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986B1 - 자동차의 시트트랙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트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986B1
KR101660986B1 KR1020100073370A KR20100073370A KR101660986B1 KR 101660986 B1 KR101660986 B1 KR 101660986B1 KR 1020100073370 A KR1020100073370 A KR 1020100073370A KR 20100073370 A KR20100073370 A KR 20100073370A KR 101660986 B1 KR101660986 B1 KR 10166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ember
rail
contact
upper rail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523A (ko
Inventor
요시히사 코미야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0007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9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transvers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트랙에 관한 것으로, 차체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과, 상기 로우레일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어퍼레일과, 상기 로우레일과 어퍼레일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어퍼레일을 이송시키는 다수의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 트랙에 있어서, 상기 로우레일의 모서리부의 반경은 그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구름부재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구름부재는 상기 모서리부에 수용될 때, 상기 로우레일의 측면과 밑면에 각각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어퍼레일의 측면 하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접촉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우레일은 상기 어퍼레일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름부재가 로우레일의 밑면과 측면에 2지점 접촉됨과 동시에 어퍼레일에는 1지점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시트의 이동시 시트가 고정되는 어퍼레일의 이동 거리보다 로우레일에서 구름부재의 이동 거리가 짧기져서 로우레일의 길이를 어퍼레일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할 수 있고, 자동차의 소형화와 경량화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트랙{SEAT-TRACK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트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춰서 시트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시트를 전후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시트트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트 중 차량의 앞 열에 배치되어 있는 운전석 및 조수석은 체형에 맞게 시트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 안락함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운전석의 경우 운전자는 신체적인 조건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운전자가 시이트에 앉은 상태에서 핸들과 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 등의 조작이 가장 편리하도록 시트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 맞추어준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고 자세 불안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트랙은 그 상부에 시트를 고정한 이송레일이 고정레일을 활주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그의 단면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트랙은 차체에 고정되는 로우레일(10)과, 시트가 장착되면서 로우레일(10) 속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어퍼레일(20)과, 로우레일(10)과 어퍼레일(20) 사이에 삽입되어 어퍼레일(20)이 로우레일(10) 내에서 원활하게 미끄러지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다수의 구름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로우레일(10)은 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부가 개구되고, 상면(13)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로우레일(10)은 절곡되어 밑면(11)과 양측면(12)과 상면(13)이 형성될 때, 모서리부(14)가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이 모서리부(14)의 반경은 그 모서리부(14)의 중앙부에 구름부재(30)가 접촉될 수 있도록 구름부재(30)의 반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구름부재(30)는 로우레일(10)의 모서리부(14) 내측에 접촉됨과 동시에 어퍼레일(20)의 하단 양쪽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접촉부(21)에 접촉된다.
또한, 구름부재(30)의 중심에서 로우레일(10)의 모서리부(14) 내측에 구름부재(30)가 접촉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는 구름부재(30)의 반경과 동일하고, 구름부재(30)의 중심에서 어퍼레일(20)의 접촉부(21)에 구름부재(30)가 접촉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도 구름부재(30)의 반경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로우레일(10)에서 구름부재(30)가 이동되는 거리는 구름부재(30)에 의해 이동되는 어퍼레일(20)의 이동거리와 같게 된다.
즉,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트랙에서 로우레일(10)과 어퍼레일(20)이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트랙은 로우레일(10)과 어퍼레일(20)이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구조로서, 그 품질과 성능은 안정적이나 시트를 전진시켰을 때, 로우레일(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실내의 미관을 해치게 되고, 최근 자동차 시장에서 경량화와 소형화의 요구에 대하여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로울레일과 어퍼레일 사이에 개재되는 구름부재에 접촉되는 구조를 변경하여, 어퍼레일의 이동거리보다 로우레일에서 이동되는 구름부재의 이동거리를 작게 함으로써, 로우레일의 길이를 어퍼레일의 길이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제품을 경량화,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트랙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과, 상기 로우레일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어퍼레일과, 상기 로우레일과 어퍼레일 사이에 개재되고, 구르면서 상기 어퍼레일을 이송시키는 다수의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 트랙에 있어서, 상기 로우레일의 모서리부의 반경은 그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구름부재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구름부재는 상기 모서리부에 수용될 때, 상기 로우레일의 측면과 밑면에 각각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어퍼레일의 측면 하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접촉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우레일은 상기 어퍼레일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로우레일의 밑면과 측면의 사잇각을 θ라 하고,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로우레일과 상기 구름부재가 접촉되는 지점(P2)중 하나의 지점(P2)을 잇는 선을 L1이라 하며, 상기 구름부재가 접촉되는 상기 로우레일의 2지점을 서로 잇는 연결선에서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에 직교되는 지점(P3)과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을 잇는 선을 L2라 하고, 상기 L1과 L2가 이루는 각도를 α라 할 때, 식 α= 90°- θ / 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구름부재가 상기 어퍼레일에 접촉되는 지점(P1)까지의 거리는 B1이라 하고, 상기 로우레일의 밑면과 측면에 접촉되는 지점(P2)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선에서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에 직교되는 되는 지점(P4)에서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B2이라 할 때, B2 = B1 ×COS (90°- (θ/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름부재의 회전수를 N1이라 할 때, 상기 어퍼레일의 이동거리는 2×B1×π×N1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름부재의 회전수를 N1이라 할 때, 상기 로우레일에 접촉되어 구르는 상기 구름부재의 이동거리는 식 2×B2 × π × N1 또는 2×B1 × COS (90°- (θ/2)) ×π × N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우레일의 밑면과 측면의 사잇각(θ)은 45° ≤θ ≤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름부재가 로우레일의 밑면과 측면에 2지점 접촉됨과 동시에 어퍼레일에는 1지점 접촉이 이루어져서 시트의 이동시 시트가 고정되는 어퍼레일의 이동 거리보다 로우레일에서 구름부재의 이동 거리가 짧아져서 로우레일의 길이를 어퍼레일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할 수 있고, 자동차의 소형화와 경량화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가 고정되는 어퍼레일보다 차체 실내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이 짧게 구성됨으로, 시트의 이동 후에도 로우레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트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트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트랙에서 로우레일의 측면과 밑면의 사잇각이 90°인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트랙에서 로우레일의 측면과 밑면의 사잇각이 60°인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트랙에서 로우레일의 측면과 밑면의 사잇각이 120°인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트랙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트랙에서 로우레일의 측면과 밑면의 사잇각이 90°인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트랙에서 로우레일의 측면과 밑면의 사잇각이 60°인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트랙에서 로우레일의 측면과 밑면의 사잇각이 120°인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트랙은, 로우레일(100)과, 어퍼레일(200)과, 다수의 구름부재(300)로 크게 구성된다.
로우레일(100)은 일정길이로 형성되며,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로우레일(100)은 수회 절곡 형성되어, 밑면(101), 양측면(102), 개구된 윗면(103)으로 구성되고, 그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윗면(103)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로우레일(100)의 윗면(103) 양끝단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로우레일(100)은 윗면(103) 양끝이 개구되어 어퍼레일(200)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어퍼레일(200)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로우레일(100)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단에는 시트(미도시)가 고정된다.
어퍼레일(200)은 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면(201)과 양측면(202)이 구비되고, 하부가 개구되며, 그 양측면(202)의 하단에는 "<, >" 형상의 접촉부(210)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접촉부(210)는 도 3와 같이, 측면(202)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접촉면(211)과, 제1접촉면(211)에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접촉면(212)을 갖는다.
또한, 구름부재(300)는 로우레일(100)과 어퍼레일(200)에 접촉된 상태로 로우레일(100)의 내측 모서리부(104)에 수용되어, 시트의 이동시 로우레일(100)에 대하여 구르면서 어퍼레일(200)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구름부재(300)중 로우레일(100)의 하측 모서리부(104)에 수용되는 구름부재(300)는 로우레일(100)의 밑면(101)과 양측면(102)의 하부에 2지점 접촉됨과 동시에 어퍼레일(200)의 제1접촉면(211)에 1지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름부재(300)중 로우레일(100)의 상측 모서리부(104)에 수용되는 구름부재(300)는 로우레일(100)의 내부 윗면(103)과 양측면(102)의 상부에 접촉됨과 동시에 어퍼레일(200)의 제2접촉면(212)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트랙의 구름부재(300)는 로우레일(100)의 2지점과 어퍼레일(200)의 1지점에서 3지점에 접촉되는 것이다.
로우레일(100)은 그 모서리부(104)가 형성될 때, 모서리부(104)의 내측 반경(R1)은 그 내측에 수용되는 구름부재(300)의 반경(R2)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로우레일(100)의 내측에서 모서리부(104)에 수용되는 구름부재(300)는 로우레일(100)의 2지점에서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로우레일(100)과 어퍼레일(200)에 접촉되는 구름부재(300)와의 관계를 하기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름부재(300)가 미끄러져 회전될 때, 구름부재(300)의 회전축은 구름부재(300)가 접촉되는 어퍼레일(200)의 제1접촉면(211)에서 연장되는 연장선에 평행하게 된다. 또한, 구름부재(300)가 접촉되는 로우레일(100)의 접촉되는 2지점을 연결하는 연결선은 상기 회전축과 상기 연장선에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로우레일(100)의 모서리부(104)를 형성하는 측면(101)과 밑면(102)의 사잇각을 θ라 하고, 로우레일(100)과 구름부재(300)가 접촉되는 지점(P2)중 하나의 지점(P2)과 구름부재(300)의 중심을 잇는 선을 L1이라 하고, 구름부재(300)가 접촉되는 로우레일(100)의 2지점을 서로 잇는 연결선에서 구름부재(300)의 중심에 직교되는 지점(P3)과 구름부재(300)의 중심을 잇는 선을 L2라 하며, 상기 L1과 L2가 이루는 각도를 α라 할 때, 식 α= 90°- θ / 2 을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름부재(300)의 반경을 R2라 하며, 구름부재(300)의 중심에서 구름부재(300)가 어퍼레일(200)의 제1접촉면(211)에 접촉되는 지점(P1)까지의 거리를 B1이라 하고, 로우레일(100)의 밑면(101)과 측면(102)에 접촉되는 지점(P2)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선에서 구름부재(300)의 중심에 직교되는 지점(P3)에서 구름부재(300)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B2라 할 때, B2 = B1 × COS α 즉, B2 = B1 ×COS (90°- (θ/2)) 을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퍼레일(200)에 1지점 접촉되는 구름부재(300)의 중심에서 어퍼레일(200)의 접촉지점(P1)까지의 거리(B1)는 도 4와 같이, 구름부재(300)의 반경(R2)과 같게 된다.
따라서, 구름부재(300)의 회전수를 N1이라 할 때,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는 2×B1(R2)×π×N1 식을 만족하게 되고, 로우레일(100)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구름부재(300)의 이동거리는, 반경이 B2인 구름부재(300)가 굴러서 이동되는 거리와 같으므로, 식 2×B2 × π × N1 또는 2×B1 × COS (90°- (θ/2)) ×π × N1 을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름부재(300)가 접촉되는 로우레일(100)의 모서리부(104)를 구성하는 측면(102)과 밑면(101)이 이루는 사잇각(θ)은 45° ≤ θ ≤ 1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사잇각 θ가 45°이하일 경우에는 로우레일(100)의 측면(102)과 밑면(101)에 구름부재(300)가 압착되어 구름부재(300)의 이동이 어렵게 되고, 사잇각 θ가 120°이상일 경우에는 어퍼레일(200)의 길이에 비하여 로우레일(100)의 길이를 짧게 하고자 하는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와 같이, 구름부재(300)가 접촉되는 로우레일(100)의 모서리부(104)를 구성하는 측면(102)과 밑면(101)은 직각(90도)의 사잇각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어퍼레일(200)에 1지점 접촉되는 구름부재(300)의 중심에서 어퍼레일(200)의 접촉지점(P1)까지의 거리(B1)는 도 5와 같이, 구름부재(300)의 반경(R2)과 같게 된다.
또한, 로우레일(100)의 밑면(101)과 측면(102)에 접촉되는 접촉지점(P2)를 연결하는 연결선에서 구름부재(300)의 중심에 직교되는 되는 지점(P3)에서 구름부재(300)의 중심까지의 거리(B2)는 B2 = B1 × COS(90 - (90/2))°즉, B2 = B1(R2) × COS 45° 가 된다.
따라서, 구름부재(300)의 회전수를 N1이라 할 때, 로우레일(100)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구름부재(300)의 이동거리는, 반경이 B2인 구름부재(300)가 굴러서 이동되는 거리와 같으므로, (2×B2 × π × N1) 즉, (2×B1 × COS 45°×π × N1) 식을 만족하게 된다. 또한,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는 2×B1(R2)×π×N1 식을 만족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는 구름부재(100)의 이동거리보다 (2×B1×π× N1)- (2×B1 × COS 45°×π × N1) 만큼 더 길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탑승자가 시트를 이동시킬 때, 상기 구름부재(300)가 3바퀴를 굴러 이동할 경우에 로우레일(100)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구름부재(300)의 이동거리는 2×B1 × COS 45°×π × 3 이 되고,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는 2×B1×π× 3 이 된다.
상기와 같이, 로우레일(100)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구름부재(300)의 이동거리가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로우레일(100)의 길이를 어퍼레일(2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부재(300)가 2지점 접촉되는 로우레일(100)의 밑면(101)과 측면(102)이 사잇각 60°를 가지고 형성되고, 이 로우레일(100)에서 이동되는 구름부재(300)에 어퍼레일(200)의 접촉부(210)가 1지점 접촉되어 이송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름부재(300)의 중심에서 어퍼레일(200)의 접촉지점(P4)까지의 거리 B3라 할 때, B3은 도 6과 같이, 구름부재(300)의 반경(R2)과 같게 형성된다.
또한, 구름부재(300)가 로우레일(100)의 밑면(101)과 측면(102)에 2지점 접촉되는 접촉지점(P5)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에서 구름부재(300)의 중심에 직교되는 지점(P6)에서 구름부재(300)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B4라 할 때, B4는 B4 = B3×COS(90°- (60/2)) 즉, B4 = B3(R2) × COS 60°가 된다.
따라서, 구름부재(300)의 회전수를 N2이라 할 때, 로우레일(100)에 접촉되어 구르는 구름부재(300)의 이동거리는, 반경이 B3 ×cos60° 인 구름부재(30)가 굴러서 이동되는 거리와 같으므로, 2×B4 × π × N2 즉, 2×B3 × COS 60° ×π × N2 식을 만족하게 된다. 또한, 이 구름부재(300)의 구름에 의해 이동되는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는 2×B3 × π × N2 식을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는 구름부재(100)의 이동거리보다 (2×B3×π× N1)- (2×B3×COS 60°×π × N1) 만큼 더 길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구름부재(300)가 3바퀴를 굴러 이동할 경우에 로우레일(100)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구름부재(300)의 이동거리는 2×B3×COS 60°×π×3 가 되고,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는 2×B3×π×3 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부재(300)가 2지점 접촉되는 로우레일(100)의 밑면(101)과 측면(102)이 사잇각 120°를 가지고 형성되고, 이 로우레일(100)에서 이동되는 구름부재(300)에 어퍼레일(200)의 접촉부(210)가 1지점 접촉되어 이송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름부재(300)의 중심에서 어퍼레일(200)의 접촉지점(P7)까지의 거리 B5라 할 때, B5는 도 7과 같이, 구름부재(300)의 반경(R2)과 같게 형성된다.
또한, 구름부재(300)가 로우레일(100)의 밑면(101)과 측면(102)에 2지점 접촉되는 접촉지점(P8)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에서 구름부재(300)의 중심에 직교되는 지점(P9)에서 구름부재(300)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B6라 할 때, B6은 B6 = B5×COS(90°-(120/2)) 즉, B6 = B5(R2) × COS 30°가 된다.
따라서, 구름부재(300)의 회전수를 N2이라 할 때, 로우레일(100)에 접촉되어 구르는 구름부재(300)의 이동거리는, 반경이 B6 인 구름부재(30)가 굴러서 이동되는 거리와 같으므로, 2×B6 × π × N2 즉, 2×B5 × COS 30° ×π × N2 식을 만족하게 된다. 또한, 이 구름부재(300)의 구름에 의해 이동되는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는 2×B5 × π × N2 식을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는 구름부재(100)의 이동거리보다 (2×B5×π× N1)- (2×B6×COS 30°×π × N1) 만큼 더 길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로우레일(100)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구름부재(300)의 이동거리가 어퍼레일(200)의 이동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로우레일(100)의 길이를 어퍼레일(2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로우레일 101 : 밑면
102 : 측면 103 : 윗면
104 : 모서리부 200 : 어퍼레일
201 : 상면 202 : 측면
210 : 접촉부 211 : 제1접촉면
212 : 제2접촉면

Claims (6)

  1. 차체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과, 상기 로우레일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어퍼레일과, 상기 로우레일과 어퍼레일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어퍼레일을 이송시키는 다수의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트랙에 있어서,
    상기 로우레일의 모서리부의 반경은 그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구름부재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구름부재는 상기 모서리부에 수용될 때, 상기 로우레일의 측면과 밑면에 각각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어퍼레일의 측면 하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접촉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우레일은 상기 어퍼레일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로우레일의 밑면과 측면의 사잇각을 θ도라 하고,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로우레일과 상기 구름부재가 접촉되는 지점(P2)중 하나의 지점(P2)을 잇는 선을 L1이라 하며,
    상기 구름부재가 접촉되는 상기 로우레일의 2지점을 서로 잇는 연결선에서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에 직교되는 지점(P3)과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을 잇는 선의 을 L2라 하고,
    상기 L1과 L2가 이루는 각도를 α라 할 때,
    식 α= 90°- θ / 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트랙.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구름부재가 상기 어퍼레일에 접촉되는 지점(P1)까지의 거리는 B1이라 하고,
    상기 로우레일의 밑면과 측면에 접촉되는 지점(P2)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선에서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에 직교되는 되는 지점(P3)에서 상기 구름부재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B2이라 할 때,
    B2 = B1 ×COS (90°- (θ/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트랙.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의 회전수를 N1이라 할 때,
    상기 어퍼레일의 이동거리는 2×B1×π×N1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트랙.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의 회전수를 N1이라 할 때, 상기 로우레일에 접촉되어 구르는 상기 구름부재의 이동거리는
    식 2×B2 × π × N1 또는 2×B1 × COS (90°- (θ/2)) ×π × N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트랙.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레일의 밑면과 측면의 사잇각(θ)은
    45° ≤ θ ≤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트랙.
KR1020100073370A 2010-07-29 2010-07-29 자동차의 시트트랙 KR10166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70A KR101660986B1 (ko) 2010-07-29 2010-07-29 자동차의 시트트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70A KR101660986B1 (ko) 2010-07-29 2010-07-29 자동차의 시트트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23A KR20120011523A (ko) 2012-02-08
KR101660986B1 true KR101660986B1 (ko) 2016-09-28

Family

ID=4583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370A KR101660986B1 (ko) 2010-07-29 2010-07-29 자동차의 시트트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3336A (zh) * 2018-12-25 2019-02-26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及其座椅的滑轨组件
CN114590179B (zh) * 2022-03-28 2023-10-3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264A (ja) * 2002-12-26 2004-07-22 Shiroki Corp スライドレ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944B2 (ja) * 1992-06-22 2001-04-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7257240A (ja) * 1994-03-28 1995-10-09 Araco Corp シートトラック
KR19980040268A (ko)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차량용 시트 트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264A (ja) * 2002-12-26 2004-07-22 Shiroki Corp スライドレ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23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9769B2 (en) Seating arrangement for a passenger vehicle
CN102398535B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US8100454B2 (en) C-shaped console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US8152231B2 (en) Collapsible seat and system
US20130020459A1 (en) Seat slide apparatus
US20170318971A1 (en) Leg rest apparatus
US20120145869A1 (en) Slide rail device for vehicle seat
US9108550B2 (en) Headrest apparatus for multi-purpose vehicle
US10486570B2 (en) Vehicle headrest
US11613195B2 (en) Boarding and exiting handrail
CN104271391A (zh) 用于车辆座椅的倾斜装置
CN111231782A (zh) 用于车辆的导轨网络
KR101660986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US9802511B2 (en) Vehicle seat slide mechanism
US20120080907A1 (en) Vehicle floor frame structure
JP6020376B2 (ja) シート
US20120193964A1 (en) Armrest structure for vehicle and setting method of armrest height for vehicle
WO2015190274A1 (ja) 乗物用シート
CN103298649A (zh) 用于机动车辆座椅的座椅底架
KR101449153B1 (ko) 자동차의 후석 시트백용 가변 웨빙가이드
KR20160125270A (ko) 오토바이용 리어 캐리어
CN111231783A (zh) 用于车辆的导轨网络
JP2010095143A (ja) 台車
CN205627063U (zh) 玩具车组件、轨道玩具车及轨道车玩具
JP5441146B2 (ja) 乗物シート用アームレス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