. 관심영역의 위치는 지도(60) 상의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관심영역은 사전에 사용자로부터 등록된 것이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지도(6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지도일 수 있으며, 도 2의 화면영역 제공부(112)는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이 화면영역(61) 내에 포함되도록, 화면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의 화면영역 결정부(122)는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이 화면영역(61) 내에 포함되도록, 화면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도의 다른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지도(60)가 도시되고,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영역(61)이 도시되고, 지도(60) 중 화면영역(6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비화면영역(62)이 도시되었다. 화면영역(61)에는 비화면영역 정보(63)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화면영역 정보(63)는 비화면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화면영역(61)을 기준으로, 방향별 관심지점의 개수가 비화면영역 정보(63)로 표시되었음을 볼 수 있다. 비화면영역 정보(63)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형태의 아이콘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비화면영역 정보(63)가 관심지점의 개수인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화면영역 정보(63)는 복수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비화면영역이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분할영역으로 구분되고, 비화면영역 정보(63)는 복수의 분할영역 각각에 대하여 표시될 수 있다. 각 비화면영역 정보(63)는 복수의 분할영역 각각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분할영역을 향하도록 표시된 화살표 형태의 아이콘 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화면영역 정보(63)는 화면영역(61)의 가장자리에 나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비화면영역 정보(63) 각각이 표시되는 위치는, 각 비화면영역 정보(63)에 대응되는 분할영역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도의 다른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화면영역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비화면영역은 가상의 분할선(81)을 기준으로 복수의 분할영역(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으로 분할되었음을 볼 수 있다.
도 8에서는 화면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뻗어나가는 직선을 가상의 분할선(81)으로 하였고, 인접하는 분할선(81)의 교차 각도는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분할선(81)이 상정될 수 있고, 분할선(81)을 이용하지 않고 다른 기준으로 비화면영역을 분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분할영역(821~828) 각각에 대응되는 비화면영역 정보가 화면영역 내에 표시된다. 도 8의 예에서 비화면영역 정보는 분할영역 내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개수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분할영역(822)에 대응되는 제2 비화면영역 정보(832), 제3 분할영역(823)에 대응되는 제3 비화면영역 정보(833), 제5 분할영역(825)에 대응되는 제5 비화면영역 정보(835), 제6 분할영역(826)에 대응되는 제6 비화면영역 정보(836), 제7 분할영역(827)에 대응되는 제7 비화면영역 정보(837), 및 제8 분할영역(828)에 대응되는 제8 비화면영역 정보(838)가 도시되었다. 각 비화면영역 정보들은, 대응되는 분할영역을 향하여 화면영역의 가장자리에 표시된다.
다만, 도 8에서도 볼 수 있듯이 모든 분할영역에 대응하여 비화면영역 정보가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화면영역 정보가 분할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경우, 관심지점을 포함하지 않는 분할영역에 대해서는 비화면영역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분할영역(821) 및 제4 분할영역(824)에는 관심지점이 포함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 분할영역(821) 및 제4 분할영역(824)에 대응하는 비화면영역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도 8의 변형 예로써, 제1 분할영역(821) 및 제4 분할영역(824)에 대응하는 비화면영역 정보가 0인 것으로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의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부 및 도 4의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부는, 분할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를 세어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관심지점들 각각이 어느 분할영역이 포함되는지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분할영역이 화면영역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각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경우에는, 화면영역의 좌표와, 관심지점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화면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관심지점의 방사각을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방사각에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상기 관심지점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에서 분할영역은 8개로 도시되었으나 분할영역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8에서 분할선은 관심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뻗어나가는 직선으로 도시되었으나, 분할선을 그리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지도 기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그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분할영역들은 격자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도 상에서 화면영역이 변경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화면영역 제공부(112) 또는 도 4의 화면영역 결정부(122)는 화면영역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화면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2의 화면영역 제공부(112) 또는 도 4의 화면영역 결정부(122)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영역을 제1 화면영역(911)에서 제2 화면영역(91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 제1 화면영역(911)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비화면영역 정보(92)를 선택하면, 도 2의 화면영역 제공부(112) 또는 도 4의 화면영역 결정부(12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비화면영역 정보(92)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을 화면에 보여주기 위해 화면영역을 제2 화면영역(91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화면영역(912)는 제1 비화면영역 정보(92)에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93)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관심지점을 보기 위해 원하는 방향의 비화면영역 정보(92)를 선택하고, 이에 대응하여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관심지점이 표시되도록 화면영역을 이동시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에 예시된 도면에서는, 제1 비화면영역 정보(92)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이 한 개이고, 제2 화면영역(912)은 상기 한 개의 관심지점을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비화면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이 복수 개인 경우, 제2 화면 영역은 복수의 관심지점을 모두 포함하도록 설정되거나, 복수의 관심지점 중 일부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거나, 복수의 관심지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관심지점 중 일부 또는 어느 하나의 관심지점을 포함하도록 제2 화면 영역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일부 또는 어느 하나의 관심지점을 선택하는 기준은 관심지점까지의 거리 또는 관심지점의 인기도일 수 있다. 상기 기준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
상기 사용자의 선택은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입출력 장치 예를 들어 터치패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이동 명령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화면영역 정보를 선택함에 따라 생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을 클릭한 상태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는 동작, 또는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동작 등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이동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화면영역이 변경됨에 따라 비화면영역도 갱신된다. 화면영역이 변경되면, 비화면영역이 변경되고,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분할영역도 변경되고, 이에 따라 비화면영역 정보도 변경된다. 변경된 제2 화면영역(912)에 대응하여, 갱신된 비화면영역 정보(94)가 도시되었음을 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도의 다른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비화면영역 정보(101a, 101b)는 관심영역의 개수 및 관심영역까지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비화면영역 정보는,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을 뿐 아니라,분할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 중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까지의 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 비화면영역 정보(101a)는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 중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102a)까지의 거리 정보(500m)를 포함하고, 제2 비화면영역 정보(101b)는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 중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102b)까지의 거리 정보(100m)를 포함하도록 표시되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지도의 다른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비화면영역 정보(111a, 111b)는 비화면영역 정보의 내용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화면영역 정보(111a, 111b)는 아이콘 내에 표시될 수 있는데, 각 아이콘의 크기는 비화면영역 정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특성이란, 비화면영역 정보의 내용, 분할영역의 종류, 분할영역의 크기, 관심지점의 종류, 관심지점의 인기도,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검색결과로서의 정확도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비화면영역 정보 각각이, 분할된 비화면영역에 대응되고, 각 분할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비화면영역 정보 각각은, 대응되는 분할영역의 관심지점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화면영역 정보(111a, 111b)가 각각 표시된 아이콘의 크기는 비화면영역 정보(111a, 111b)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의 크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아이콘의 크기는 관심지점의 개수에 비례하도록 표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심지점이 가장 많은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비화면영역 정보가 포함되는 아이콘만 크게 표시되고, 나머지 비화면영역 정보가 포함되는 아이콘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로 작게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것은 비화면영역 정보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의 일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화면영역 정보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다른 도형의 아이콘에 표시되거나, 다른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표시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구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심지점은 종류에 따라 복수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질 수 있고, 비화면영역 정보에 표시되는 관심지점의 개수는 카테고리별로 별도 표시될 수 있다. 하나의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하나의 비화면영역 정보에는, 복수의 카테고리 별 관심지점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지점이 부동산 매물이고, 카테고리는 월세, 전세, 매매로 구분되는 경우, 비화면영역 정보는 “월세:2, 전세:5, 매매:3”와 같이, 관심지점의 개수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되는 지도 제공 요청은 특정 검색어와 일치하거나 대응되는 관심지점을 반환해달라는 요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은 “은행”이라는 쿼리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을 포함하는 지도의 반환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사용자 단말(200)의 지도 제공 요청은 특정 행정구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반환 요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은 “서울시 강남구”라는 쿼리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되는 부동산 매물을 관심지점으로 포함하는 지도의 반환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관심지점은 지도상의 좌표와 연계되어 등록된 지점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네트워크
110: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111: 지도 출력부
112: 화면영역 제공부
113: 비화면영역 제공부
120: 표시 제어 장치
121: 지도 수신부
122: 화면영역 결정부
123: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부
124:표시 제어부

Claims (26)

  1.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이 등록된 지도를 출력하는 지도 출력 단계;
    상기 지도 중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적어도 일부 영역인 화면영역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화면영역 제공 단계; 및
    상기 지도 중 상기 화면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관심지점의 정보를 가공하여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가 상기 화면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화면영역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분할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개수, 종류, 위치 및 상기 화면영역으로부터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개수 및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 중 상기 화면영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개수, 종류,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종류별 개수, 및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종류별로 상기 화면영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는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표시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화면영역에서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공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분할영역 각각을 향하도록 표시되는 아이콘과 함께 표시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아이콘은 상기 각 아이콘에 대응되는 분할영역을 향하도록 표시되는 화살표의 형태이고,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아이콘의 내부에 표시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화면영역의 가장자리에 표시되도록 제공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비화면영역을 향하도록 표시되는 화살표 형태의 아이콘의 내부에 표시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영역 제공 단계 및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 명령이 수신될 때마다 반복 수행되고,
    상기 화면영역 제공 단계는 상기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영역을 결정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명령은 상기 화면영역 상에 표시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선택하는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면영역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분할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 별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이동 명령은 상기 분할영역 별로 제공되는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화면영역 제공 단계는 상기 이동 명령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점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되는 적어도 일부의 관심지점이 포함되도록 상기 화면영역을 결정하는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14.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이 등록된 지도를 수신하는 지도 수신 단계;
    상기 지도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화면영역으로 결정하는 화면영역 결정 단계; 및
    상기 지도 중 상기 화면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관심지점의 정보를 가공하여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화면영역 및 상기 화면영역 내에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화면영역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분할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개수, 종류, 위치 및 상기 화면영역으로부터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개수 및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 중 상기 화면영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개수, 종류,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종류별 개수, 및 상기 비화면영역에 포함되는 관심지점의 종류별로 상기 화면영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관심지점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비화면영역 정보는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는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표시되는
    표시 제어 방법.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된 비화면영역 정보를, 상기 화면영역 내에서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된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상기 분할영역 각각을 향하도록 표시되는 아이콘과 함께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아이콘은 상기 각 아이콘에 대응되는 분할영역을 향하도록 표시되는 화살표의 형태이고,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아이콘의 내부에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
  22.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화면영역의 가장자리에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
  23.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비화면영역을 향하도록 표시되는 화살표 형태의 아이콘의 내부에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
  24.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영역 결정 단계;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화면영역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 명령이 인식될 때마다 반복 수행되고,
    상기 화면영역 결정 단계는 상기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 명령은 상기 화면영역을 선택한 후 드래그하는 동작, 상기 화면영역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동작,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를 선택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제어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명령은 상기 분할영역 별로 제공되는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화면영역 결정 단계는 상기 이동 명령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비화면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점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되는 적어도 일부의 관심지점이 포함되도록 상기 화면영역을 결정하는
    표시 제어 방법.
  26.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 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0089895A 2014-07-16 2014-07-16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62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895A KR101662214B1 (ko) 2014-07-16 2014-07-16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5139697A JP6219343B2 (ja) 2014-07-16 2015-07-13 地図サービス提供方法、表示制御方法、及び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4/797,750 US20160019867A1 (en) 2014-07-16 2015-07-13 Method of providing map ser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s for performing the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895A KR101662214B1 (ko) 2014-07-16 2014-07-16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782A KR20160009782A (ko) 2016-01-27
KR101662214B1 true KR101662214B1 (ko) 2016-10-04

Family

ID=5507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895A KR101662214B1 (ko) 2014-07-16 2014-07-16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19867A1 (ko)
JP (1) JP6219343B2 (ko)
KR (1) KR101662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1407A4 (en) * 2013-05-21 2017-01-25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8763269A (zh) * 2018-04-04 2018-11-06 浩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目视航图poi显示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8499A1 (fr) * 2006-09-26 2008-04-03 Pioneer Corporation Dispositif de commande d'affichage, procédé de commande d'affichage, programme de commande d'affichage et support d'enregistr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5029B2 (ja) * 2002-10-18 2009-02-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地図画像表示装置及び地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4593132B2 (ja) * 2003-09-30 2010-12-0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32587A (ja) * 2006-03-01 2007-09-13 Pioneer Electronic Corp 位置表示装置、位置表示方法、位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426086B2 (ja) * 2007-10-31 2014-02-26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表示サーバ、地図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425408B (zh) * 2008-08-29 2014-02-01 Htc Corp 電子地圖視野的操作方法、裝置及所使用之電腦程式產品
JP5204056B2 (ja) * 2009-08-06 2013-06-05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端末装置、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101810533B1 (ko) * 2011-12-22 2017-12-20 네이버 주식회사 영상인식 기술을 이용한 지도 서비스에 관심 지점 입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8499A1 (fr) * 2006-09-26 2008-04-03 Pioneer Corporation Dispositif de commande d'affichage, procédé de commande d'affichage, programme de commande d'affichage et support d'enregistr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782A (ko) 2016-01-27
JP2016029473A (ja) 2016-03-03
JP6219343B2 (ja) 2017-10-25
US20160019867A1 (en)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831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requested content on public display devices
US20220027948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dvertisements relevant to nearby users on a public display device
US20200259886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information used to present content on a public display device
US9916122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launching a mobile application using a public display device
KR101865425B1 (ko) 조절가능한 점진적인 이동 장치 거리뷰
US11315296B2 (en) Dynamically varying visual properties of indicators on a digital map
EP3550539A1 (en) Solution for highly customized interactive mobile maps
KR101732839B1 (ko) 컨텐츠 전달의 세그먼테이션
US9443494B1 (en) Generating bounding boxes for labels
CN105183853A (zh) 一种用于展现标签页的方法和装置
KR101662214B1 (ko)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6038099B2 (ja) 検索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該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36213B1 (ko) 서로 다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서로 다른 속성의 지도들을 연동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7913A (ko)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촬영 동작 가이드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779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ual Update of Geographic Ima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