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182B1 -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182B1
KR101291182B1 KR1020110026039A KR20110026039A KR101291182B1 KR 101291182 B1 KR101291182 B1 KR 101291182B1 KR 1020110026039 A KR1020110026039 A KR 1020110026039A KR 20110026039 A KR20110026039 A KR 20110026039A KR 101291182 B1 KR101291182 B1 KR 10129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amber
clapper
sprinkler
alarm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331A (ko
Inventor
김광래
Original Assignee
김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래 filed Critical 김광래
Priority to KR102011002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18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하우징 내부의 1차측 챔버와 2차측 챔버를 구획하는 크래퍼에 각 챔버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2차측 챔버의 압력이 상기 1차측 챔버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 2차측 챔버의 소방수가 1차측 챔버로 흐르도록 상기 크래퍼의 홀을 개폐하는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SPRINKLER ALARM VALVE AND FIR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 설비 내의 압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소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 발생에 대비하기 위한 소화 설비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소화 설비 중 스프링클러 설비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프링클러 설비는 배관의 내부에 소정 압력의 가압수가 충만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클러의 헤드의 감열부가 화재로 인해 개방되면, 배관의 가압수가 방출되면서 유수 검지 장치가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아울러 가압 송수 장치가 구동되어 소화수가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살수되는 방식이다.
스프링클러 설비의 유수 검지 장치는 화재로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의 유수를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알람밸브(alarm valve)가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하지 않거나 스프링클러의 감열부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계통이 밀폐된 상태)에서 가압 송수 장치가 작동을 하게 되면, 소화수가 유입된 만큼 설비 내에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배관이나 스프링클러에 허용치 이상으로 압력이 가해져 배관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부품이 손상되거나 약한 부분이 파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량의 물이 누출되어 막대한 침수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설비 내의 압력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설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비 내의 압력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는, 소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결되는 1차측 챔버와 소방수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연결되는 2차측 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1차측 챔버와 2차측 챔버를 구획하고 2차측 챔버의 압력하강에 따라 1차측 챔버의 소방수가 2차측 챔버로 흐르도록 하며 각 챔버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크래퍼 및 크래퍼의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2차측 챔버의 압력이 1차측 챔버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 2차측 챔버의 소방수가 1차측 챔버로 흐르도록 하는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는, 압력조절장치가, 1차측 챔버측의 크래퍼의 홀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지지체와 지지체 내부에 배치되는 부력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는, 지지체가 반구형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는, 부력구가 목재, 합성수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는, 압력조절장치가, 클래퍼의 홀을 관통하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핀의 양단은 각각 1차측 챔버와 2차측 챔버에 위치하며, 1차측 챔버에 위치한 제1단부는 클래퍼 면과 접촉시 틈이 형성되지 않고, 2차측 챔버에 위치한 제2단부는 클래퍼 면과 접촉시 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는, 압력조절장치가, 구형의 제1단부, 클래퍼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2단부와,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연결하고 클래퍼 홀을 관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는, 압력조절장치가,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는, 상기 압력조절장치가, 1차측 챔버측의 크래퍼의 홀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 상에 설치되고 압력에 따라 상기 크래퍼의 홀을 개폐하는 가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는, 크래퍼의 1차측 챔버측의 홀 주위에는 홈이 형성되고 가압판이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소방 시스템은, 스프링클러와, 일정한 압력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펌프 및 일단이 스프링클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소방펌프에 연결되며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개방되면 소방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소방수를 스프링클러로 공급하는 알람 밸브를 포함하고, 이 때 알람 밸브는, 소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결되는 1차측 챔버와 소방수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연결되는 2차측 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1차측 챔버와 2차측 챔버를 구획하고 2차측 챔버의 압력하강에 따라 1차측 챔버의 소방수가 2차측 챔버로 흐르도록 하며 각 챔버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크래퍼 및 크래퍼의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2차측 챔버의 압력이 1차측 챔버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 2차측 챔버의 소방수가 1차측 챔버로 흐르도록 하는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소방 시스템에 따르면 설비 내의 압력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거나 스프링클러의 감열부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 송수 장치가 작동하더라도 설비 내에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가 적용된 소방 시스템을 나타내는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를 나타내는 도 면.
도 5는 도 4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작동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가 적용된 소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소화 시스템은, 알람밸브(100), 소방펌프(200), 배관(310, 320), 스프링클러헤드(4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소방펌프(200)에서부터 스프링클러헤드(400)의 말단부분까지 일정압력으로 물이 들어 있다가 화재시 열에 의해 헤드의 용융부분이 녹아 헤드가 개방되면 알람밸브(100) 내에 있는 크래퍼가 열리면서 소방펌프(200)에서 스프링클러헤드(400) 쪽으로 물이 흐른다.
이에 따라 배관(310)에 들어 있던 물이 살수되며, 배관(310,320) 내 압력의 변화에 따라 펌프가 작동하여 계속해서 물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100)는 소방펌프(200)와 연결되는 1차측 챔버(11)와, 스프링클러헤드(400)와 연결되는 2차측 챔버(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1차측 챔버(11)와 상기 2차측 챔버(12) 사이에는, 상기 1차측 챔버(11)와 상기 2차측 챔버(12)를 구획하는 크래퍼(30)가 구비되고 상기 크래퍼(30)는 하우징(10)의 내벽면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크래퍼(30)는 스프링클러헤드(400)에서 소방수가 분사되는 등에 의해 2차측 챔버(12)의 압력하강이 있는 경우 회동하여 1차측 챔버(11)의 소방수가 상기 2차측 챔버(12)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크래퍼(30)에는 각 챔버를 관통하는 홀(33)이 형성되고 홀(33)의 일측 개구면에는 챔퍼(31)가 형성된다. 상기 챔퍼(31)는 후술하는 부력구(43)가 홀(33)에 쉽게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크래퍼(30)에는 2차측 챔버(12)의 압력이 1차측 챔버(11)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2차측 챔버(12)의 소방수가 상기 1차측 챔버(11)로 흐르도록 상기 크래퍼(30)의 홀(33)을 개폐하는 압력조절장치(40)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조절장치(40)는, 지지체(41)와 부력구(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41)는 1차측 챔버(11) 측의 크래퍼(30)의 홀(33)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41)는 압력의 변화에 의거 자동으로 구멍을 개폐하는 후술하는 부력구(浮力球)(43)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부력구(43)가 크래퍼(30) 면에서 떨어져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체(41)는 반구형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볼트(47) 등에 의해 크래퍼(30)의 일면에 결합된다.
상기 부력구(43)는 상기 지지체(41) 내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부력구(43)는 크래퍼(30)의 홀(33)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압력에 의거 밀착되면 크래퍼(30)에 난 구멍을 막아 압력변화가 없도록 하고, 떨어지면 구멍을 열어주어 1차측과 2차측이 통하도록 하여 압력의 균형을 유지시켜 준다.
이 때 부력구(43)는 물에 뜨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목재, 합성수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부력구(43)는 1차측 물의 압력과 부력에 의해 상시 크래퍼(30) 홀(33)을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크래퍼(30)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의 작동도이다.
2차측 압력이 높아질 경우 2차측에 발생한 압력이 부력구(43)를 밀어내고 크래퍼(30)와 부력구(43)의 틈 사이로 2차측에 발생한 압력이 1차측으로 이동하여 1차측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된다. 즉, 소방 펌프(200)의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소방수가 1차측을 통해 2차측으로 유입되면 2차측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배관(310)에 연결된 드레인 밸브(500)를 열면 1차측내의 소방수가 빠져나가 1차측내의 압력은 하강한다. 그러나 2차측의 압력은 일정압력으로 유지되므로, 1차측에 비해 2차측 압력이 높아져, 2차측내의 소방수가 부력구(43)를 밀어내고 크래퍼(30)와 부력구(43)의 틈 사이로 빠져나가 1차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1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차측 챔버(11)와 2차측 챔버(12)를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10)과, 1차측 챔버(11)와 상기 2차측 챔버(12)를 구획하고 각 챔버를 관통하는 홀(33)이 형성되는 크래퍼(30)와, 크래퍼(30)의 홀(33)을 개폐하는 압력조절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조절장치(50)는, 상기 클래퍼의 홀(33)을 관통하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의 양단은 각각 1차측 챔버(11)와 2차측 챔버(12)에 위치하며, 1차측 챔버(11)에 위치한 제1단부(51)는 클래퍼 면과 접촉시 틈이 형성되지 않고, 2차측 챔버(12)에 위치한 제2단부(53)는 클래퍼 면과 접촉시 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압력조절장치(40)의 제1단부(51)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져 클래퍼 면과 접촉시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제2단부(53)는 클래퍼 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클래퍼 면과 접촉시 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부(55)가 클래퍼 홀(33)을 관통하여 상기 제1단부(51)와 상기 제2단부(53)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단부(51)는 크래퍼(30) 면과 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1차측에 압력이 발생한 경우 발생한 압력에 의해 제1단부(51)가 크래퍼(30) 홀(33)을 막아 크래퍼(30)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제2단부(53)는 크래퍼(30)에 밀착되어도 물이 통과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2차측 챔버(12)의 압력이 1차측 챔버(11)보다 높아지게 되면 발생압력이 1차측 챔버(11)로 이동하게 되어 1,2차측 챔버(11,12)의 압력이 동일압력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압력조절장치(50)는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의 작동도이다.
2차측 챔버(12)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 2차측 챔버(12)에 발생한 압력이 압력조절장치(50)의 제1단부(51)을 밀어내고 제2단부(53)의 틈 사이로 2차측 챔버(12)에 발생한 압력이 1차측 챔버(11)로 이동하여 1차측 챔버(11)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됨으로써 압력을 조절한다. 즉, 소방 펌프(200)의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소방수가 1차측을 통해 2차측으로 유입되면 2차측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배관(310)에 연결된 드레인 밸브(500)를 열면 1차측내의 소방수가 빠져나가 1차측내의 압력은 하강한다. 그러나 2차측의 압력은 일정압력으로 유지되므로, 1차측에 비해 2차측 압력이 높아져, 2차측내의 소방수가 제1단부(51)를 밀어내고 제2단부(53)의 틈 사이로 빠져나가 1차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10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차측 챔버(11)와 2차측 챔버(12)를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10)과, 1차측 챔버(11)와 상기 2차측 챔버(12)를 구획하고 각 챔버를 관통하는 홀(33)이 형성되는 크래퍼(30)와, 크래퍼(30)의 홀(33)을 개폐하는 압력조절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조절장치(60)는, 케이스(61)와, 가압판(65)과 탄성부재(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61)는, 1차측 챔버(11)측의 크래퍼(30)의 홀(33)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소방수가 통과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61)에는 탄성부재(63)가 삽입되며, 상기 탄성부재(63) 상에 가압판(65)이 설치되어 압력에 따라 상기 가압판(65)이 탄성부재(63)의 탄성력에 대항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크래퍼(30)의 홀(33)을 개폐한다.
상기 탄성부재(63)는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크래퍼(30)의 1차측 챔버(11)측의 홀(33) 주위에는 홈(35)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65)이 상기 홈(35)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홈(35)이 형성되고 가압판(65)이 홈(35)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 더욱 높은 수밀구조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크래퍼(30)면의 홀(33)을 막고 있는 탄성부재(63)는 탄성에 의해 상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한 상태로 홀(33)을 막고 있게 된다.
이 때 급작스런 소방 펌프(200)의 작동 등에 의해 발생한 압력이 2차측 챔버(12)로 전달되어 2차측 챔버(12)에서 일정압 이상으로 상승되게 되면 발생된 2차측 챔버(12)의 압력이 압력조절장치(60)의 탄성부재(63)을 밀어 밀어낸 틈으로 규정압력이 될 때까지 1차측 챔버(11)로 압력을 이동시켜 상시 규정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하우징 11 : 1차측 챔버
12 : 2차측 챔버 30 : 크래퍼
31 : 챔퍼 33 : 홀
35 : 홈 40 : 압력조절장치
41 : 지지체 43 : 부력구
47 : 볼트 50 : 압력조절장치
51 : 제1단부 53 : 제2단부
55 : 연결부 60 : 압력조절장치
61 : 케이스 63 : 탄성부재
65 : 가압 플레이트 67 : 볼트
100 : 알람 밸브 200 : 소방 펌프
310, 320 : 배관 400 : 스프링클러헤드
500 : 드레인 밸브 600 : 사이렌

Claims (10)

  1.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에 있어서,
    소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결되는 1차측 챔버와, 소방수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연결되는 2차측 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1차측 챔버와 상기 2차측 챔버를 구획하고 상기 2차측 챔버의 압력하강에 따라 상기 1차측 챔버의 소방수가 상기 2차측 챔버로 흐르도록 하며 각 챔버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크래퍼; 및
    상기 크래퍼의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2차측 챔버의 압력이 상기 1차측 챔버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2차측 챔버의 소방수가 상기 1차측 챔버로 흐르도록 하는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1차측 챔버측의 크래퍼의 홀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내부에 배치되는 부력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반구형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는 목재, 합성수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상기 클래퍼의 홀을 관통하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의 양단은 각각 1차측 챔버와 2차측 챔버에 위치하며, 1차측 챔버에 위치한 제1단부는 클래퍼 면과 접촉시 틈이 형성되지 않고, 2차측 챔버에 위치한 제2단부는 클래퍼 면과 접촉시 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구형의 제1단부, 클래퍼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2단부와,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를 연결하고 클래퍼 홀을 관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1차측 챔버측의 크래퍼의 홀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상에 설치되고 압력에 따라 상기 크래퍼의 홀을 개폐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퍼의 1차측 챔버측의 홀 주위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이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10. 스프링클러;
    일정한 압력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펌프 및
    일단이 상기 스프링클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소방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개방되면 상기 소방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소방수를 상기 스프링클러로 공급하는 알람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밸브는,
    소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결되는 1차측 챔버와, 소방수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연결되는 2차측 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1차측 챔버와 상기 2차측 챔버를 구획하고 상기 2차측 챔버의 압력하강에 따라 상기 1차측 챔버의 소방수가 상기 2차측 챔버로 흐르도록 하며 각 챔버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크래퍼; 및
    상기 크래퍼의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2차측 챔버의 압력이 상기 1차측 챔버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2차측 챔버의 소방수가 상기 1차측 챔버로 흐르도록 하는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소방 시스템.
KR1020110026039A 2011-03-23 2011-03-23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 KR10129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039A KR101291182B1 (ko) 2011-03-23 2011-03-23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039A KR101291182B1 (ko) 2011-03-23 2011-03-23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331A KR20120108331A (ko) 2012-10-05
KR101291182B1 true KR101291182B1 (ko) 2013-07-31

Family

ID=4727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039A KR101291182B1 (ko) 2011-03-23 2011-03-23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062B1 (ko) 2014-01-07 2017-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키피디아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검색 장치 및 정보검색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67Y1 (ko) 2005-12-30 2006-03-27 숭의기업주식회사 과압 방지장치를 구비한 알람 체크밸브
JP2006081592A (ja) 2004-09-14 2006-03-30 Senju Sprinkler Kk 流水検知装置
JP2007215710A (ja) 2006-02-16 2007-08-30 Senju Sprinkler Kk 流水検知装置
JP2008099871A (ja) 2006-10-19 2008-05-01 Itachibori Mfg Co Ltd 消火設備用自動警報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592A (ja) 2004-09-14 2006-03-30 Senju Sprinkler Kk 流水検知装置
KR200412367Y1 (ko) 2005-12-30 2006-03-27 숭의기업주식회사 과압 방지장치를 구비한 알람 체크밸브
JP2007215710A (ja) 2006-02-16 2007-08-30 Senju Sprinkler Kk 流水検知装置
JP2008099871A (ja) 2006-10-19 2008-05-01 Itachibori Mfg Co Ltd 消火設備用自動警報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331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6906B1 (en) Thermal expansion assembly for water mist fire suppression system
KR100720188B1 (ko)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장치
CN110087741B (zh) 灭火设备阀,尤其湿式报警阀,干式报警阀或喷水阀,和具有其的灭火设备
KR102064947B1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TWI798415B (zh) 滅火設備
KR101291182B1 (ko) 스프링클러 알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방 시스템
JP2008099871A (ja) 消火設備用自動警報弁
RU194470U1 (ru) Побуд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лапана сигнального мембранного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KR102222025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BRPI0512689A (pt) sistema residencial de proteção contra fogo por sprinkler seco
KR102450380B1 (ko) 일제개방형 소방밸브
KR102490165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RU114613U1 (ru) Клапан мобильный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й
KR101658911B1 (ko) 소화용 감압밸브의 보호장치
KR102581218B1 (ko) 저압 습식밸브 조립체
SU1417886A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 дренчерна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
JP6482288B2 (ja) 消火設備用バルブ
KR102581217B1 (ko) 저압 습식밸브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0380097Y1 (ko) 저압식 드라이 파이프 밸브
JP3232248U (ja) 火災警報弁の過圧リフロー装置
KR20230138181A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SU1600801A2 (ru)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пожаротушени
KR200425033Y1 (ko) 감압형 프리 액션밸브
KR200400031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JP2007117166A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ー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