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911B1 - 소화용 감압밸브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용 감압밸브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911B1
KR101658911B1 KR1020160069629A KR20160069629A KR101658911B1 KR 101658911 B1 KR101658911 B1 KR 101658911B1 KR 1020160069629 A KR1020160069629 A KR 1020160069629A KR 20160069629 A KR20160069629 A KR 20160069629A KR 101658911 B1 KR101658911 B1 KR 10165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water
fire
spi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희관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케이씨 filed Critical (주)에이치케이씨
Priority to KR102016006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9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용 감압밸브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용 감압밸브에 있어서, 1차측 유입구로부터 외부로 분기되는 분기관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의 배출단부에는 교축밸브를 형성하면서, 상기 교축밸브가 상기 밸브 본체의 외부 표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축밸브에서 배출되는 냉각수가 체류될 수 있도록 1차측 유입구와 2차측 배출구 및 다이어프램이 설치되는 밸브 본체의 외부를 수용하는 쿨링재킷을 구비하며, 상기 쿨링재킷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2차측 배출구와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관을 구비하여, 발전소, 보일러 및 산업설비의 주요시설물에서 화재발생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고압의 소화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소화용 감압밸브의 내부 부품을 화재로 인한 화염과 열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고, 감압밸브의 냉각에 사용된 소화수는 다시 소화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2차측 배출구에 합류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용 감압밸브의 보호장치 {Protective device of pressure reducing for Fire suppression valve}
본 발명은 발전소, 발전소 터빈이 설치되는 주요설비, 보일러 기계실 및 산업설비에서 화재발생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고압의 소화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시켜서 공급하는 소화용 감압밸브의 내부 부품을 화재로 인한 화염과 열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소화용 감압밸브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 설비 또는 옥내소화전 시스템에서는 고압의 소화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시키기 위한 소화용 감압밸브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소방시스템의 실내 스프링클러 설비 및 옥내소화전 시스템은 각 말단에서 소화수를 방사하는 압력이, 스프링클러는 12kg/㎠, 옥내소화전은 7kg/㎠ 이상을 넘지 않도록 소방법에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는 상기한 규정 압력 이상의 수압이 펌프를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각각의 스프링클러, 옥내소화전 배관 공급전에는 감압장치를 통해 감압한 후, 법적 규정에 따른 기준 압력의 소화수를 공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각 말단의 스프링클러 또는 옥내소화전 배관 직전에 감압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감압밸브는 유입챔버와 유출챔버 및 다이어프램 챔버로 이루어지는 메인밸브와, 상기 유입챔버와 다이어프램 챔버 사이를 연결하는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를 경유하여 상기 유출챔버와 다이어프램 챔버 사이를 경유하여 연결하는 파이로트밸브와, 상기 유출챔버와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릴리프 파이로트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감압밸브는 유출챔버의 압력이 제1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는 경우, 다이어프램 챔버로부터 소량의 물이 상기 유출챔버로 흘러나가게 하여 상기 밸브 본체가 더 열리도록 작동하고, 유출챔버의 압력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2설정 압력보다 낮은 경우, 다이어프램 챔버로 소량의 물이 흘러들어가게 하여 밸브 본체가 더 닫히도록 작동하며, 유출챔버의 압력이 제2설정 압력보다 높은 경우, 릴리프 파이로트 밸브는 유출챔버로부터 소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제2설정 압력 아래로 떨어지도록 작동하게 되어 소방법에 규정된 소화수의 방사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화용 감압밸브에서 밸브 본체와 릴리프 파이로트 밸브의 수밀성을 유지하는 시트는 주로 고무재질로 제작되는데, 고무재질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감압밸브가 화염에 휩싸이게 되면 쉽게 변형이 된다. 또한 다이어프램은 이중합성고무(EPDM),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하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금속판을 사용하게 되는데, EPDM과 PTFE는 150 ℃의 온도에서 최대 20분간 원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화염에 노출되면 결국 손상되어 정상적인 화재진압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금속판도 열변형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발전소의 소화용 감압밸브가 화재에 노출될 경우 열변형(thermal strain) 및 열응력(thermal stress)에 의한 손상으로 밸브의 주요 기능을 할 수 없게 되고, 전력수급의 문제로 인하여 사회전반에 심각한 피해를 주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발생시에 소화용 감압밸브에 가해지는 외부의 열기와 화염으로부터 내부의 구성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소화용 감압밸브가 국내 등록특허 제10-1618864호에 제안되었다.
상기한 소화용 감압 밸브는, 유입되는 소화수가 유입구에서 분리되어 흐를 수 있도록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감압 밸브 몸체를 감싸면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소화수가 통과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며 공간부 내의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쿨링재킷이 설치되어, 화염 발생시에 밸브 몸체 내부의 구성 부품을 화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유입구를 통하여 쿨링재킷으로 유입되는 소화수는 밸브 몸체를 감싸는 공간부로 흘러 들어가서 화염으로 상승되는 밸브 몸체의 온도를 낮추어 준 다음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렇게 일부의 소화수가 배출관으로 배출되면, 소화수가 정상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장소에서는 소화수가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유입구로 공급되는 소화수의 수온이 화재의 열기에 의하여 이미 상당한 온도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냉각효과가 미흡하게 되며, 때로 소화수가 과열증기의 형태로 나타날 경우에는 감압밸브를 냉각시켜줄 수 없어서 내부의 구성부품이 손상되는 상황에 도달하게 된다.
KR 10-1618864 B1 (2016. 04. 29.) KR 10-1433643 B1 (2014. 08. 1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소화용 감압밸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1차측 유입구에서 쿨링재킷에 공급되는 소화수의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압밸브를 냉각시키는 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감압밸브의 냉각에 사용된 소화수가 감압된 상태로 2차측 배출구에 합류되게 되어, 소화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용 감압밸브 보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감압밸브 보호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은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의 일측에서 고압의 소화수가 유입되는 1차측 유입구와, 상기 1차측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밸브 본체로 유입된 고압의 소화수가 감압되어 유출되는 2차측 배출구와, 상기 밸브 본체 내에서 상기 1차측 유입구와 상기 2차측 배출구 사이에서 유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다이어프램이 구비되는 소화용 감압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로 유입되는 1차측 유입구로부터 외부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의 배출단부에 형성되는 교축밸브; 상기 1차측 유입구와 2차측 배출구 및 다이어프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쿨링재킷 및 상기 쿨링재킷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서 상기 2차측 배출구와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관(7)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밸브 본체에는, 상기 1차측 유입구와 상기 2차측 배출구가 격벽으로 구분되는 연결관체 및 상기 연결관체 상부에 형성되는 압력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는 스핀들에 고정된 디스크에 의하여 개폐되는 정도가 조절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은 상기 압력조정부의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통로의 개도가 조절되고, 상기 압력조정부는, 연결관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커버; 중앙부위가 상기 스핀들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연결관체에 고정되면서 챔버를 형성시키는 다이어프램 및 하단부는 상기 스핀들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커버의 내측 상부에 지지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에 가해지는 소화수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스핀들을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통로의 감압 개도를 조절하는 전자변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은, 상기 1차측 유입구의 상기 연결관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본체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교축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2차측 배출구의 연결관체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쿨링재킷 내에서 일정 수위 이상의 냉각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쿨링재킷의 하부에 가용전을 구비하는 드레인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가용전은 안티몬과 같이 75℃ 이상에서 용융되는 저융점 가용합금으로 되어, 화재발생시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용융되면서 쿨링재킷과 2차측배출구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재킷에서 냉각수로 사용된 소화수는 감압밸브를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배출되는 소화수와 합류되어 공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쿨링재킷에 모여지는 냉각수가 1차측 유입구에서 상기 쿨링재킷에 공급되는 소화수의 온도를 1차적으로 냉각시켜주고, 교축밸브에서 배출되는 저온 저압의 냉각수가 감압밸브를 효과적으로 냉각시켜서 감압밸브의 내부 구성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감압밸브의 냉각에 사용된 소화수가 감압된 상태로 2차측 배출구에 합류되게 하여 소화수의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화재진압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소화용 감압밸브는 밸브 본체(1), 전자변(2), 압력조절스위치(3), 분기관(4), 교축밸브(5), 쿨링재킷(6) 및 배출관(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 본체(1)는 스프링클러나 소화전 등의 소방시스템 주배관에 설치되며, 화재발생시 상기 전자변(2) 및 압력조절스위치(3)와 협력하여 고압으로 공급되는 소화수를 설정압력 이하로 감압시켜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체(10)와 압력조정부(11)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체(10)는 고압의 소화수가 유입되는 1차측 유입구(101)와, 소화수가 감압되어 배출되는 2차측 배출구(102)가 격벽(103)으로 구분되며, 공급되는 소화수의 압력경계를 이루게 되고, 상부에 압력조정부(11)가 형성된다.
상기 1차측 유입구(101)는 밸브 본체(110)의 일측에서 고압의 소화수가 주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2차측 배출구(102)는 상기 1차측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소화수가 감압된 상태로 유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격벽(103)에는 통로(104)가 형성되며, 스핀들(105)에 고정된 디스크(106)에 의하여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핀들(105)은 연결관체(10)의 상부를 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상단부는 상기 압력조정부(11)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다이어프램(11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통로(104)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화수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크(106)는 소화수 통로(104)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핀들(105)의 외측에 결합되며, 다이어프램(111)의 상하 이동에 의해 소화수 통로(104)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압력조정부(11)는 전자변(2)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의 압력에 의해 1차측 유입구(101)와 2차측 배출구(102)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104)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감압이 되는 정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커버(110), 다이어프램(111) 및 탄성부재(112)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110)는 연결관체(10)의 상부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다이어프램(111)을 고정한다.
다이어프램(111)은 중앙부위가 상기 스핀들(105)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110)가 연결관체(10)에 고정되면서 챔버(113)를 형성하게 된다.
탄성부재(112)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는 상기 스핀들(105)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커버(110)의 내측 상부에 지지되며, 다이어프램(111)에 가해지는 소화수의 압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한 스핀들(105)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변(2)은 밸브 본체(1)의 1차측 유입구(101)와 압력조정부(11) 사이에 설치되며, 압력조절 스위치(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1차측 유입구(101)로 공급되는 고압의 소화수를 압력조정부(11)의 챔버(113)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조절스위치(3)는 연결관체(10)의 2차측 배출구(102)와 상기 전자변(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2차측 배출구(102)를 통해 흐르는 소화수의 압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2차측 배출구(102)를 흐르는 소화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설정된 압력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전자변(2)에 신호를 보내어 1차측 유입구(101)로부터 전자변(2)을 통해 챔버(113)로 흐르는 소화수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크(106)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감압밸브는 스프링클러나 소화전 등의 소방시스템 주배관에 설치되어, 소화수를 용수로서 활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프링클러 및 소화전 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고압으로 공급되는 소화수를 3kgf/㎠ 이하의 설정압력으로 감압시켜서 규정된 압력의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프링클러 또는 옥내소화전과 같은 소방설비가 작동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다이어프램(111)이 수평상태로 있게 되고, 스핀들(105)에 결합된 디스크(106)에 의해 연결관체(10)에 형성된 소화수 통로(104)의 개도가 결정되어 밸브 본체(110) 내부의 소화수 압력이 3kgf/㎠ 이하로 유지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하여 소방설비가 작동되면, 연결관체(10)의 2차측 배출구(102)에 연결 설치된 압력조절스위치(3)에서 2차측 배출구(102)를 통과하는 소화수의 압력을 측정하여 기설정된 소화수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이 측정될 경우 전자변(2)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전자변(2)은 압력조절스위치(3)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열리게 되어, 1차측 유입구(101)를 통해 흘러 들어오는 고압의 소화수를 압력조절부(110)의 챔버(113)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고압의 소화수가 챔버(113) 내부로 유입되면, 다이어프램(111)에 가해지는 소화수의 압력이 탄성부재(112)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어 다이어프램(111)이 스핀들(105)을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스핀들(105)의 외주면에 결합된 디스크(106)가 이동하여 소화수 통로(103)의 개도가 커지게 됨으로써, 2차측 배출구(102)를 통해 유출되는 소화수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까지 상승하게 된다.
또한, 다이어프램(111)에 가해지는 소화수의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12)의 탄성에 의해 스핀들(105)이 상승하게 되고, 다이어프램(111)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2차측 배출구(102)의 압력이 다시 3kgf/㎠ 이하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1차측 유입구(101)에는 연결관체(10)의 상부로부터 분기관(4)이 형성된다.
상기 분기관(4)은 수직부(40)와 수평부(41)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직부(40)는 연결관체(10)의 상부에 접속되고, 상기 수평부(41)의 단부에는 교축밸브(5)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수평부(41) 및 교축밸브(5)는 압력조정부(11)의 커버(110)를 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교축밸브(5)는 일측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대신,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통로의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교축 작용에 의한 감압과 온도의 저하를 발생시키게 되는 밸브이다.
도면과 상기한 설명에서는 하나의 분기관(4)과 교축밸브(5)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쿨링재킷(6)은 대칭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재킷커버(60, 60a)로 이루어진다.
재킷커버(60, 60a)는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마주보는 면에 플랜지(600, 600a)가 형성되면서, 좌우측으로 입구측 연결부(601, 601a)와 출구측 연결부(602, 602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연결부(603, 60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재킷커버(60)의 하부면에는 드레인밸브(620)가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밸브(620)는 화재 진압이 완료된 다음, 쿨링재킷(6) 내에 충진되어 있는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입구측 연결부(601, 601a)는 1차측 유입구(101)를 형성하는 연결관체(10)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출구측 연결부(602, 602a)는 2차측 배출구(102)를 형성하는 연결관체(10)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결합된다.
상부연결부(603, 603a)는 압력조정부(11)를 구성하는 커버(110)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600, 600a)는 입구측 연결부(601, 601a), 출구측 연결부(602, 602a) 및 상부 연결부(603, 603a)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접촉면 사이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실링구조를 구비하여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입구측 연결부(601, 601a)와 출구측 연결부(602, 602a)는 연결관체(10)와 접촉하는 면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실링구조를 구비하며, 상부 연결부(603, 603a)와 커버(110)의 접촉면에도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실링구조를 구비한다.
상기한 재킷커버(60, 60a)는 서로 결합되면서 열에 취약한 디스크(106)와 다이어프램(111)이 위치하는 연결관체(10)와 커버(110)의 외부를 감싸는 함체를 이루게 된다.
배출관(7)은 상기 쿨링재킷(6)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 내에서 2차측 배출구(102)의 연결관체(10)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7)은 쿨링재킷(6) 내부에 충진되는 냉각수가 일정 이상이 되면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그 상단부는 연결관체(100)의 상부면 보다 높고, 교축밸브(5)보다 낮은 위치에서 교축밸브(5)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발전소의 발전계통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고압으로 공급되는 1차측 유입구의 소화수가 감압밸브의 감압작용에 의하여 설정된 배출압력으로 감압된 다음 2차측 배출구(102)로 배출되어 화재현장에 소화수를 공급한다.
이때, 1차측 유입구(101)로 유입되는 고압의 소화수 중에서 일부의 소화수는 분기관(4)으로 유입된 다음, 교축밸브(5)를 통하여 압력조정부(11)의 커버(110)를 향하여 분사 배출된다.
여기서, 교축밸브(5)를 통하여 배출되는 소화수는 갑자기 작아지는 가는 구멍을 통과할 때 교축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압의 소방수는 압력이 강하하면서 소화수의 포화압력보다 낮아지면서 기체로 변화되는 흡열과정이 이루어져 주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렇게 교축밸브(5)에서 분사되는 소화수는 기체상태로 분사되어 압력조정부(11)의 커버(110)에 충돌한 다음, 아래쪽으로 흘러내려가면서 연결관체(10)를 냉각시키고, 쿨링재킷(6)의 내부에 수위를 상승시키게 된다.
쿨링재킷(6) 내에서 수위가 상승하는 소화수는 연결관체(10)와 커버(110)를 물속에 잠기게 함으로써, 감압밸브가 화염으로부터 얻은 열을 흡수하여 감압밸브가 화재의 열기로부터 더욱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밸브 자체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화재의 열에 의하여 디스크와 다이어프램과 같은 밸브 구성 부품들이 열변형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쿨링재킷(6)에서 냉각수의 역할을 하는 소화수의 수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소화수가 배출관(7)을 통하여 2차측 배출구(102)로 배출되며, 감압밸브의 감압작용에 의하여 배출되는 소화수에 합류되어 화재진압 목적지까지 공급된다.
이때 쿨링재킷(6)에서 2차측 배출구(102)로 배출되는 소화수는 교축밸브(5)를 통과하면서 고압측으로부터 공급되는 포화압력보다 낮아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소방법에 규정된 압력규정을 충족시켜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관(7)으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쿨링재킷(6) 내에서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되는 소화수는, 화재진압이 완료된 다음 드레인밸브(620)를 개방시킴으로써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1 : 밸브 본체 2 : 전자변
3 : 압력조절 스위치 4 : 분기관
5 : 교축밸브 6 : 쿨링재킷
7 : 배출관 10 : 연결관체
11 : 압력조정부 40 : 수직부
41 : 수평부 60, 60a : 재킷커버
101 : 1차측 유입구 102 : 2차측 배출구
103 : 격벽 104 : 통로
105 : 스핀들 106 : 디스크
110 : 커버 111 : 다이어프램
112 : 탄성부재 113 : 챔버
600, 600a : 플렌지 601, 601a : 입구측 연결부
602, 602a : 출구측 연결부 603, 603a : 상부 연결부
620 : 드레인 밸브

Claims (5)

  1. 밸브 본체(1)와, 상기 밸브 본체(1)의 일측에서 고압의 소화수가 유입되는 1차측 유입구(101)와, 상기 1차측 유입구(101)를 통하여 상기 밸브 본체(1)로 유입된 고압의 소화수가 감압되어 유출되는 2차측 배출구(102)와, 상기 밸브 본체(1) 내에서 상기 1차측 유입구(101)와 상기 2차측 배출구(102) 사이에서 유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다이어프램(111)이 구비되는 소화용 감압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1)로 유입되는 1차측 유입구(101)로부터 외부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분기관(4);
    상기 분기관(4)의 배출단부에 형성되는 교축밸브(5);
    상기 1차측 유입구(101)와 2차측 배출구(102) 및 다이어프램(1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본체(1)의 외부에 구비되는 쿨링재킷(6); 및
    상기 쿨링재킷(6)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서 상기 2차측 배출구(102)와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관(7);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밸브 본체(1)에는,
    상기 1차측 유입구(101)와 상기 2차측 배출구(102)가 격벽(103)으로 구분되는 연결관체(10); 및
    상기 연결관체(10) 상부에 형성되는 압력조정부(11);
    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103)에는 스핀들(105)에 고정된 디스크(106)에 의하여 개폐되는 정도가 조절되는 통로(104)가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105)은 상기 압력조정부(11)의 다이어프램(11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통로(104)의 개도가 조절되고,
    상기 압력조정부(11)는,
    연결관체(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커버(110);
    중앙부위가 상기 스핀들(105)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110)가 상기 연결관체(10)에 고정되면서 챔버(113)를 형성시키는 다이어프램(111); 및
    하단부는 상기 스핀들(105)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커버(110)의 내측 상부에 지지되며, 상기 다이어프램(111)에 가해지는 소화수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스핀들(105)을 복원시키는 탄성부재(112); 및
    상기 통로(104)의 감압 개도를 조절하는 전자변(2)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4)은,
    상기 1차측 유입구(101)의 상기 연결관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직부(40);
    상기 수직부(40)와 연결되는 수평부(41); 및
    상기 수평부(41)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본체(1)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교축밸브(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감압밸브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7)은,
    상기 2차측 배출구(102)의 연결관체(10)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쿨링재킷(6) 내에서 일정 수위 이상의 냉각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감압밸브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재킷(6)의 하부에 가용전을 구비하는 드레인밸브(6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감압밸브 보호장치.
KR1020160069629A 2016-06-03 2016-06-03 소화용 감압밸브의 보호장치 Active KR10165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29A KR101658911B1 (ko) 2016-06-03 2016-06-03 소화용 감압밸브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29A KR101658911B1 (ko) 2016-06-03 2016-06-03 소화용 감압밸브의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911B1 true KR101658911B1 (ko) 2016-09-30

Family

ID=5707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629A Active KR101658911B1 (ko) 2016-06-03 2016-06-03 소화용 감압밸브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9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286A (en) * 1997-05-30 1998-10-06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Inc. Pressure unloading pilot operated regulator having pressure limiting check valve
KR101203129B1 (ko) * 2010-09-29 2012-11-20 김상준 전동볼 밸브를 이용한 정수위 밸브 시스템
WO2012172499A1 (en) * 2011-06-14 2012-12-20 Andries Matthys Booyens Hydraulic valve
KR101433643B1 (ko) 2013-03-25 2014-08-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용 감압 밸브
KR101618864B1 (ko) 2014-08-05 2016-05-09 삼효금속공업주식회사 차압조절기능을 갖는 소방용 감압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286A (en) * 1997-05-30 1998-10-06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Inc. Pressure unloading pilot operated regulator having pressure limiting check valve
KR101203129B1 (ko) * 2010-09-29 2012-11-20 김상준 전동볼 밸브를 이용한 정수위 밸브 시스템
WO2012172499A1 (en) * 2011-06-14 2012-12-20 Andries Matthys Booyens Hydraulic valve
KR101433643B1 (ko) 2013-03-25 2014-08-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용 감압 밸브
KR101618864B1 (ko) 2014-08-05 2016-05-09 삼효금속공업주식회사 차압조절기능을 갖는 소방용 감압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1723B2 (en) Dry pipe/deluge valve for automatic sprinkler systems
KR100779872B1 (ko) 변압기용 파열방지시스템
US20150321036A1 (en) Thermal expansion assembly for water mist fire suppression system
US3812872A (en) System to prevent freezing of heating units such as boilers
KR101507141B1 (ko) 과압 방지장치
US11013942B2 (en) Pressure maintenanc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over for use in a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and a related method
KR101658911B1 (ko) 소화용 감압밸브의 보호장치
CN108969950A (zh) 一种海上浮动堆安全壳高压水雾灭火系统
KR20210018690A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JP2008093318A (ja) 消火設備
KR102084325B1 (ko)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 시스템 및 소화 방법
JP5863514B2 (ja) 圧力調整弁及び流水検知装置
KR102502989B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433643B1 (ko) 소방용 감압 밸브
KR101291182B1 (ko)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
KR101618864B1 (ko) 차압조절기능을 갖는 소방용 감압밸브
US1401002A (en) Safety relief-valve for hot-water systems
JP6482288B2 (ja) 消火設備用バルブ
RU2041722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принклерной установкой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223200B1 (ko) 온도 보호형 파열 디스크 어셈블리
CN223143999U (zh) 一种包内消防装置
JP2007167089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および継手
JP5221429B2 (ja) 消火設備
KR101202548B1 (ko) 소방수 공급설비
RU102966U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скрыт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9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