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084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084B1
KR101658084B1 KR1020090111128A KR20090111128A KR101658084B1 KR 101658084 B1 KR101658084 B1 KR 101658084B1 KR 1020090111128 A KR1020090111128 A KR 1020090111128A KR 20090111128 A KR20090111128 A KR 20090111128A KR 101658084 B1 KR101658084 B1 KR 101658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nit
terminal
keypad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482A (ko
Inventor
한준희
고동석
이성철
유선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84B1/ko
Priority to EP10013826.2A priority patent/EP2323010B1/en
Priority to US12/909,785 priority patent/US8519962B2/en
Publication of KR2011005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정보를 입력하며 터치 방식에 의해 동작되는 무선 키패드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키패드를 동작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단말기 본체와 무선 키패드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전극과,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전기장 형성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무선 키패드의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전기장의 변화를 근거로 상기 무선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무전원 무선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 심플화되는 경향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입력 장치의 크기, 갯수, 면적을 감소시키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별도로 구성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별도의 입력 장치로서 무선 키패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키패드 에는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교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등이 장착된다. 이러한 무선 키패드는 이동 단말기의 부가적인 입력장치이므로, 그 크기 및 두께를 최소화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자체 전원 없이 단말기 본체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무선 키패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정보를 입력하며 터치 방식에 의해 동작되는 무선 키패드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키패드를 동작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단말기 본체와 무선 키패드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전극과,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전기장 형성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무선 키패드의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전기장의 변화를 근거로 상기 무선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전기장 형성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키패드는 터치 감지를 위한 복수의 도전 패턴들을 갖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패턴들은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 패턴들과 제2전극 사이에는 상기 도전패턴들을 그룹화시키는 복수의 채널 유닛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채널 유닛들은 각각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구설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키패드는 상기 터치 패드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무선 키패드의 사이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 유닛은 상기 제1전극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장 형성부의 전압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 발생 코일과,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조명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자기 유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무선 키패드의 장착을 위한 키패드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선 키패드는 착탈 유닛에 의해 상기 키패드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인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무선 키패드는 상기 인출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인출홀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우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키패드는 상기 파우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키패드는 상기 파우치에 교체되어 장착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장착되며 터치 방식에 의해 동작되는 터치 입력부와, 상기 제1바디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부를 동작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에 각각 장 착되는 제1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전기장 형성부와, 상기 제1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터치 입력부의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전기장의 변화를 근거로 상기 터치 입력부에 가해진 터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제1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에서 제1방향을 따라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일면에는 제2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제3바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측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바디의 후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키패드를 동작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무선 키패드의 전원이 필요없는 무전원 무선 키패드의 구현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무선 키패드에 전원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간단한 회로 구성만으로 구동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무선 키패드의 크기 및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제약없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입력부의 구조는 무선 키패드 뿐만 아니라 제1바디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에도 적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폼 팩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 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 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본체(100')와 무선 키패드(200)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10)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 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 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전원 공급부(190)를 덮는 배터리 커버(126)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본체(110')와 별도로 구비된 무선 키패드(200)는 터치 방식에 의해 동작된다. 무선 키패드(200)는 단말기 본체(100')와 별도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별도로 휴대하도록 구성되거나, 본 실시예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무선 키패드(200)가 단말기 본체(100')의 후면에 장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무선 키패드(200)를 단말기 본체(100')의 전후면에 착탈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무선 키패드(200)의 장착을 위한 키패드 장착부(108)가 형성된다. 키패드 장착부(108)는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무선 키패드(200)의 외곽을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키패드(200)는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패드(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패드(210)에는 문자, 숫자, 기호 등(215)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 숫자, 기호 등(215)을 터치하면, 해당 정보가 단말기 본체(110')에 입력되게 된다. 이러한 문자, 숫자, 기호 등(215)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쿼티 키 배열을 가질 수 있다.
터치 패드(210)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터치 패 드(210)는 투광성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거나,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무선 키패드(200)가 단말기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터치 패드(210)를 투광성 재질로 형성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터치 패드(210)를 불투광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무선 키패드(200)는 착탈 유닛에 의해 단말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탈 유닛의 일 예로서, 무선 키패드(200)의 외곽에 형성된 금속 재질의 외곽부재(221)와, 키패드 장착부(108)에 장착된 마그넷(222)를 들 수 있다. 마그넷(222)는 무선 키패드(200)가 키패드 장착부(108)에 장착되었을 때 외곽부재(221)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외곽부재(221)와 마그넷(222)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무선 키패드(200)가 단말기 본체(110')에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3a 및 3b는 무선 키패드(200)를 이용하여 단말기 본체(100')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무선 키패드(200)는 단말기 본체(100')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 놓여진 상태에서 동작되게 된다.
도 3a는 단말기 본체(100')에 텍스트 입력 모드가 실행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드(210)에 표시된 숫자, 문자 등(215)을 터치하면, 해당 터치 정보가 단말기 본체(100')에 전달되게 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해당 터치 정보에 대응되는 숫자, 문자 등이 표시되게 된다.
도 3b는 단말기 본체(100')에 필기 모드가 실행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 펜(218)을 터치 패드(210)에 터치한 상태로 특정 방향성을 가지도록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부(151)에 그의 궤적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사용자는 도 3a와 같이 키 입력할 필요없이 간단한 그림을 그리거나, 간단한 메모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 상태를 같는 무선 키패드(200)는 단말기 본체(100')의 경우와 같이 전원 공급부(190)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선 키패드(200)는 '무전원 무선 키패드'로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키패드(2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은 단말기 본체(100')의 전원을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본체(100')의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키패드를 동작시키는 구동 유닛(300, 도 5 참조)을 구비한다. 이하, 구동 유닛(3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도 4는 구동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 본체 및 무선 키패드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 유닛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300)은 제1전극(310), 제2전극(320), 전기장 형성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전극(310,320)은 도전체로서 단말기 본체(100')와 무선 키패드(200)에 각각 장착된다. 제1 및 제2전극(310.320)은 무선 키패드(200)의 동작시 무선 키패드(200)가 놓일 위치에 따라 그 장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무선 키패 드(200)의 동작시 제1 및 제2전극(310,32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전극(310,320)은 단말기 본체(100') 및 무선 키패드(200)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 가능하다.
전기장 형성부(330)는 단말기 본체(100')에 장착되며, 제1전극(310)과 연결된다. 전기장 형성부(330)는 제1전극(310)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전극(310)과 제2전극(320) 사이에 전기장(전계, electric field)을 형성시킨다.
전기장 형성부(330)는 단말기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즉 배터리로서 구현 가능하다. 전기장 형성부(330)가 제1전극(310)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면, 제1전극(310)과 제2전극(320) 사이에 일정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제1전극(310)과 제2전극(320) 사이에 전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터치 패드(210)에는 터치 감지를 위한 복수의 도전 패턴들(360)이 형성된다. 도전 패턴들(360)은 선형, 지그재그 형태,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도전 패턴들(360)은 제2전극(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제1전극(310)과 제2전극(3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전 패턴들(360)과 제1전극(310)의 사이에는 전기적인 패스(path)가 형성되게 된다.
제어부(340)는 단말기 본체(100')에 장착되며, 제1전극(310)과 연결된다. 무선 키패드(200)에 사용자의 터치가 가해졌을 때, 제1 및 제2전극(310,320) 사이의 전기장에는 변화가 발생하게 되며, 제어부(340)는 이러한 전기장의 변화를 근거로 무선 키패드(200)에 가해진 터치 정보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도전 패턴들(360)이 형성된 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도전 패턴 들(360)의 임피던스가 변경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전극(310,320) 사이의 캐패시턴스가 변경되게 되며, 제1 및 제2전극(310,320) 사이의 전기장 또한 변하게 된다. 터치 패드(210)에 가해진 터치의 위치에 따라, 이러한 캐패시턴스의 변화량 또한 각각 달라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40)는 앞서 설명된 도면 부호 180의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을 갖거나 그에 포함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전 패턴들(360)과 제2전극(320)의 사이에는 복수의 채널 유닛들(350)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채널 유닛들(350)은 도전 패턴들(360)을 채널별로 그룹화시켜 제어부(340)가 터치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채널 유닛들(350) 각각에는 복수개의 도전 패턴들(360)이 연결되어 있으며, 채널 유닛들(350)은 각각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는다. 아울러, 채널 유닛들(350)은 그에 연결된 각각의 도전 패턴에 서로 다른 길이의 저항체를 연결하여 각 도전패턴들이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전극(320)에 4개의 채널 유닛들(350)이 연결되어 있으며, 도전 패턴들(360)이 이들에 의해 그룹화되어 있다. 채널 유닛들(350)은 전자소자의 형태를 가지며, 채널 유닛들(350) 및 제2전극(320)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불투광성 재질을 갖는 외곽 부재(2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구동 유닛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는 앞선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조명 유닛(380) 및 전 원공급 유닛(370)을 더 구비한다. 조명 유닛(380) 및 전원공급 유닛(370)을 제외한 구성들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도면에서는 설명이 편의상 도 5의 채널 유닛들(350), 도전 패턴들(360)의 도시를 생략으나, 이들 구성들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조명 유닛(380)은 터치 패드(210)를 조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발광소자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다. 조명 유닛(38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터치 패드(210)의 복수의 개소에 부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유닛(370)은 단말기 본체(1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조명 유닛(38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100')와 무선 키패드(200) 사이에 구비된다.
전원 공급 유닛(370)은 단말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자기 발생 코일(371)과, 무선 키패드(200)에 구비되는 자기 유도 코일(372)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발생 코일(371)은 제1전극(3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전기장 형성부(330)에 의해 제공되는 전압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자기 유도 코일(372)은 제2전극(320)과 조명 유닛(380)에 연결된다. 자기 발생 코일(371)과 자기 유도 코일(372)은 자기적으로 상호 커플링되도록 배치된다. 자기 발생 코일(371)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자기 유도 코일(372)에서 유도 기전력을 발생하며, 이에 따라 조명 유닛(38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무선 키패드(200)는 자체 전원 없이 단말기 본체(100')의 전원을 이용하여 터치 패드의 입력 및 조명이 가능하다. 무선 키패 드(200)에 전원 공급을 위한 부품을 장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무선 키패드(200)의 두께 및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계시 디자인에 대한 제약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제1바디(410)와, 제1바디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4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제2바디(420)가 제1바디(410)의 일면에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에 의하면, 제2바디(420)가 제1바디(410)의 후면에 슬라이드 연결되어 있다.
제1바디(410)에는 디스플레이부(411), 스피커(412), 마이크(413), 카메라(141), 및 사용자 입력부(415)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바디(420)에는 터치 방식에 의해 동작되는 터치 입력부(430)가 구비된다. 터치 입력부(430)는 앞선 실시예의 터치 패드(2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터치 입력부(430)에는 입력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 숫자 등(435)이 표시되어 있다.
제2바디(4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터치 입력부(430)가 노출되는 열린 상태와, 터치 입력부(430)가 제1바디(410)에 의해 덮혀지는 닫힌 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또한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1바디(410)의 전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부를 동작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한다. 구동 유닛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즉, 구동 유닛은 제1 및 제2바 디(410,420)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전극과, 제1바디(410)에 구비되며 제1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전기장 형성부와, 제1바디(410)에 장착되며 터치 입력부(430)의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변화를 근거로 터치 입력부(430)에 가해진 터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동 유닛의 구성은 앞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참고로, 제1바디(410)는 앞선 실시예의 단말기 본체(100')에 대응되며, 제2바디(420)는 앞선 실시예의 무선 키패드(200)에 대응된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입력부(430)와 제1바디(410)를 유선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바디와 터치 입력부를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 연성회로기판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에서 케이블 또는 연성회로기판은 열린 상태에서 제1 및 제2바디(410,420)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 또는 연성회로기판이 필요 없으므로, 열린 상태에서 제1 및 제2바디(410.420)가 중첩되는 영역의 길이(S)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린 상태에서 제2바디(420)의 노출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어 터치 입력부(430)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제2바디(420)에 터치 입력부(430)에 전원을 공급을 위한 부품을 장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2바디(420)의 두께(T) 및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설계시 디자인에 대한 제약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또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제1바디(510)와, 제1바디(510)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제2바디(520)가 제1바디(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며, 이를 제외하면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1바디(510)에는 디스플레이부(511), 스피커(512), 마이크(513), 카메라(514), 및 사용자 입력부(51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바디(520)에는 터치 방식에 의해 동작되는 터치 입력부(530)가 구비된다. 이동 단말기는 제1바디(510)의 전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부(530)를 동작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한다.
제2바디(520)는 상대 회전에 의해 제1바디(5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바디(520)의 상대 회전에 따라 제2바디(520)가 제1바디(510)의 후면을 덮는 닫힌 상태와, 디스플레이부(511)와 터치 입력부(530)가 동일 방향을 지향하는 열린 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바디(510,520)는 힌지 연결부(540)에 의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 또한 제1바디(510)와 터치 입력부(530)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이 필요 없기 때문에 힌지 연결부(54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2바디(420)의 두께 및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전면 사시도와 후면 사시들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바디(610)와 제2바디(620)를 포함한다. 제1바디(610)는 그 내부에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제1바디(610)와 제2바디(620)는 각각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중첩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바디(610,620)가 '⊂'자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됨으로써, 열린 상태에서 제1바디(610) 전면과 제2바디(620)의 전면 사이의 단차 또는 제1바디(610) 후면과 제2바디(620) 후면 사이의 단차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폼팩터(form factor)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바디(610)에는 디스플레이부(611), 음향출력부(612), 카메라(614), 사용자 입력부(613)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후면에는 카메라(615), 거울(616), 플래시(617), 전원 공급부(618) 등이 구비된다.
제2바디(620)는 제1바디(610)의 측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621)와, 슬라이드부(621)에 결합되어 제1바디(610)의 후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커버부(622)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부(621)에는 터치 패드(630, 터치 입력부)가 결합되며, 터치 패드(630)는 제1바디(61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제1바디(6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터치 패드(630)에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숫자, 기호 등(135)은 터치 패드(630)의 표면에 각인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도 6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명 유닛에 의하여 식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패드(630)와 커버부(622)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광성 재질의 터치 패드(630)와 커버부(622)를 통하여 반대 쪽의 사물을 볼 수 있다. 여기서 '투광성'은 '완전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제1바디(610)와 슬라이더(620)의 형상과 배치는 제1바디(610)의 두께와 이동 단말기 전체 두께와의 차이가 커지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열린 상태에서 제1바디(610)와 제2바디(620)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 또한 제1바디(610)의 전원을 이용하여 터치 패드(630)를 동작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바디(610)와 터치 패드(630)을 유선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연성회로기판이 필요 없어, 본 발명의 구동 유닛은 상기와 같은 폼 팩터를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할 것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710, 또는 제1바디)와, 단말기 본체(720)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무선 키패드(720, 또는 제2바디)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710) 및 무선 키패드(720)에 장착된 구성들은 제1실시예에서의 구성들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단말기 본체(710)에는 디스플레이부(711), 스피커(712), 마이크(713), 카메라(714), 사용자 입력부(715) 등이 구비된다. 무선 키패드(720)에는 터치 패드(730)가 장착되며, 터치 패드(730)는 구동 유닛의 동작에 의해 단말기 본체(710)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다.
본 발명의 무선 키패드(720)는 무전원으로 구현되어 그 두께를 매우 얇게 구 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 본체(71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도 무선 키패드(720)가 인출되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710)의 측면에는 무선 키패드(720)의 인출홀(7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무선 키패드(720)는 인출홀(701)의 내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단말기 본체(7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무선 키패드(720)는 도 10a와 같이 인출홀(710) 내부에 수용된 제1상태와, 도 10b와 같이 인출홀(701)에서 일정 거리만큼 인출되어 터치 패드(730)가 노출된 제2상태, 및 도 10c와 같이 단말기 본체(710)로부터 분리된 제3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단말기 본체(710)와 무선 키패드(720)의 사이에는 제2상태에서 무선 키패드(720)를 단말기 본체(710)에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록킹 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폼 팩터에 의하면, 제1상태와 같이 바 타입 단말기의 폼 팩터를 구현할 수도 있고, 제2상태와 같이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의 폼팩터를 구현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3상태와 같이 또한 바 타입 단말기와 이와 별도의 무선 키패드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제1바디(810)와, 제1바디(810)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820)와, 제1바디(810)의 일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바디(840)를 포함한다.
제1바디(810)에는 디스플레이부(811), 스피커(812), 카메라(814), 사용자 입력부(815) 등이 장착되며, 제2바디(820)에는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패드(830)가 구비된다. 제3바디(840)에는 키패드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845), 사이드 키(846), 마이크 (84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터치 패드(830)는 구동 유닛에 의해 단말기 본체(710)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다.
제2바디(820)는 제1방향을 따라 제1바디(810)에서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고, 제3바디(840)는 제2방향을 따라 제1바디(810)의 후면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제1방향은 제1바디(81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이고, 제2방향은 제1바디(81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방향이 제1바디(810)의 길이 방향이고 제2방향이 제1바디(810)의 폭 방향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2바디(830)는 앞서 설명된 제5실시예와 같이 무선 키패드의 형태로서 제1 내지 제3상태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a 및 12b는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2a 및 12b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제2 및 제3바디(820,840)가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열린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2a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제2바디(82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열린 상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12b와 같이 제3바디(84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열린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열린 상태에서 제2바디(820)의 터치 패드(830)을 이용하여 전화 모드에서 전화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제2열린 상태에서 제3바디(840)의 사용자 입력부(845)를 이용하여 텍스트 모드에서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11)는 제1열린 상태 또는 제2열린 상태에서 그 출력 방향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바뀌도록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바디(820)에 배터리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제2바디(820)의 두께를 슬림하게 구현 가능하며,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폼 팩터에 있어서도 이동 단말기의 전체 두께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9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우치(960)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단말기 본체(910)의 후면은 파우치(960)에 결합되며, 파우치(960)는 단말기 본체(910)의 전면을 노출시키거나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파우치(960)는 단말기 본체(910)를 장착하기 위한 제1커버부(961)와, 제1커버부(961)에서 연장되어 단말기 본체(910)의 전면을 덮는 제2커버부(9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부(962)에는 무선 키패드(920,940)를 장착하기 위한 키패드 장착부(963)가 형성된다.
무선 키패드(920,940)은 파우치(960)의 제2커버부(96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무선 키패드(920)가 키패드 장착부(963)에 장착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착탈 유닛에 의해 구현 가능하며, 상세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 하기로 한다.
무선 키패드(920,940)는 구동 유닛에 의해 단말기 본체(910)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다. 무선 키패드(920,940)는 파우치(910)에 교체되어 장착될 수 있게 복수로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키패드(920,940)는 문자 입력을 위한 제1키패드(920)와, 게임을 위한 제2키패드(94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키패드(920.940)에는 문자 입력 및 게임 조작을 위한 터치 패드들(930,950)이 각각 장착된다. 무선 키패드(920,940)는 사용되는 작동 모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제1 및 제2키패드(920,940)는 작동 모드에 따라 파우치(960)의 제2부분(962)에 교체되어 장착 가능하다. 무선 키패드(920,940)는 유선 연결이 필요 없는 바, 파우치(960)의 제2부분(962)에 별도의 접속 단자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4는 구동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 본체 및 무선 키패드의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 유닛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구동 유닛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전면 사시도와 후면 사시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 12a 및 12b는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Claims (25)

  1.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정보를 입력하며, 터치 방식에 의해 동작되는 무선 키패드;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키패드를 동작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단말기 본체와 무선 키패드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전극;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전기장 형성부;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무선 키패드의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전기장의 변화를 근거로 상기 무선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키패드는 터치 감지를 위한 복수의 도전 패턴들을 갖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패턴들은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제2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도전 패턴들은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서로 다른 길이의 저항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형성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들과 제2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패턴들을 채널별로 그룹화시키는 복수의 채널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 유닛들은 각각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드의 외곽에는 불투광성 재질의 외곽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외곽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키패드는 상기 터치 패드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무선 키패드의 사이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유닛은,
    상기 제1전극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장 형성부의 전압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 발생 코일; 및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조명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자기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무선 키패드의 장착을 위한 키패드 장착 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선 키패드는 착탈 유닛에 의해 상기 키패드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유닛은,
    상기 무선 키패드의 외곽에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외곽 부재; 및
    상기 키패드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무선 키패드의 장착시 상기 외곽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인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무선 키패드는 상기 인출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인출홀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키패드는 상기 인출홀 내부에 수용된 제1상태와, 상기 인출홀에서 일정 거리만큼 인출된 제2상태, 및 상기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제3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키패드는 상기 파우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키패드는 상기 파우치에 교체되어 장착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장착되며, 터치 방식에 의해 동작되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제1바디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부를 동작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전극;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전기장 형성부; 및
    상기 제1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터치 입력부의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전기장의 변화를 근거로 상기 터치 입력부에 가해진 터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는 터치 감지를 위한 복수의 도전 패턴들을 갖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패턴들은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제2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도전 패턴들은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서로 다른 길이의 저항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형성부는 상기 제1바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삭제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일면을 슬라이드 이동하거나,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전면에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며,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을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에서 제1방향을 따라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일면에는 제2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 유닛을 구비하는 제3바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1바디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바디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측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90111128A 2009-11-17 2009-11-17 이동 단말기 KR101658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128A KR101658084B1 (ko) 2009-11-17 2009-11-17 이동 단말기
EP10013826.2A EP2323010B1 (en) 2009-11-17 2010-10-20 Mobile terminal
US12/909,785 US8519962B2 (en) 2009-11-17 2010-10-21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128A KR101658084B1 (ko) 2009-11-17 2009-11-1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82A KR20110054482A (ko) 2011-05-25
KR101658084B1 true KR101658084B1 (ko) 2016-09-21

Family

ID=4341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128A KR101658084B1 (ko) 2009-11-17 2009-11-1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19962B2 (ko)
EP (1) EP2323010B1 (ko)
KR (1) KR1016580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5439B2 (en) 2009-03-05 2014-08-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2147672A (zh) * 2010-02-04 2011-08-10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
KR101131977B1 (ko) * 2011-04-26 2012-03-29 (주)켐리치 배터리 커버에 발광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KR101850818B1 (ko) * 2012-01-03 201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CN103257672B (zh) * 2012-02-17 2017-04-12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30342464A1 (en) * 2012-06-13 2013-12-26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Interchangeable Surface
US9684382B2 (en) 2012-06-13 2017-06-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configuration having capacitive and pressure sensors
US9459160B2 (en) 2012-06-13 2016-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sensor configuration
US20140071654A1 (en) 2012-09-11 2014-03-13 Logitech Europe S.A. Protective Cover for a Tablet Computer
TW201428569A (zh) * 2013-01-10 2014-07-16 Sipix Technology Inc 包含電泳觸控面板之顯示系統
US10578499B2 (en) 2013-02-17 2020-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iezo-actuated virtual buttons for touch surfaces
TWI502320B (zh) * 2013-02-27 2015-10-01 Wistron Corp 電子設備
CN103823565A (zh) * 2013-09-16 2014-05-28 锭远科技有限公司 无电源的无线键盘
US9448631B2 (en) 2013-12-31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haptics and pressure sensing
EP3822741A1 (en) 2014-08-08 2021-05-19 One2Touch AS Flip cover wireless keyboard
US9424048B2 (en) 2014-09-15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uctive peripheral retention device
US10474409B2 (en) * 2014-09-19 2019-11-12 Lenovo (Beijing) Co., Ltd. Respons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544416B2 (en) * 2015-04-27 2017-01-10 Motorola Mobility Llc Keyboard function in a modula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416799B2 (en) 2015-06-03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 sensing and inadvertent input control of an input device
US10222889B2 (en) 2015-06-03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 inputs and cursor control
US10061385B2 (en) 2016-01-22 2018-08-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ptic feedback for a touch input device
KR20170123789A (ko) * 2016-04-29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8804000B (zh) * 2017-04-26 2021-07-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及外接显示器操作方法
EP3499336A1 (en) * 2017-12-13 2019-06-19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Interactive phone case
US11558495B2 (en) * 2018-05-07 2023-01-17 STAR CO Scientific Technologies Advanced Research Co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mobile phone and a mobile phone cover
US20190341956A1 (en) * 2018-05-07 2019-11-07 Star Co Scientific Technologies Advanced Research Co, Llc D/B/A Star Co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mobile phone and a mobile phone cover
US10705725B2 (en) * 2018-05-29 2020-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with detachable writing input device
CN112995372B (zh) * 2019-12-16 2023-08-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壳体和终端设备
BE1028122B1 (de) * 2020-12-02 2021-09-28 Hangzhou Shiwei Tech Co Ltd Auf physikalischen Tasten basierende erweiterte Steuersystem und Verfahren zum schnellen Zugriff auf ein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042A1 (en) * 2000-12-22 2002-06-27 Nokia Mobil Phone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emote keypad for a mobile station
JP2004234270A (ja) * 2003-01-30 2004-08-19 Fujitsu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それを有する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8099384A2 (en) * 2007-02-13 2008-08-21 Modu Ltd.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102B2 (ja) * 1989-12-15 1996-10-23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スライド収納式液晶表示装置
US6133833A (en) * 1999-02-25 2000-10-17 Motorola, Inc. Wireless add-on keyboard system and method
US7113175B2 (en) * 2000-09-26 2006-09-26 Intertac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touch input devices in a touch sensing system
US7006014B1 (en) * 2000-10-17 2006-02-28 Henty David L Computer system with passive wireless keyboard
US7425947B1 (en) * 2003-05-22 2008-09-16 Palmsource, Inc. Dual sided input device for a handheld computer
US7283852B2 (en) * 2003-09-10 2007-10-16 Nokia Corporation Movable functional ele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109116A1 (en) * 2005-11-14 2007-05-17 Jeremy Burr Wireless power source and/or communication for bioarrays
WO2007089158A1 (en) * 2006-02-03 2007-08-09 Tendo Tech As External keyboard
US8018716B2 (en) * 2007-01-04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dapter for docking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in discrete orientations
JP4872113B2 (ja) * 2007-09-10 2012-02-08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US8208245B2 (en) * 2008-03-31 2012-06-26 Over The Sun, Llc Tablet computer
US8089468B2 (en) * 2008-08-15 2012-01-03 Lenovo (Singapore) Pte. Ltd. Slate wireless keyboard connection and proximity display enhancement for visible display area
JP4911148B2 (ja) * 2008-09-02 2012-04-04 ソニー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US7990103B2 (en) * 2008-11-24 2011-08-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battery charging system comprising an antenna arrangement for a radio receiver
US8339372B2 (en) * 2009-04-20 2012-12-25 Broadcom Corporation Inductive touch screen with integrated antenna for use in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042A1 (en) * 2000-12-22 2002-06-27 Nokia Mobil Phone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emote keypad for a mobile station
JP2004234270A (ja) * 2003-01-30 2004-08-19 Fujitsu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それを有する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8099384A2 (en) * 2007-02-13 2008-08-21 Modu Ltd.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82A (ko) 2011-05-25
US20110115712A1 (en) 2011-05-19
EP2323010A2 (en) 2011-05-18
EP2323010B1 (en) 2019-09-25
EP2323010A3 (en) 2015-01-07
US8519962B2 (en)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084B1 (ko) 이동 단말기
KR1016394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3555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0207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041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69801B1 (ko) 이동 단말기
KR101537692B1 (ko) 휴대 단말기
KR20120140373A (ko) 이동 단말기
KR1016496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772074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59470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88982A (ko) 이동 단말기
KR10182983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09605B1 (ko) 이동 단말기
KR101822939B1 (ko) 이어폰 및 이어폰이 적용된 이동 단말 시스템
KR1015619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6212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87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118821A (ko) 이동 단말기
KR101275189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62751A (ko) 이동 단말기
KR10168894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입력수단 제어방법
KR101892002B1 (ko) 이동 단말기
KR101667717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