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614B1 -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614B1
KR101661614B1 KR1020160084625A KR20160084625A KR101661614B1 KR 101661614 B1 KR101661614 B1 KR 101661614B1 KR 1020160084625 A KR1020160084625 A KR 1020160084625A KR 20160084625 A KR20160084625 A KR 20160084625A KR 101661614 B1 KR101661614 B1 KR 10166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mergency
emergency passage
heat sourc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영
Original Assignee
(주)하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림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하림기술단
Priority to KR102016008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being a simple lens adapted to cooperate with a point-like source for emitting mainly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axis coincident with the main light transmission direction, e.g. convergent or divergent lenses, plano-concave or plano-convex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82Lamps with high-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827Metal halide arc lamps
    • H05B37/029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건물 화재시 대피 경로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비상 통로 내의 특정 구역의 붕괴 위험성을 고려함으로써, 건물 내의 인원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Apparatus for evacuation guidance in emergency fire exi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는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대형 구조의 건물의 경우, 화재발생이 되는 경우라도, 이에 대한 인지가 늦어지게 되며, 대피의 경로가 다양해, 다수의 인원이 한꺼번에 이동하게 되는 공황상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최근 신축되는 건물의 경우 화재시 건물 내의 인원들이 대피할 수 있는 비상 통로 및 대피 경로를 안내해주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의 경우, 단순히 발화점 및 화재의 확산 경로에 기초하여 건물 내부의 인원들에게 비상 통로 내의 대피 경로를 안내해주는 것이 그칠 뿐, 건물 내의 화재가 진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소로 인한 붕괴 위험성 때문에 아직 대피하지 못하고 있는 인원들의 대피 안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기존 건물이나 신축건물에 간단한 구조의 설비를 구축하고, 화재시 건물 내부에 있는 인원들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6-00182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건물 화재시 대피 경로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이미 화재가 진압된 구역의 붕괴 위험성을 고려함으로써, 건물 내의 인원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건물내 화재시 바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에 있어서, 비상 통로 내에 설치되고, 비상 통로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 및 비상 통로 내부의 사람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100)가 취득한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발생여부의 판단, 방화 도어의 작동, 소화 수단의 작동 및 대피 경로의 산출을 수행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 통로 내에 방염제를 분사하는 소화 수단(300),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기초하여 개폐되는 복수 개의 방화 도어(400), 상기 비상 통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200)가 산출한 대피 경로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복수 개의 유도등(500) 및 상기 비상 통로 내부의 구조물 및 상기 비상 통로 내부에 형성된 에어로졸 간의 열적 평형 상태를 깨뜨리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원(60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도등(500)은 빛의 점멸을 통해 비상 통로 내부 중 안내하고자 하는 대피 경로로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도등(500)은 천정 또는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510)와, 상기 고정부(510)의 일측과 결합되고 내부에 발광 다이오드(520)를 수용하는 하우징(540)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520)의 빛을 전방위로 확산시키는 집광 렌즈(550)와, 상기 집광 렌즈(550)를 통과한 빛이 투과하여 비상구 또는 대피 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리도록 형성된 커버(56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소화 수단에 의하여 상기 비상 통로 내의 화염이 모두 제거된 이후 상기 열원(600)을 구동시키되, 상기 열화상 카메라(100)는 상기 열원(600)의 구동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비상 통로 내부를 재촬영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재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 통로 내부의 특정 구역의 붕괴 위험성을 재확인하여 상기 방화 도어 개폐의 제어 및 상기 대피 경로의 재산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원(600)은 텅스텐 할로겐 램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원(6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부(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70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열원(6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열원(600)을 온(On) 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되면 상기 열원(600)에 공급되는 전원의 인가를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비상 통로에 화재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화재발생여부 판단부(210), 상기 소화 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화 수단 제어부(220), 상기 방화 도어(40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화 도어 제어부(230), 상기 유도등(500)의 점등을 제어하는 유도등 제어부(240), 상기 열원(6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열원 제어부(250) 및 상기 비상 통로 내의 화재 상황과, 상기 비상 통로 내에 있는 사람의 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비상 통로 내의 대피 경로를 산출하는 대피 경로 산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가 상기 비상 통로 내부를 촬영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제1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소화 수단(300), 상기 방화 도어(400), 상기 유도등(500)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비상 통로 내부의 사람들의 대피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S200),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소화 수단(300)에 의하여 상기 비상 통로 내의 화염이 모두 제거된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S300),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화염이 모두 제거된 영역 내에 배치된 열원(600)을 온(On) 시키는 단계(S400), 상기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가 상기 화염이 모두 제거된 영역을 재촬영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제2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화 도어(400)의 개폐 및 상기 대피 경로의 재산출을 수행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통로 내에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소화 수단, 방화 도어, 유도등 및 열원을 구비함으로써, 건물 화재시 정확한 대피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비상 통로 내의 인원들의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비상 통로 내에서 소화 수단에 의하여 이미 화재가 진압된 영역의 붕괴 가능성을 고려하여 화재시 대피 경로를 산출 및 안내함으로써, 화재 진압 이후의 비상 통로의 붕괴에 의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이하 '본 장치'라 한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장치의 구성 중 제어부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장치의 구성 중 유도등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장치의 구성 중 제어부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장치의 구성 중 유도등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100), 제어부(200), 소화 수단(300), 방화 도어(400), 유도등(500), 열원(600) 및 전원 공급부(7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열화상 카메라(100)는 비상 통로 내의 여러 영역들을 촬영하기 위하여 비상 통로 내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비상 통로 내부의 화재 발생, 비상 통로 내부의 사람을 촬영한다.
아울러,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는 비상 통로 내부에서 화재 진압 이후의 상황, 즉 소화 수단에 의하여 화재가 진압된 영역에서의 비상 통로 내부의 균열 및 파손 여부 또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200)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가 취득한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발생여부의 판단하거나, 후술할 소화 수단(300), 방화 도어(400), 유도등(500), 열원(600) 및 전원 공급부(7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나아가 대피 경로의 산출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200)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 통로에 화재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화재발생여부 판단부(210), 소화 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화 수단 제어부(220), 방화 도어(40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화 도어 제어부(230), 유도등(500)의 점등을 제어하는 유도등 제어부(240), 열원(6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열원 제어부(250) 및 비상 통로 내의 화재 상황과, 상기 비상 통로 내에 있는 사람의 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비상 통로 내의 대피 경로를 산출하는 대피 경로 산출부(2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화 수단(300)은 상술한 제어부(200), 구체적으로 제어부(200) 내에 포함된 소화 수단 제어부(220)의 제어에 기초하여 비상 통로 내의 방염제를 분사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소화 수단(300)은 화재의 종류와 대응되는 방염제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제어부(200)는 비상 통로 내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 예를 들어 가스감지센서, 온도 센서 및 유독물질감지센서 등으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의 종류를 판별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방화 도어(400)는 비상 통로 내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건물 내에서의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화 도어(400)는 제어부(200), 즉, 방화 도어 제어부(230)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데,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에 의하여 촬영된 발화점, 화염의 이동 경로, 비상 통로 내의 특정 구역에 인원의 존재 여부 등에 기초하여 개폐가 제어되어야 할 것이다.
유도등(500)은 비상 통로 내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제어부(200), 즉 대피 경로 산출부(260)가 산출한 대피 경로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복수 개의 유도등(500)은 각각 빛의 점멸을 통해 비상 통로 내부 중 안내하고자 하는 대피 경로로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재로 인하여 발생된 연기 및 에어로졸로 인한 비상 통로 내부의 비가시 환경 하에서 사람들이 발산하는 빛을 확인할 수 있기 위해서는, 시인성이 높고, 주변을 멀리까지 밝게 전달될 수 있는 유도등(500)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장치에 포함된 유도등(5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10), 하우징(540), 집광 렌즈(550) 및 커버(5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510)는 유도등(500)을 천장 또는 벽에 고정시키는 구성이고, 하우징(540)은 고정부(510)와 결합되는 구성이며, 구체적으로 고정부(510)에 형성된 체결홀(512)에 하우징(540)에 형성된 탄지편(546)이 삽입되어 양 구성이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하여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부(510)와 하우징(540)을 결합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54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520) 및 발광 다이오드(5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쇄회로기판(530)이 수용된다.
발광 다이오드(520)는 고정부(510)와 반대 방향, 즉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할때 아래 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하우징(540)의 내부에는 집광 렌즈(550)가 설치되는데, 집광 렌즈(550)는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5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모아 멀리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의 형태를 갖고 발광 다이오드(520)와 평행한 상태로 발광 다이오드(520)와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540)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끼움홈에는 집광 렌즈(550)를 통과한 빛이 투과하여 비상구 또는 대피 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리도록 형성된 커버(560)가 삽입된다.
이러한 커버(56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측 표면에는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문자, 기호, 도형의 형태로 나타내어 화재 발생시 대피자에게 방향과 대피장소를 알려주고 대피자를 그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를 통하여 비상 통로 내에 화재 발생 여부 및 사람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부(200)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화 수단(300)을 구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또는 방화 도어(400) 및 유도등(500)을 제어하여 비상 통로 내의 사람들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한다.
한편, 본 장치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 화재가 진압된 이후 비상 통로 내의 파손 및 균열 등의 파악 등을 통하여 비상 통로 내의 붕괴 가능성이 있는 구역을 확인하고, 이를 대피 경로의 산출시 반영할 수 있다.
즉, 서모그라피(Thermography) 기법을 이용하여, 비상 통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균열, 박리 등의 결함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화재 발생 후 소화 수단(300)에 의하여 화재가 진압되더라도 비상 통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는 잔열이 남아 있으며, 구조물 중 결함이 있는 부분의 열적 특성의 차이를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로 진단함으로써 비상 통로 내의 붕괴 가능성이 있는 구역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비상 통로에 화재가 발생한 후, 소화 수단(300)이 비상 통로 내에 방염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되면, 에어로졸이 생성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비상 통로 내부는 가시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에어로졸 입자보다 스펙트럼 파장이 큰 적외선 파장대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를 통하여 비상 통로 내부의 구조물을 관측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비상 통로 내의 구조물이 내뿜는 고유의 방사열이 주변 환경과 열적 평형 상태에 있으면,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는 비상 통로 내의 구조물을 제대로 탐지하지 못한다.
즉, 안개에 포함된 미세 입자(aerosol)들이 비상 통로 내부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표면 온도를 뺐어버리기 때문에, 열적 평형 상태가 가속화되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만으로 비상 통로 내부 구조물의 결함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장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상 통로 내부의 구조물 및 비상 통로 내부에 형성된 에어로졸 간의 열적 평형 상태를 깨뜨리기 위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원(60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열원(600)을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가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에 조사하게 되면, 에어로졸 입자와 비상 통로 내부 구조물에 열이 전달된다. 에어로졸은 Life-time이 짧기 때문에 소멸되거나 또는 비상 통로 내부 구조물에 비하여 질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열의 흡수 단면적이 적으므로 열적 평형 상태가 사라지게 된다.
즉, 시간 경과에 의해 에어로졸에 비해 열의 흡수 특성이 좋은 비상 통로 내부 구조물과 에어로졸 사이에 온도 차이가 발생함으로써 열적 평형 상태가 사라지기 때문에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에 의하여 비상 통로 내부 구조물의 영상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열원(600)으로는 빠른 시간 내에 고온의 열을 방사할 수 있는 텅스텐 할로겐 램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장치는 열원(6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70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열원(6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열원(600)을 온(On) 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되면 상기 열원(600)에 공급되는 전원의 인가를 중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시간동안 열원(600)에 의해 열이 방출될 경우 이미 비상 통로 내부의 구조물과 에어로졸 간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 열원(600)의 작동을 중단하더라도 비상 통로 내부의 구조물 확인은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열원(600)을 동작시키는 동안 소모되는 전력량이 크다는 점 및 화재 발생시 비상 전원이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열원을 온(On) 시킨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오프(Off) 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소화 수단에 의하여 비상 통로 내의 화염이 모두 제거되는 경우, 제어부(200)가 열원(600)을 구동시키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는 열원(600)의 구동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 비상 통로 내부를 재촬영함으로써 비상 통로 내부 구조물의 균열, 파손 등의 결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비상 통로 내부의 특정 영역의 붕괴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200)는 파악된 비상 통로 내부의 특정 영역의 붕괴 가능성을 고려하여 방화 도어(400)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또는 대피 경로의 재산출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대피자의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되, 앞서 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먼저 복수 개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가 비상 통로 내부를 촬영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제1 영상을 통하여 비상 통로 내부의 화염 이동 상황 및 발화점 등의 화재 상황과 비상 통로를 통하여 대피하고 있는 사람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0)가 제1 영상에 기초하여 소화 수단(300), 방화 도어(400), 유도등(500)을 제어하는 동시에, 비상 통로 내부의 사람들의 대피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S200) 및 제어부(200)는 소화 수단(300)에 의하여 비상 통로 내의 화염이 모두 제거된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S300)가 수행된다.
이후, 제어부(200)가 화염이 모두 제거된 영역 내에 배치된 열원(600)을 온(On) 시키는 단계(S400) 및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가 화염이 모두 제거된 영역을 재촬영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500)가 수행된다.
제2 영상을 통하여 비상 통로 내부 구조물의 결함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비상 통로 내부 중 특정 영역의 붕괴 가능성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200)가 제2 영상에 기초하여 방화 도어(400)의 개폐 또는 유도등(500)을 제어하고, 나아가 붕괴 위험성이 높은 영역을 회피하기 위하여 대피 경로를 재산출하는 단계(S600)가 수행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구성에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200: 제어부
300: 소화 수단
400: 방화 도어
500: 유도등
600: 열원
700: 전원 공급부

Claims (5)

  1.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에 있어서,
    비상 통로 내에 설치되고, 비상 통로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 및 비상 통로 내부의 사람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100)가 취득한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발생여부의 판단, 방화 도어의 작동, 소화 수단의 작동 및 대피 경로의 산출을 수행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 통로 내에 방염제를 분사하는 소화 수단(300);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기초하여 개폐되는 복수 개의 방화 도어(400);
    상기 비상 통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200)가 산출한 대피 경로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복수 개의 유도등(500); 및
    상기 비상 통로 내부의 구조물 및 상기 비상 통로 내부에 형성된 에어로졸 간의 열적 평형 상태를 깨뜨리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원(600);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도등(500)은 빛의 점멸을 통해 비상 통로 내부 중 안내하고자 하는 대피 경로로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도등(500)은 천정 또는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510)와, 상기 고정부(510)의 일측과 결합되고 내부에 발광 다이오드(520)를 수용하는 하우징(540)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520)의 빛을 전방위로 확산시키는 집광 렌즈(550)와, 상기 집광 렌즈(550)를 통과한 빛이 투과하여 비상구 또는 대피 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리도록 형성된 커버(56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소화 수단에 의하여 상기 비상 통로 내의 화염이 모두 제거된 이후 상기 열원(600)을 구동시키되, 상기 열화상 카메라(100)는 상기 열원(600)의 구동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비상 통로 내부를 재촬영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재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 통로 내의 붕괴 위험성을 재확인하여 상기 방화 도어 개폐의 제어 및 상기 대피 경로의 재산출을 수행하는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원(600)은 텅스텐 할로겐 램프인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원(6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부(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70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열원(6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열원(600)을 온(On) 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되면 상기 열원(600)에 공급되는 전원의 인가를 중지시키는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비상 통로에 화재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화재발생여부 판단부(210);
    상기 소화 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화 수단 제어부(220);
    상기 방화 도어(40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화 도어 제어부(230);
    상기 유도등(500)의 점등을 제어하는 유도등 제어부(240);
    상기 열원(6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열원 제어부(250); 및
    상기 비상 통로 내의 화재 상황과, 상기 비상 통로 내에 있는 사람의 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비상 통로 내의 대피 경로를 산출하는 대피 경로 산출부(260);
    를 포함하는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5. 청구항 1의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가 상기 비상 통로 내부를 촬영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제1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소화 수단(300), 상기 방화 도어(400), 상기 유도등(500)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비상 통로 내부의 사람들의 대피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S200);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소화 수단(300)에 의하여 상기 비상 통로 내의 화염이 모두 제거된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S300);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화염이 모두 제거된 영역 내에 배치된 열원(600)을 온(On) 시키는 단계(S400);
    상기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0)가 상기 화염이 모두 제거된 영역을 재촬영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제2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화 도어(400)의 개폐 및 상기 대피 경로의 재산출을 수행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는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60084625A 2016-07-05 2016-07-05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6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25A KR101661614B1 (ko) 2016-07-05 2016-07-05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25A KR101661614B1 (ko) 2016-07-05 2016-07-05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614B1 true KR101661614B1 (ko) 2016-10-04

Family

ID=5716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625A KR101661614B1 (ko) 2016-07-05 2016-07-05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6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1973A (zh) * 2017-12-01 2019-06-11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城市地下综合管廊智能引导方法及系统
KR102015081B1 (ko) * 2018-07-19 2019-08-27 탑라이트 주식회사 IoT 기반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
CN111243219A (zh) * 2020-01-13 2020-06-05 中山市果度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建筑的防火警报系统
USD965834S1 (en) 2019-10-14 2022-10-04 Hill-Rom Services, Inc. Dome ligh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667A (ko) * 2001-06-05 2002-12-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입 타이어
KR20040076396A (ko) * 2003-02-25 2004-09-01 손재설 피난로 유도 시스템
KR101478691B1 (ko) * 2014-05-28 2015-01-05 (주)금성보안 인텔리전트 빌딩의 화재 확산 지연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3264A (ko) * 2013-11-29 2015-06-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빌딩의 연쇄구조붕괴 징후 기반의 위험등급 분류방법
KR20160018231A (ko) 2014-08-08 2016-02-17 오욱진 소화기/소화전 시뮬레이터를 포함한 자동 소방교육 훈련 및 피난안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667A (ko) * 2001-06-05 2002-12-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입 타이어
KR20040076396A (ko) * 2003-02-25 2004-09-01 손재설 피난로 유도 시스템
KR20150063264A (ko) * 2013-11-29 2015-06-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빌딩의 연쇄구조붕괴 징후 기반의 위험등급 분류방법
KR101478691B1 (ko) * 2014-05-28 2015-01-05 (주)금성보안 인텔리전트 빌딩의 화재 확산 지연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8231A (ko) 2014-08-08 2016-02-17 오욱진 소화기/소화전 시뮬레이터를 포함한 자동 소방교육 훈련 및 피난안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1973A (zh) * 2017-12-01 2019-06-11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城市地下综合管廊智能引导方法及系统
KR102015081B1 (ko) * 2018-07-19 2019-08-27 탑라이트 주식회사 IoT 기반 지하주차장의 비상벨 시스템
USD965834S1 (en) 2019-10-14 2022-10-04 Hill-Rom Services, Inc. Dome light
CN111243219A (zh) * 2020-01-13 2020-06-05 中山市果度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建筑的防火警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614B1 (ko) 건물 화재시 비상 통로에 설치된 대피 유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4350531B (zh) 多模式检测
KR101478691B1 (ko) 인텔리전트 빌딩의 화재 확산 지연 시스템 및 방법
KR101887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JP2013529329A (ja) 投射式方向表示を備える非常用照明システム
KR101319973B1 (ko)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JP6785340B2 (ja)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KR101753116B1 (ko)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US7339488B2 (en) Threshold having safety lights
KR102226530B1 (ko) 소방피난유도장치
NO317973B1 (no) Brannalarm og brannalarmsystem
KR101950333B1 (ko) 비상 조명등
US20050035868A1 (en) Recessed detector assembly for detecting and venting airborne substances
KR101794962B1 (ko)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KR101806168B1 (ko) 비상 대피용 소방 표시등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JP4619228B2 (ja) 隔絶可撓性部材の除染方法、及び該除染方法に用いられる隔絶可撓性部材の凝縮検知装置
Kuznetsov et al. Optimizing firefighting agent consumption and fire suppression time in buildings by forming a fire feedback loop
KR20120138715A (ko) 다기능 화재 감지기
JP6325287B2 (ja)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JP2003130752A (ja) ガス漏れ検知装置
JP2018136977A (ja)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JP6752645B2 (ja) 試験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JP6321403B2 (ja)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KR20100000252A (ko) 멀티 소방 피난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