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996B1 -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 Google Patents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996B1
KR101657996B1 KR1020140180467A KR20140180467A KR101657996B1 KR 101657996 B1 KR101657996 B1 KR 101657996B1 KR 1020140180467 A KR1020140180467 A KR 1020140180467A KR 20140180467 A KR20140180467 A KR 20140180467A KR 101657996 B1 KR101657996 B1 KR 101657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r
sealing
press
reinforcing fram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602A (ko
Inventor
이명수
우종서
Original Assignee
(주)진양오일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양오일씰 filed Critical (주)진양오일씰
Priority to KR102014018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9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2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8Arrangement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엔코더보강테(1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삽입하는 엔코더보강테 삽입 단계(S10); 프레스(200)의 일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거친면(210)을 형성하는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 상기 엔코더보강테(10)를 상기 프레스(200)의 거친면(210)으로 프레스(200)하여 상기 엔코더보강테(10)에 표면이 거칠게 된 엔코더접착면(11)을 형성하는 엔코더보강테 프레스 단계(S30); 및 상기 엔코더보강테(1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서 탈착한 후, 상기 엔코더보강테(10)의 엔코더접착면(11)을 엔코더고무(20)에 접착하는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Manufacturing method for a adhesive force reinforcement of encoder seal}
본 발명은 차량용 허브베어링에 결합되는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제동장치에는 차량의 급제동 시 휠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 Anti-Lock Brake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륜의 허브와 연결된 톤 휠(Tone wheel)이 회전하면 속도 감지센서에 구비된 자석에 의해 자장 변화가 발생되고, 이 자장 변화에 의해서 출력신호(구형파)가 발생되며, 이 신호가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톤 휠의 회전속도를 속도 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에 전달하면, 전자제어장치에서는 속도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토대로 솔레노이드 밸브와 펌프 등이 설치된 유압제어유닛(HU, Hydraulic Unit)의 작동을 제어한다.
유압제어유닛은 브레이크 유압을 5~10Hz 정도의 속도로 조절하면서 펌핑브레이크와 같은 작동을 구현하게 되고, 휠의 잠김을 방지함으로써 휠의 잠김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차축을 지지하는 허브베어링(Hub bearing)은, 차축의 단부에 연결되는 허브, 차체와 연결되는 외륜, 허브와 연결되는 내륜, 외륜과 내륜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동체, 외륜과 내륜 사이의 틈새를 씰링하는 팩씰을 포함한다.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적용 시, 속도 감지센서의 감지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톤 휠은 톱니형태의 외주부를 가지고 허브의 단부 등에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톤 휠의 설치로 인해 허브, 외륜, 내륜, 전동체, 팩씰을 포함하는 허브베어링의 설치 공간이 축소되어, 허브베어링의 설계, 설치 시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톤 휠의 설치를 고려하지 않고 허브베어링의 설치 공간을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도록, 부피가 작은 엔코더를 팩씰에 일체로 결합하는 구조(이하 '엔코더씰'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엔코더씰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엔코더씰은 차량용 허브베어링의 외륜과 연결되는 씰링보강테(30); 차량용 허브베어링의 내륜과 연결되는 엔코더보강테(10); 상기 씰링보강테(30)에 결합되어 상기 엔코더보강테(10)에 접하는 씰링고무(40); 및 상기 엔코더보강테(10)에 결합되는 엔코더고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엔코더씰은 씰링보강테와 씰링고무의 접착력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엔코더보강테와 엔코더고무의 접착력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엔코더씰은 엔코더보강테의 부식(Corrosion) 테스트를 수행한 후, 엔코더고무가 엔코더보강테에서 박리되는 박리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4-0071166호의 차량용 허브베어링의 엔코더씰이 제시된 적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71166호 (2014.06.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코더보강테와 엔코더고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은 엔코더보강테(1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삽입하는 엔코더보강테 삽입 단계(S10); 프레스(200)의 일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거친면(210)을 형성하는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 상기 엔코더보강테(10)를 상기 프레스(200)의 거친면(210)으로 프레스(200)하여 상기 엔코더보강테(10)에 표면이 거칠게 된 엔코더접착면(11)을 형성하는 엔코더보강테 프레스 단계(S30); 및 상기 엔코더보강테(1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서 탈착한 후, 상기 엔코더보강테(10)의 엔코더접착면(11)을 엔코더고무(20)에 접착하는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는 상기 프레스(200)의 일면을 방전 가공 또는 블라스팅 가공하여 거친면(2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는 상기 거친면(210)의 표면조도를 20㎛ 내지 100㎛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코더보강테(10)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S40)는 상기 엔코더보강테(10)의 엔코더접착면(11)에 접착제(L)를 도포한 후, 상기 엔코더고무(20)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은 씰링보강테(3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삽입하는 씰링보강테 삽입 단계(S50); 상기 씰링보강테(30)를 상기 프레스(200)의 거친면(210)으로 프레스(200)하여 상기 씰링보강테(30)에 씰링접착면(31)을 형성하는 씰링보강테 프레스 단계(S60); 상기 씰링보강테(3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서 탈착한 후, 상기 씰링보강테(30)의 씰링접착면(31)을 씰링고무(40)에 접착하는 씰링보강테 접착 단계(S70); 및 상기 씰링고무(40)를 상기 엔코더보강테(10)에 밀착하는 씰링고무 밀착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보강테 접착 단계(S70)는 상기 씰링보강테(30)의 씰링접착면(31)에 접착제(L)를 도포한 후, 상기 씰링고무(40)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은 엔코더보강테에 표면이 거칠게 된 엔코더접착면을 형성하여 엔코더고무에 접착함으로써, 엔코더보강테와 엔코더고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엔코더씰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의 엔코더보강테 삽입 단계 내지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의 씰링보강테 삽입 단계 내지 씰링고무 밀착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은 엔코더보강테 삽입 단계(S10),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 엔코더보강테 프레스 단계(S30),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의 엔코더보강테 삽입 단계 내지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에서, 도 3은 엔코더보강테 삽입 단계(S10), 도 4는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 도 5는 엔코더보강테 프레스 단계(S30), 도 6은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S40)가 나타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코더보강테 삽입 단계(S10)는 엔코더보강테(1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엔코더보강테(10)가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좀 더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는 상기 프레스(200)의 일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거친면(210)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프레스(200)의 거친면(210)에는 다수의 돌기 또는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코더보강테 프레스 단계(S30)는 상기 엔코더보강테(10)를 상기 프레스(200)의 거친면(210)으로 프레스(200)하여 상기 엔코더보강테(10)에 엔코더접착면(11)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엔코더보강테(10)의 엔코더접착면(11)은 상기 프레스(200)의 거칠게 처리된 거친면(210)에 프레스(200)됨에 따라, 상기 엔코더보강테(10)의 엔코더접착면(11)의 표면도 거칠게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S40)는 상기 엔코더보강테(1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서 탈착한 후, 상기 엔코더보강테(10)의 엔코더접착면(11)을 엔코더고무(20)에 접착한다.
이 때, 상기 엔코더보강테(10)의 엔코더접착면(11)은 표면이 거칠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엔코더고무(20)와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는 상기 프레스(200)의 일면을 방전 가공 또는 블라스팅 가공하여 거친면(210)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방전 가공은 상기 프레스(200)의 일면에 금속분말 또는 금속 화합물의 분말을 압축성형한 압분체를 전극재료로 펄스형의 방전을 발생시켜, 그 방전 에너지에 의해 전극재료를 거친면(210)으로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블라스팅 가공은 상기 프레스(200)의 일면에 모래, 강 쇼트, 그릿, 모래, 또는 규석 입자의 연마재를 첨가한 압축 유체를 분사하여 거친면(210)을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프레스(200)의 일면을 거칠게 하기 위하여 화학적인 산처리를 수행하였으나, 이는 프레스(200)의 일면 조도를 특정 수치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는 상기 프레스(200)의 일면을 방전 가공 또는 블라스팅 가공하여 거친면(210)을 형성함으로써, 프레스(200)의 일면 조도를 특정 수치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는 상기 거친면(210)의 표면조도를 20㎛ 내지 100㎛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코더보강테(10)는 부식이 방지되도록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S40)는 상기 엔코더보강테(10)의 엔코더접착면(11)에 접착제(L)를 도포한 후, 상기 엔코더고무(20)에 접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은 씰링보강테 삽입 단계(S50), 씰링보강테 프레스 단계(S60), 씰링보강테 접착 단계(S70), 씰링고무 밀착 단계(S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의 씰링보강테 삽입 단계 내지 씰링고무 밀착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에서 도 7은 씰링보강테 삽입 단계(S50), 도 8은 씰링보강테 프레스 단계(S60), 도 9는 씰링고무(40) 접착 단계와 씰링고무 밀착 단계(S80)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링보강테 삽입 단계(S50)는 씰링보강테(3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씰링보강테(30)가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좀 더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링보강테 프레스 단계(S60)는 상기 씰링보강테(30)를 상기 프레스(200)의 거친면(210)으로 프레스(200)하여 상기 씰링보강테(30)에 씰링접착면(31)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씰링보강테(30)의 씰링접착면(31)은 상기 프레스(200)의 거칠게 처리된 거친면(210)에 프레스(200)됨에 따라, 상기 씰링보강테(30)의 씰링접착면(31)의 표면도 거칠게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링보강테 접착 단계(S70)는 상기 씰링보강테(3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서 탈착한 후, 상기 씰링보강테(30)의 씰링접착면(31)을 씰링고무(40)에 접착한다.
이 때, 상기 씰링보강테(30)의 씰링접착면(31)은 표면이 거칠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씰링고무(40)와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씰링고무 밀착 단계(S80)는 상기 씰링고무(40)를 상기 엔코더보강테(10)에 밀착한다.
한편, 상기 씰링보강테 접착 단계(S70)는 상기 씰링보강테(30)의 씰링접착면(31)에 접착제(L)를 도포한 후, 상기 씰링고무(40)에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엔코더보강테
11 : 엔코더접착면
20 : 엔코더고무
30 : 씰링보강테
31 : 씰링접착면
40 : 씰링고무
100 : 금형
110 : 성형공간
200 : 프레스
210 : 거친면

Claims (7)

  1. 엔코더보강테(1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삽입하는 엔코더보강테 삽입 단계(S10);
    프레스(200)의 일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거친면(210)을 형성하는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
    상기 엔코더보강테(10)를 상기 프레스(200)의 거친면(210)으로 프레스(200)하여 상기 엔코더보강테(10)에 표면이 거칠게 된 엔코더접착면(11)을 형성하는 엔코더보강테 프레스 단계(S30);
    상기 엔코더보강테(1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서 탈착한 후, 상기 엔코더보강테(10)의 엔코더접착면(11)을 엔코더고무(20)에 접착하는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S40);
    씰링보강테(3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 삽입하는 씰링보강테 삽입 단계(S50);
    상기 씰링보강테(30)를 상기 프레스(200)의 거친면(210)으로 프레스(200)하여 상기 씰링보강테(30)에 씰링접착면(31)을 형성하는 씰링보강테 프레스 단계(S60);
    상기 씰링보강테(30)를 금형(100)의 성형공간(110)에서 탈착한 후, 상기 씰링보강테(30)의 씰링접착면(31)을 씰링고무(40)에 접착하는 씰링보강테 접착 단계(S70); 및
    상기 씰링고무(40)를 상기 엔코더보강테(10)에 밀착하는 씰링고무 밀착 단계(S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는
    상기 프레스(200)의 일면을 방전 가공 또는 블라스팅 가공하여 거친면(2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표면 처리 단계(S20)는
    상기 거친면(210)의 표면조도를 20㎛ 내지 100㎛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보강테(10)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보강테 접착 단계(S40)는
    상기 엔코더보강테(10)의 엔코더접착면(11)에 접착제(L)를 도포한 후, 상기 엔코더고무(20)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보강테 접착 단계(S70)는
    상기 씰링보강테(30)의 씰링접착면(31)에 접착제(L)를 도포한 후, 상기 씰링고무(40)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KR1020140180467A 2014-12-15 2014-12-15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KR10165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467A KR101657996B1 (ko) 2014-12-15 2014-12-15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467A KR101657996B1 (ko) 2014-12-15 2014-12-15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02A KR20160072602A (ko) 2016-06-23
KR101657996B1 true KR101657996B1 (ko) 2016-09-20

Family

ID=5635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467A KR101657996B1 (ko) 2014-12-15 2014-12-15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8955A (zh) * 2020-10-28 2021-03-19 中建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预制混凝土构件粗糙面一次成型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756A (ja) * 2004-12-22 2006-07-06 Nsk Ltd 磁気エンコーダの製造方法
JP2009020047A (ja) 2007-07-13 2009-01-29 Uchiyama Mfg Corp 磁気エンコー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88B1 (ko) * 2012-08-10 2014-06-12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마그네틱 엔코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71166A (ko) 2012-12-03 2014-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허브베어링의 엔코더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756A (ja) * 2004-12-22 2006-07-06 Nsk Ltd 磁気エンコーダの製造方法
JP2009020047A (ja) 2007-07-13 2009-01-29 Uchiyama Mfg Corp 磁気エンコ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02A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09680B (zh) 插入成型件、保护盖的制造方法以及轴承装置的制造方法
US8297848B2 (en) Magnetic encoder and rolling bearing
MXPA04011598A (es) Sistema de frenado antibloqueo basado en prevencion de volcadura.
WO2005032853A3 (en) Method for attachment of tire pressure sensor
KR101657996B1 (ko) 엔코더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JP4863243B2 (ja) エンコーダ付密封装置
WO2011039128A3 (de) Axiale abdichtung für eine innenzahnradpumpe
US20100090686A1 (en) Magnetic encoder including magnetic ring having roughness
CN1072335C (zh) 轴承密封机构及其制造方法
DE10342743A1 (de) Bremsscheibe für ein Fahrzeug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WO2006102519A2 (en) Knuckle and bearing assembly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same
CN203254901U (zh) 轮胎压力监测传感器
KR101657998B1 (ko) 피스톤씰의 접착력 보강을 위한 제조 공법
JP5609554B2 (ja) 着磁パルサリング、転がり軸受装置、及び、着磁パルサリングの製造方法
CN101688792A (zh) 磁编码器和滚动轴承
US100353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tread band
JP5036044B2 (ja) 磁気エンコーダ
JP2016156497A (ja) インサート成形品、並びにセンサホルダ部を有する保護カバーの製造方法、及び前記保護カバーを備えた軸受装置の製造方法
JP2017501064A (ja) 平坦内張りトレッドを使用する再生タイヤの形成システム及び方法
JP7368478B2 (ja) 車両用の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
JP201100092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制振装置
EP1365168A3 (de) Scheibenbremse für Fahrzeuge, insbesondere Strassenfahrzeuge
DE602004001202D1 (de) Verfahren zur Verzögerungsregelung eines Fahrzeugs unter Begrenzung unsymmetrisch verteilter Bremsmomente
US20210301922A1 (en) Packing device for vehicle
JP2016183773A (ja) 保護カバー、及び保護カバーを備えた軸受装置、並びに保護カバ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