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586B1 - 적외선 렌즈 광학계 - Google Patents

적외선 렌즈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586B1
KR101660586B1 KR1020140117533A KR20140117533A KR101660586B1 KR 101660586 B1 KR101660586 B1 KR 101660586B1 KR 1020140117533 A KR1020140117533 A KR 1020140117533A KR 20140117533 A KR20140117533 A KR 20140117533A KR 101660586 B1 KR101660586 B1 KR 101660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fractive power
cell
object side
concav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706A (ko
Inventor
이계승
김건희
허환
현상원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1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5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4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2B13/143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for use with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enses (AREA)

Abstract

이상의 설명은 적외선 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외선 렌즈 광학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며, 초점을 맺는 결상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며, 광경로를 늘려주는 릴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상부의 렌즈 중 하나의 렌즈는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릴레이부의 렌즈 중 하나의 렌즈는 광축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적외선 렌즈 광학계{Infrared-ray lens optical system}
아래의 설명은 적외선 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광학계(optical system)란, 광학의 반사, 굴절 등의 현상을 이용하여 물체의 상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광학계는 예를 들어, 적외선 렌즈 현미경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6631호에는 경통 말단에 위치하며, 관찰 대상 물체에 근접하여 물체의 확대 이미지를 얻는 적외선 대물렌즈군; 및 경통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대물렌즈군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모아 결상시키는 적외선 튜브렌즈군을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대물렌즈군 및 적외선 튜브렌즈군은 0.7 내지 300 ㎛ 파장의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렌즈인 것인, 적외선 렌즈 현미경이 개시된다.
광학계는, 빛의 반사나 굴절을 이용해서 물체의 상(像)을 만들거나 빛에너지를 전송(傳送)하기 위해 반사경·렌즈·프리즘 등으로 구성된다. 광학기계는 이들 광학계를 목적에 맞추어 조립한 것이다. 광학계로는 반사계와 굴절계, 수속계와 발산계의 구분이 있다. 상을 만드는 작용에 착안하여 결상계(結像系)라고도 한다.
실시 예의 목적은, 고해상도 대물렌즈 개발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공차를 효율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적외선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외선 렌즈 광학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며, 초점을 맺는 결상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며, 광경로를 늘려주는 릴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상부의 렌즈 중 하나의 렌즈는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릴레이부의 렌즈 중 하나의 렌즈는 광축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상부는 6개의 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릴레이부는 1개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상부는, 물체 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과, 상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을 구비하는 제1렌즈;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2렌즈; 물체 측에 평판 형상의 평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3렌즈;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4렌즈;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5렌즈; 및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6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부는,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7렌즈를 포함하며, 각각의 렌즈가 번호에 따라 일렬로 나열될 수 있다.
상기 제 4 렌즈는,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6 렌즈 및 제 7 렌즈는, 광축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6 렌즈 및 제 7 렌즈는, 하나의 고정셀에 고정되어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6 렌즈 및 제 7 렌즈 간의 거리는 일정한 상태로, 광축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렌즈 광학계는, 상기 결상부 및 릴레이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렌즈 광학계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셀을 감싸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정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셀은, 상기 복수 개의 렌즈 중 인접한 2개의 렌즈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고해상도 대물렌즈 개발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공차를 효율적으로 보상하기 위하여 셀 단위로 조립하고 그 셀들 중에서 광축에 수직인 공차들에 민감한 제 1 보상자와, 광축에 수평인 공차들에 민감한 제 2 보상자를 이용하여 대물렌즈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설계 시 공차에 대한 부담을 덜게 되어 제작의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들의 최적 설계를 통하여 적외선 대물렌즈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렌즈 광학계에서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렌즈 광학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렌즈 광학계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렌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렌즈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렌즈 광학계에서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렌즈 광학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렌즈 광학계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렌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적외선 렌즈 광학계(100)는, 초점을 맺는 결상부(10)와, 광경로를 늘려주는 릴레이부(20)와, 결상부(10) 및 릴레이부(20)에 포함된 복수 개의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셀(120)과, 고정셀(120)을 감싸는 케이싱(130)과, 케이싱(13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상부(10)는 물체 측에 가깝게 설치되고, 릴레이부(20)는 상측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결상부(10)는 여섯 개의 렌즈로 이루어지고, 릴레이부(20)는 한 개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물체 측에 가깝게 설치된 렌즈부터 상측에 가깝게 설치된 렌즈까지 순차적으로, 제1렌즈(1), 제2렌즈(2), 제3렌즈(3), 제4렌즈(4), 제5렌즈(5), 제6렌즈(6) 및 제7렌즈(7)라고 할 수 있다.
결상부(10)는 제1렌즈(1), 제2렌즈(2), 제3렌즈(3), 제4렌즈(4), 제5렌즈(5) 및 제6렌즈(6)로 구성되고, 순서에 따라 물체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렌즈(1)는 물체 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인 제1a면(1a)과 상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인 제1b면(1b)을 구비하고, 제2렌즈(2)는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인 제2a면(2a)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인 제2b면(2b)을 구비할 수 있다. 제3렌즈(3)는 물체 측에 평판 형상인 제3a면(3a)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인 제3b면(3b)을 구비하고, 제4렌즈(4)는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인 제4a면(4a)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인 제4b면(4b)을 구비할 수 있다. 제5렌즈(5)는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인 제5a면(5a)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인 제5b면(5b)을 구비하고, 제6렌즈(6)는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인 제6a면(6a)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인 제6b면(6b)을 구비할 수 있다.
릴레이부(20)를 구성하는 제7렌즈(7)는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인 제7a면(7a)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인 제7b면(7b)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셀(120)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고정시킬 수 있다. 각각의 셀은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어, 내벽에 렌즈를 고정시킬 수 있다. 각각의 셀은 렌즈의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셀 중 하나 이상의 셀은 복수 개의 렌즈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셀은, 물체 측에 가깝게 설치된 렌즈부터 상측에 가깝게 설치된 렌즈까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셀(121), 제2셀(122), 제3셀(123), 제4셀(124) 및 제5셀(12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셀(121)은 제1렌즈(1)를 고정하고, 제2셀(122)은 제2렌즈(2) 및 제3렌즈(3)를 고정하고, 제3셀(123)은 제4렌즈(4)를 고정하고, 제4셀(124)은 제5렌즈(5)를 고정하고, 제5셀(125)은 제6렌즈(6) 및 제7렌즈(7)를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7렌즈(7)는 결상부(10) 중 하나의 렌즈인 제6렌즈(6)와, 릴레이부(20)의 렌즈인 제7렌즈(7)를 고정시킬 수 있다. 렌즈를 하우징(130)에 조립 시, 레이저를 각 렌즈 표면에 수직 입사시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수직에서 벗어나는 편심차를 이용하여 렌즈를 정렬시키는데, 위와 같이 최대 2개 렌즈를 하나의 셀로 하여 셀 내에 렌즈를 먼저 정렬시킨 후 정렬된 셀들을 이용하여 전체 정렬을 할 수 있다.
제3셀(123)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셀(123)을 이동시킴으로써, 전체 광학계(100)의 공차 보상자 역할을 하는 제4렌즈(4)를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렌즈의 수직 이동보다 제4렌즈(4)의 이동이 전체 광학계에 대하여 민감하므로, 조금만 움직여도 공차에 의해 생기는 성능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제3셀(123)이 보상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제5셀(125)은 광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5셀(125)을 이동시킴으로써, 제5셀(125)에 고정되는 제6렌즈(6) 및 제7렌즈(7)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6렌즈(6) 및 제7렌즈(7)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셀(125)은 나사체결 방식으로 케이싱(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5셀(125)을 회전시킴으로써, 제5셀(125)이 케이싱(13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조립 완료 후, 수정사항이 발생 시 보다 쉽게 분해가 가능하여 수정이 용이한 장점을 갖게 된다. 제5셀(125)을 제 2 보상자라고 할 수도 있다.
케이싱(130)은, 복수 개의 셀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셀(121) 내지 제5셀(125)은 케이싱(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셀(121), 제2셀(122), 제4셀(124) 및 제5셀(125)은 케이싱(13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케이싱(13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3셀(123)은 케이싱(13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셀(123)의 최대 직경은 케이싱(130)의 내벽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3셀(123)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셀(123)이 하우징(130)의 중심에 배치될 때에, 제3셀(123) 및 하우징(130) 사이의 간격은 1mm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3셀(123)이 하우징(130)의 중심에 배치될 때에, 제3셀(123)의 이동 가능 거리는 ± 1mm일 수 있다.
하우징(130) 중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3셀(123)과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조절 홀(13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조절 홀(131)로는 조절 부재(151)가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조절 부재(151)는 조절 홀(131)을 관통하여, 제3셀(123)을 지지할 수 있다. 조절 부재(151)의 삽입 길이에 따라서 제3셀(123)의 이동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조절 홀(131) 및 조절 부재(151)는 예를 들어 나사 구조일 수 있다. 조절 홀(131)은 하우징(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홀(131)은 광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위 구조에 의하면 전체 광학계(100)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제3셀(123)이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보상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싱(130)은, 베이스(14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30)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2)는 베이스(140) 내부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40)는 돌출부(132)가 물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체측 가이드(141)와, 돌출부(132)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측 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물체측 가이드(141) 및 상측 가이드(142)는 돌출부(132)의 양측을 각각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32)로부터 물체측 가이드(141)까지의 거리와, 돌출부(132)로부터 상측 가이드(142)까지의 거리의 합은 4mm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132)는 광축 방향으로 ± 2mm만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32) 및 베이스(140)는 나사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40) 중 돌출부(132)와 접촉되는 부분, 예를 들어 물체측 가이드(141)의 내벽에는 제 1 나사산(141a)이 형성되고, 돌출부(132)에는 제 1 나사산(141a)에 대응하는 제 2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위 구조에 의하면 전체 광학계(100)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케이싱(13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광축 방향으로의 보상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5셀(125)은 상측에서 물체측을 향하여 삽입되는 방법으로 케이싱(1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셀(125)은 케이싱(130)과 나사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제5셀(12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케이싱(13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위 구조에 의하면 나머지 다른 셀들의 조립 여부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제5셀(125)을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5셀(125)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위 구조에 의하면 제5셀(125)은 케이싱(13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5셀(125)은 광축 방향으로의 보상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렌즈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적외선 렌즈 광학계(100)의 제1렌즈(1) 내지 제7렌즈(7)는, 각각 도 8과 같은 거리로 배치되고, 아래의 표 1과 같은 반지름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렌즈번호 렌즈면 번호 반지름(RADIUS) 두꼐(THICKNESS)
1
1a -33.2297 4.90586
1b -25.6755
2
2a 33.87327 4.836973
2b 116.6015
3
3a INFINITY 2.5
3b 43.56378
4
4a 22.11269 5.087912
4b 40.84771
5
5a 15.87445 4.751674
5b 9.0442
6
6a 45.55482 2.5
6b 1027.543
7
7a 10.71507 2.543953
7b 21.40352
도 8 및 표 1과 같이 구성한 적외선 렌즈 광학계(100)는, 전체 광학계 길이가 100mm 이하가 되면서도, 적절한 광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고해상도 대물렌즈 개발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공차를 효율적으로 보상하기 위하여 셀 단위로 조립하고 그 셀들 중에서 광축에 수직인 공차들에 민감한 제 1 보상자와, 광축에 수평인 공차들에 민감한 제 2 보상자를 이용하여 대물렌즈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설계 시 공차에 대한 부담을 덜게 되어 제작의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들의 최적 설계를 통하여 적외선 대물렌즈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며, 초점을 맺는 결상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며, 광경로를 늘려주는 릴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상부의 렌즈 중 하나의 렌즈는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릴레이부의 렌즈 중 하나의 렌즈는 광축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결상부는 6개의 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릴레이부는 1개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렌즈 광학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부는,
    물체 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과, 상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을 구비하는 제1렌즈;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2렌즈;
    물체 측에 평판 형상의 평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3렌즈;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4렌즈;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5렌즈; 및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6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부는,
    물체 측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과, 상측에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구비하는 제7렌즈를 포함하며,
    각각의 렌즈가 번호에 따라 일렬로 나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렌즈 광학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렌즈는,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렌즈 광학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렌즈 및 제 7 렌즈는, 광축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렌즈 광학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렌즈 및 제 7 렌즈는, 하나의 고정셀에 고정되어 동시에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렌즈 광학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렌즈 및 제 7 렌즈 간의 거리는 일정한 상태로, 광축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렌즈 광학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부 및 릴레이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셀을 더 포함하는 적외선 렌즈 광학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셀을 감싸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적외선 렌즈 광학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셀은, 상기 복수 개의 렌즈 중 인접한 2개의 렌즈를 함께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렌즈 광학계.
KR1020140117533A 2014-09-04 2014-09-04 적외선 렌즈 광학계 KR101660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33A KR101660586B1 (ko) 2014-09-04 2014-09-04 적외선 렌즈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33A KR101660586B1 (ko) 2014-09-04 2014-09-04 적외선 렌즈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706A KR20160028706A (ko) 2016-03-14
KR101660586B1 true KR101660586B1 (ko) 2016-09-27

Family

ID=5554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33A KR101660586B1 (ko) 2014-09-04 2014-09-04 적외선 렌즈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6817B (zh) * 2016-11-20 2018-11-16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洛阳电光设备研究所 一种消除红外连续变焦光学系统冷像的光路构型
CN106802479B (zh) * 2017-03-22 2019-09-13 精微视达医疗科技(武汉)有限公司 激光扫描中继镜组及具有该中继镜组的共聚焦显微内窥镜
KR102223469B1 (ko) 2018-12-17 2021-03-05 주식회사 영국전자 광축 일원화 구성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367A (ja) 1999-01-20 2000-08-04 Olympus Optical Co Ltd 鏡枠装置
JP2009053339A (ja) * 2007-08-24 2009-03-12 Nikon Corp 干渉対物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991B1 (ko) * 2009-11-13 2011-10-1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열영상 현미경용 광학계
KR20130052110A (ko) * 2011-11-11 2013-05-2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고분해능 적외선 열영상 현미경용 광학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367A (ja) 1999-01-20 2000-08-04 Olympus Optical Co Ltd 鏡枠装置
JP2009053339A (ja) * 2007-08-24 2009-03-12 Nikon Corp 干渉対物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706A (ko)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3512B2 (ja) レンズアレイユニット、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光走査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書込装置
US9904031B2 (en) Lens module
US6757106B2 (en) Optical lens, optical lens unit, stacked type optical lens, optical system and semiconductor laser apparatus
CN104956555B (zh) 半导体激光器装置
US20130050850A1 (en) Lens module
US20160161699A1 (en) Lens module
US20130038915A1 (en) Erecting equal-magnification lens array plate, optical scanning unit, and image reading device
KR101660586B1 (ko) 적외선 렌즈 광학계
CN104460207B (zh) 一种激光光源及投影显示装置
CN107121781B (zh) 光束整形装置
TW200802185A (en) Optics for an extended depth of field
US8259395B2 (en) Erect life-size lens array
US9921457B2 (en) Lighting device
JP2012103553A (ja) 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光走査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18200468A (ja) 集光光学系
TWI515465B (zh) 光耦合元件及應用光耦合元件之光學模組
JP2011118122A (ja) 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光走査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EP2083298A1 (en) Optical device comprising a compact dispersing system
KR20180025870A (ko) 광학 렌즈, 백라이트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9455B1 (ko) 결상 광학 소자, 결상 광학 어레이 및 화상 판독 장치
US20180156980A1 (en) Fiber optical coupler
CN109471266B (zh) 一种将圆形光束转变成椭圆形光束的调整装置
KR102356807B1 (ko) 카메라 모듈
US7986460B2 (en) Erect life-size lens array
JP2022544500A (ja) 可変倍率型無限焦点テレスコープ要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