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021B1 -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021B1
KR101660021B1 KR1020150004254A KR20150004254A KR101660021B1 KR 101660021 B1 KR101660021 B1 KR 101660021B1 KR 1020150004254 A KR1020150004254 A KR 1020150004254A KR 20150004254 A KR20150004254 A KR 20150004254A KR 101660021 B1 KR101660021 B1 KR 101660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transparent
transparent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786A (ko
Inventor
박경제
Original Assignee
박경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제 filed Critical 박경제
Priority to PCT/KR2015/00031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08313A1/ko
Publication of KR2015008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4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면을 통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면측에 위치하며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2D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 사이 거리는 조절가능한 것이 특징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2D-3D coexistence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D 영상과 3D 영상이 병립하여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2차원 평면영상으로부터 3차원의 깊이감과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입체영상 구현기술은 디스플레이(display) 등의 직접적인 관련분야를 비롯해서 가전이나 통신산업 등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간이 깊이감과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으로 가장 중요하게는 두 눈 사이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를 들 수 있지만, 이외에도 심리적, 기억적 요인에도 깊은 관계가 있고, 이에 따라 3D 입체영상 구현기술 역시 어떤 원리로 관찰자에게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통상 부피표현방식(volumetric type), 3차원표현방식(holographic type), 입체감표현방식(stereoscopic type)으로 구분된다.
부피표현방식은 심리적인 요인과 흡입효과에 의해 깊이방향에 대한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투시도법, 중첩, 음영과 명암, 움직임 등을 계산에 의해 표시하는 3차원 컴퓨터그래픽 또는 관찰자에게 시야각이 넓은 대화면을 제공하여 그 공간 내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은 착시현상을 불러일으키는 이른바 아이맥스 영화 등에 응용되고 있다.
가장 완전한 입체영상 구현기술이라 알려져 있는 3차원표현방식은 레이저광 재생 홀로그래피 내지 백색광 재생 홀로그래피로 대표될 수 있다.
그리고 입체감표현방식은 양안(兩眼)의 생리적 요인을 이용하는 입체감을 느끼는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약 65㎜정도 떨어져 존재하는 인간의 좌우안(左右眼)에 시차정보가 포함된 평면의 연관화상이 보여질 경우에 뇌가 이들을 융합하는 과정에서 표시면 전후의 공간정보를 생성해 입체감을 느끼는 능력, 즉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입체감표현방식은 다안상 표시방식이라 불리며, 실질적인 입체감 생성위치에 따라 관찰자 측의 특수안경을 이용하는 안경방식 또는 표시면 측의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나 렌티큘러(lenticular) 또는 인테그럴(integral) 등의 렌즈 어레이(lens array)를 이용하는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3D 표시장치를 위한 입체감표현방식 중 렌티큘러 어레이 방식은 표시패널에 렌티큘러 렌즈 등의 간단한 구성만을 추가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렌티큘러 어레이 방식의 3D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렌티큘러 어레이 방식 3D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티큘러 어레이 방식 3D 영상표시장치(10)는 좌우안용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20) 그리고 이러한 좌우안용 2차원 영상에 각각 상이한 시역(viewing zone)을 부여하는 시역생성부인 렌티큘러 어레이(30)를 포함한다.
이때 표시패널(20)로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전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플라즈마표시소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소자(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등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가 사용되며, 표시패널(20)에는 각각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표시하는 좌안용 화소 및 우안용 화소(PL, PR)가 순차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있다.
렌티큘러 어레이(30))는 통상 반원통 형상의 렌티큘러 렌즈(32)가 평면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를 나타낸다. 즉, 도1에서 렌티큘러 렌즈(32)의 반원통 형상은 종이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 결과 표시패널(20)로부터 출사된 좌우안용 영상은 렌티큘러 어레이(30)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40)의 좌우안에 각각 전달되고, 사용자(40)는 좌우안용 영상을 합성하여 스테레오그래픽에 의한 3차원 영상을 인식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그 깊이감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3D 표시장치에 터치 기능을 포함시키는 경우, 3D 영상의 깊이 차이로 인하여 터치 동작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깊이감이 보다 극대된 영상을 표시하고 원활한 터치 기능의 동작이 구현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제 1 면을 통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면측에 위치하며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2D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 사이 거리는 조절가능한 것이 특징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는 터치 기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하단이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를 연결하며 길이가조절될 수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 1 면을 통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면측에 위치하며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2D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하단이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단 양측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 각각에는 제 1 및 제 2 힌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하단이 이동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가 졉혀짐으로써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는 3D 디스프레이의 전면 방향에 2D 투명 디스플레이를 위치시킴으로써, 입체감이 우수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D 투명 디스플레이에 터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3D 영상을 시청하면서 원활한 터치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깊이감을 달리하는 입체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렌티큘러 어레이 방식 3D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3D 영상표시장치에서의 터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가 접혀질 때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가 접혀질 때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다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3D 영상표시장치는 깊이감을 표시하고 터치 동작을 구현하는데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 3D 영상표시장치에서의 터치 동작을 보여주는 도 2를 참조하면, 3D 영상표시장치(50)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표시영상에서 터치 기능을 동작시키고자 경우, 3D 영상 표시장치(50) 스크린 상의 제 1 지점(P1)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3D 영상을 시청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영상이 보여지는 지점, 즉 제 1 지점(P1) 보다 사용자에 가까운 제 2 지점(P2)을 손가락으로 터치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달리, 실제 영상이 스크린보다 안쪽으로 들어가서 표시되는 경우에는, 제 1 지점(P1)보다 사용자로부터 먼 제 3 지점(미도시)을 터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3D 표시장치(50)의 스크린을 타격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가 접혀질 때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100)는 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3D 디스플레이(110)와 2D 투명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한다.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는 본체(13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30)에는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데이터 입력부(13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3D 디스플레이(110)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부피표현방식, 3차원표현방식, 입체감표현방식 등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면 그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3D 디스플레이(110)는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의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에 배열되며, 일반적인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에 의해 표시되는 3D 영상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투명 디스플레이인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는 그 스크린을 통해 2D 영상을 표시하면서, 그 배면에 위치하는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에서 배경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2D 디스플레이(120)에서 동물 형상이 표시되는 경우, 2D 영상이 기준이 되어 3D 영상이 보여지므로, 3D 영상의 깊이감이 증가하여 입체감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3D 영상의 입체감 향상을 위해,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3D 디스플레이(11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는 본체(130) 상에 배치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의 상단은 상부 플레이트(14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가 이격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가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의 전(前)면에 위치하는 한,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와 상기 3D 디스플레이(110)는 이격 공간 없이 접촉하며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종래 3D 영상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터치 동작에서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동물 영상을 터치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 3D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시청자가 인식하고 있는 영상 표시 지점이 아니라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을 터치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터치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3D 디스플레이(110) 전면에 터치 기능을 갖는 2D 투명 디스플레이(120)가 배열되는 경우, 2D 투명 디스플레이(120) 스크린 상의 영상을 터치하기 때문에, 종래 3D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위와 같은 문제는 방지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100)는 상기 3D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40)의 경계를 기준으로 접혀져 노트북과 같은 형태가 됨으로써 휴대성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가 접혀질 때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200)는 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3D 디스플레이(210)와 2D 투명 디스플레이(220)를 포함한다.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는 본체(23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230)에는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200)의 조작을 위한 데이터 입력부(23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3D 디스플레이(210)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부피표현방식, 3차원표현방식, 입체감표현방식 등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면 그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3D 디스플레이(210)는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는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의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에 배열되며, 일반적인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에 의해 표시되는 3D 영상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투명 디스플레이인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는 그 스크린을 통해 2D 영상을 표시하면서, 그 배면에 위치하는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에서 배경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2D 디스플레이(220)에서 동물 형상이 표시되는 경우, 2D 영상이 기준이 되어 3D 영상이 보여지므로, 3D 영상의 깊이감이 증가하여 입체감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3D 영상의 입체감 향상을 위해,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는 상기 3D 디스플레이(21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는 본체(230) 상에 배치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의 상단 양측은 제 1 및 제 2 연결바(242, 244)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가 이격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가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의 전(前)면에 위치하는 한,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와 상기 3D 디스플레이(210)는 이격 공간 없이 접촉하며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는 터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종래 3D 영상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터치 동작에서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동물 영상을 터치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 3D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시청자가 인식하고 있는 영상 표시 지점이 아니라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을 터치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터치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3D 디스플레이(210) 전면에 터치 기능을 갖는 2D 투명 디스플레이(220)가 배열되는 경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 스크린 상의 영상을 터치하기 때문에, 종래 3D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위와 같은 문제는 방지된다.
상기 본체(230) 상에는 양측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34, 2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의 하단 양측에는 롤러와 같은 제 1 및 제 2 이동유닛(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34, 236)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 하단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및 제 2 이동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34, 236)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고,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의 하단에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유닛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242, 244) 각각에는 제 1 및 제 2 힌지(243, 24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243, 245)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242, 244)가 졉혀짐으로써,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 상단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200)는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243, 245)에 의해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 상단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34, 236)을 따라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 하단 사이의 거리가 좁혀짐으로써, 노트북과 같은 형태가 됨으로써 휴대성이 향상된다.
이때,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와 상기 3D 디스플레이(210)가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접혀지기 때문에, 동일한 면적의 본체(230) 크기에서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220)와 상기 3D 디스플레이(210)의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100)에서도 본체(130)의 양측에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40)의 중앙부가 접혀지도록 구성하는 경우, 도 5 및 도 6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200)와 동일하게 2D 투명 디스플레이와 3D 디스플레이의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다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300)는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의 일측에 배치되는 2D 투명 디스플레이(320)와,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332, 334)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300)는 제어부 및/또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332)는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연결부(334)는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의 하단을 연결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332, 334)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332, 334)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332, 334)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의 중앙부를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3D 디스플레이(310)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부피표현방식, 3차원표현방식, 입체감표현방식 등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면 그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3D 디스플레이(310)는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는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의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에 배열되며, 일반적인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에 의해 표시되는 3D 영상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투명 디스플레이인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는 그 스크린을 통해 2D 영상을 표시하면서, 그 배면에 위치하는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332, 334)는 그 길이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332, 334) 각각은 벨로우즈와 같은 형태의 주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332, 334)가 연신된 경우,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는 제 1 거리(d1)만큼 이격된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332, 334)가 수축된 경우,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는 상기 제 1 거리(d1)보다 작은 제 2 거리(d2)만큼 이격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332, 334)에 의해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 사이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다른 깊이감을 갖는 3D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300)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 사이 거리를 크게하고,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3D 디스플레이(310)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320)를 밀착시키거나 매우 근접시킴으로써, 공간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110, 210, 310: 3D 디스플레이
120, 220, 320: 2D 투명 디스플레이
130, 230: 본체 132, 232: 데이터 입력부
140: 상부 플레이트 234, 236: 가이드 레일
242, 244: 연결바 243, 245: 힌지
332, 334: 연결부

Claims (5)

  1. 제 1 면을 통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면측에 위치하며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2D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 사이 거리는 조절가능한 것이 특징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는 터치 기능을 갖는 것이 특징인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하단이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를 연결하며 길이가조절될 수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5. 제 1 면을 통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면측에 위치하며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2D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하단이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단 양측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바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 각각에는 제 1 및 제 2 힌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의 하단이 이동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가 졉혀짐으로써 상기 3D 디스플레이와 상기 2D 투명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KR1020150004254A 2014-01-16 2015-01-12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KR10166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0316 WO2015108313A1 (ko) 2014-01-16 2015-01-13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5516 2014-01-16
KR1020140005516 2014-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786A KR20150085786A (ko) 2015-07-24
KR101660021B1 true KR101660021B1 (ko) 2016-09-26

Family

ID=5387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254A KR101660021B1 (ko) 2014-01-16 2015-01-12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0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307B1 (ko) * 2009-07-02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571734B1 (ko) * 2009-09-14 2015-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786A (ko) 201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9219B (zh) 一种立体显示方法及跟踪式立体显示器
KR101502603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894874B1 (ko) 그물 지도를 이용한 이차원 영상으로부터의 입체 영상 생성장치 및 그 방법
US9049435B2 (en)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image providing method based on user's location
CN101984670A (zh) 一种立体显示方法、跟踪式立体显示器及图像处理装置
Lee et al. Autostereoscopic 3D display using directional subpixel rendering
KR20100002094A (ko) 영상 입체적 인식장치
US20140293024A1 (en) Foldabl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Suyama et al. A direct-vision 3-D display using a new depth-fusing perceptual phenomenon in 2-D displays with different depths
JP2008003553A (ja) 拡大された映像を表示する映像表示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映像表示方法
KR201401467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패널
KR101329164B1 (ko) 집적영상방식의 3차원 영상표시장치
KR101721103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02014B1 (ko) 영상 처리장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방법
CA2672109A1 (en) Stereo imaging touch device
KR102279816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660021B1 (ko)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KR101649660B1 (ko) 3d 객체에 대한 시각적 안정감을 증가시키는 단말 및 단말의 제어방법
KR102189009B1 (ko) 삼차원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97591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086305B1 (ko)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90085396A (ko) 입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JP2010267192A (ja) 立体結像のタッチ制御装置
JP2012518830A (ja) 立体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Li et al. General stereoscopic distortion rectification due to arbitrary viewer motion in binocular stereoscopic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