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207B1 -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207B1
KR101661207B1 KR1020160015641A KR20160015641A KR101661207B1 KR 101661207 B1 KR101661207 B1 KR 101661207B1 KR 1020160015641 A KR1020160015641 A KR 1020160015641A KR 20160015641 A KR20160015641 A KR 20160015641A KR 101661207 B1 KR101661207 B1 KR 10166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structure
frame
fixing
flange
tru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학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Priority to KR102016001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2003/026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04C2003/041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being built up from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관이나 상, 하수도관 등을 이송을 위해 중심부는 트러스 구조물로 제작하고,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양단은 지반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정착단 구조물로 제작하여, 각각 별도로 제작된 트러스 구조물과 정착단 구조물을 시공시 일체로 연결 시공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관을 지지하도록 한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강을 다수 개 배치하여 조립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플랜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는 측면버팀대와, 상기 프레임의 상하면에 연결되는 상하면버팀대로 구성되는 트러스 구조물과;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양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버팀대와, 상기 가이드판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파이프와,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측판과, 상기 외부프레임 내측에 충전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정착단 구조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시공방법은 청구항 제1항 기재의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지반을 소정의 깊이 및 폭으로 절토하여 정착 구조물이 설치될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에 일정높이로 사석을 채우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사석 상에 정착단 구조물을 설치하고,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 고정 후, 성토하는 단계; 크레인을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을 이동하여 정착단 구조물 측면 사이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과 트러스 구조물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내부에 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 상부를 성토 후,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Truss Structure system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전선관이나 상, 하수도관을 이송을 위해 트러스 구조물과 정착단 구조물을 별도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여 시공하는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러스 구조물은 다수의 트러스 부재를 이용하여 공연장, 전시장, 광고탑 및 조형물 등과 같은 구조물을 구축한 것이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물은 봉체형의 트러스바가 단일 봉체이면서 그 일단부에 형성된 볼트로서 결합부재 상에 고정된 하나의 너트에 나사 체결되는 구조로서, 긴 길이의 트러스바를 결합부재상에 고정시키기가 번거로워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결합부재상의 너트가 용접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서 고정된 것으로서, 결합부재상에 별도의 너트를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공정이 수반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특히 트러스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서 너트의 용접부에 균열이 발생되어 구조물이 붕괴될 수 있으므로 용접작업시에 많은 주의가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트러스 구조물은 단위부재로 이루어진 봉체형의 트러스바가 체결되어 구비된 것으로서, 봉체가 아닌 판상 즉, 칸막이부재 등의 구조물은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트러스 구조물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특2002-0077788 트러스 구조물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의한 트러스 구조물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트러스 구조물(1)은 그 중앙부가 관통된 판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프레임(12)이 서로 교차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교차되는 부위에 중공의 보스(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결합부재(10)와; 상기 결합부재(10)의 보스(22)에 고정볼트(100)를 통해서 지지프레임(12) 상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다수의 트러스(30,50,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트러스 구조물(1)은 각 트러스(3, 4, 6)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결합부재(2)나 조인트부재(5)와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트러스 구조물(1)은 각 트러스(3, 4, 6)와 상기 결합수단(2, 5)을 연결한 후, 또 다른 트러스(3, 4, 6)를 연결해야만 하므로, 작업 공수가 늘어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트러스 구조물(1)은 별도의 결합수단(2, 5)이 반드시 구비된 상태에서만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트러스 구조물(1)의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종래의 트러스구조물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특2002-0077788 트러스 구조물이 제안되었다.
도 2는 종래의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은 다수의 트러스를 결합하여 구축되는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로서, 상기 다수의 트러스 각각은 사각 파이프를 이용해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을 연결하는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 후면 및 측면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비스듬하게 연결되며, 원통 파이프로 이루어진 살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후면 및 측면프레임은 각각 상기 다수의 트러스를 서로 결합하도록 다수의 체결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은 단경간 적용할 경우에는 구조역학적으로 큰 문제가 없으나 장경간에 적용할 경우에는 트러스 구조물의 가운데에서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그 내부로 각종 관 등을 설치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처짐을 가속화시켜 트러스 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특2002-0077788(공개일:2002.10.14) 공개실용신안 20-2011-0001689(공개일: 2011.02.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선관이나 상, 하수도관 등을 이송을 위해 중심부는 트러스 구조물로 제작하고,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양단은 지반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정착단 구조물로 제작하여, 각각 별도로 제작된 트러스 구조물과 정착단 구조물을 시공시 일체로 연결 시공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관을 지지하도록 한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강을 다수 개 배치하여 조립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플랜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는 측면버팀대와, 상기 프레임의 상하면에 연결되는 상하면버팀대로 구성되는 트러스 구조물과;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양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버팀대와, 상기 가이드판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파이프와,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측판과, 상기 외부프레임 내측에 충전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정착단 구조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시공방법은 청구항 제1항 기재의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지반을 소정의 깊이 및 폭으로 절토하여 정착 구조물이 설치될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에 일정높이로 사석을 채우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사석 상에 정착단 구조물을 설치하고,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 고정 후, 성토하는 단계; 크레인을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을 이동하여 정착단 구조물 측면 사이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과 트러스 구조물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내부에 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 상부를 성토 후,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형강으로 프레임과 측면버팀대 및 상하면버팀대를 트러스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에 관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측면버팀대 및 상하면버팀대는 축방향력으로 외력과 평형하여 휨 및 전단력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관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형강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제조하고, 상기 프레임에 측면버팀대, 상하면버팀대 및 지지대와 관을 볼트 결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모듈화된 형강을 사용하여 트러스 구조물의 프레임, 측면버팀대 및 상하면버팀대를 용이하게 단시간에 결합 및 조립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지반에 정착단 구조물을 시공하고, 상기 정착단 구조물 간에 트러스 구조물을 볼트 결합하여 시공함으로써, 자중이 크고 경간이 긴 트러스 구조물을 용이하고, 단시간에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러스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트러스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트러스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트러스 구조물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트러스 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트러스 구조물 제작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정착단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정착단 구조물 제작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강(10)을 다수 개 배치하여 조립 형성되는 프레임(14)과, 상기 프레임(14)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플랜지(16)와, 상기 프레임(14)의 측면에 연결되는 측면버팀대(18)와, 상기 프레임(14)의 상하면에 연결되는 상하면버팀대(20)로 구성되는 트러스 구조물(C)과; 상기 트러스 구조물(C)의 양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프레임(92)과,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판(94)과, 상기 가이드판(94)의 일측에 설치되는 플랜지(98)와, 상기 플랜지(98)에 결합되는 버팀대(100)와, 상기 가이드판(9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파이프(102)와, 상기 가이드판(94)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측판(104)과, 상기 외부프레임(92) 내측에 충전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106)로 구성되는 정착단 구조물(9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형강(10)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한 간격 및 직경으로 볼트공(12)이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4)의 내측에 지지대(22)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2) 상에 관(24)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프레임(92) 내측에 형강을 조립하여 형성된 내부프레임(96)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은 트러스 구조물(C)과, 정착단 구조물(9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트러스 구조물(C)은 형강(10)을 일정한 간격 및 직경으로 천공하여 볼트공(12)이 형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하여 형성되는 프레임(14)과; 상기 프레임(14)의 양단부에 볼트 연결되는 플랜지(16)와; 상기 프레임(14)의 측면에 볼트 연결되는 측면버팀대(18)와; 상기 프레임(14)의 상하면에 볼트 연결되는 상하면버팀대(2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물(C)는 형강(10), 프레임(14), 플랜지(16), 측면버팀대(18) 및 상하면버팀대(2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형강(10)은 본 발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부재로서, L형강(10)을 기본으로 하나, 그 단면형상이 ㄷ, 박스, 홈, 채널 형강 등도 사용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형강(10)은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 및 재질에 국한되지 않고 변형하여 적용실시할 수 있으므로 어느 특정 형상이나 재질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4)은 다수 개의 형강(10)을 일정한 간격 및 직경으로 천공하여 볼트공(12)을 형성하고, 볼트공(12)이 형성된 상기 형강(10)을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하여 트러스 구조물(C)의 골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4)은 가장 바람직하게 전체적인 단면형상을 트러스 구조로 하였으며, 상기 트러스구조는 지간이 길고 처짐량도 많기 때문에 소정의 휨에 사하중에 의한 처짐을 고려하여 솟음(camber)을 형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4)은 제작 및 설치상 가장 손쉬운 단면형상인 사각형상으로 하였으나, 미감을 고려하여 단면형상이 원형, 삼각형 등으로 변형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며, 구조적으로 자중을 고려하여 아치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4)의 단면형상을 응용함에 있어서는 구조역학적인 해석을 통해 응용할 수 있으므로 어느 특정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6)는 형강(10)을 이용하여 프레임(14)을 형성할 때, 상기 프레임(14)의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볼트 결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16)의 형상은 사각틀 형상의 판상체로 하였으나, 삼각틀, 오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어느 특정형상에 국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상기 트러스 구조물(C)을 연속적으로 볼트 연결시 상기 플랜지(16)는 연결부재로 사용하고, 최종 트러스 구조물(C) 시공시 정착단 구조물(90)의 측면과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연결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버팀대(18) 및 상하면버팀대(20)는 프레임(14)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에 저항하기 위해 형강(10)으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상기 프레임(14)의 측면과 상하면에 다수개의 측면버팀대(18)와; 상하면버팀대(20)가 볼트 결합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버팀대(18) 및 상하면버팀대(20)는 트러스 구조물의 구조해석하여 적용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측면버팀대(18) 및 상하면버팀대(20)를 트러스 구조물(C)의 구조적인 취약부분에 추가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프레임(14)의 내측에는 별도로 지지대(2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2)에는 상수도관 또는 전선관 등의 각종 관(24)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2)는 트러스 구조물(C) 제작시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트러스 구조물(C) 가설 후에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관(24)도 지지대(22)와 마찬가지로 단위 트러스 구조물(C)에 미리 제작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나중에 트러스 구조물(C)에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정착단 구조물(90)은 형강(10)을 소정의 형상으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외부프레임(92)과,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양단부에 용접 설치되는 가이드판(94)과, 상기 외부프레임 내측에 형강(10)을 조립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용접 설치되는 내부프레임(96)과, 상기 가이드판(94)의 일측에 형강(10)을 상하좌우로 볼트 연결하고, 상기 형강(10)의 타측에 볼트 연결되는 플랜지(98)와, 상기 가이드판(94)과 플랜지(98) 간의 형강(10)에 볼트 결합되는 버팀대(100)와, 상기 가이드판(9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용접 설치되는 가이드파이프(102)와,상기 외부프레임(92)의 측면에 용접 설치되는 측판(104)과, 상기 외부프레임(92) 내측에 충전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10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정착단 구조물(90)도 트러스 구조물(C)과 일체로 공장에서 제작할 수도 있으며, 트러스 구조물(C)을 먼저 제작하고, 정착단 구조물(90)을 제작한 후, 나중에 현장에서 트러스 구조물(C)에 정착단 구조물(90)을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며, 그 제작 순서에 한정을 두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물(C)은 형강(10)으로 프레임(14)과 측면버팀대(18) 및 상하면버팀대(20)를 트러스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14)의 내부에 지지대(22)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22)에 관(24)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측면버팀대(18) 및 상하면버팀대(20)는 축방향력으로 외력과 평형하여 휨?전단력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관(24)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트러스 구조물(C)의 양단에 설치되는 정착단 구조물(90)의 자중에 따라 트러스 구조물(C) 내의 측면버팀대(18) 및 상하면버팀대(20)를 더 조밀하게 설치하여, 구조적으로 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안정되게 각종 관(24)을 거치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트러스 구조물 제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트러스 구조물 제작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물 제조방법은 형강(10)을 일정한 간격 및 직경으로 천공하여 볼트공(12)이 형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하여 형성되는 프레임(14)과; 상기 프레임(14)의 양단부에 볼트 연결되는 플랜지(16)와; 상기 프레임(14)의 측면에 볼트 연결되는 측면버팀대(18)와; 상기 프레임(14)의 상하면에 볼트 연결되는 상하면버팀대(20)로 구성된 트러스 구조물(C)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형강(10)을 일정한 간격 및 직경으로 천공하여 볼트공(1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강(10)을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하여 프레임(14)을 형성함과 동시에 양단부에 플랜지(16)를 볼트연결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14)의 측면에 측면버팀대(18)를 볼트연결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14)의 상하면에 상하면버팀대(20)를 볼트연결하는 단계를 시행하여 트러스 구조물(C)을 제조한다.
즉, 상기한 트러스 구조물(C) 제조방법은 다수개의 형강(10)을 사용하되, 상기 형강(10)에 일정한 간격 및 직경으로 볼트공(12)을 천공하고, 상기 볼트공(12)에 볼트를 삽입하여 조립하되, 상기 형강(10)을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하여 트러스 구조물(C)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4)을 형성하고, 상기 배치된 프레임(14)의 양단부에 전체적으로 판상체로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의 플랜지(16)를 볼트 연결한 후, 상기 프레임(14)의 측면과 상하면에 측면버팀대(18) 및 상하면버팀대(20)를 볼트 연결하여 트러스 구조물(C)를 제조한다.
한편, 상기 트러스 구조물(C)에 필요에 따라 프레임(14)의 내측에 지지대(22)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22)에 각종 관(24)을 고정 설치하여 트러스 구조물(C)를 일체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트러스 구조물(C)은 그 자중이 무거운 관계로 지지대(22)와 관(24)을 현장에서 별도로 프레임(14) 내측에 볼트로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지지대(22) 및 관(24) 결합은 현장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트러스 구조물(C)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정착단 구조물 제작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착단 구조물 제조방법은 형강(10)을 조립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외부프레임(9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양단부에 가이드판(94)을 용접하여 설치하는 단계; 형강(10)을 조립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내부프레임(96)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부프레임(96)을 외부프레임(92) 내측에 설치 후, 용접으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판(94)의 일측에 형강(10)을 볼트 연결하고, 상기 형강(10)의 타측에 플랜지(98)를 볼트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판(94)과 플랜지(98) 간의 형강(10)에 버팀대(100)를 볼트연결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판(9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파이프(102)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측면에 측판(104)을 용접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프레임(92) 내측에 콘크리트(106)를 충전 및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정착단 구조물(90) 제조단계는 형강(10)을 조립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상광하협의 2단의 외부프레임(92)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양단부에 가이드판(94)을 용접하여 설치하고, 상기 형강(10)을 조립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내부프레임(96)을 형성한 후, 상기 외부프레임(92)의 내부에 정착단 내부프레임(96) 설치하고, 용접으로 고정한 후, 상기 가이드판(94)의 일측에 형강(10)을 상하좌우로 볼트 연결하고, 상기 형강(10)의 타측에 플랜지(98)를 볼트 연결한 후, 상기 가이드판(94)과 플랜지(98) 간의 형강(10)에 버팀대(100)를 볼트연결한 후, 상기 가이드판(9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파이프(102)를 용접하여 설치한 후,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측면에 측판(104)을 용접하여 설치한 후, 상기 외부프레임(92) 내측에 콘크리트(106)를 충전 및 양생하여 제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트러스 구조물(C)과 정착단 구조물(90)을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트러스 구조물(C)의 양단에 정착단 구조물(90)을 설치하여 양단에 정착단 구조물(90)이 구비된 트러스 구조물(C)을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트러스 구조물(C)과 정착단 구조물(90)은 후에 시공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트러스 구조물(C)과 정착단 구조물(90)을 별개로 하여 시공과정에서 조립할 수도 있고, 사전에 조립된 양단에 정착단 구조물(90)이 구비된 트러스 구조물(C)를 단순히 크레인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는 트러스 구조물(C)의 전장과 처짐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한 가지 방법에 국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제조방법은 먼저 형강(100을 이용하여 프레임(14)을 제조하고, 상기 프레임(14)에 측면버팀대(18), 상하면버팀대(20) 및 지지대(22)와 관(24)을 볼트결합하여 제조함으로, 모듈화된 형강(10)을 사용하여 트러스 구조물(C)의 프레임(14), 측면버팀대(18) 및 상하면버팀대(20)를 용이하게 단시간에 결합 및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러스 구조물(C)의 플랜지(16) 양단에 정착단 구조물(90)을 볼트결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제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시공방법은 지반(G)을 소정의 깊이 및 폭으로 절토하여 정착 구조물(90)이 설치될 일정한 공간(7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70)에 일정높이로 사석(80)을 채우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9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사석(80) 상에 정착단 구조물(90)을 설치하고,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90) 고정 후, 성토하는 단계; 크레인을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C)을 이동하여 정착단 구조물(90) 측면 사이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90)과 트러스 구조물(C)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트러스 구조물(C)의 내부에 관(24)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90) 상부를 성토 후,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물 시공방법은 정착단 구조물(90)의 거치 공간(70) 형성단계, 사석(80) 채움단계; 정착단 구조물(90) 제조단계; 정착단 구조물(90) 고정단계; 성토단계; 트러스 구조물(C) 거치단계; 정착단 구조물(90)와 트러스 구조물(C) 연결단계; 관(24) 설치단계; 정착단 구조물(90) 마무리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각종 관(24)이 설치된 트러스 구조물(C)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간(70) 형성단계는 대상 지반(G)을 소정의 깊이 및 폭으로 절토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공간(70)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간(70)은 정착단 구조물(9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이어서, 사석(80) 채움단계는 공간(70)에 정착단 구조물(90)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공사로서, 상기 공간(70)에 사석, 자갈, 밤자갈이나 깬 돌을 일정높이로 채우는 단계이다.
이어서, 상기 정착단 구조물(90) 제조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강(10)을 조립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외부프레임(9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양단부에 가이드판(94)을 용접하여 설치하는 단계; 형강(10)을 조립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내부프레임(96)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부프레임(96)을 외부프레임(92) 내측에 설치 후, 용접으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판(94)의 일측에 형강(10)을 상하좌우로 볼트 연결하고, 상기 형강(10)의 타측에 플랜지(98)를 볼트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판(94)과 플랜지(98) 간의 형강(10)에 버팀대(100)를 볼트연결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판(9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파이프(102)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측면에 측판(104)을 용접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프레임(92) 내측에 콘크리트(106)를 충전 및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정착단 제조단계는 형강(10)을 조립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상광하협의 2단의 외부프레임(92)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양단부에 가이드판(94)을 용접하여 설치하고, 상기 형강(10)을 조립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내부프레임(96)을 형성한 후, 상기 외부프레임(92)의 내부에 정착단 내부부프레임(36) 설치하고, 용접으로 고정한 후, 상기 가이드판(94)의 일측에 형강(10)을 상하좌우로 볼트 연결하고, 상기 형강(10)의 타측에 플랜지(98)를 볼트 연결한 후, 상기 가이드판(94)과 플랜지(98) 간의 형강(10)에 버팀대(100)를 볼트연결한 후, 상기 가이드판(9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파이프(102)를 용접하여 설치한 후,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측면에 측판(104)을 용접하여 설치한 후, 상기 외부프레임(92) 내측에 콘크리트(106)를 충전 및 양생하여 제조한다.
이어서, 정착단 구조물(90) 고정단계는 공간(70)에 사석(80) 상에 거치된 정착단 구조물(90)을 상하조절 및 좌우를 정밀하게 조정 및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성토단계는 정착단 구조물(90)가 설치된 공간(70)을 현지토 또는 사석 등을 이용하여 재차 성토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상기 거치단계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 조립된 트러스 구조물(C)를 크레인으로 이동하여 정착단 구조물(90) 사이에 임시로 트러스 구조물(C)를 거치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상기 정착단 구조물(90)와 트러스 구조물(C) 연결단계는 상기 정착단 구조물(90) 간에 거치된 트러스 구조물(C)를 정착단 구조물(90)와 볼트 결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상기 관 설치단계는 트러스 구조물(C)의 내부에 상하수도, 전선 등의 각종 관(24)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상기 정착단 구조물(90)과 트러스 구조물(C)가 조립된 부분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마무리하거나 토사를 충전하여 마무리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시공방법은 지반(G)에 정착단 구조물(90)을 시공하고, 상기 정착단 구조물(90) 간에 트러스 구조물(C)를 볼트 결합하여 시공함으로써, 자중이 큰 트러스 구조물(C)를 용이하고, 단시간에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나 있고, 그들 특허청구범위의 의미중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0: 형강 12: 볼트공
14: 프레임 16: 플랜지
18: 측면버팀대 20: 상하면버팀대
22: 지지대 24: 관
70: 공간 80: 사석
90: 정착단 구조물 92: 외부프레임
94: 가이드판 96: 내부프레임
98: 플랜지 100: 버팀대
102: 가이드파이프 104: 측판
106: 콘크리트 C: 트러스 구조물
G: 지반

Claims (6)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강(10)을 다수 개 배치하여 조립 형성되는 프레임(14)과, 상기 프레임(14)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플랜지(16)와, 상기 프레임(14)의 측면에 연결되는 측면버팀대(18)와, 상기 프레임(14)의 상하면에 연결되는 상하면버팀대(20)로 구성되는 트러스 구조물(C)과;
    상기 트러스 구조물(C)의 양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프레임(92)과, 상기 외부프레임(92)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판(94)과, 상기 가이드판(94)의 일측에 설치되는 플랜지(98)와, 상기 플랜지(98)에 결합되는 버팀대(100)와, 상기 가이드판(9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파이프(102)와, 상기 가이드판(94)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측판(104)과, 상기 외부프레임(92) 내측에 충전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106)로 구성되는 정착단 구조물(9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10)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한 간격 및 직경으로 볼트공(12)이 천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4)의 내측에 지지대(22)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2) 상에 관(24)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92) 내측에 형강을 조립하여 형성된 내부프레임(96)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6. 청구항 제1항 기재의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지반(G)을 소정의 깊이 및 폭으로 절토하여 정착 구조물(90)이 설치될 일정한 공간(7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70)에 일정높이로 사석(80)을 채우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9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사석(80) 상에 정착단 구조물(90)을 설치하고,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90) 고정 후, 성토하는 단계;
    크레인을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C)을 이동하여 정착단 구조물(90) 측면 사이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90)과 트러스 구조물(C)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트러스 구조물(C)의 내부에 관(24)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정착단 구조물(90) 상부를 성토 후,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시공방법.
KR1020160015641A 2016-02-11 2016-02-11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6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41A KR101661207B1 (ko) 2016-02-11 2016-02-11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41A KR101661207B1 (ko) 2016-02-11 2016-02-11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207B1 true KR101661207B1 (ko) 2016-10-04

Family

ID=5716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641A KR101661207B1 (ko) 2016-02-11 2016-02-11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469B1 (ko) * 2020-09-17 2021-07-12 코벡 주식회사 전차선 선로용 가설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2275474B1 (ko) * 2020-09-17 2021-07-12 코벡 주식회사 전차선 선로 위의 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111A (ja) * 2000-09-28 2002-04-10 Nippon Light Metal Co Ltd トラス構造体
KR20020077788A (ko) 2001-11-22 2002-10-14 토인환경디자인 주식회사 트러스 구조물
JP2004263501A (ja) * 2003-03-04 2004-09-24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柱梁接合構造体
KR20110001689U (ko)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 토인애드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KR101052732B1 (ko) * 2011-02-01 2011-08-01 안창일 전단연결재가 미리 형성된 연결판을 이용한 합성파일 및 그 제작방법
KR101580118B1 (ko) * 2015-06-12 2015-12-29 (주)에이치엔피테크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111A (ja) * 2000-09-28 2002-04-10 Nippon Light Metal Co Ltd トラス構造体
KR20020077788A (ko) 2001-11-22 2002-10-14 토인환경디자인 주식회사 트러스 구조물
JP2004263501A (ja) * 2003-03-04 2004-09-24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柱梁接合構造体
KR20110001689U (ko)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 토인애드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KR101052732B1 (ko) * 2011-02-01 2011-08-01 안창일 전단연결재가 미리 형성된 연결판을 이용한 합성파일 및 그 제작방법
KR101580118B1 (ko) * 2015-06-12 2015-12-29 (주)에이치엔피테크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469B1 (ko) * 2020-09-17 2021-07-12 코벡 주식회사 전차선 선로용 가설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2275474B1 (ko) * 2020-09-17 2021-07-12 코벡 주식회사 전차선 선로 위의 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3179B2 (ja) 建屋の建設工法及びルームモジュール
KR102187993B1 (ko)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91637B1 (ko) 강재트러스를 이용한 복합트러스 거더의 제작공법
KR101648008B1 (ko) 프리캐스트 트러스구조체를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61207B1 (ko)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N112177036A (zh) 高度可调的模块化预应力风机基础及其施工方法
CN112127369A (zh) 一种装配式基坑钢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401057B1 (ko) 기둥과 주두와 철골보 및 슬래브로 형성되는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JP4235079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接合部の構造
CN113323189A (zh) 一种基于槽钢连接件的装配式保温节能剪力墙及实施方法
JP5701490B2 (ja) 屋根改修工法及び構造物
CN206942191U (zh) 一种高度可伸缩调节的临时支撑加固组合钢结构
CN110965635B (zh) 一种建筑的支撑结构及分层工业化建筑
KR101696800B1 (ko) 트러스 구조물 설치용 정착구조물 제조방법
KR20150120779A (ko) 철골 일방향 수평구조 프레임용 브라켓
KR101696798B1 (ko) 가설 트러스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210117723U (zh) 一种装配式轻钢地基模块及地基
KR20170051018A (ko) Pc패널을 이용한 기초 트윈 월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JP2001262586A (ja) 住宅の基礎構造
CN220434435U (zh) 快速安装式围挡
CN106285093A (zh) 一种车库布置方式及其结构体系
CN215716238U (zh) 一种用于装配式钢结构住宅建筑的消防箱固定架
KR102310713B1 (ko)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
JPH0841897A (ja) 構築用基礎並びに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