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109B1 -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나노파티클 - Google Patents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나노파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109B1
KR101660109B1 KR1020140078399A KR20140078399A KR101660109B1 KR 101660109 B1 KR101660109 B1 KR 101660109B1 KR 1020140078399 A KR1020140078399 A KR 1020140078399A KR 20140078399 A KR20140078399 A KR 20140078399A KR 101660109 B1 KR101660109 B1 KR 10166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sition
nanoparticles
gluco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984A (ko
Inventor
이근용
이장욱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109B1/ko
Priority to US14/748,923 priority patent/US9557332B2/en
Publication of KR2016000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21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group being a small organic molecule
    • A61K49/0036Porphy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5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molecule carrying the fluorescent agent
    • A61K49/0054Macromolecular compounds, i.e. oligomers, polymers, dendri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On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닐보론산 유도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페닐보론산 유도체와 생체적합성 고분자간에 화학적 결합된 양친성 컨쥬게이트로 제조되는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암 조직 내 포도당이 효과적으로 포집되어 암 진단 및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나노파티클{Glucose-sensitive Nano Particle for Cancer Diagnosis and Therapy}
본 발명은 포도당 감응성 기반 암 진단 동시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잠재적 독성을 가진 기존의 조영제 및 항암제를 생체친화적 재료를 통해 암 특이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가능케하는 융합 기술의 하나로 '테라그노시스' 연구 패러다임이 각광받고 있다[1]. 암세포의 경우 정상 세포에 비해 비효율적으로 에너지가 생산되는 와버그 효과 (Warburg Effect)를 나타내며, 이러한 비정상적인 해당작용은 암 세포내 고농도의 포도당 이입을 야기한다[2,3]. 이러한 암세포만의 독특한 생물학전 기전에 입각한 암 진단한 예는 보고되어 왔으나, 세포 대사 조절에 의하여 진단과 동시에 치료에 적용한 예는 아직 보고되어지지 않았다.
한편 소수성을 띄는 페닐아날린 계열 화합물이 포도당과 특이적인 결합하여 소수성 특징을 잃게 된다고 보고되었다[4]. 이러한 현상을 당뇨병 치료에 적용한 예가 연구 보고된 반면[5], 암 진단 및 치료에 적용한 예는 전무하다.
질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종래기술로서 표적지향형 프로브, 조영제, 그리고 치료제가 포함된 생체친화적 전달체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암 특이적 진단 동시 치료가 가능한 고분자 나노입자가 다수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이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조영제의 경우 현재까지 신장 독성과 방사선 노출 같은 잠재적 독성 문제가 끊임없이 문제시 되고 있고, 또한 불가항력적인 항암제의 비특이적 전달에 따른 위험성은 항암제 치료가 아직까지 임상에서 부수적인 치료 방법으로 국한되는 주된 원인이 되어 왔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잠재적 독성 문제를 가지는 기존의 조영제 및 항암제 사용을 배제한 채 암세포 특이적인 생물학적 기전을 이용한 암 특이적 진단 동시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페닐보론산 유도체가 결합된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이 암 조직에 향상 투과 및 지체 효과(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EPR) effect)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달되고, 포도당과 결합하여 암 조직을 영상화하고 암세포 내 에너지 결핍을 유도함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도당 감응성을 기반으로 한 암 진단 동시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b)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결합되어 있고 페닐보론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conjug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진단, 치료 또는 진단 동시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잠재적 독성 문제를 가지는 기존의 조영제 및 항암제 사용을 배제한 채 암세포 특이적인 생물학적 기전을 이용한 암 특이적 진단 동시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페닐보론산 유도체가 결합된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이 암 조직에 향상 투과 및 지체 효과(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EPR) effect)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달되고, 포도당과 결합하여 암 조직을 영상화하고 암세포 내 에너지 결핍을 유도함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도당(글루코오스, Glucose) 감응성을 갖는다. 체내 일반적인 조건 하의 포도당 농도에 대하여는 본 발명인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컨쥬게이트의 입자 구조가 안정하게 유지되지만, 암 조직 환경에서의 상대적인 고농도 포도당 환경에서는 컨쥬게이트의 입자 구조가 유지되지 않는다. 암 세포 내로 이입된 컨쥬게이트 입자가 포도당을 포집하여 효과적으로 호기성 해당작용 (aerobic glycolysis)을 억제시키고, 암 성장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해당억제제 (Anti-glycolysis)인 IAA(iodoacetate)가 미토콘드리아에 타격을 주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가지는 포도당 포집에 의한 해당작용 억제 기전은 세포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종래 항암 약물 또는 조영제의 전달체로서의 역할에 국한되던 생체적합성 고분자 나노입자의 잠재적 독성 문제를 현저히 개선한 약물 비탑재형 나노물질이면서도 탁월한 항암 치료 유효성을 갖는 획기적인 물질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컨쥬게이트는 나노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나노물질이란, 수 나노미터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크기를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그 작용은 암 세포내로 본 발명인 조성물이 이입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지는 바 나노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페닐보론산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낸다:
일반식 1
Figure 112014059757013-pat00001
상기 일반식에서, n은 1-5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은 2-3의 정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n은 2이다. 상기 일반식에서 디하이드록시보로닐기와 아마이드기는 서로 오르쏘(o), 메타(m), 또는 파라(p)에 위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파라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페닐보론산 유도체는 N-(4-페닐보로닉)숙시남산이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생체조직 또는 혈액과 접촉하여 조직을 파괴시키거나 혈액을 응고시키지 않는 조직적합성(tissue compatibility) 및 항응혈성(blood compatibility)을 갖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카르복실기와 화학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기를 포함하며 친수성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카르복실기와 아미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기, 예를 들어 1차, 2차 아미노기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페닐보론산 유도체의 카르복실기와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친수성이며, 소수성 성질을 갖는 본 발명의 페닐보론산 유도체와 결합을 형성하여 친수성부와 소수성부를 모두 포함하는 양친매성 고분자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키토산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본 명세서상의 키토산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 선형 다당류이며, 본 발명에서는 키토산의 친수성을 증대시킨 형태의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59757013-pat00002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글리콜키토산이다. 글리콜키토산은 하기 화학식 2의 고분자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59757013-pat00003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글리콜키토산은 분자량이 150 kDa 내지 350 kDa이다. 본 발명의 글리콜키토산의 분자량은 고분자 사슬의 길이와 연관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컨쥬게이트의 직경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글리콜키토산의 분자량은 이러한 관점에서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200 kDa 내지 300 kDa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페닐보론산 유도체와 생체적합성 고분자간의"결합"은 페닐보론산 유도체의 카르복실기와 생체적합성 고분자간에 형성되는 아미드 결합이다. 본 발명의 아미드 결합 형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카르복실기와 아미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기, 예를 들어 1차 아미노기 또는 2차 아미노기를 갖는다. 페닐보론산 유도체의 카르복실기와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카르복실기와 아미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기 간의 아미드 결합 형성에 의해 양친매성 컨쥬게이트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컨쥬게이트는 15 내지 55의 페닐보론산 유도체 치환도(degree of substitute)를 갖는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치환도"는 글리콜 키토산의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anhydroglucose) 100 유닛 당 페닐보론산 그룹의 수로 정의된다. 15 이상의 치환도를 갖는 경우 컨쥬게이트의 구조적 안정성을 기할 수 있으며, 55를 초과하는 치환도를 갖는 컨쥬게이트는 나노입자 형성에 있어서 다소 어려움이 따르며 효율적이지 못한 면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컨쥬게이트는 자가-집합(self-aggregated)되어 다수의 소수성 코어를 갖는 구형입자(spherical particle)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컨쥬게이트는 양친매성의 성질을 갖는데, 소수성의 성질을 갖는 페닐보론산 유도체 부분이 다수의 내부 코어를 형성하며 안정한 구형입자를 형성한다. 이러한 안정한 구형상은 체내의 일반적인 포도당 농도 환경에서는 그 형상을 유지하며, 암 조직이 가지는 특이적인 고농도 포도당 환경에서 감응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컨쥬게이트는 본 발명의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화학적 표지되거나 상기 컨쥬게이트의 소수성 코어의 내부에 물리적으로 로딩되는 추가적인 형광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형광물질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용어 "화학적 표지"는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의미하며, 화학적 표지의 경우에는 반드시 소수성 코어의 내부에 형성될 필요가 없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형광물질"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클로린 e6(Ce6), 시아닌 염료 시리즈(예를 들어, Cy3, Cy5, 또는 Cy5.5), 플루오로세인과 그 유도체, 로다민과 그 유도체, 루시퍼 엘로우, B-파이토에리쓰린, 9-아크리딘이소티오시아네이트, 루시퍼 엘로우 VS, 4-아세트아미도-4'-이소티오-시아나토스틸벤-2,2'-다이설폰산, 7-다이에틸아미노-3-(4'-이소티오시아토페닐)-4-메틸쿠마린, 석시니미딜-파이렌부티레이트, 4-아세트아미도-4'-이소티오시아나토스틸벤-2,2'- 다이설폰산 유도체, LC™-Red 640, LC™-Red 705, 알렉사 염료 시리즈(Alexa dye series), 리사민,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에리쓰로신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다이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테이트, 1-다이메틸아미노나프틸-5-설포네이트, 1-아닐리노-8-나프탈렌 설포네이트, 2-p-토우이디닐-6-나프탈렌설포네이트, 3-페닐-7-이소시아나토쿠마린, 9-이소티오시아나토아크리딘, 아크리딘 오렌지, N-(p-(2-벤족사조일릴)페닐)멜레이미드, 벤족사디아졸, 스틸벤 및 파이렌 등 형광 유기 물질 및 형광 무기 반도체 나노입자(양자점)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추가적인 형광물질에 의해, 다양한 암 표적 진단 방법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형입자는 평균 직경이 200 nm 내지 400 nm이다. 바람직하게는 구형 입자의 평균 직경은 270-370 nm, 더 바람직하게는 250-350 nm이다. 본 발명의 컨쥬게이트에 대하여, 페닐보론산 유도체의 치환도가 높은 경우 팩킹효과에 의해 구형입자의 평균 직경이 더욱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인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컨쥬게이트는 향상 투과 및 지체 효과 (EPR effect)에 의해 표적 암 조직에 수동적으로 전달되고, 또한 엔도사이토시스에 의해 암세포 내로 이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도당 감응성에 의해 암 세포의 호기성 해당 대사(Glycolytic metabolism)를 억제한다. 암 세포 내로 이입된 컨쥬게이트 입자는 포도당을 포집하여 효과적으로 이들의 해당작용을 억제시키고, 암 성장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해당 작용 억제제인 아이오도아세테이트(Iodoacetate, IAA)가 미토콘드리아에 타격을 주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해당 작용 억제는 세포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인 조성물은 포도당 감응성에 의해 암 조직 특이적 진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암 조직에 향상 투과 및 지체 효과(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EPR) effect)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달되고, 포도당 감응성을 기반으로 포도당과 결합하여 암 조직을 영상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 공지된 또는 앞으로 개발될 체내 고분자 거동을 관찰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통하여 암세포를 관찰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형광 표지된 포도당 감응성 컨쥬게이트와 소광제(BHQ-3, Black hole quencher-3)가 결합된 포도당 비감응성 컨쥬게이트의 혼합 입자를 제조하여 암 세포 내로 전달시키고, 포도당 감응성 컨쥬게이트 입자가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입자가 해리됨에 따라, 소광제 영역에서 벗어나 퀀칭되었던 형광 신호가 복원되는 원리를 통하여 암 특이적 영상화가 가능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이미징 방법들을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DMSO,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정맥내 투여,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투여 또는 국부 투여를 이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신적 투여에 의해 체내 주입된다. 본 발명인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컨쥬게이트는 암세포에 대한 표적지향성을 가지므로 전신적 투여를 통하여 암의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질병 증상의 정도,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1000 mg/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암은 위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대장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뇌암, 전립선암, 골암, 피부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요관암 및 두경부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암이다. 다양한 종류의 암의 일반적인 특성으로서, 정상 세포에 비해 비효율적으로 에너지가 생산되는 와버그 효과(Warburg effect) 상의 비정상적인 해당작용에 의한 고농도의 포도당 이입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인 조성물의 전신적 투여에 의해 다양한 암 세포를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암 진단 동시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독성 문제를 가지는 기존의 조영제 및 항암제 사용을 배제한 채 암세포 특이적인 생물학적 기전을 이용하여 암을 진단 및 치료할 수 있다.
(c) 본 발명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전달 및 영상화됨과 동시에 암세포 내 에너지 결핍을 유도하여 암을 치료할 수 있다.
(d) 본 발명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세포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지 않고, 에너지 대사 경로를 차단하여 암을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800-4000 cm-1 파장 영역에서의 (a) 글리콜 키토산 및 페닐보론산-글리콜 키토산 컨쥬케이트((b) GC-PBA20 및 (c) GC-PBA50)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는 DMSO-d6/D2O 내에 용해된(1:9; v/v) (a)페닐보론산, (b)글리콜 키토산 및 (c) 페닐보론산-글리콜 키토산 컨쥬케이트(GC-PBA-50)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다양한 세포(MDA-MB231, B16-F10, SCC7 및 NIH3T3)에서의 GC-PBA50([고분자]=0(채워진 막대), 100(빈 막대), 200(평행선 막대) 및 500(수직선 막대) μg/ml)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다. 세포들은 9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 상에 배양시키고(5×103 세포/웰) GC-PBA50으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MTT 분석을 통해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였다.
도 4는 치환도 10(삼각형), 20(사각형) 및 50(원)을 갖는 GC-PBA 나노파티클의 PBS 용액 내의 (a)특성 및 (b)안정성을 나타낸다. (c)GC-PBA50 나노파티클의 형태를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PBS 용액 내의 다양한 농도의 (a)GC-PBA20 및 (b)GC-PBA50의 피렌 침강 스펙트럼 (Pyrene excitation spectra)으로 부터의 강도(Intensity) 비율(I339/I333 )을 나타낸다. 390 nm 방출 파장 (Emission wavelength)에서의 침강 스펙트럼을 얻었고, 나노파티클의 CMC 값을 계산하기 위해 333 nm 침강 파장 대비 339 nm 침강 파장에서의 강도 비율과 GC-PBA 농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6은 다양한 농도의 포도당(사각형) 또는 과당(원)에서의 (a)GC-PBA20 및 (b)GC-PBA50의 피렌 침강 스펙트럼으로 부터의 강도(Intensity) 비율(I339/I333 )을 나타낸다. 390 nm 방출 파장에서의 침강 스펙트럼을 얻었고, 임계 해리 농도 값을 계산하기 위해 333 nm에 대한 339 nm의 강도 비율과 다당류 (Polysaccharide) 농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7은 포도당(사각형) 또는 과당(원)의 다양한 농도(0-10 mg/ml)에서의 GC-PBA20 및 (b) GC-PBA50 나노파티클의 사이즈 변화를 나타낸다. 점선은 혈액 내의 일반적인 포도당 수준의 농도를 나타낸다.
도 8은 GC-PBA20 및 GC-PBA50 나노파티클에 로딩된 Ce6의 포도당에 의한 형광물질의 퀀칭(quenching) 및 디-퀀칭(de-quenching) 효과를 나타낸다. 다양한 다당류 농도 하에 Ce6 로딩된 나노파티클(Ce6/폴리머=0.1, w/w)의 형광 이미지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점선은 혈액 내의 일반적인 포도당 수준의 농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다양한 포도당 농도에서의 GC-DOA 나노파티클의 사이즈, CMC 및 GC-DOA의 포도당 감응성과 같은 포도당에 의한 특성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은 (a 및 b) 저 포도당 배지(1 mg/ml) 및 (c 및 d) 고 포도당 배지(5 mg/ml) 환경 하에 (a 및 c) GC-PBA50 및 (b 및 d) GC-PBA20의 암 세포 (SCC7 세포주) 내 이입 거동을 형광 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세포들을 8-웰 챔버 슬라이드(5×103 세포/웰)에 배양시키고, Ce6-로딩된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로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나노파티클]=500 μg/ml). 청색 및 적색은 각각 세포핵 (Nuclei) 및 나노파티클을 나타낸다.
도 11은 살린(사각형), 아이오도아세테이트(삼각형), GC-PBA20 나노파티클(다이아몬드), 및 GC-PBA50 나노파티클(원)으로 처리한 SCC7 세포주에서의 in vitro (a) ATP 함량, (b) 락테이트 분비량 및 (c) LDH 누출 퍼센트 비율을 나타낸다. SCC7 세포주를 24-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배양시키고(5×104 세포/웰), 아이오도아세테이트 또는 나노파티클을 1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아이오도아세테이트]=200 μg/ml, [나노파티클]=500 μg/ml).
도 12는 Control 배지(사각형), GC-DOA(다이아몬드), GC-PBA20 나노파티클(삼각형) 및 GC-PBA50 나노파티클(원)로 매일 처리한 SCC7 세포주의 in vitro 생장 거동을 나타낸다. 나노파티클은 저 포도당 배지(채워진 도형) 및 고 포도당 배지(빈 도형)에서 각각 분산시켰다. SCC7 세포주를 24-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2×103 세포/웰)에 배양시켰고, 나노파티클을 7일 동안 매일 웰에 처리하였다([나노파티클]=500 μg/ml).
도 13은 미정맥으로 주입된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의 in vivo 생체 내 분포 거동을 나타낸다. 종양을 갖는 마우스를 마우스의 등 부위에 SCC7 세포주(1.0×106/마우스)를 피하 접종하여 확립하였다. Ce6 용액 또는 Ce6 로딩된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을 마우스내로 정맥주사 하였다(10 mg/kg). (a) 주입 2일 후, 정상 조직(간, 폐, 지라, 신장 및 심장) 및 종양 조직의 ex vivo 이미지를 나타낸다. (b) 상대적인 형광 강도로부터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의 in vivo 종양 특이적 침적 효능을 정량 평가하였다.
도 14는 GC-PBA50 나노파티클의 포도당에 의한 선택적 in vitroin vivo 영상 효과를 나타낸다. (a) 소광제(BHQ-3, Black hole quencher-3)가 도입된 포도당 비감응성 고분자(BHQ3-GC-DOA50)가 혼합된 포도당 감응성 (GC-PBA50) 및 비감응성 (GC-DOA50)나노파티클의 in vitro 포도당 선택적 형광 신호 복원 거동을 나타낸다. (b) 상기 혼합 나노파티클의 미정맥 주입(10 mg/kg)을 통해 암 조직으로 침적된 나노파티클들의 in vivo 영상 효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a) 종양 부피, (b) 최종 종양 무게 및 (c) 살린(사각형), 도세탁셀(Docetaxel,역삼각형), GC-DOA 나노파티클(다이아몬드), GC-PBA20 나노파티클(삼각형) 및 GC-PBA50 나노파티클(원)을 주입한(10 mg/kg 폴리머/마우스; 1주당 5회 정맥 주입) 마우스들의 체중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6는 (a) 살린, (b) GC-DOA50 나노파티클, (c) 도세탁셀, (d) GC-PBA20 나노파티클, (e) GC-PBA50 나노파티클을 처리한 마우스로부터 적출된 종양 조직의 H&E 염색 및 TUNEL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스케일 막대 100 μm). 종양 조직을 -20℃에서 10 μm 두께 섹션으로 절삭하여 조직 섹션을 만들어 염색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방법
실시예 1: 실험 재료
글리콜 키토산(MW=250 kDa; DD=82.7%), N-(4-페닐보로닉)숙시남산(N-(4-Phenylboronic)succinamic acid, PBA), 디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DOA), 포도당, 과당, 소듐아이오도아세테이트, 포타슘 브로마이드, 산화 중수소(D2O), DMSO-d6, Ce6(Chlorin e6), DMSO 및 EDC(1-ethyl-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및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는 시그마-알드리히사(Sigma-Aldrich)로부터 구입하였다. 도세탁셀, 설포-
NHS(N-hydroxysulfosuccinimide) 및 피렌(pyrene)은 LC laboratories Co., Thermo 및 Fluka로부터 각각 구입하였다.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트립신-EDTA 및 소태아혈청(FBS)은 Gibco로부터 구입하였다. 물은 증류하였고, 밀리-Q 시스템을 이용하여 탈이온화하였다. 다른 시약들은 또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이며,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포도당 감응성 고분자의 합성
포도당-감응성 고분자를 제조하기위해, PBA를 카보디이미드 화학공법을 이용하여 글리콜 키토산의 Backbone에 공유결합시켰다. 요컨대, 클리콜 키토산(0,1% w/v) 및 PBA는 500 ml의 4:1(v/v) 메탄올/증류수 내에서 용해시킨 후, 결합 활성제인 EDC 및 Sulfo-NHS를 PBA와 동일 몰 농도(molar concentration)로 용액에 첨가하였다. 글리콜 키토산의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anhydroglucose) 100 유닛 당 페닐보론산 그룹의 수로 정의되는 치환도는 10-50의 범위 내에 분포되었다. 하루동안 25 ℃에서 반응 후, 미결합된 PBA와 잔여 결합 활성제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3일간 투석하였고, 동결 건조하였다. 포도당 비감응성 폴리머로 디옥시콜린산을 결합시킨 글리콜 키토산을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이들 또한 자가-집합된(self-aggregated) 나노파티클을 형성하였다.
글리콜 키토산의 백본에 PBA의 겹합 유무를 FT-IR 분광기(Magna-IR760ESP; Nicolet Instrument Corp.)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페닐보론산-글리콜 키토산 컨쥬게이트(GC-PBA) 및 건조 KBr(dry KBr)을 미세 입자가 되도록 갈고, 디스크 내로 압축하였다. 얻어진 샘플을 4 cm-1의 감도(resolution)에서 4 mm/s의 비율로 800-4000 cm-1의 파장 영역에 걸쳐 측정하였다. 70℃에서 Mercury Plus 300 MHz 분광계(spectrometer, Varian)를 이용하여 컨쥬게이션을 확인하는데 1H-NMR 분광기를 또한 이용하였다. GC-PBA(1% w/v)는 1:9(v/v) DMSO-d6/D2O 내에서 용해시켰다. 겹합된 PBA의 실제 치환도는 원소분석기 (Elemental analyzer, EA1112; Thermo Finnigan Flash)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3: GC-PBA 폴리머의 세포독성
섬유아세포(NIH3T3), 편평상피암(SCC7), 인간 유방암세포(MDA-MB-231) 및 쥐과 흑색종(murine melanoma)(B16-F10)을 DMEM 배지(10% FBS, 1%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내에서 배양하였고, 세포독성 시험에 사용하였다. 세포들을 9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5×103 세포/웰)에서 37 ℃에서 5% CO2 조건하에 1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GC-PBA를 세포에 처리하였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GC-PBA]=100-500 μg/웰). 세포는 PBS로 3회 세척하였고, MTT 용액(50 μg/ml)을 첨가하였다. 3시간 배양 후, 포르마잔 결정을 DMSO 내로 용해시켰고, 그것의 540 nm에서의 흡광도를 UV/VIS 분광계(SpectraMax M2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4: 자가-집합 GC-PBA 나노파티클의 특성
GC-PBA 나노파티클(1 mg/ml)의 크기는 실온에서 Zetasizer Nano ZS(Malvern Inst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이들의 안정성을 3일간 관찰하였다. 나노파티클의 형태(morphology)는 AFM(atomic force microscopy)에 의해 관찰하였다. 나노파티클은 운모 표면(mica surface) 상에 위치시켰고, 질소로 퍼징(purging)하였으며, PSIA XE-100AFM 시스템(Santa Clara)을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이미지를 얻었다.
나노파티클의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는 형광 분광기(fluorescence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렌(pyrene)을 THF(tetrahydrofuran) 내로 용해시켰고, 증류수로 희석시켰다(12×107 M). THF를 하루 동안 증발시킨 후, 상기 용액을 1.0×10-5에서 1.0×101 mg/ml 범위 농도의 수성 GC-PBA 용액에 각각 첨가하였다([피렌]=6.0×10-7 M). 390 nm의 방출 파장에서의 침강 스펙트럼(excitation stectra)을 ISS K2 다중-빈도 상(multi-frequency phase) 및 조절 형광계(modulation fluorometer)(ISS Ins. Champaign)를 이용하여 얻었다. 피렌 침강 스펙트럼을 얻기 위해, 방출 및 침강 슬릿 너비는 각각 2 mm 및 0.5 mm로 조정하였다. GC-PBA 농도에 대한 침강 스펙트럼으로부터 얻어진 침강 강도 비율(339/333 nm)의 플롯(plot)을 포도당 감응성 고분자의 CMC 값을 측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실시예 5: GC-PBA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감응성
다양한 포도당 농도(0-10 mg/ml)에서의 침강 강도 비율 및 나노파티클의 사이즈의 변화를 조사하여 GC-PBA의 포도당 감응성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당 또한 GC-PBA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특이적 감응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GC-PBA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감응성은 또한 Ce6 함유 GC-PBA 나노파티클을 이용한 형광 퀀칭/디-퀀칭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요컨대, GC-PBA 및 Ce6을 증류수 및 DMSO 내로 각각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혼합하였고(Ce6/폴리머=0.1, w/w), 25℃에서 하루 동안 격렬하게 저어주었으며, 3일간 투석하였고, 0.8 μm 실린더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다양한 다당류 농도 내에서의 Ce6 함유 나노파티클의 형광 이미지는 12-비트 CCD 카메라(Image station 4000 MM; Kodak)를 이용하여 얻었다(방출 필터(emission filter)=600-700 nm).
실시예 6: GC-PBA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감응성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의 편평상피암 세포주(SCC7) 내 이입 거동을 측정하기 위해, Ce6 함유 GC-PBA50 및 GC-PBA20 나노파티클(Ce6/폴리머=0.1, w/w)을 준비하였다. 폴리머(1% w/v) 및 Ce6는 10 ml 1:9(v/v) DMSO/증류수 내로 용해시켰고(Ce6/폴리머=0.1, w/w), EDC 및 sulfo-NHS를 Ce6와 유사한 몰 비율로 용액에 첨가하여 하루 동안 빛이 없는 조건에서 약하게 반응시켰다. 혼합물은 미반응된 Ce6 및 결합 활성제들을 제거하기 위해 3일 동안 투석하였고, 0.8 μm 실린더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으며, 동결건조하였다.
SCC7 세포를 저농도 포도당 배지를 갖는 8-웰 챔버 슬라이드(5×103 세포/웰) 상에 배양시켰고, Ce6-표지된 GC-PBA 나노파티클로 처리하였다. 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3회 세척하였으며, 2%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였다. 샘플은 4', 6'-디아미노-2-페닐인돌(DAPI, Vectashield) 마운팅 배지에 의해 마운트하였고, 형광 현미경(TE2000-E; Nikon)에 의해 분석하였다. 고농도 포도당 배지 내에 분포된 나노파티클로 처리한 세포를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실시예 7: GC-PBA 나노파티클의 해당 작용 억제 효과
해당 작용에 의한 세포 내부의 ATP 및 외부 락테이트 배출량을 측정하였다. 세포는 24-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5×104 세포/웰)에 37℃에서 5% 이하의 CO2 조건에서 1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GC-PBA 나노파티클을 갖는 새로운(refreshed) 저농도 포도당 배지(500 μg/ml)를 웰에 첨가하였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해당 작용 억제제로 잘 알려진 소듐 아이오도아세테이트(200 μg/ml)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방출된 락테이트 함량 LDH(lactate dehydrogenase) 활성의 측정을 위해 배지를 제거하여 보관하였다. 세포를 3회 세척하였고, 용해 버퍼(BioVision)로 세포를 용해시켰으며, 얼음 상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ATP 함량은 ATP Colorimetric/Fluorometric Assay Kit(BioVisio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총 단백질을 기준 보정하여 단백질 mg 당 pmol로서 나타내었다. 락테이트 함량은 EnzyChromTM LLactate Assay Kit(BioAssay Syste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초기의 생존 가능한 세포 수로 보정하였다. 또한 배지 및 세포 펠릿 모두에 있어서의 LDH 활성을 CytoTox 96 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Prome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LDH 누출의 퍼센트를 전체 LDH 활성에 대한 배지 내 LDH 활성의 비율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8: GC-PBA 나노파티클의 in vitro 암 세포 성장 억제 효과
SCC7 세포를 24-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2×103 세포/웰)에 5% CO2 조건하 37℃에서 1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GC-PBA 나노파티클(GC-PBA50 및 GC-PBA20) 및 GC-DOA50을 저농도 포도당 배지에서 4시간동안 세포에 매일 처리하였고(500 μg/ml), 그 후 배지를 고농도 포도당 배지로 교체하며, 7일간 배양하였다. 각각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서 세포를 PBA로 3회 세척하였고, MTT 용액(50 μg/ml)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3시간 배양 후, 포르마잔 결정을 DMSO 내에 용해시켰고, 54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UV/VIS 흡광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성장률은 0일에서의 세포 수 대비 7일에서의 세포 수 비율로 계산하였다. 또한 음성 대조군으로서 자가-조립 나노파티클이 형성되지 않는 고농도 포도당 배지 하에서 GC-PBA50 및 GC-PBA20를 처리하여 세포 성장률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9: GC-PBA 나노파티클의 in vivo 종양 표적지향능
6주령의 수컷 무흉선 마우스(20 g 체중, Orient Lab Animal)를 졸레틸(35 mg/kg)/롬펀(2 mg/kg)로 복강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종양을 갖는 마우스는 마우스의 등에 SCC7 세포주를 피하 주입하여 준비하였다. 종양이 약 200-300 mm3 부피까지 성장하였을 때, 수성 Ce6 용액 및 Ce6-표지된 GC-PBA50 및 GC-PBA20 나노파티클을 마우스로 정맥 주사하였다(10 mg/kg). 모든 절차는 실험 동물의 사용 및 관리에 대한 한양대학교 가이드라인에 따랐다. 정맥주입 2일 후, 마우스를 희생시켰고, 나노파티클의 in vivo 생체 내 분포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종양 및 조직들(간, 폐, 지라, 신장 및 심장)을 적출하였다. 각 조직의 형광 이미지를 CCD 카메라(이미지 스테이션 4000 MM; Kodak)에 의해 얻었고, 그것의 형광 강도를 정량하였으며, 평균 p/s/cm2/sr(average photons/second/square centimeter/steradian) 수치로 나타내었다 (n=3).
실시예 10: GC-PBA 나노파티클의 in vivo 암 진단능
GC-PBA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선택적 결합에 의한 암 진단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소광제(BHQ-3)가 도입된 포도당 비감응성 컨쥬게이트(BHQ3-GC-DOA50)를 상술한 방법에 의해 추가로 제조하고, GC-PBA 또는 GC-DOA 컨쥬게이트와 혼합된 형광물질이 퀀칭된 혼합 나노파티클을 준비하였다((GC-PBA/BHQ3-GC-DOA=2, w/w)). 종양을 갖는 마우스를 상술한 방법에 의해 확립하여, GC-PBA50, GC-DOA50, GC-PBA50+BHQ3-GC-DOA50, 및 GC-DOA50+BHQ3-GC-DOA50 나노파티클(10 mg/kg 나노파티클/마우스)로 처리하였다. 다양한 다당류 농도 내에서의 형광 신호 복원 거동 (in vitro) 및 암 조직 내 포도당 감응성 유래 진단 효능 평가 (in vivo)는 형광 영상 분석기 (IVIS SPECTRUM; Xenogen)을 통해 수행하였다.
실시예 11: GC-PBA 나노파티클의 in vivo 항암 치료능
GC-PBA 나노파티클의 항암 효능을 증명하기 위해, 종양을 갖는 마우스를 상술한 방법에 의해 준비하였다. 마우스를 5 그룹으로 나누고, 살린(대조군), 도세탁셀, GC-DOA, GC-PBA50 및 GC-PBA20 나노파티클(10 mg/kg 나노파티클/마우스 및 20 mg/kg 도세탁셀/마우스; 주당 5회 주입, n=15)로 처리하였다. 2주간의 종양 부피의 변화((장축×단축2)/2)) 및 총 체중(full body weight)를 측정하였다. 종양 조직을 최초 주입 2주 후에 회수하였으며, 무게를 재고, 최적 절삭 온도 화합물(TISSUE-TEKㄾO.C.T. 화합물; Sakura Finetek) 내로 침지시켰으며(embedded), 냉동시켰고, -20℃에서 10 μm 두께 섹션으로 절삭하여 조직 섹션을 만들었다. 조직 섹션을 H&E(hematoxylin and eosin)로 염색하였고, 조직 내의 아팝토시스를 아팝토시스 검출 키트(ApopTagㄾRed In Situ, Millipor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n=5).
실시예 12: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 편차로서 나타내었다. 통계 분석을 스튜던트 t-검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P-values<0.05, **P-values<0.01 및 ***P-values<0.001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험결과
1.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GC-PBA) 제조 및 특성 분석
0에서부터 50까지의 치환도를 갖는 페닐보론산-글리콜 키토산의 FT-IR 스펙트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3435 cm-1(O-H 및 N-H 스트래칭의 겹침), 2930 cm-1 및 2870 cm-1(C-H 스트래칭 밴드), 1620 cm-1 및 1460-1370 cm-1(N-H 밴딩 및 C-H 밴딩) 흡수피크를 글리콜 키토산(치환도=0)으로부터 관찰하였다. 페닐보론산-글리콜 키토산에서 1655 cm-1 및 1564 cm-1(아마이드 밴드; N-H 밴딩 및 C=O 스트래칭)에서의 흡수 피크가 증가하였고, 이는 글리콜 키토산 및 PBA 사이의 아마이드 결합이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페닐보론산 및 글리콜 키토산 사이의 컨쥬게이션을 또한 1H-NMR(참조: 도 2)에 의해 확인하였다. 글리콜 키토산은 2.1-2.2 ppm(H8), 2.8 ppm(H2), 및 3.4-4.3 ppm(H3-H7)에서의 사카라이드 수소의 전형적인 피크를 보여준다. 글리콜 키토산과 대조적으로, 7.4-7.8 ppm(H9 및 H10; 방향족 고리)에서의 피크가 페닐보론산-글리콜 키토산에 대하여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페닐보론산과 글리콜 키토산이 결합되었음을 명확히 검증해준다.
페닐보론산-글리콜 키토산 컨쥬게이트가 처리된 세포의 생존능을 MTT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폴리머 농도가 500 μg/ml에 이를 때까지 유의적인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참조: 도 3).
다음으로 GC-PBA의 자가-조립 나노파티클 형성을 조사하였다. 나노파티클의 평균 직경이 대략 300 nm로 측정되었는데, PBA의 치환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었고, 이는 증가한 PBA에 의한 단단한 팩킹 효과(tight packing effect)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20 및 50의 치환도를 가진 GC-PBA 나노파티클에서 입자 안정성을 오랜 시간 나타내었다(참조: 도 4의 b). 50을 초과하는 치환도를 갖는 GC-PBA에 대한 나노파티클은 얻기 힘들었는데, 이는 합성 과정 및 입자 형성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AFM 이미지를 통해 GC-PBA 나노파티클의 구형 형상을 확인했다(참조: 도 4의 c).
GC-PBA 나노파티클 내에 로딩된 피렌의 강도 비율(intensity ratio)을 측정하여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를 계산하였다. 피렌은 주변의 친수성 및 소수성 환경에 의해 서로 다른 광물성(photophysical characteristics)을 갖는다[6, 7]. GC-PBA20 및 GC-PBA50 나노파티클의 CMC 값은 0.019-0.043 mg/ml의 범위에서 측정되었고, 이는 소수성 물질이 결합된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 기반 나노파티클들의 CMC 값과 유사하였다(참조: 도 5)[8-10].
2. 페닐보론산-글리콜 키토산 (GC-PBA)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감응성
GC-PBA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감응성을 다양한 포도당 농도에서 측정하였다. GC-PBA20 및 GC-PBA50에 대한 피렌의 강도 비율이 각각 0.132 및 0.302 mg/ml의 포도당 농도 이상에서 감소되었고, 이는 글리콜 키토산에 컨쥬게이션된 페닐보론산과 포도당 내 다이올 그룹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자가-조립 구조가 파괴되었음을 시사한다(참조: 도 6). 반면 포도당과 달리, 과당 환경에서는 GC-PBA 나노파티클의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이는 포도당의 농도에 따라 변화하는 GC-PBA 나노파티클의 선택적인 감응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특히, GC-PBA50 나노파티클은 체내 혈액 포도당 수준에 가까운 1 mg/ml의 포도당 농도에서 그들의 안정성이 유지되었다(참조: 도 7).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감응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Ce6를 포함하는 GC-PBA20 및 GC-PBA50 나노파티클을 제조하였다(참조: 도 8). Ce6가 자가-조립 나노파티클의 소수성 코어 내에 포획되었을 때, 형광 강도가 약화되었고, 이를 자가-퀀칭 효과(self-quenching effect)라고 부른다[11]. Ce6의 로딩 효율은 GC-PBA20 및 GC-PBA50 나노파티클 모두 약 80%로 나타났으며, GC-PBA50 나노파티클에서 보다 강한 퀀칭 효과가 관찰되었다. 일정 양의 포도당을 GC-PBA20 및 GC-PBA50 나노파티클에 처리하였을 때, 모두 Ce6의 디-퀀칭 효과가 관찰되었다. 특히, GC-PBA50 나노파티클의 경우, 포도당 농도가 정상의 혈액 내 수준(1 mg/ml)을 초과한 범위에서 Ce6의 디-퀀칭 효과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GC-PBA50 나노파티클이 순환하는 혈액 내에서는 안정하면서, 체내의 포도당 농도의 변화에 반응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게 한다. 포도당 비감응성 나노파티클로서 디자인되고 제조된, GC-DOA 나노파티클은 높은 포도당 농도에서 조차 그들의 입자 안정성 및 디-퀀칭 효과에서의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참조: 도 9).
3.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의 암 세포 내 이입 효과
소수성으로 개질된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로부터 형성된 자가-조립 나노파티클은 '매크로피노사이토시스' 및 '클라쓰린- 및 카베올래-비의존 및/또는 의존 엔도사이토시스'와 같은 몇몇의 루트에 의해 세포내로의 효과적인 흡수가 가능하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12-14]. 포도당 감응성 GC-PBA 나노파티클이 저농도 포도당 배지에서 분산되었을 때, GC-PBA20 및 GC-PBA50 나노파티클의 탁월한 SCC-7 세포주 내 이입이 관찰되었으나, 고농도 포도당 조건에서 거의 이입되지 않았다.(참조: 도 10). 이는 상기 결과와 마찬가지로 PBA와 포도당간의 결합으로 나노파티클의 자가-조립 구조가 파괴되었기 때문이라 예상된다.
4. GC-PBA 나노파티클의 해당 작용 억제 효능
다음으로 GC-PBA 나노파티클의 암 세포 내 해당 작용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세포 내 ATP 함량과 락테이트 및 LDH 누출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가 SCC-7 세포주 내로 전달하였을 때, 세포 내부 ATP 함량 및 락테이트 분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해당 작용이 전달된 나노파티클에 의해 억제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참조: 도 11의 a 및 11의 b). GC-PBA50 나노파티클은 세포의 해당 작용 억제에 대하여, GC-PBA20보다 더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고, 이는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된 IAA에 비등한 수준이었다. 반면에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을 처리한 세포들에게서 LDH 누출 변화가 미미한 수준으로 관찰되었고, 이는 상기 포도당-감응성 나노파티클들이 세포 자체에 손상 없이 해당 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시사한다(참조: 도 11의 c). 놀라운 것은 상기의 나노파티클들이 세포 사멸을 즉각적으로 유도하지도 않으면서, 암 세포 성장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는 것이다(참조: 도 12 및 표 1).
샘플 처리 조건
(포도당 수준)
세포 성장률 (Day-1)
대조군 Low 1.261 ± 0.005
GC-DOA Low 1.262 ± 0.009
GC-PBA20 Low 1.005 ± 0.118
GC-PBA50 Low 0.904 ± 0.026
GC-PBA20 High 1.200 ± 0.022
GC-PBA50 High 1.253 ± 0.010
대조적으로, 고농도 포도당 배지 내에 분산시킨 나노파티클로 처리된 세포들에서는 GC-PBA 나노파티클의 유의한 성장 억제 효능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상기 조건에서 GC-PBA가, 배지 내의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인하여 나노파티클을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5. GC-PBA 나노파티클의 in vivo 암 특이적 전달 효능
GC-PBA 나노파티클의 in vivo 암 표적지향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Ce6-표지된 GC-PBA 나노파티클을 종양을 갖는 마우스 내로 정맥 주사하였다. GC-PBA50 나노파티클을 주사한 마우스의 종양 부위에서 Ce6의 형광 신호가 명확하게 관찰되었다(참조: 도 13의 a). 키토산 유도체에 기반한 폴리머 나노파티클이 훌륭한 EPR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종종 보고되어 왔다[15-17]. GC-PBA20 나노파티클의 종양 내 형광 신호가 GC-PBA50 나노파티클과 비교하여 눈에 띄게 약하게 관찰되었다(참조: 도 13의 b). 이는 체내 포도당 수준에서의 GC-PBA20 나노파티클의 불안정한 입자 안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6. GC-PBA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감응성 유래 in vivo 암 진단 효능
GC-PBA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감응성에 따른 in vivo 암 진단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FRET(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원리로 일정 거리 내 형광 신호를 퀀칭시키는 소광제(BHQ-3)가 도입된 포도당 비감응성 컨쥬게이트(BHQ3-GC-DOA50)를 제조하였다[18]. Cy5-표지된 GC-PBA50 또는 GC-DOA50 컨쥬게이트에 BHQ3-GC-DOA50 컨쥬게이트를 혼합하여 형성된 나노파티클의 형광 강도가 눈에 띄게 약하게 관찰되었다. 이 퀀칭된 혼합 나노파티클에 포도당을 처리하였을 때, GC-PBA50 + BHQ3-GC-DOA50 혼합 나노파티클의 경우 Cy5의 형광 신호가 복원되었다(참조: 도 14의 a). 반면에, GC-PBA50 + BHQ3-GC-DOA50 혼합 나노파티클에서는 유의적인 형광 복원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과당을 처리하였을 때는 두 혼합 나노파티클 모두 눈에 띄는 형광 신호 복원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GC-PBA50)이 포도당과의 결합으로 BHQ3-GC-DOA50 컨쥬게이트로 부터 해리되어져 형광 신호가 복원된 것이라 예상된다. 실제로 종양을 갖는 마우스에 정맥 주사하였을 때, 포도당 비감응성 혼합 나노파티클(GC-DOA50 + BHQ3-GC-DOA50)에 비해 포도당 감응성 혼합 나노파티클(GC-PBA50 + BHQ3-GC-DOA50)에서 암 조직 진단 효능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참조: 도 14의 b).
7. GC-PBA 나노파티클의 포도당 감응성 유래 in vivo 항암 치료 효능
다음으로 GC-PBA 나노파티클의 항암 치료 효능을 종양을 갖는 마우스에서 평가하였다. 각 마우스의 종양 부피가 대략 50 mm3에 이르렀을 때, GC-DOA 나노파티클, GC-PBA20 나노파티클 및 GC-PBA50 나노파티클을 마우스 내로 정맥 주사하였고, 종양 부피 내의 변화를 2주 동안 조사하였다(참조: 도 14의 c). 종양을 갖는 마우스를 또한 대조군으로서 살린 또는 도세탁셀을 각각 주사하였다. 살린이 주입된 마우스는 3000 mm3까지 급격한 종양 성장을 보였다. 또한, GC-DOA50 나노파티클의 종양 성장의 억제능이 관찰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 (GC-PBA)을 주사한 마우스의 종양 성장은 임상에서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는 도세탁셀을 주사한 마우스에 근접한 정도로 크게 감소하였다. 도세탁셀은 유의적인 항암 효능을 보이나, 이들의 비특이적인 전달로 주변 조직의 손상을 초래했고, 두드러진 마우스의 체중 감소를 보였다(참조: 도 14의 e). 반면에 포도당 감응성 나노파티클을 주사한 마우스들의 체중에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고, 이는 GC-PBA 나노파티클이 예상치 않은 부위에서의 부작용 없이 탁월한 항암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말해준다. H&E 염색 및 TUNEL 염색을 이용하여 염색된 조직 섹션의 조직학 및 면역조직화학적(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평가 또한 GC-PBA 나노파티클의 탁월한 치료 안정성과 항암 효능을 증명한다(참조: 도 15). 종래의 항암제를 이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GC-PBA 나노파티클이 주사된 마우스 내의 종양 조직에서, 도세탁셀로 처리한 마우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세포 사멸이 눈에 띄게 유도된다. 상기 결과들을 통해 종양 부위에 선택적으로 전달된 GC-PBA 나노파티클이 암 세포 내 포도당 결핍을 유도하여 이로 인해 해당 작용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조문헌
1. Ryu J et al., "Tumor-targeting multi-functional nanoparticles for theragnosis: New paradigm for cancer therapy",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64 : 1447-1458183-192(July 4 2012)
2. Reuben JS., "Glucose metabolism and cancer", Current Opinion in Cell Biology 18 : 598-608 (OCT 12, 2006)
3. Robert AG et al., "Why do cancer have high aerobic glycolisys", Nature Review 4 : 891-899 (NOV 2004)
4. Shull B et al., "P-Boronophenylalanine complexes with fructose and related carbohydrates and polyols", US Patent 6,169,076 B1 (Jan 2 2001)
5. Kataoka, Kazunori, et al. "Totally synthetic polymer gels responding to external glucose concentration: Their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o on-off regulation of insulin releas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20 : 12694-12695 (NOV 1998).
6. Astafieva I, Zhong XF, Eisenberg A. Critical micellization phenomena in block polyelectrolyte solutions. Macromolecules 1993;26(26):7339-7352.
7. Nagasaki Y, Okada T, Scholz C, Iijima M, Kato M, Kataoka K. The reactive polymeric micelle based on an aldehyde-ended poly(ethylene glycol)/poly(lactide) block copolymer. Macromolecules 1998;31(5):1473-1479.
8. Kwon S, Park JH, Chung H, Kwon IC, Jeong SY, Kim I-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lf-assembled nanoparticles based on glycol chitosan bearing 5β-Cholanic Acid. Langmuir 2003;19(24):10188-10193.
9. Lee KY, Kwon IC, Jo WH, Jeong SY. Complex formation between plasmid DNA and self-aggregates of deoxycholic acid-modified chitosan. Polymer 2005;46(19):8107-8112.
10. Liu Z, Jiao Y, Wang Y, Zhou C, Zhang Z. Polysaccharides-based nanoparticles as drug delivery system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2008;60(15):1650-1662.
11. Park W, Park S-j, Na K. The controlled photoactivity of nanoparticles derived from ionic interactions between a water soluble polymeric photosensitizer and polysaccharide quencher. Biomaterials 2011;32(32):8261-8270.
12. Conner SD, Schmid SL. Regulated portals of entry into the cell. Nature 2003;422(6927):37-44.
13. Khalil IA, Kogure K, Akita H, Harashima H. Uptake pathways and subsequent intracellular trafficking in nonviral gene delivery. Pharmacological Reviews 2006;58(1):32-45.
14. Nam HY, Kwon SM, Chung H, Lee S-Y, Kwon S-H, Jeon H, et al. Cellular uptake mechanism and intracellular fate of hydrophobically modified glycol chitosan nanoparticles.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009;135(3):259-267.
15. Hyung Park J, Kwon S, Lee M, Chung H, Kim J-H, Kim Y-S, et al. Selfassembled nanoparticles based on glycol chitosan bearing hydrophobic moieties as carriers for doxorubicin: in vivo biodistribution and anti-tumor activity. Biomaterials 2006;27(1):119-126.
16. Park JH, Saravanakumar G, Kim K, Kwon IC. Targeted delivery of low molecular drugs using chitosan and its derivative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2010;62(1):28-41.
17. Son YJ, Jang J-S, Cho YW, Chung H, Park R-W, Kwon IC, et al. Biodistribution and anti-tumor efficacy of doxorubicin loaded glycol-chitosan nanoaggregates by EPR effect.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003;91(1-2):135-145.
18. Ryu JH, Lee A, Ahn CH, Park JW, Leary JF, Park S, Kim K, Kwon IC, Youn IC, Choi K. "One-step" dete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using a fluorogenic peptide probe-immobilized diagnostic kit. Bioconjugate Chemistry 2010;21(7):1378-1384.

Claims (18)

  1. (a) 생체적합성 고분자로서의 글리콜키토산 및 (b)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공유-결합되어 있고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낸 페닐보론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conjug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진단, 치료 또는 진단 동시 치료용 조성물:
    일반식 1
    Figure 112016040719855-pat00020

    상기 일반식에서, n은 1-5의 정수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쥬게이트는 나노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닐보론산 유도체는 N-(4-페닐보로닉)숙시남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키토산은 분자량이 150 kDa 내지 350 kD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쥬게이트는 15 내지 55의 페닐보론산 유도체 치환도(degree of substitut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쥬게이트는 자가-집합(self-aggregated)되어 소수성 코어를 갖는 구형입자(spherical particl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쥬게이트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화학적 표지되거나 상기 소수성 코어의 내부에 물리적으로 로딩되는 추가적인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물질은 Ce6(Chlorin e6) 또는 Cy5(Cyanine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입자는 평균 직경이 200 nm 내지 4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포도당 감응성에 의해 암 세포의 호기성 해당 대사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포도당 감응성에 의해 암 조직 특이적 진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신적 투여에 의해 체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위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대장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뇌암, 전립선암, 골암, 피부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요관암 및 두경부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0078399A 2014-06-25 2014-06-25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나노파티클 KR10166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99A KR101660109B1 (ko) 2014-06-25 2014-06-25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나노파티클
US14/748,923 US9557332B2 (en) 2014-06-25 2015-06-24 Glucose-sensitive nanoparticle for cancer diagnosis and thera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99A KR101660109B1 (ko) 2014-06-25 2014-06-25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나노파티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84A KR20160000984A (ko) 2016-01-06
KR101660109B1 true KR101660109B1 (ko) 2016-09-27

Family

ID=5492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399A KR101660109B1 (ko) 2014-06-25 2014-06-25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나노파티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57332B2 (ko)
KR (1) KR101660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306710U (zh) 2017-03-10 2018-05-04 江苏水木天蓬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刀刀头
KR102013041B1 (ko) * 2017-12-21 2019-08-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가 담지된 나노구조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462216B1 (ko) 2018-01-29 2022-11-01 베이징 에스엠티피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최소 침습성 초음파 오스테오톰 헤드 및 절골용 최소 침습성 초음파 구동 시스템
CN112337441B (zh) * 2020-09-23 2022-04-08 江苏理工学院 一种苯硼酸-壳聚糖修饰的整体柱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12803A4 (en) * 2006-04-20 2012-08-01 Univ Utah Res Found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KR100825939B1 (ko) * 2006-08-28 2008-04-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근적외선 형광체가 결합된 양친성 고분자의 나노 입자를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영제
WO2010033069A1 (en) * 2008-09-19 2010-03-25 Ridgeview Instruments Ab Method for the analysis of solid biological objects
KR101262056B1 (ko) * 2010-08-30 2013-05-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KR101323102B1 (ko) * 2011-01-18 2013-10-30 씨제이제일제당 (주) 글리콜키토산-담즙산 복합체에 항암제가 봉입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84A (ko) 2016-01-06
US9557332B2 (en) 2017-01-31
US20150374828A1 (en)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 et al. Enzyme-triggered size shrink and laser-enhanced NO release nanoparticles for deep tumor penetration and combination therapy
Wang et al. Injectable biodegradation-visual self-healing citrate hydrogel with high tissue penetration for microenvironment-responsive degradation and local tumor therapy
US10555965B2 (en) Environment-responsive hyaluronic acid nanoparticles
Zhang et al. Redox-and light-responsive alginate nanoparticles as effective drug carriers for combinational anticancer therapy
Wang et al. Light-activatable dual prodrug polymer nanoparticle for precise synergistic chemotherapy guided by drug-mediated computed tomography imaging
Luo et al. Co-delivery of paclitaxel and STAT3 siRNA by a multifunctional nanocomplex for targeted treatment of metastatic breast cancer
US20140294967A1 (en) Stable nanocomposition comprising paclitaxe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its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US20140294983A1 (en) Stable nanocomposition comprising doxorubici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its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KR101660109B1 (ko)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나노파티클
Liu et al. Double-layered hyaluronic acid/stearic acid-modified polyethyleneimine nanoparticles encapsulating (−)-gossypol: a nanocarrier for chiral anticancer drugs
JP2011105792A (ja) ブロックコポリマー、ブロックコポリマー−金属錯体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中空構造体キャリア
CN113583178B (zh) 一种支化含糖聚合物基纳米粒子及其的制备方法和用途
CN112076159B (zh) 具有不对称膜结构的载药聚合物囊泡及制备方法与在制备治疗急性髓系白血病药物中的应用
Zhuang et al. Two-photon AIE luminogen labeled multifunctional polymeric micelles for theranostics
Zhu et al. Platinum covalent shell cross-linked micelles designed to deliver doxorubicin for synergistic combination cancer therapy
Qiao et al. A pH-responsive natural cyclopeptide RA-V drug formulation for improved breast cancer therapy
Ghosh et al. Target delivery of photo-triggered nanocarrier for externally activated chemo-photodynamic therapy of prostate cancer
Moore et al. Polymer‐Coated Radioluminescent Nanoparticles for Quantitative Imaging of Drug Delivery
US20140296173A1 (en) Stable nanocomposition comprising epirubici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its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Zhang et al. Arsenite-loaded albumin nanoparticles for targeted synergistic chemo-photothermal therapy of HCC
Rostami et al. Peptide-conjugated PEGylated PAMAM as a highly affinitive nanocarrier towards HER2-overexpressing cancer cells
AU2017372268A1 (en) VAP polypeptide and use thereof in preparation of drug for targeted diagnosis and treatment of tumour
Lee et al. Intracellular Glucose‐Depriving Polymer Micelles for Antiglycolytic Cancer Treatment
WO2022152298A1 (zh) 载 plk1 抑制剂的聚合物囊泡药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Song et al. A biodegradable polymer platform for co-delivery of clinically relevant oxaliplatin and gemcita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