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568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568B1
KR101658568B1 KR1020100044285A KR20100044285A KR101658568B1 KR 101658568 B1 KR101658568 B1 KR 101658568B1 KR 1020100044285 A KR1020100044285 A KR 1020100044285A KR 20100044285 A KR20100044285 A KR 20100044285A KR 101658568 B1 KR101658568 B1 KR 10165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elete delete
screen
item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861A (ko
Inventor
박승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568B1/ko
Priority to US12/915,938 priority patent/US8966395B2/en
Priority to US12/915,885 priority patent/US9232043B2/en
Priority to PCT/KR2010/007554 priority patent/WO2011108797A1/en
Priority to US12/916,037 priority patent/US9232044B2/en
Publication of KR2011012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복수 개의 아이템을 포함한 제 1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복수 개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표시한 제 1화면을 자동으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후에 제 1화면을 표시하되, 선택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유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템에 대한 선택 동작 중에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아이템에 대한 선택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이템에 대한 선택 동작 중에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아이템에 대한 선택을 유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아이템에 대한 선택 동작 중에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아이템에 대한 선택을 유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복수 개의 아이템을 포함한 제 1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한 제 1화면을 자동으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후에 상기 제 1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유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복수 개의 아이템을 포함한 제 1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의 직접적인 입력과 관련 없는 자동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후에 상기 제 1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유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복수 개의 아이템을 포함한 제 1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개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표시한 제 1화면을 자동으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후에 상기 제 1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유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아이템에 대한 선택 동작 중에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아이템에 대한 선택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의 논리적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6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5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바디(70)와, 바디(70)의 일 면에 위치한 터치스크린(1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70)는 이동 단말기(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70)는 이동 단말기(10) 내부 구성품을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바디(7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스틸(steel)을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70)는 일체로 사출된 하나의 조각 또는 여러 개의 조각으로 사출된 여러 조각을 조립하는 방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디(70)에는 각종 버튼(61)이 마련될 수 있다.
버튼(61)은 바디(70)의 전면, 측면, 후면 중에서,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버튼(61)의 개수는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으며, 극단적으로는 바디(70)에 설치된 물리적 버튼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00)은 바디(70)의 적어도 어느 일 면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이 마련된 일 면은, 바디(70)의 전면(前面) 또는 후면(後面)일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00)은 전면 도는 후면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00)은 투명하게 마련되어, 터치스크린(100)을 통하여 후면의 물체를 식별할 수도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터치스크린(100)에 대한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터치스크린(100)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하에서는 터치스크린(100)을 디스플레이로 호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 1,2바디(70a, 70b)에 각각 마련된 제 1,2터치스크린(100a, 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2바디(70a, 70b)는 별도로 마련되어 조립될 수 있다. 즉, 제 1,2바디(70a, 70b)는 각각이 별도로 실질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2바디(70a, 70b)는 힌지(미도시)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폐쇄상태(closed status)또는 개방상태(open status)에 있을 수 있다. 폐쇄상태(closed status)는 제 1,2바디(70a, 70b)가 포개어진 형태로 접혀있는 상태이며, 개방상태는 제 1,2바디(70a, 70b)가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이다. 개방상태에서, 제 1,2터치스크린(100a, 100b)이 나란하게 펼쳐지므로, 사용자는 보다 넓은 화면으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의 논리적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00)은 하나의 표시패널 내에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물리적으로 하나의 터치스크린(100)이지만, 논리적으로 복수 개의 터치스크린(100)인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복수의 영역으로 터치스크린(100)을 분할함으로써, 하나의 영역과 다른 영역에 각각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영역에 대한 터치입력과 다른 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을 서로 다른 터치입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20)와, 입력부(60)와, 출력부(50)와, 제어부(40)와, 전원 공급부(30)와, 터치스크린(10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단말기(10)와 이동단말기(1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60)는 도면에 표시된 정압 또는 정전식의 터치 패드(62) 외에도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출력부(50)는 도면에 표시된 터치스크린(100) 외에도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및 반응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터치스크린(100)은 바디(도 1의 70)의 전면(前面) 상당부분을 차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을 통하여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특정한 정보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널을 합쳐진 형태일 수 있다. 즉, LCD, OLED 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터치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00)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널이 일체화되어 생산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식, 초음파식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 중 정전식은, 이에 포함된 도전층들 사이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서 터치 입력을 인식한다.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전식은 2개의 도전층과, 하나의 절연층 기판과, 보호층으로 구성되며, 신호대잡음비를 높이기 위한 쉴드(shield)층이 추가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0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입력을 받는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출력부(50)인 동시에 입력부(60)일 수 있다.
도 6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제어부(도 5의 40)는, 제 1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화면은 이동 단말기(10)의 터치스크린(100)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는 각종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화면에는 웹페이지, 그림파일 리스트 또는 썸네일(themnail), 음악파일 리스트, 이메일 리스트, SMS 또는 MMS 메시지 리스트, 각종 문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각종 정보가 터치스크린(100)에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화면이 표시되면, 제 1화면에 포함된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아이템은 제 1화면에 포함되어 있으며, 선택가능한 오브젝트(objec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화면이 웹페이지인 경우라면, 웹페이지에 포함된 단어, 문장, 그림, 동영상, 링크 등 각각이 아이템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1화면이 이메일 리스트라면 이메일 리스트 각각이 아이템일 수 있다. 제 1화면에 포함된 아이템은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에 복수 개의 문장이 포함되어 있거나, 복수 개의 그림이 포함되어 있거나, 복수 개의 링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제어부(도 5의 40)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화면에 포함된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의 각종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스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아이템을 선택하던 중에 이동 단말기(10)의 무선 통신부(도 5의 20)에 포함된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콜(call)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콜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도 5의 40)는 이를 처리할 수 있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로부터 로딩하여 실행할 수 있다.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콜 요청이 수신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대방과의 통화가 진행될 수 있다. 콜 요청이 수신되거나 상대방과 통화가 진행되면, 터치스크린(100)의 표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을 선택하고 있던 제 1화면이, 콜이 수신되고 있음을 알리는 소리 또는 진동을 동반한 콜 수신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한 이벤트가 종료되거나 정지되면, 그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도 종료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거나 정지되면, 아이템이 선택되어 있는 제 1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70)가 진행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중에 최초의 제 1화면은 전체 혹은 일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거나 정지되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가 해제되면, 제 1화면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시 표시되는 제 1화면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직전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이 유지된 상태에서 다시 표시됨으로 인하여, 급작스럽게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여 다른 기능이 수행된 이후에도 다시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도 6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도 6의 S50)는, 자동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표시가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S51)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은, 외부에서 수신한 신호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터치스크린(100)의 표시가 변경되는 경우 또는 현재 상황이 미리 설정된 특정 기준을 만족하여 터치스크린(100)의 표시가 변경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자동으로 터치스크린(100)의 표시가 변경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일 수 있다. 콜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0) 사용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터치스크린(100)에 그 사실이 표시될 수 있다.
현재 상황이 미리 설정된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알람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일 수 있다. 알람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이 되면, 이동 단말기(10) 사용자의 현재 의사와 관계없이 터치스크린(100)에 그 사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벤트는, 자동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터치스크린(100)의 표시가 변경되어야 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벤트는, 예를 들어, 자동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중에 의한 인터럽트(interrupt)의 발생일 수 있다. 인터럽트는,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플로우(flow)와는 관계없이 발생한 급작스러운 신호일 수 있다.
자동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표시가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도 5의 40)는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52)하고,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터치스크린(100)에 표시(S53)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하여 제어부(도 5의 40)는 저장장치로부터 메모리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의 저장영역에 기록되어 있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의 활성화 영역으로 로딩할 수 있다. 또는, 이미 로딩되어 있었으나 비활성화 상태에 있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도 5의 40)에 의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이벤트의 발생 사실 또는 이벤트의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사실을 터치스크린(도 5의 40)에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도 5의 40)에 대한 표시는, 터치스크린(도 5의 40)의 전체영역 또는 일부영역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54)가 진행될 수 있다.
실행되어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은, 각 어플리케이션에 적절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라면 통화의 연결 또는 거절에 관련된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알람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라면 알람의 중지 또는 연기와 관련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은 제어부(도 5의 40)의 제어신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람이 일정시간 지속됨에도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제어부(도 5의 40)는 알람의 실행이 중지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어플리케이션에 인가할 수도 있다. 특정한 입력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은, 수신한 입력에 대응되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해제하는 단계(S55)가 진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도록 하는 등의 특정한 입력을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가 해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표시가 해제된다 함은, 터치스크린(100)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그 표시가 사라짐을 의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표시가 해제되면, 아이템이 선택되어 있는 제 1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도 6의 70)가 제어부(도 4의 40)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의 터치스크린(100)에는 제 1 내지 4아이템(ITEM1 내지 ITEM4)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내지 4아이템(ITEM1 내지 ITEM4)들은 그림파일, 텍스트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동작 등을 통하여 제 1내지 4아이템(ITEM1 내지 ITEM4) 중 특정한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 1, 3, 4아이템(ITEM1, ITEM3, ITEM4)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아이템에 대응된 특정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기능이 실행된 후 실행된 기능이 종료되면, 다시 제 1 내지 4아이템(ITEM1 내지 ITEM4)이 표시된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제 1, 3, 4아이템(ITEM1, ITEM3, ITEM4)에 대한 선택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하여 사용자가 반복하여 아이템을 선택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터치스크린(100)에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있는 중에 전화를 수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전화 수신 이벤트가 종료되면 아이템에 대한 선택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반복하여 아이템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00)에는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웹페이지에는 다양한 정보가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가 텍스트로 표시되거나,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로 표시된 정보의 경우에도, 단순한 텍스트, 링크가 연결되어 있는 텍스트 등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 1영역(A1)을 선택함으로써 그에 포함된 텍스트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텍스트 아이템에 대한 선택은, 특정 지점을 터치하면 그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의 텍스트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영역(A1)의 중간 부분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단락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아이템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가 손가락(A)으로 폐곡선을 그리면, 그 폐곡선 내에 포함된 텍스트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동작으로 특정한 아이템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템을 선택되지 않은 아이템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아이템 주위를 해칭(hatching)하거나, 선택된 아이템을 둘러싸는 라인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이 유지되는 아이템이라는 점을 표시하기 위하여, 제 1마커(M1)가 표시될 수도 있다. 제 1마커(M1)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다른 기능이 실행되고 최초의 화면으로 복귀한 경우에도 그 아이템에 선택이 유지될 것임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 1영역(A1)을 선택함으로써 그에 포함된 텍스트 아이템을 선택하고, 제 2영역(A2)을 선택함으로써 그에 포함된 텍스트 아이템을 선택하며, 제 3영역(A3)을 선택함으로써 그에 포함된 텍스트 및 그림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도 5의 40)는, 선택된 제 1 내지 3영역(A1 내지 A3)에 제 1 내지 3마커(M1 내지 M3)를 표시함으로써 제 1 내지 3영역(A1 내지 A3)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한 선택이 계속하여 유지될 수 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 요청이 수신되고 있음이 표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에 표시되는 콜 요청은, 통화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즉, 콜 요청이 수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 터치스크린(100)에 표시되기 이전에 통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로딩 또는 활성화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통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로딩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던 통화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콜 요청을 표시하면, 도 9의 (a) 내지 (c)까지 진행되던 아이템에 대한 선택화면의 표시가 해제될 수 있다. 제어부(도 5의 40)는, 아이템에 대한 선택화면에 대한 표시를 해제하기 전에 도 9의 (c)에 표시된 상태 및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콜을 요청한 상대방과 통화가 진행될 수 있다. 통화는 음성 또는 영상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대방과의 통화를 종료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제 1입력창(SP1)을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게 제 1입력창(SP1)을 터치하면, 상대방과의 통화과 종료되고 통화를 위하여 로딩, 활성화 또는 시작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이 언로딩, 비활성화 또는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완전히 종료되거나, 포어그라운드(fore ground)에서 실행되던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back ground)에서 실행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상대방과의 통화가 종료되어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언로딩, 비활성화 또는 종료되면,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전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의 화면이 터치스크린(100)에 다시 표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에 표시된 화면은,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으로 인하여 통화관련 화면이 표시될 때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 1,2,3영역(A1, A2, A3)이 터치스크린(100)에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다는 사실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선택했던 내용이 그대로 다시 표시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아이템을 다시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다.
도 1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한 아이템에 적용할 특정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한 아이템과 관련된 특정 기능은, 팝업창(P)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팝업창(P)에 표시된 특정 기능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선택한 제 1영역(A1)과 관련하여, 그 내용을 이메일에 첨부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팝업창(P)에 표시되는 기능들은, 선택한 아이템과 관련된 기능일 수 있다. 즉, 선택한 아이템의 속성을 고려할 때, 그 아이템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이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텍스트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라면, 선택된 텍스트 아이템을 복사하거나, 소셜 네트워트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선택된 텍스트를 송신하거나, 그 텍스트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거나, 그 텍스트를 번역하는 등의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기능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팝업창(P)에 표시되는 기능은 선택한 아이템의 속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한 아이템이 텍스트인 경우에는 번역기능이 포함될 수 있고, 선택한 아이템이 사진인 경우에는 이미지 편집기능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선택한 아이템에 대하여 실행할 특정 기능의 선택은,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의 개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1영역(A1)을, 선택된 기능인 이메일에 첨부할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메일 작성을 완료하고 송신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이메일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특정 기능의 실행이 종료되면, 터치스크린(100)은 최초의 화면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표시될 아이템의 선택표시는 도 11의 (c) 또는 (d)와 같을 수 있다.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된 최초화면에는 제 2,3영역(A2, A3) 만이 선택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이메일 기능의 실행과 관련되었던 제 1영역(A1)의 선택이 해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관련된 기능을 이미 실행한 경우라면 그 아이템에 대하여 또다시 기능을 실행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므로, 그 아이템이 포함되었던 영역의 선택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된 최초화면이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화면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이메일 기능의 실행과 관계없이 제 1,2,3영역(A1, A2, A3)의 선택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터치스크린(100)에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있는 중에 알람(alarm)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알람 이벤트가 종료되면 아이템에 대한 선택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반복하여 아이템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였다는 사실을 표시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100)의 제 1,2,3영역(A1, A2, A3)이 다른 부분과 다르게 해칭(hatching)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시각이 되어 알람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도 5의 4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특정 시각이 현재 시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특정 시각이 되면 알람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시각 및 청각을 통하여 알릴 수 있다. 알람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독립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알람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process)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에 알람이 표시되는 경우에, 터치스크린(100)의 전면(全面)에 걸쳐 표시(도 12의 (b))되거나, 일부 영역에 표시(도 12의 (c))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의 일부 영역에 알람 관련 내용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제 2입력창(SP2)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거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어떠한 경우라도, 알람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인하여 터치스크린(100)의 표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람 관련 기능의 실행으로 인하여 터치스크린(100)에 알람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2입력창(SP2)을 선택할 수 있다. 제 2입력창(SP2)은 알람을 연기하기 위한 snooze 버튼이거나, 알람을 정지하기 위한 ok 버튼일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람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언로딩 또는 종료되면, 알람 관련 화면이 표시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알람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이 터치스크린(100)에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 및 도 15는 도 5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터치스크린(100)을 통하여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있는 중에 외부 전자기기를 검색한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검색 이벤트가 종료되면 아이템에 대한 선택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반복하여 아이템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였다는 사실을 표시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100)의 제 1,2,3영역(A1, A2, A3)이 다른 부분과 다르게 해칭(hatching)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4의 (b) 또는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도 5의 20)에 포함된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의 작동으로 인하여 접속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가 검색되었음을 시각적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다른 단말기가 검색되었음이 터치스크린(100)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도 5의 20)와 접속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는, 사용자의 적접적인 조작 없이 제어부(도 5의 40)의 제어신호 등에 의하여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도 5의 40)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또는 무선 통신부(도 5의 20)로 일정 강도 이상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주위의 다른 무선 단말기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무선 단말기가 검색되면, 제어부(도 5의 20)는 제 2입력창(SP2)을 표시하여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한편, 검색된 다른 무선 단말기에 접속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된 다른 단말기에 대한 결과가 터치스크린(1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3입력창(SP3)에 표시된 join 버튼 또는 cancel 버튼을 통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무선 단말기가 검색되었음을 알리는 어플리케이션이 언로딩, 비활성화 또는 종료된 이후에는, 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의 화면이 터치스크린(100)에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미 선택하였던 제 1,2,3영역(A1, A2, A3)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6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일정 시간 이상 터치스크린(100)에 대한 입력이 없는 경우에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슬림모드 전환 이벤트가 종료되면 아이템에 대한 선택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반복하여 아이템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00) 또는 이동 단말기(10) 자체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 이상 입력이 없는 경우에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될 수 있다. 슬립모드로의 전환은 슬립모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진행될 수 있다, 슬립모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독립된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립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도 5의 40)는 터치스크린(100)에 전원 공급이 차단하어 전력소모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00)의 표시 상태가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제어부(도 5의 40)의 제어신호 발생에 의하여, 슬립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슬립모드가 종료되면, 도 16의 (a)에 도시한 아이템 선택 화면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즉, 슬립모드가 진입하기 전까지의 아이템 선택이 그대로 유지되어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아이템의 터치스크린의 한 화면 내에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아이템은 여러화면에 걸쳐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가 10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1페이지가 표시되어 있으나, 1페이지, 5페이지, 10페이지에 각각 존재하는 아이템들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복수 개의 아이템을 포함한 제 1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개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한 제 1화면을 자동으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 1화면을 상기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할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제 1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이 적용된 아이템에 대해서는 상기 선택을 해제하여 표시하고 나머지 아이템에 대해서는 선택을 유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로 로딩하거나, 비활성화 상태에 있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거나, 백그라운드(back ground)로 동작하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fore ground)로 동작하도록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거나, 활성화 상태에 있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거나, 포어그라운드로 동작하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후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 20항에 있어서,
    다른 무선 단말기와의 음성 또는 영상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콜 요청이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 20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각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알람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각에 도달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 20항에 있어서,
    다른 무선 단말기와의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다른 무선 단말기의 존재가 검색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 23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화면이 표시된 터치스크린의 전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설정된 시간 이상 수신하지 못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이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00044285A 2010-03-03 2010-05-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285A KR101658568B1 (ko) 2010-05-12 2010-05-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2/915,938 US8966395B2 (en) 2010-03-03 2010-10-29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2/915,885 US9232043B2 (en) 2010-03-03 2010-10-29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0/007554 WO2011108797A1 (en) 2010-03-03 2010-10-29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2/916,037 US9232044B2 (en) 2010-03-03 2010-10-29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285A KR101658568B1 (ko) 2010-05-12 2010-05-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861A KR20110124861A (ko) 2011-11-18
KR101658568B1 true KR101658568B1 (ko) 2016-09-21

Family

ID=4539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285A KR101658568B1 (ko) 2010-03-03 2010-05-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368B1 (ko) * 2012-02-24 2014-01-29 주식회사 팬택 어플리케이션 전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653A (en) * 1991-03-29 1993-01-12 Deneb Robotics, Inc. 3-tier menu system
US5826051A (en) * 1995-12-27 1998-10-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ying active window selection, application activation, and shared command execution in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KR101474963B1 (ko) * 2008-07-01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861A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204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3770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34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880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39590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an icon from a pag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to another page
KR101631958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9182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845233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724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757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9322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4164763A (ja) フィードバック提供方法及び端末
KR1018998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6403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KR10184219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598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2694A (ko) 멀티 터치에 의한 다중 선택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6585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07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47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15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91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충돌 제어방법
KR10167935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18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297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