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031B1 - 임팩트 기기 및 이를 분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임팩트 기기 및 이를 분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031B1
KR101661031B1 KR1020140157229A KR20140157229A KR101661031B1 KR 101661031 B1 KR101661031 B1 KR 101661031B1 KR 1020140157229 A KR1020140157229 A KR 1020140157229A KR 20140157229 A KR20140157229 A KR 20140157229A KR 101661031 B1 KR101661031 B1 KR 101661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iston
bush
frame
impac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592A (ko
Inventor
띠모 무또넨
미꼬 헤메레이넨
라르스 깐데린
띠무 히에타까리
Original Assignee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filed Critical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5005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6Hammer pistons; Anvils ; Guide-sleeves fo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02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of the tool-carrier piston type, i.e. in which the tool is connected to an impuls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4Damping the reaction force
    • B25D17/245Damping the reaction force using a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 B25D9/12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comprising a built-in liquid motor, i.e. the tool being driven by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Percussion drilling
    • E21B1/02Surface drives for drop hammers or percussion drilling, e.g. with a cable
    • E21B1/04Devices for revers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cable at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00Drives for drilling, used in the borehole
    • E21B4/06Down-hole impacting means, e.g. hammers
    • E21B4/14Fluid operated ham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065Details regarding assembling of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121Housing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31Sleeve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22Disassembling by apply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팩트 기기 및 파쇄 기기로부터 임팩트 기기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팩트 기기 (12) 는 부시 (16) 를 포함하고 부시 내부에 충격식 피스톤 (21) 이 있다. 임팩트 기기는 파쇄 기기 (15) 의 프레임 (20) 에 형성된 임팩트 기기 공간 내부에 배열된다. 충격식 피스톤은 풀 숄더 (33) 를 구비하여서 복귀 방향 (B) 으로 분리력 (FB) 을 충격식 피스톤으로부터 부시로 전달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부시는 충격식 피스톤에 의해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된다.

Description

임팩트 기기 및 이를 분리하는 방법{IMPACT DEVICE AND METHOD OF DISMOUNT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팩트 기기에 관한 것이다. 임팩트 기기는 조작되고 있는 재료를 파쇄 (breaking) 하기 위한 공구에 임팩트 펄스를 제공하도록 되어있다. 임팩트 기기는, 임팩트 방향 및 복귀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왕복운동하는 물체인 충격식 피스톤 (percussion piston)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파쇄 기기로부터 임팩트 기기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는 보다 구체적으로 독립항들의 전제부들에서 규정된다.
광산 및 다른 작업 현장들에서, 드릴링 기계들은 암면들 (rock surfaces) 및 지반에 보어 홀들을 드릴링하는데 사용된다. 드릴링 공구는 드릴링 기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드릴링 기계는 드릴링 중 공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기를 포함한다. 드릴링 기계는 또한 공구에 임팩트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충격식 기기를 포함한다. 드릴링 기계는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되므로 주기적으로 정비될 필요가 있다. 적어도 베어링들과 시일들 (seals) 은 사용 중 마모된다. 적절한 정비 절차들을 실행하도록, 임팩트 기기는 분리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임팩트 기기들의 분리는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으로 발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개선된 임팩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 목적은 파쇄 기기로부터 임팩트 기기를 분리하는 신규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기기는, 충격식 피스톤이 외부 직경 및 추가로 복귀 방향을 향하는 제 1 카운터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 숄더 (pull shoulder) 를 포함하고, 부시의 내부면은 풀 숄더와 부시의 후방 단부 사이에 로케이팅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섹션을 구비하고, 카운터 섹션은 내부 직경 및 추가로 임팩트 방향을 향하는 제 2 카운터면을 포함하고, 풀 숄더의 외부 직경은 카운터 섹션의 내부 직경보다 크고, 충격식 피스톤이 복귀 방향으로 당겨질 때 풀 숄더의 제 1 카운터면 및 카운터 섹션의 제 2 카운터면이 접하도록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임팩트 기기의 복귀 방향으로 외력을 발생시키고 분리하는 동안 상기 외력을 충격식 피스톤으로 향하게 하는 단계; 및 충격식 피스톤에 의해 프레임 밖으로 부시를 추출하는 단계로 특징짓는다.
개시된 해결책의 사상은, 임팩트 기기 또는 충격식 기기가 적어도 충격식 피스톤, 및 상기 충격식 피스톤이 내부에 배열된 부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부시는, 예를 들어, 착암 기계 또는 파쇄 해머일 수도 있는, 파쇄 기계의 프레임에 지지된다. 부시는 충격식 피스톤에 의해 추출될 수도 있다. 그 후, 외력은 임팩트 기기의 복귀 방향으로 충격식 피스톤에 향하게 된다. 충격식 피스톤은, 어떠한 외력도 부시로 직접 향하게 할 필요없이 외력 효과를 부시로 향하게 한다. 프레임과 부시 사이 지지면들의 상호 치수들은, 부시를 복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허용하도록 치수결정된다. 또한, 부시의 내부면들 및 충격식 피스톤의 외부면들의 상호 치수들은, 충격식 피스톤이 역방향으로 완전히 부시의 내부 공간 밖으로 당겨질 수 없도록 치수결정된다. 개시된 해결책에서 충격식 피스톤은 그것의 주요 용도, 즉 파쇄 공구에 임팩트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 이외에 추출 공구로서 또한 역할을 한다.
개시된 해결책의 장점은, 임팩트 기기의 분리가 빠르고 용이하다는 점이다. 개시된 해결책은, 단지 파쇄 기기의 후방 커버만 제거될 필요가 있으므로, 정비 작동을 작동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리하여, 정비될 때 파쇄 기기의 전체 구조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는 해결책들과 비교해 먼지와 다른 불순물들이 파쇄 기기 안으로 쉽게 유입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팩트 기기는 부시에 충격식 피스톤을 지지하기 위해 충격식 피스톤의 전방 단부 부분에 하나 이상의 전방 베어링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충격식 피스톤의 풀 숄더는 전방 베어링과 충격식 피스톤의 후방 단부 사이에 로케이팅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팩트 기기는 부시를 포함하고 부시의 내부면은 하나 이상의 카운터 섹션들을 구비한다. 부시의 카운터 섹션은 충격식 피스톤의 풀 숄더와 부시의 후방 단부 사이에 로케이팅된다. 또한, 카운터 섹션은, 그것이 부시의 그밖의 다른 내부 직경보다 작도록 치수결정된 내부 직경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충격식 피스톤이 복귀 방향으로 가장 먼 작동 위치까지 이동될 때 풀 숄더와 카운터 섹션은 충격식 피스톤과 부시 사이에 폐쇄 압력 공간을 형성하도록 허용된다. 형성된 폐쇄 압력 공간은 임팩트 기기의 작동 사이클 중 복귀 방향으로 단부 완충부 (end cushioning) 로서 역할을 한다. 이 실시형태 덕분에, 임팩트 기기를 분리할 때뿐만 아니라 임팩트 기기의 정상 사용 및 작업 사이클 중 풀 숄더는 사용가능하다. 임팩트 기기의 기본 구조는 임의의 특정한 숄더들 또는 구조적 특징들 없이 위에서 검토한 분리 특징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풀 숄더는 임팩트 기기의 최전방 압력 챔버 (front most pressure chamber) 에 로케이팅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풀 숄더는 임팩트 방향을 향하는 완충면을 구비한다. 그러면, 충격식 피스톤이 임팩트 방향으로 그것의 작동상 가장 먼 위치로 이동될 때 풀 숄더가 또한 단부 완충부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팩트 기기는 충격식 기기의 작업 압력면들에 영향을 미치는 압력 매체를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제어 밸브는 슬리브형 피스이고 충격식 피스톤과 부시 사이 환형 공간에 로케이팅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시의 외부면은 서로 축선방향으로 떨어져 로케이팅하는 2 개의 원형 지지면들을 구비하고, 둘 다 외부 직경들을 갖는다. 따라서, 부시의 전방 단부는 제 1 지지면을 구비하고 후방 단부는 제 2 지지면을 구비한다. 지지면들은 제한된 축선방향 길이를 가져서, 제 1 지지면은 제 1 축선방향 길이를 가지고 제 2 지지면은 제 2 축선방향 길이를 갖는다. 부시의 외부면은 제 1 지지면과 제 2 지지면 사이에 중간 섹션을 또한 구비한다. 중간 섹션은 또한 제한된 축선방향 길이를 갖는다. 제 1 지지면의 직경은 제 2 지지면의 직경보다 작고, 또한 중간 섹션의 직경은 제 2 지지면의 직경보다 작다. 다시 말해서, 부시의 전방 단부는 가장 작은 외부 직경을 가지고, 중간 섹션은 두 번째로 작은 외부 직경을 가지고, 부시의 후방 단부는 가장 큰 외부 직경을 갖는다. 이것은, 부시의 외부면이 전방 단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부시의 외부면의 형상들 및 치수들의 장점은, 부시의 좁은 전방 단부 부분이 설치하는 동안 가이드부로서 역할을 함에 따라 부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는 점이다. 부시의 전방 단부가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부시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부시와 비교해 부시를 그것의 정확한 위치로 밀어넣는 것이 실질적으로 더 용이하다. 균일한 외부 직경을 갖는 부시는 쉽게 끼여서 움직일 수 없게 될 것이다. 이런 유해한 효과를 이제 회피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시의 외부면은 그것의 단부 부분들에 지지면들을 가지고 지지면들 사이에 중간 섹션을 갖는다. 부시의 지지면들은 파쇄 기기의 프레임의 지지면들에 지지된다. 중간 부분과 파쇄 기기의 프레임 사이에 간극 (clearance) 이 있다. 다시 말해서, 중간 부분은 파쇄 기기의 프레임에 지지되지 않는다. 중간 섹션 및 간극 덕분에, 부시 및 전체 임팩트 기기의 장착은 용이하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시의 중간 섹션의 외부면은 하나 이상의 축선방향 유동 통로들 또는 채널들을 갖는다. 중간 섹션의 외부면은 하나 이상의 그루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시의 중간 섹션의 외부면은 스플라인 구성을 가져서, 그것은 여러 개의 축선방향 스플라인들 및 인접한 스플라인들 사이에 유동 채널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시는 제 1 지지면과 제 2 지지면 중 어느 하나의 가장 긴 축선방향 길이에 비해 적어도 두 배인 전체 축선방향 길이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는 또한 파쇄 기기의 프레임 내부에 부시 및 전체 임팩트 기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시된 임팩트 기기는 착암 기계에 적용된다. 착암 기계는 프레임, 프레임 내부에 배열된 임팩트 기기, 및 회전 기기를 포함한다. 임팩트 기기는 드릴링 기계의 전방 단부에 연결가능한 드릴링 공구에 임팩트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배열된다. 회전 기기는 드릴링 중 그것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공구를 선회시키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시된 해결책은 탑 해머 (top-hammer) 드릴링에 적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시된 해결책은 다운 더 홀 (down-the-hole) 충격식 기기에 적용된다. 소위 DTH-드릴링에서 충격식 기기는 보어 홀 내에 로케이팅된다. 충격식 기기 및 회전 기기는 드릴링 장비의 대향한 단부들에 로케이팅된다. 다운 더 홀 충격식 기기는 또한 DTH-해머로 공지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시된 해결책은 파쇄 해머에 적용되고 이 파쇄 해머에 의해 암석 재료 또는 그밖의 다른 단단한 재료가 회전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파쇄될 수도 있다. 파쇄 기기는 예를 들어 굴착기의 붐 (boom) 에 연결가능한 보조 기기일 수도 있다. 파쇄 해머는 또한 유압 해머로 불릴 수도 있다. 파쇄 해머는 프레임 및 프레임 내부에 배열된 임팩트 기기를 포함한다. 임팩트 기기는 빠르고 용이하게 제거 및 정비될 수도 있으므로, 파쇄 기기의 작동 효율성이 향상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착암 기계 또는 파쇄 해머의 프레임은, 후방 커버를 구비한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후방 커버가 제거될 수도 있고 그 후 프레임 내부의 부시가 충격식 피스톤에 의해 추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팩트 기기는 하나의 단일 피스로서 분리되고, 이 단일 피스는 부시와 충격식 피스톤뿐만 아니라, 충격식 피스톤과 부시 사이에 베어링들과 시일들을 포함한다. 모든 필요한 부품들을 포함한 임팩트 기기는 따라서 하나의 통합체로서 취급될 수도 있는 일종의 임팩트 기기 패키지 또는 카트리지이다. 이 실시형태 덕분에 정비를 필요로 하는 모든 부품들이 동시에 한 번의 추출 운동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다. 그러면, 마모되거나 손상된 임팩트 기기 패키지를 보다 빠르게 새로운 완전한 임팩트 패키지로 바꿀 수도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제거된 임팩트 기기 패키지의 마모되거나 손상된 부품들을 교체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쇄 기기의 프레임이 여전히 작업 기계에 체결되어 있을 때 임팩트 기기가 분리된다. 이 실시형태 덕분에, 착암 기계는 그것을 공급 빔 (feed beam) 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정비받을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파쇄 해머는 굴착기나 유사한 작업 기계의 붐으로부터 그것을 제거하지 않고서 정비받을 수도 있다. 파쇄 기기를 제거하지 않고 정비를 실행할 수도 있을 때, 실질적인 정비 시간의 절약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팩트 기기의 사용 중 후방 커버를 향해 부시를 누르도록 축선방향 힘이 부시에 발생된다. 이것은, 파쇄 기기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체결된 후방 커버에 의해 규정된 위치에 부시가 정확히 위치결정되도록 보장한다. 부시는 후방 커버를 향하는 하나 이상의 작업 압력면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압력 매체의 압력이 언급한 하나 이상의 작업 압력면들에 영향을 미칠 때 언급한 축선방향 힘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부시는 반대 임팩트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 표면적들과 비교해 복귀 방향으로 작용하는 더 큰 압력 표면적들을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 덕분에, 부시 및 부시의 압력 도관들은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서, 임팩트 기기는 설계된 대로 작동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팅 공구 또는 어댑터는 적어도 임팩트 기기의 분리 지속기간 동안 충격식 피스톤의 후방 단부에 체결되어 있다. 피팅 공구는 임팩트 기기를 조립하는 동안에도 역시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충격식 피스톤의 후방 단부 부분은, 별도의 피팅 공구를 충격식 피스톤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지점을 구비한다. 미리 형성된 체결 지점 덕분에, 피팅 공구의 연결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피팅 공구와 충격식 피스톤 사이 연결은 확실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충격식 피스톤의 후방 단부는, 별도의 피팅 공구를 충격식 피스톤의 후방 단부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허용하는 체결 지점을 구비한다. 충격식 피스톤의 최후방 단부면은 체결 지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충격식 피스톤의 후방 단부는 예를 들어 연결 나사산 또는 베이어닛 (bayonet) 커플링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충격식 피스톤은 충격식 피스톤의 후방 단부 부분의 원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 지점을 구비한다. 체결 지점은, 피팅 공구가 클램핑될 수도 있는 노치, 그루브 또는 다른 적합한 리세스일 수도 있다. 피팅 공구는, 충격식 피스톤의 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리세스들로 돌출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그리핑 조들 (gripping jaws)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충격식 피스톤의 최후방 단부는 어떤 체결 지점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팩트 기기는, 적어도 충격식 피스톤 및 부시를 포함하는 하나의 단일 피스로서, 드릴링 기계 또는 파쇄 해머와 같은 파쇄 기기의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는 임팩트 기기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프레임의 후방 커버를 제거하고 프레임 내부로 축선방향 운동에 의해 임팩트 기기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프레임의 후방 단부가 위로 향하는 수직 위치로 파쇄 기기는 선회될 수도 있다. 언급된 선회는 작업 기계의 붐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충격식 피스톤의 후방 단부는 리프팅 기기에 연결되고 그 후 임팩트 기기는 파쇄 기기의 프레임의 후방 단부 위로 리프팅된다. 충격식 피스톤은 프레임의 중심선에 동축으로 위치결정되고 그 후 임팩트 기기는 리프팅 기기에 의해 프레임 내부 공간을 향해 아래로 이동된다. 부싱, 충격식 피스톤, 베어링들 및 시일들 전부 프레임 내부로 침투한다. 임팩트 기기의 장착이 완료될 때, 후방 커버가 장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충격식 피스톤은 장착하는 동안 부시를 수직으로 지지하고 부시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서, 부시는 충격식 피스톤에 매달려 있다.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부시의 전방 단부가 후방 단부보다 작은 외부 치수를 가지도록 부시의 외부면은 설계되고 치수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부시의 외부면은 전방 단부를 향해 점점 가늘어질 수도 있다. 본원에서 이미 위에서 개시한 대로, 부시는 서로 상이한 직경들을 가지는 3 개의 연속 섹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은 개시된 필요한 특징들을 구비한 적합한 해결책들을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은 첨부 도면들에 보다 상세히 나타나 있다.
도 1 은 공급 빔에 배열된 착암 기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굴착기의 붐의 원위 단부에 배열된 파쇄 해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임팩트 기기를 포함하는 파쇄 기기의 후방부를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임팩트 기기를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로, 부시 및 부시 내부에 배열된 충격식 피스톤을 포함한다.
도 5 는 다른 파쇄 기기의 후방부를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단면 C - C 의 개략적 상세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임팩트 기기를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로, 부시 및 부시 내부에 배열된 충격식 피스톤을 포함한다.
도 8a 및 도 8b 는 임팩트 기기의 장착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들이다.
도 9 는 임팩트 기기의 분리에 관한 특징들을 제시한 간략화된 차트이다.
도 10 은 임팩트 기기의 장착에 관한 특징들을 제시한 간략화된 차트이다.
도 11 은 임팩트 기기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파쇄 기기의 후방부를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낸 임팩트 기기의 분리를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명확성을 위해서, 도면들은 개시된 해결책의 몇 가지 실시형태들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식별한다.
도 1 은, 도시되지 않은 가동성 캐리어에 붐 (2) 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는 실현가능한 착암 유닛 (1) 을 보여준다. 착암 유닛 (1) 은 공급 빔 (3) 및 그 위에서 지지되는 착암 기계 (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착암 기계 (4) 는 공급 기기 (5) 에 의해 공급 빔 (3) 에서 이동될 수도 있다. 착암 기계 (4) 는 공구 (7) 를 연결하기 위해 착암 기계 (4) 의 전방 단부에 섕크 (6) 를 포함한다. 공구 (7) 는 하나 이상의 드릴 로드들 (8) 및 공구 (7) 의 원위 단부에 로케이팅된 드릴 비트 (9)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착암 기계 (4) 는 섕크 (6) 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기 (10) 및 섕크 (6) 에 연결된 공구 (7) 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착암 기계 (4) 의 프레임 (11) 안쪽에 임팩트 기기 (12) 가 있고 이 임팩트 기기는 공구 (7) 에 임팩트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왕복운동하는 충격식 피스톤을 포함한다. 드릴링 현장에서, 하나 이상의 드릴 홀들이 착암 유닛 (1) 으로 드릴링된다. 드릴 홀들은 도 1 에 나타난 것처럼 수평 방향으로 또는 수직 방향으로 드릴링될 수도 있다. 개시된 해결책은 탑 해머 드릴링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특징들은 이런 드릴링 기계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운 더 홀 또는 DTH-드릴링으로 공지된 대안적인 드릴링 해결책에서, 임팩트 기기는 보어 홀 내부에 로케이팅된다. 그 후, 임팩트 기기와 회전 기기는 드릴링 장비의 대향한 단부들에 로케이팅된다. 본원에 개시된 특징들은 이 유형의 드릴링 기계들에 또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 는 붐 (2) 을 구비한 굴착기 (13) 를 개시한다. 붐 (2) 의 원위 단부에 파쇄 해머 (14) 가 있고, 파쇄 해머는 파쇄 해머 (14) 의 프레임 (11) 내부에 배열된 임팩트 기기 (12) 를 포함한다. 임팩트 기기 (12) 는 본원에 개시된 해결책에 따른 것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2 개의 상이한 파쇄 기기들 (15), 즉 착암 기계 (4) 및 파쇄 해머 (14) 가 나타나 있다. 전술한 대로, 파쇄 기기 (15) 의 임팩트 기기 (14) 는 개시된 해결책에 따를 수도 있고 위에서 개시된 특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파쇄 기기 (15) 의 프레임 (11) 은 본원에 개시된 특징들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은 임팩트 기기 (12) 를 포함하는 파쇄 기기 (15) 의 후방부를 보여준다. 임팩트 기기 (12) 는 슬리브형 피스인 부시 (16) 를 포함한다. 부시 (16) 는 세장형 (elongated) 물체이고 전체 축선방향 길이 (Ltot), 외부면 (17) 및 내부면 (18) 을 갖는다. 부시 (16) 는, 파쇄 기기 (15) 의 프레임 (20) 의 최후방 단부에 로케이팅된 임팩트 기기 공간 내부에 배열된다. 부시 (16) 내부에 충격식 피스톤 (21) 이 있고, 이 피스톤은 전방 베어링 (22) 과 후방 베어링 (23) 에 의해 부시 (16) 에 지지된다. 작동 중, 충격식 피스톤 (21) 은 공구를 타격하기 위해 임팩트 방향 (A) 으로 전방으로 이동되고 복귀 방향 (B) 으로 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충격식 피스톤 (21) 은 임팩트 기기 (12) 의 작업 사이클 중 왕복운동하고 있다.
임팩트 기기 (12) 는 유압으로 작동되어서 충격식 피스톤 (21) 은 임팩트 방향 (A) 으로 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제 1 작업 압력면들 (24) 및 복귀 방향 (B) 으로 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제 2 작업 압력면들 (25) 을 포함한다. 충격식 피스톤 (21) 은, 작업 압력면들에 작용하는 유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전후로 이동된다. 도 3 에 개시된 해결책에서, 제 1 작업 압력면들 (24) 에 영향을 미치는 압력은 제어 밸브 (26) 에 의해 제어된다. 제 2 작업 압력면들 (25) 에 영향을 미치는 유압은 제어 밸브 (26) 에 의해 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충격식 피스톤의 작업 사이클을 구현하기 위해 후방 압력 챔버 (51) 내 압력뿐만 아니라 전방 압력 챔버 (27) 에 영향을 미치는 압력이 달라지도록 임팩트 기기는 또한 구성될 수도 있다.
유압 압력 매체는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공급 도관 또는 포트 (29) 로 공급되고 압력 매체는 임팩트 기기로부터 배출 도관 또는 포트 (30) 를 통하여 배출된다. 제어 밸브 (26) 는 피스톤 (21) 의 후방 단부 부분 둘레에 배열된 슬리브형 피스일 수도 있다. 제어 밸브 (26) 는 부시 (16) 의 내부면과 충격식 피스톤 (21) 사이에 배열된 환형 밸브 공간에서 임팩트 방향 (A) 및 복귀 방향 (B) 으로 슬라이딩할 수도 있다. 제어 밸브 (26) 는 압력 제어될 수도 있어서 그것은 압력면들을 구비하고, 압력 매체는 작업 사이클에 따라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밸브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면들로 향하게 된다. 부시 (16) 는 제어 밸브 (26) 에 의해 제어된 압력 매체 유동을 향하게 하기 위해 제어 밸브 공간에 반경방향 개구들을 포함한다. 부시 (16) 는 제어 밸브 (26) 의 제어 압력면들로 압력 매체를 향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축선방향 제어 압력 도관들 (31) 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임팩트 기기 (12) 의 작업 사이클의 제어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고 따라서 본원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는다.
임팩트 기기 (12) 는, 부시 (16) 가 충격식 피스톤 (21) 에 의해 프레임 (20) 내부 임팩트 공간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프레임 (20) 의 후방 단부는, 프레임 (20) 의 후방 단부를 폐쇄하는 후방 커버 (32), 또는 대응하는 후방 요소를 구비한다. 후방 커버 (32) 가 제거되었을 때, 임팩트 기기 (12) 는 축선방향 분리력 (FB) 을 충격식 피스톤 (21) 의 후방 단부 부분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밖으로 당길 수 있다. 분리력 (FB) 은 임팩트 기기의 외부에 존재하고, 이것은 실제로 충격식 피스톤 (21) 이 리프팅 기기 또는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또는 보조 기기에 의해 당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충격식 피스톤 (21) 으로부터 부시 (16) 로 분리력 (FB) 을 전달하기 위해서, 충격식 피스톤 (21) 은 풀 숄더 (33) 를 구비한다. 풀 숄더 (33) 는 전방 베어링 (22) 뒤 어딘가에 로케이팅된다. 도 3 에 개시된 해결책에서 풀 숄더 (33) 는 전방 압력 챔버 (37) 에 있다. 대안적으로, 풀 숄더 (33) 는, 제어 밸브 (26) 의 로케이션 및 임팩트 기기 (12) 의 기본 구조에 따라 충격식 피스톤 (21) 의 중간 섹션에 또는 후방 단부 섹션에도 로케이팅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풀 숄더는 전방 베어링 (22) 과 충격식 피스톤 (21) 의 후방 단부 사이에 로케이팅될 수도 있다. 풀 숄더 (33) 는 복귀 방향 (B) 을 향하는 축선방향 제 1 카운터면 (34) 을 포함한다. 부시 (16) 의 내부면 (18) 은 임팩트 방향 (A) 을 향하는 제 2 카운터면 (36) 을 포함하는 카운터 섹션 (35) 을 구비한다. 충격식 피스톤 (21) 이 복귀 방향 (B) 으로 당겨질 때, 충격식 피스톤 (21) 은 부시 (16) 에 대해 이동하고 제 1 카운터면 (34) 은 부시 (16) 의 제 2 카운터면 (36) 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분리력 (FB) 의 힘 효과는 충격식 피스톤 (21) 으로부터 부시 (16) 로 전달되어서 충격식 피스톤 (21) 과 부시 (16) 를 복귀 방향 (B) 으로 축선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시킨다. 풀 숄더 (33) 의 외부 치수는 카운터 섹션 (35) 의 내부 치수보다 커서, 충격식 피스톤 (21) 은 복귀 방향 (B) 으로 부시 (16) 밖으로 완전히 당겨지지 않을 수도 있다. 충격식 피스톤 (21) 이 전방의 가장 먼 위치 가까이 이동할 때 풀 숄더 (33) 는 폐쇄 공간 (38) 을 형성할 수도 있다.
부시 (16) 는 부시 (16) 의 외부면 (17) 에서 지지면들 (39, 40) 에 의해 프레임 (20) 에 지지될 수도 있다. 제 1 지지면 (39) 은 부시 (16) 의 전방 단부 부분에 있고 제 2 지지면 (40) 은 부시 (16) 의 후방 단부 부분에 있다. 제 1 지지면 (39) 은 제 1 축선방향 길이 (L1) 와 제 1 직경 (D1) 을 갖는다. 제 2 지지면 (40) 은 제 2 축선방향 길이 (L2) 와 제 2 직경 (D2) 을 갖는다. 제 1 길이 (L1) 및 제 2 길이 (L2) 는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그 길이들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제 1 직경 (D1) 은 제 2 직경 (D2) 보다 작아서, 부시 (16) 는 좁은 전방 단부와 넓은 후방 단부를 갖는다. 제 1 지지면 (39) 과 제 2 지지면 (40) 사이에 중간 섹션 (41) 이 있을 수도 있고, 이 섹션은 제 3 축선방향 길이 (L3) 와 제 3 외부 직경 (D3) 을 갖는다. 프레임 (20) 은, 부시 (16) 가 배열되는 임팩트 기기 공간을 포함한다. 프레임 (20) 은, 부시 (16) 가 임팩트 기기 공간 내부에 장착될 때 제자리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부시 (16) 의 직경들 (D1, D2) 에 대응하도록 치수결정된 면들을 임팩트 기기 공간에 포함한다. 하지만, 프레임 (20) 과 중간 섹션 (41) 의 외부면 사이에 간극 (42) 이 유지되도록 제 3 직경 (D3) 은 치수결정될 수도 있다. 간극 (42) 은 임팩트 기기 (12) 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도 3 은, 부시 (16) 의 전방 단부에 지지체와 전방 베어링 (22) 을 포함하는 전방 베어링 모듈 (43) 이 있을 수도 있음을 또한 보여준다. 대응하여, 부시 (16) 의 후방 단부는 지지체와 후방 베어링 (23) 을 구비한 후방 베어링 모듈 (4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베어링 모듈들 (43, 44) 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시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베어링 모듈들 (43, 44) 은 충격식 피스톤 (21) 및 부시 (16) 와 동시에 추출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전방 베어링 모듈 (43) 은 그것이 임팩트 기기 (12) 의 다른 부품들과 함께 추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지지될 수도 있다. 이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전방 베어링 모듈 (43) 은 별도의 단계에서 분리된다.
부가적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풀 숄더 (33) 는 도 3 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비교해 다른 곳에 로케이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숄더 (45) 는 풀 숄더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작업 압력면 (24) 은 그러면 제 1 카운터면으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충격식 피스톤이 분리 절차 중 복귀 방향으로 당겨질 때, 그러면 면 (24) 은 부시 (16) 의 면 (46) 에 접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풀 숄더의 제 1 카운터면은 임팩트 기기 (12) 의 정상 작동 사이클 중 댐프닝 (dampening) 부품으로서 역할을 하는데, 왜냐하면 충격식 피스톤 (21) 이 가장 먼 후방 위치로 이동할 때 숄더 (45) 가 폐쇄된 댐프닝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도 3 은,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축선방향 압력 채널들 (49) 에 의해 공급 도관 (29) 에 연결되는 압력면들 (47, 48) 을 부시 (16) 가 포함하는 것을 또한 보여준다. 임팩트 기기 (12) 가 가압될 때 압력면들 (47, 48) 은 복귀 방향 (B) 으로 축선방향 힘을 발생시킨다. 압력면 (47) 은 직경들 (D1, D3) 차이 때문에 존재하고, 대응하여 직경 (D2) 이 직경 (D3) 보다 크기 때문에 압력면 (48) 이 존재한다. 압력면들 및 발생된 힘 덕분에, 부시 (16) 는 작동 중 후방 커버 (32) 를 향해 계속해서 밀린다. 따라서, 부시는 항상 정확한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임팩트 기기는 설계된 대로 작동한다.
본원에서 용어들 전방 및 전방 방향은 임팩트 방향 (A) 을 의미하고, 용어들 후방 및 후방 방향은 복귀 방향 (B) 을 의미한다는 것이 언급된다.
도 4 는, 충격식 피스톤 (21) 의 후방 단부가 피팅 공구를 피스톤 (21) 의 후방 단부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허용하는 체결 지점 (50) 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체결 지점 (50) 은 예를 들어 내부 나사산들 (inner threads) 을 갖는 축선방향 블라인드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충격식 피스톤 (21) 의 후방 단부 부분은 원주 측면들에 하나 이상의 체결 지점들 (5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체결 지점 (50') 은, 피팅 공구에 의한 측방향 그리핑을 허용하는 노치 또는 그루브와 같은 리세스일 수도 있다. 피팅 공구는 예를 들어 클램핑 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 에서, 시일들 (S) 중 일부는 참조 부호들로 표시된다. 도 4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임팩트 기기 (12) 는 하나의 균일한 패키지에 모든 필요한 부품들을 포함하는 모듈식 또는 카트리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임팩트 기기 (12) 는 후방 베어링 모듈 (44) 을 부시 (16) 의 후방 단부에 장착함으로써 예비조립될 수도 있다. 그 후, 충격식 피스톤 (21) 의 후방 단부는 부시 (16) 의 전방 단부에 삽입될 수도 있고 풀 숄더 (33) 가 제 2 카운터면 (36) 에 접할 때까지 후방 방향으로 밀릴 수도 있다. 이 후, 전방 베어링 모듈 (43) 은 부시 (16) 의 전방 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베어링 모듈들 (43, 44) 은 필요한 베어링들 (22, 23) 과 시일들 (S) 을 구비한다.
도 5 내지 도 7 은, 도 3 및 도 4 에 개시된 해결책과 비교해 단지 몇 가지 차이점들만 가지는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확인할 수 있듯이, 도 5 에서 프레임 (20) 은 제어 밸브 (26) 를 통하여 공급 포트 (29) 로부터 후방 압력 챔버 (51) 로 압력 매체를 운반하기 위한 축선방향 압력 채널 (49) 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 부시 (16) 의 중간 섹션 (41) 은, 압력 매체를 공급 포트 (29) 로부터 공간 (53) 으로 그리고 추가로 제어 밸브 (26) 의 제어 하에 후방 압력 공간 (51) 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압력 채널들 (52) 을 구비한다. 이미 위에서 검토한 대로, 중간 섹션 (41) 의 외부면과 부시 (16) 의 내부면 사이에 임팩트 기기 (12) 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한 간극이 있을 수도 있다. 간극 이외에, 중간 섹션 (41) 의 외부면은 하나 이상의 그루브들 (54) 또는 대응하는 유동 통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 에 나타난 것처럼, 중간 섹션 (41) 의 외부면은 스플라인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그러면 반경방향 스플라인들 (55) 사이에 여러 개의 축선방향 그루브들 (54) 을 가질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 는 파쇄 기기 (15) 의 프레임 (20) 으로 임팩트 기기 (12) 의 장착 원리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부시 (16) 의 외부 치수들뿐만 아니라 지지면들 (56a ~ 56c) 의 내부 치수들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과장되어 있다. 부시 (16) 는 전방 단부를 향하여 점점 가늘어지고, 이것은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점점 가늘어지는 제 1 지지면 (39) 은 더 큰 치수들을 가지는 프레임 (20) 의 지지면들 (56b, 56c) 을 쉽게 통과한다.
장착은 수직 위치에서 실행되므로 프레임의 후방 단부는 위로 향하게 될 수도 있다. 후방 커버가 제거되고 임팩트 기기 공간 (57) 은 임팩트 기기 (12) 를 수용하도록 개방된다. 도 8a 에서, 임팩트 기기 (12) 는 리프팅 기기에 의해 프레임 (20) 위로 리프팅되고 임팩트 기기 공간 (57) 의 중심선 (58) 에 위치결정된다. 부시 (16) 는 충격식 피스톤 (21) 의 풀 숄더 (33) 에 의해 지지된다. 피팅 공구 (59) 는 충격식 피스톤 (21) 의 후방 단부에 부착되어서 리프팅 기기에 의한 임팩트 기기의 리프팅 및 취급을 가능하게 한다.
도 8b 에서, 임팩트 기기 (12) 는 내려가고 임팩트 기기 (12) 는 임팩트 기기 공간 (57) 으로 침투 완료된다.
도 9 는, 임팩트 기기의 분리와 관련된 몇 가지 단계들 및 특징들을 나타낸 간략화된 차트를 보여준다. 이 사안들은 본원에서 이미 위에서 개시되어 있다.
도 10 은, 임팩트 기기의 장착과 관련된 몇 가지 단계들 및 특징들을 나타낸 간략화된 차트를 보여준다. 이 사안들은 본원에서 이미 위에서 개시되어 있다.
도 11 은 대안적인 임팩트 기기 (12) 와 부시 (16) 를 보여준다. 위에서 개시된 원리들 및 특징들은 도 11 의 해결책에 또한 적용된다. 하지만, 개시된 임팩트 기기 (12) 에서 충격식 피스톤 (21) 은 어떠한 특별한 후방 베어링 요소도 없이 부시 (16) 에 장착된 베어링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부시 (16) 의 내부면 (18) 은 일체화된 베어링부 (60) 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차이점은, 제어 밸브 (26) 가 부시 (16) 외부에 배열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충격식 피스톤 (21) 의 후방 단부는 풀 숄더 (33) 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는 숄더를 포함한다. 충격식 피스톤 (21) 을 외부 분리력에 의해 복귀 방향 (B) 으로 당길 때, 풀 숄더 (33) 의 제 1 카운터면 (34) 은 부시 (16) 의 제 2 카운터면 (36) 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부시 (16) 는 충격식 피스톤 (21) 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다. 임팩트 기기 (12) 의 분리는 도 12 에 나타나 있다.
도면들 및 관련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그것의 세부사항에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 내에서 달라질 수도 있다.

Claims (16)

  1. 충격식 피스톤 (21; percussion piston) 으로서, 상기 충격식 피스톤은 세장형 (elongated) 물체이고, 압력 매체에 의하여 임팩트 방향 (A) 으로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작업 압력면 (24), 및 복귀 방향 (B) 으로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작업 압력면 (25) 을 구비하고,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은 상기 임팩트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전방 단부 및 상기 복귀 방향을 향하고 있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세장형 물체이고 외부면 (17) 및 내부면 (18) 을 구비한 부시 (16) 로서, 상기 부시 (16) 의 상기 외부면 (17) 에는 상기 부시 (16) 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부시는 임팩트 기기 (12) 로부터 분리된 프레임 (20) 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은 상기 부시 (16)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부시 (16);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을 상기 부시 (16) 에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22); 및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의 상기 작업 압력면들 (24, 25) 을 압력 매체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압력 매체 덕트들을 포함하는 임팩트 기기로서,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은, 상기 복귀 방향 (B) 을 향하는 제 1 카운터면 (34) 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 숄더 (33; pull shoulder) 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 (16) 의 상기 내부면 (18) 은 상기 풀 숄더 (33) 와 상기 부시 (16) 의 후방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 섹션은 상기 임팩트 방향 (A) 을 향하는 제 2 카운터면을 포함하고,
    상기 풀 숄더 (33) 의 외부 직경은 상기 카운터 섹션의 내부 직경보다 크고,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의 상기 후방 단부에는 상기 충격식 피스톤의 상기 후방 단부에 피팅 공구가 연결되도록 허용하는 체결 지점 (50) 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이 상기 복귀 방향 (B) 으로 당겨질 때 상기 풀 숄더 (33) 의 상기 제 1 카운터면 (34) 및 상기 카운터 섹션의 상기 제 2 카운터면 (36) 이 접하도록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기기 (12) 는, 상기 부시 (16) 에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의 전방 단부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베어링 (22) 을 포함하고,
    상기 풀 숄더 (33) 는, 상기 전방 베어링 (22) 과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의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섹션의 상기 내부 직경은 상기 부시 (16) 의 상기 내부면 (18) 에서 가장 작은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이 상기 복귀 방향 (B) 으로 가장 멀리 이동될 때 상기 풀 숄더 (33) 와 상기 카운터 섹션이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과 상기 부시 (16) 사이에 폐쇄 압력 공간을 형성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폐쇄 압력 공간은 상기 임팩트 기기 (12) 의 작동 사이클 중 상기 복귀 방향 (B) 으로 단부 완충부 (end cushion) 로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기기 (12) 는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의 상기 작업 압력면들 (24, 25) 에 영향을 미치는 압력 매체를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 (26)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밸브 (26) 는 슬리브형 피스이고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과 상기 부시 (16) 사이 환형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16) 의 상기 외부면 (17) 은 서로 축선방향으로 떨어져 로케이팅하는 2 개의 원형 지지면들 (39, 40) 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면들 둘 다 외부 직경들 (D1, D2) 을 가지고,
    상기 부시 (16) 의 상기 전방 단부는 제 1 지지면 (39) 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 단부는 제 2 지지면 (40)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면 (39) 은 제 1 축선방향 길이 (L1) 를 가지고 제 2 지지면 (40) 은 제 2 축선방향 길이 (L2) 를 가지고,
    상기 부시 (16) 의 상기 외부면 (17) 은 상기 제 1 지지면 (39) 과 상기 제 2 지지면 (40) 사이에 중간 섹션 (41)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면 (39) 의 상기 직경 (D1) 은 상기 제 2 지지면 (40) 의 상기 직경 (D2) 보다 작고,
    상기 중간 섹션 (41) 의 직경 (D3) 은 상기 제 2 지지면 (40) 의 상기 직경 (D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16) 는, 상기 제 1 지지면 (39) 과 상기 제 2 지지면 (40) 중 어느 하나의 가장 긴 축선방향 길이 (L1, L2) 와 비교해 적어도 두 배인 축선방향 길이 (Ltot)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기기.
  8. 삭제
  9. 착암 기계 (4) 로서,
    프레임 (20);
    상기 프레임 (20) 내부의 임팩트 기기 (12); 및
    상기 프레임 (20) 내부의 회전 기기 (10) 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트 기기 (12) 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암 기계 (4).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20) 은, 후방 커버를 구비한 후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20) 내부 상기 부시 (16) 는, 상기 후방 커버가 제거될 때 복귀 방향 (B) 으로 충격식 피스톤 (21) 에 의해 추출될 수 있도록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암 기계.
  11. 파쇄 해머 (14) 로서,
    프레임 (20); 및
    상기 프레임 (20) 내부의 임팩트 기기 (12) 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트 기기 (12) 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해머 (14).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20) 은, 후방 커버를 구비한 후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20) 내부의 상기 부시 (16) 는, 상기 후방 커버가 제거될 때 복귀 방향 (B) 으로 충격식 피스톤 (21) 에 의해 추출될 수 있도록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해머.
  13. 파쇄 기기 (15) 로부터 임팩트 기기 (12) 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파쇄 기기 (15) 는 적어도 프레임 (20), 상기 프레임 (20) 내부에 배열된 압력 매체가 작동되는 임팩트 기기 (12), 및 상기 프레임 (20) 의 후방 단부에서 후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트 기기 (12) 는 적어도 부시 (16) 와 상기 부시 (16) 내부에 있는 충격식 피스톤 (21) 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후방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임팩트 기기 (12) 의 복귀 방향 (B) 으로 상기 프레임 (20) 내부로부터 상기 임팩트 기기 (12) 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트 기기 (12) 의 상기 복귀 방향 (B) 으로 외부 축선방향 분리력 (FB) 을 발생시키고 상기 분리하는 단계 중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에 상기 외부 축선방향 분리력 (FB) 을 향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에 의해 상기 프레임 (20) 외부로 상기 부시 (16) 를 추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은 제 1 카운터면 (34) 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풀 숄더 (33)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운터면 (34) 은 상기 프레임 (20) 외부로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을 상기 부시 (16) 와 함께 추출하기 위해 상기 부시 (16) 에 구비된 카운터 섹션의 제 2 카운터면 (36) 과 접하도록 허용되는, 상기 추출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파쇄 기기 (15) 로부터 임팩트 기기 (12) 를 분리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16),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및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과 상기 부시 (16) 사이에 베어링들 (22, 23) 과 시일들 (seals) 을 포함하는 하나의 단일 물체로서 상기 임팩트 기기 (12) 를 분리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파쇄 기기 (15) 로부터 임팩트 기기 (12) 를 분리하는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기기 (15) 의 상기 프레임 (20) 이 작업 기계에 체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임팩트 기기 (12) 를 분리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파쇄 기기 (15) 로부터 임팩트 기기 (12) 를 분리하는 방법.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의 후방 단부 부분에 별도의 피팅 공구 (59) 를 연결하는 단계;
    분리력 (FB) 을 상기 피팅 공구 (59) 를 통하여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력 (FB) 을 상기 충격식 피스톤 (21) 에서 적어도 하나의 풀 숄더 (33) 에 의해 상기 부시 (16) 내부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면 (36) 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파쇄 기기 (15) 로부터 임팩트 기기 (12) 를 분리하는 방법.
KR1020140157229A 2013-11-13 2014-11-12 임팩트 기기 및 이를 분리하는 방법 KR101661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92673.5A EP2873489B1 (en) 2013-11-13 2013-11-13 Impact device and method of dismounting the same
EP13192673.5 2013-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92A KR20150055592A (ko) 2015-05-21
KR101661031B1 true KR101661031B1 (ko) 2016-10-10

Family

ID=4958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229A KR101661031B1 (ko) 2013-11-13 2014-11-12 임팩트 기기 및 이를 분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129269A1 (ko)
EP (1) EP2873489B1 (ko)
JP (1) JP5883106B2 (ko)
KR (1) KR101661031B1 (ko)
CN (1) CN104632069B (ko)
AU (1) AU2014259511B2 (ko)
CA (1) CA2869157C (ko)
CL (1) CL2014003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092B1 (ko) * 2013-11-28 2014-07-02 주식회사 엔와이테크 저소음형 유압 타격 장치
KR102224271B1 (ko) * 2014-01-31 2021-03-05 후루까와 로크 드릴 가부시끼가이샤 액압식 타격 장치
FR3037345B1 (fr) * 2015-06-11 2017-06-23 Montabert Roger Appareil hydraulique a percussions
CN106257114B (zh) * 2015-06-19 2018-04-06 山特维克矿山工程机械有限公司 刀具的密封件和密封的方法
WO2017012590A2 (zh) * 2015-07-22 2017-01-26 刘素华 实施采掘机卸冲击件器用往复冲击动力卸冲击件的方法的卸冲击件器往复冲击采掘机
US10201894B2 (en) 2015-09-14 2019-02-12 Caterpillar Inc. Collet hydraulic hammer bushing
TR201806744T4 (tr) * 2015-09-15 2018-06-21 Sandvik Mining & Construction Oy Kaya delme makinesinde düzenleme ve kaya delme makinesinin montaj yöntemi.
KR20180058790A (ko) * 2015-09-30 2018-06-01 제이런 라이엘 맥밀란 퍼쿠션 장치
EP3176447B1 (en) 2015-12-02 2021-07-07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Rock drilling machine with a fastening arrangement comprising a blind nut
WO2017110793A1 (ja) * 2015-12-24 2017-06-29 古河ロックドリル株式会社 油圧打撃装置
BR112020001001B1 (pt) * 2017-07-20 2023-11-14 Mincon International Limited Dispositivo de percussão hidráulica e martelo hidráulico de fundo de poço
GB2564712B (en) * 2017-07-21 2020-01-29 Webster Tech Limited Power Tool
US11110580B2 (en) * 2018-03-22 2021-09-07 James Kevin Panks Pneumatic percussive tool with attachments and method of use thereof
EP3566817B1 (en) * 2018-05-11 2022-08-17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Tool bushing, tool bushing arrangement, breaking hammer and mounting method
CN109267932A (zh) * 2018-11-21 2019-01-25 长沙黑金刚实业有限公司 一种冲击器
CN109372424B (zh) * 2018-12-13 2023-09-29 长江大学 一种连续油管用复合冲击提速钻具
EP3670758B1 (en) * 2018-12-21 2023-12-13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Insert bushing arrangement, breaking hammer and related method
CN109707694B (zh) * 2019-03-01 2019-10-18 山东天瑞重工有限公司 一种液压破碎锤
DE102019116968A1 (de) * 2019-06-18 2020-12-24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antrieb für ein linear zu bewegendes Werkzeug, Blechbauteil sowie Verfahren zum Schneiden eines Blechbauteils
KR102317232B1 (ko) * 2020-01-08 2021-10-22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유압 브레이커
EP4043152B1 (en) * 2021-02-11 2023-09-20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Breaking hammer and method of supporting percussion piston
CN114809915B (zh) * 2022-04-15 2022-11-22 河南理工大学 一种煤层深长孔钻孔封孔测压一体化装置及测压方法
CN114753363A (zh) * 2022-04-19 2022-07-15 浙江永安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带润滑结构的圆形减震冲击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2187A1 (de) 1984-04-02 1985-10-10 Rižskij politechničeskij institut imeni A. Ja. Pelše, Riga Drucklufthammer
JP2010513041A (ja) 2006-12-21 2010-04-30 サンドビク マイニング アンド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オサケ ユキチュア 打撃装置
KR101379573B1 (ko) 2006-12-05 2014-03-31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파쇄 장치 공구의 베어링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9033A (en) * 1974-01-03 1975-08-12 Huisen Allen T Van Pneumatic-kinetic drilling system
CH664730A5 (de) * 1983-07-21 1988-03-31 Sig Schweiz Industrieg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empfung des rueckpralles bei schlagwerkzeugen.
DE3335509C2 (de) * 1983-09-30 1986-05-07 Karl Schaeff GmbH & Co, 7183 Langenburg Gesteinsbrecher-Räumwerkzeug-Kombination für eine Arbeitsmaschine
US4745981A (en) * 1985-07-30 1988-05-24 Consolidated Technologies Corp. Hydraulic impact tool
EP0236721A3 (en) * 1986-03-11 1989-10-25 NITTETSU JITSUGYO CO., Ltd. Hydraulic breaker
JP3023693U (ja) * 1995-10-12 1996-04-23 甲南電機株式会社 油圧ブレーカ
DE19804078A1 (de) * 1998-02-03 1999-08-05 Krupp Berco Bautechnik Gmbh Fluidbetriebenes Schlagwerk
US6032993A (en) * 1998-07-01 2000-03-07 Kwon; Soon Chil Easily disconnectable hoist ring assembly
JP2001287175A (ja) * 2000-04-10 2001-10-16 Ahresty Corp エアハンマー
FI116125B (fi) * 2001-07-02 2005-09-30 Sandvik Tamrock Oy Iskulaite
IES20020794A2 (en) * 2002-10-04 2003-02-19 Minroc Techn Promotions Ltd A down-the-hole hammer
FI115451B (fi) * 2003-07-07 2005-05-13 Sandvik Tamrock Oy Iskulaite ja menetelmä jännityspulssin muodostamiseksi iskulaitteessa
CN2937437Y (zh) * 2006-08-15 2007-08-22 新疆石油管理局钻井工艺研究院 空气冲击锤
US20080099218A1 (en) * 2006-10-26 2008-05-0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ir actuated down-the-hole hammer for rock drilling, a drill bit and a foot valve to be used in the down-the-hole hammer
JP4855215B2 (ja) * 2006-10-31 2012-01-18 古河ロックドリル株式会社 油圧ブレーカの製造方法
US7640998B2 (en) * 2007-03-06 2010-01-05 Howell Jr Richard L Excavation apparatus
FI121221B (fi) * 2008-11-20 2010-08-31 Sandvik Mining & Constr Oy Kallioporakone ja aksiaalilaakerimoduuli
FI121220B (fi) * 2008-11-20 2010-08-31 Sandvik Mining & Constr Oy Kallioporakone ja aksiaalilaakerimoduuli
US7992652B2 (en) * 2009-02-05 2011-08-09 Atlas Copco Secoroc Llc Fluid distributor cylinder for percussive drills
CA2784979C (en) * 2009-12-22 2015-02-03 Hanjin D&B Co.,Ltd. Air hammer for a boring machine
FI123475B (fi) * 2011-09-15 2013-05-31 Sandvik Mining & Constr Oy Iskuvasaran työkalu, iskuvasara ja sen käyttö
DE102012013409A1 (de) * 2012-05-23 2013-11-28 Atlas Copco Construction Tools Gmbh Schlagvorrichtung
US9308635B2 (en) * 2013-01-28 2016-04-12 Caterpillar Inc. Variable volume accumulator
US9151386B2 (en) * 2013-03-15 2015-10-06 Caterpillar Inc. Accumulator membrane for a hydraulic hammer
US10363651B2 (en) * 2015-09-28 2019-07-30 Caterpillar Inc. Hammer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2187A1 (de) 1984-04-02 1985-10-10 Rižskij politechničeskij institut imeni A. Ja. Pelše, Riga Drucklufthammer
KR101379573B1 (ko) 2006-12-05 2014-03-31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파쇄 장치 공구의 베어링
JP2010513041A (ja) 2006-12-21 2010-04-30 サンドビク マイニング アンド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オサケ ユキチュア 打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92A (ko) 2015-05-21
CN104632069A (zh) 2015-05-20
JP2015093379A (ja) 2015-05-18
AU2014259511A1 (en) 2015-05-28
EP2873489B1 (en) 2018-10-24
CA2869157C (en) 2017-01-24
CN104632069B (zh) 2017-10-03
AU2014259511B2 (en) 2016-06-09
JP5883106B2 (ja) 2016-03-09
EP2873489A1 (en) 2015-05-20
CL2014003062A1 (es) 2015-07-10
CA2869157A1 (en) 2015-05-13
US20150129269A1 (en)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031B1 (ko) 임팩트 기기 및 이를 분리하는 방법
KR101028172B1 (ko) 유압 드릴 스트링 장치, 특히 유압 인-홀 암반 드릴링 머신
KR102338147B1 (ko) 신속 해제식 다운-더-홀 해머 드릴 비트 조립체
CA2621022C (en) A percussion hammer for enlarging drilled holes
US9592598B2 (en) Hydraulic hammer having impact system subassembly
US8636088B2 (en) Rock drilling machine and axial bearing module
FI110804B (fi) Menetelmä porauskomponenttien liitosten avaamiseksi ja kallioporakone
CA2744147C (en) Rock drilling machine and axial bearing module
US5348430A (en) Universal chuck for a machine for piercing a tap hole of a shaft furnace
CA2894293C (en) Breaking device
KR20220115787A (ko) 파쇄 해머 및 타격 피스톤을 지지하는 방법
EP3913184B1 (en) Spline lubrication for dth hammers
EP3754153B1 (en) Down the hole drilling assembly and apparatus
CN103189589A (zh) 用于冲击式钻井工具的配件
RU85185U1 (ru) Погружной пневмоударник
CN112969838A (zh) 潜孔锤钻头组件
EP3011127B1 (en) Method in putting together of a down-the-hole drilling apparatus and a down-the-hole drilling apparatus
AU2020200965A1 (en) Ground drilling device, method for making a ground drilling device, method for maintaining a ground drilling device, and use of a ground drilling device
CN116783365A (zh) 钻柄转接器、岩石钻凿机器和方法
IES84417Y1 (en) A percussion hammer for enlarging drilled h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