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948B1 -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948B1
KR101657948B1 KR1020140024751A KR20140024751A KR101657948B1 KR 101657948 B1 KR101657948 B1 KR 101657948B1 KR 1020140024751 A KR1020140024751 A KR 1020140024751A KR 20140024751 A KR20140024751 A KR 20140024751A KR 101657948 B1 KR101657948 B1 KR 101657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oist
lower support
guide ra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853A (ko
Inventor
송근상
이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Priority to KR102014002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9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하부에 롤러 서포트편(4)을 구비하여 호이스트(6) 이동 장소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2);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상기 롤러 서포트편(4) 상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트래버스 롤러(10);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상기 롤러 서포트편(4)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트래버스 롤러(10)와 함께 상기 호이스트(6)의 이동시 상하 위치에서 균형을 잡아주는 로워 서포트 롤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호이스트(6) 이동중에 호이스트(6)가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이송 도중의 안정화는 물론 호이스트(6)의 구조적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Hoist conveying quide roller}
본 발명은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이스트 이동중에 호이스트가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이송 도중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음은 물론 호이스트의 구조적 안정성을 충실히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생산라인 등에서와 같이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소정위치에 조립 및 장착하는 경우 화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가 이용된다. 즉, 호이스트는 로프(와이어 로프 또는 체인) 끝단에 매달린 후크에 화물을 연결하여 상기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호이스트는 작은 용량의 화물 등을 들어올리고 이동하는 데 사용하는 호이스트, 창고나 철도역 등 공사장에서 큰 기계 부품 및 장비의 이동 및 조립시 사용하는 대용량의 호이스트까지 용량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때, 호이스트는 주로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를 통해 호이스트 와이어를 끌어당기거나 풀어주어 화물을 승하강시키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화물의 승강용 호이스트를 모터 등에 의해 구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가 기존에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호이스트는 필요한 위치에 횡행 이동(동쪽 또는 서쪽 방향 이동)을 하거나 주행 이동(필요시 남쪽 또는 북쪽 방향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호이스트의 이동시에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롤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대략 단면 I 형상의 형강을 호이스트가 이동하는 경로의 상부 측(주로 천정 부분)에 고정`하여 상기 단면 아이자 형상의 형강으로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호이스트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메인 바디와 후크, 횡행 모터, 권상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호이스트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은 단면 아이자 형강 구조를 이루어서 적어도 하측 롤러 서포트편의 상면에 호이스트의 횡행 롤러(즉, 동쪽 방향 및 서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롤러)가 접촉된 상태에서 횡행 롤러를 호이스트의 메인 바디에 연결함으로써 가이드 레일의 상기 하측 롤러 서포트편을 따라 이동하여 호이스트가 동쪽 방향 또는 서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호이스트의 이동시에 횡행 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롤러 서포트편 위쪽에만 있다 보니까 화물을 이동시킬 때에 호이스트 자체가 가이드 레일에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유동이 생기게 되므로, 호이스트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호이스트의 후크에 화물을 걸어주고 작업자 화물에 연결된 로프를 당겨주는 작업을 할 때가 있는데, 이처럼 작업자가 화물을 들어주기 위해 로프를 잡아당길 때에도 호이스트 자체가 기우뚱거리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롤러 서포트편 상부에만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생긴다. 결국, 기존에는 호이스트에 의한 화물 이동시에 호이스트 자체가 가이드 레일에서 기우뚱거리는 등의 불안 요소가 있어서 안전성 등에서 미흡하다는 문제와 호이스트의 기우뚱거리는 현상과 같은 유동 요인에 의해 호이스트 자체의 견고성과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특1997-0042215호(1997.07.24 공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7486호(2005.02.22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이스트 이동중에 호이스트가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이송 도중의 안정화는 물론 호이스트의 구조적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에 롤러 서포트편을 구비하여 호이스트 이동 장소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기 롤러 서포트편 상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트래버스 롤러;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기 롤러 서포트편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트래버스 롤러와 함께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시 상하 위치에서 균형을 잡아주는 로워 서포트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가 제공된다.
상기 호이스트는 메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트래버스 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기 롤러 서포트편 상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기 롤러 서포트편 저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호이스트의 메인 바디가 연결되어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의 하부측에 상기 메인 바디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 로드 블록과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로드 블록에는 로프가 권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프에 후크가 연결되어, 상기 트래버스 롤러와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 상기 메인 바디에 장착된 상기 로드 블록과 상기 모터와 상기 로프 및 상기 후크가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래버스 롤러와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 중에서 적어도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서 볼 때에 적어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에 의해 상기 호이스트의 이송 가이드 지점이 복수 개소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래버스 롤러와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서 볼 때에 전후 좌우 네 군데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는, 내부에 전후면으로 연통된 샤프트홀이 형성된 가이드 휘일; 상기 가이드 휘일의 상기 샤프트홀에 내장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호이스트의 상기 메인 바디를 지지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휘일은 상기 샤프트홀의 일단부측에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턱이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이 상기 샤프트홀에 결합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지지단턱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의 타단부측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끼워진 스냅링이 상기 가이드 휘일의 상기 샤프트홀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의 타단부측을 스냅링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된 링형상의 칼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칼라는 상기 스냅링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휘일의 내측단이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는 선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더 큰 헤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의 기단부측에는 상기 헤드부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너트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가 개재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이스트의 횡행 모터에 연결된 트래버스 롤러(횡행 롤러)가 회전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트래버스 롤러에 연결된 호이스트가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 레일 아래에 구비된 로워 서포트 롤러가 위쪽의 트래버스 롤러와 함께 호이스트의 이동 균형점을 잡아주기 때문에, 호이스트가 이동하면서 기우뚱거리는 등의 요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롤러(주로 횡행 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롤러 서포트편 위쪽의 트래버스 롤러와 아래쪽의 로워 서포트 롤러 두 셋트가 있다 보니까 호이스트 이동에 의해 화물을 이동시킬 때에 호이스트 자체가 가이드 레일에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유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므로, 호이스트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이스트의 후크에 화물을 걸어주고 작업자 화물에 연결된 로프를 당겨주는 작업을 할 때가 있는데, 이처럼 작업자가 화물을 들어주기 위해 로프를 잡아당길 때에도 호이스트 자체가 기우뚱거리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로워 서포트 롤러는 가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 위치에 두 열로 배치되어 있어서, 가이드 레일에 호이스트의 이동 지지점을 양쪽 두 개 위치에서 균형있게 형성하기 때문에, 호이스트의 이동 중에 유동되는 현상이나 호이스트에 메달린 화물에 대한 필요한 작업을 하는 도중에 호이스트의 유동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로워 서포트 롤러는 가이드 레일의 좌우 양쪽뿐만 아니라 가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도 배치되어서,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에 의해 호이스트의 균형 지지점을 전후 좌우 사방으로 복수개 지점으로 형성하므로, 상기 호이스트 이동 중의 유동 현상을 방지하는데 더욱더 확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를 활용한 호이스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로워 서포트 롤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는 호이스트(6)의 이동 장소(예를 들어, 화물 하역장 등)에 수평 설치된 가이드 레일(2)에 위쪽과 아래쪽에 트래버스 롤러(10)와 로워 서포트 롤러(20)를 설치하여 트래버스 롤러(10)와 로워 서포트 롤러(20)에 의해 호이스트(6) 이동시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도면부호 1은 호이스트의 컨트롤러에 코드와 같은 통전성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조작부로서, 조작부(1)의 조작 버튼을 눌러서 호이스트의 동작을 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가이드 레일(2)은 호이스트(6)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로서 호이스트(6) 이동 장소의 천정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2)은 단면 아이자 형상의 형강 구조이며, 가이드 레일(2)의 하부측 롤러 서포트편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트래버스 롤러(10)와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접촉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지지부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에 트래버스 롤러(10)와 로워 서포트 롤러(20)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호이스트(6)는 메인 바디(6A)에 권상 모터(8A), 횡행 모터(8B), 후크(6D) 등의 주요부가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 레일(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 바디(6A)에는 권상 모터(8A)가 장착되어 있으며, 권장 모터(8)의 모터축에는 원형 드럼 형태의 로드 블록(6C)이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로드 블록(6C)에는 로프(와이어 로프나 체인 등)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로드 블록(6C)이 권상 모터(8A)의 모터축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 로프가 로드 블록(6C) 외주면에 권취되거나 로드 블록(6C)의 외주면에서 풀어져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로드 블록(6C)의 하단부에는 후크(6D)가 연결되어 있어서, 로드 블록(6C)에 로프가 감겨지거나 로드 블록(6C)에서 풀어질 때에 후크(6D)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다시 말해, 로드 블록(6C)은 원형 와인딩 드럼 구조를 가진 것으로, 권상 모터(8A)의 모터축에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권상 모터(8A)의 모터축이 회전함에 따라 로드 블록(6C)의 외주면에 후크(6D)가 달린 로프가 권취되거나 로드 블록(6C)의 외주면에서 후크용 로프가 풀어지게 된다. 후크용 로프가 로드 블록(6C)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후크(6D)가 호이스트(6) 위로 상승하거나 호이스트(6)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메인 바디(6A)에 지지되는 횡행 모터(8B)가 구비된다. 횡행이라 함은 동쪽 방향과 서쪽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횡행 모터(8B)의 모터축에는 트래버싱 어세이(traversing assembly)가 결합되어 있다. 트래버싱 어세이는 가이드 레일(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트래버스 롤러(10)(횡행 롤러)를 포함한다. 한쪽의 트래버스 롤러(10)는 횡행 모터(8B)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다른 쪽의 트래버스 롤러(10)는 상기 한쪽의 트래버스 롤러(10)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브라켓 등의 연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한쪽의 트래버스 롤러(10)와 동시에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두 개의 대칭되는 트래버스 롤러(10)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횡행 모터(8B)의 모터축 회전에 따라 트래버스 롤러(10)가 가이드 레일(2)을 따라 동쪽 방향 또는 서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크립 모터(8C)(creep motor)가 메인 바디(6A)에 지지된다. 크립 모터(8C)는 횡행 롤러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는데, 크립 모터(8C) 자체에 구비된 브레이크 어세이가 작동하여 횡행 롤러를 저속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호이스트(6) 자체를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저속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가이드 휘일(22), 베어링(23), 샤프트(24)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 휘일(22)은 내부에 전후면으로 연통된 샤프트홀(22h)이 형성된 원통형 휘일 구조를 가진다. 또한, 가이드 휘일(22)은 샤프트홀(22h)의 일단부측(가이드 휘일(22)의 바깥면 인접 부분)에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턱(22a)이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 휘일(22)은 샤프트홀(22h)의 타단부측(가이드 휘일(22)의 안쪽면 인접 부분)에 스냅링(25)을 결합하기 위한 링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휘일(22)의 내부에 형성된 샤프트홀(22h)에 베어링(23)이 내장된다. 이때, 베어링(23)의 일단부는 샤프트홀(22h) 전단부측에 형성된 지지단턱(22a)에 걸려져 지지되고 베어링(23)의 타단부는 샤포트홀 후단부측의 링홈에 끼워진 스냅링(25)에 의해 지지되므로, 베어링(23)이 가이드 휘일(22) 내부의 샤프트홀(22h)에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내장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베어링(23)에는 샤프트(24)가 결합된다. 샤프트(24)는 선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더 큰 헤드부가 구비되고 기단부측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축 구조이다. 이러한 볼트축 구조의 샤프트(24)가 베어링(23)의 내륜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부의 안쪽면이 베어링(23)의 한쪽 단부에 접촉된다.
상기 베어링(23)에 끼워진 샤프트(24)가 호이스트(6)의 메인 바디(6A)를 구성하는 프레임(6B)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결합됨으로써 가이드 레일(2)의 롤러 서포트편 저면에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구름 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샤프트(24)의 외주면 나사부에 결합된 너트(27)가 된다.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를 구성하는 샤프트(24)가 프레임(6B)에 구비된 샤프트(24) 결합홀에 끼워져 상기 너트(27)에 고정되기 이전에 상기 가이드 휘일(22)과 프레임(6B) 사이에 칼라(26)를 개재시킨다. 상기 칼라(26)는 링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칼라(26)를 상기 샤프트(24)의 외주면에 끼워서 가이드 휘일(22)과 프레임(6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샤프트(24)를 프레임(6B)에 형성된 샤프트(24) 결합홀에 끼워준 상태에서 두 개 서로 나란한 프레임(6B)의 바깥면 위치에서 샤프트(24) 외주면의 나사부에 너트(27)를 체결하면 칼라(26)는 가이드 휘일(22)에 결합된 베어링(23)의 내측단과 프레임(6B)의 안쪽면에 가압 밀착됨과 동시에 가이드 휘일(22)의 안쪽면은 프레임(6B)의 안쪽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6B)은 가이드 레일(2)의 아래에 배치되므로,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가이드 휘일(22) 외주면이 가이드 레일(2)의 롤러 서포트편(4)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2)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 사방 위치에 복수개의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배치되어 각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가이드 휘일(22) 외주면이 가이드 레일(2)의 롤러 서포트편(4) 저면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24)는 외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면서 일단부가 헤드부의 안쪽면에 연결된 대경 축부와, 이러한 대경 축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그 외경은 대경 축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은 소경 축부를 포함하며, 소경 축부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24)의 소경 축부가 프레임(6B)의 샤프트(24) 결합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프레임(6B)측에서 소경 축부 외주면의 나사부에 너트(27)가 결합됨으로써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샤프트(24)가 가이드 레일(2) 아래의 프레임(6B)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링형상의 칼라(26)는 대경 축부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접촉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샤프트(24)의 일부인 소경 축부의 외주면과 칼라(26)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가 확보된 상태로 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2)의 롤러 서포트편(4) 저면에는 각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가이드 휘일(22)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칼라(26)의 내측단은 프레임(6B)에 접촉되고 칼라(26)의 외측단은 가이드 휘일(22) 내부에 결합된 스냅링(25)에 접촉됨으로써 칼라(26)가 프레임(6B)과 가이드 레일(2) 내부의 베어링(23) 사이에 개재됨과 동시에 칼라(26)의 내주면 일부는 샤프트(24)의 소경 축부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의 결합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24)는 선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더 큰 헤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의 기단부측에는 헤드부를 프레임(6B)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샤프트(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27)를 포함하는데, 너트(27)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샤프트(24)를 프레임(6B)에 고정하는 너트(27)는 이중 너트(27)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6B)과 너트(27)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28)가 개재된다. 스프링 와셔(28)는 너트(27)가 쉽게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가이드 레일(2)의 저면에 접촉되어 위쪽의 트래버스 롤러(10)와 함께 호이스트(6)의 균형을 잡아주게 된다. 즉, 호이스트(6)는 메인 바디(6A)를 포함하고, 메인 바디(6A)에는 프레임(6B)이 구비되며, 상기 트래버스 롤러(10)는 프레임(6B)에 지지되어 그 외주면이 가이드 레일(2)의 상기 롤러 서포트편(4) 상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프레임(6B)에 지지되어 그 외주면이 가이드 레일(2)의 롤러 서포트편(4) 저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2)의 하부측 롤러 서포트편(4) 저면에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아래쪽의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위쪽의 트래버스 롤러(10)와 함께 호이스트(6)의 이동시 상하 위치에서 균형을 잡아주게 된다.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호이스트(6)의 몸체부를 구성하는 메인 바디(6A)에 롤러 프레임(6B)을 매개로 연결된다. 즉, 롤러 프레임(6B)에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구비되고, 롤러 프레임(6B)은 호이스트(6)의 메인 바디(6A)에 연결됨으로써 호이스트(6)와 함께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메인 바디(6A)에 지지된 권상 모터(8A)와 크립 모터(8C)와 로드 블록(6C) 및 후크(6D)가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아래에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호이스트(6)의 메인 바디(6A)에 구비된 로드 블록(6C)에는 로프가 권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프에 후크(6D)가 연결되어, 트래버스 롤러(10)와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이동시 메인 바디(6A)에 장착된 로드 블록(6C)과 모터(8)와 로프 및 후크(6D)가 함께 이동된다. 상기 모터(8)는 권상 모터(8A)와 횡행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모터(8)는 권상 모터(8A)와 횡행 모터(8B) 이외에 크립 모터(8C)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가이드 레일(2)의 상면에서 볼 때에 적어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에 의해 호이스트(6)의 이송 가이드 지점이 복수 개소로 형성된다. 상기 트래버스 롤러(10)는 가이드 레일(2)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두 개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가이드 레일(2)의 상면에서 볼 때에 좌우 양쪽 위치에 두 개가 대칭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두 개의 양쪽 대칭되는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전후 위치에도 배치된다. 즉,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가이드 레일(2)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 네 군데 위치에 배치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에 의해 호이스트(6)의 이동 지지점이 네 군데 위치에 형성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물론, 가이드 레일(2)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두 개의 로워 서포트 롤러(20) 그룹은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전후로 세 군데 이상 배치된 구성도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2)을 기준으로 양쪽 대칭되는 두 개의 로워 서포트 롤러(20) 그룹이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전후로 세 군데에 배치된 경우 로워 서포트 롤러(20)에 의한 호이스트(6) 이송 지지점은 여섯 군데가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호이스트(6)의 횡행 모터(8B)에 연결된 트래버스 롤러(10)(횡행 롤러)가 회전하면서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트래버스 롤러(10)에 연결된 호이스트(6)가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 레일(2) 아래에 구비된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위쪽의 트래버스 롤러(10)와 함께 호이스트(6)의 이동 균형점을 잡아주기 때문에, 호이스트(6)가 이동하면서 기우뚱거리는 등의 요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횡행 롤러가 가이드 레일(2)의 롤러 서포트편 위쪽의 트래버스 롤러(10)와 아래쪽의 로워 서포트 롤러(20) 두 셋트가 있다 보니까 호이스트(6) 이동에 의해 화물을 이동시킬 때에 호이스트(6) 자체가 가이드 레일(2)에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유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므로, 호이스트(6)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이스트(6)의 후크(6D)에 화물을 걸어주고 작업자 화물에 연결된 로프를 당겨주는 작업을 할 때가 있는데, 이처럼 작업자가 화물을 들어주기 위해 로프를 잡아당길 때에도 호이스트(6) 자체가 기우뚱거리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가이드 레일(2)과 대략 2~3mm 정도 이격(S)되어 있다. 즉,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가이드 레일(2)의 롤러 서포트편 아래에 2~3mm 정도 이격(S)되어 있다. 따라서, 호이스트 정상 이동시에는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가이드 레일(2)에서 상기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호이스트와 함께 이동하다가 호이스트의 유동이 생길 때에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가이드 레일(2)에 접촉됨으로써 호이스트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외주면이 가이드 레일(2)의 롤러 서포트편 아래에 접촉된 상태에서 롤링됨으로써 호이스트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레일(2)에 설치된 롤러가 가이드 레일(2)의 롤러 서포트편 상부는 물론 아래에도 있기 때문에 이처럼 작업자가 화물에 연결된 로프를 당겨주는 작업을 할 때에 호이스트(6)가 기우뚱거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호이스트(6)에 의한 화물 이동시에 호이스트(6) 자체가 가이드 레일(2)에서 기우뚱거리는 등의 불안 요소를 완전히 없애준 것으로서 안전성 등에서 만족스럽다는 장점과 호이스트(6)의 기우뚱거리는 현상과 같은 유동 요인에 의해 호이스트(6) 자체의 견고성이 높아지고 수명도 연장되는 등의 여러 가지 좋은 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가이드 레일(2)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 위치에 두 열로 배치되어 있어서, 가이드 레일(2)에 호이스트(6)의 이동 지지점을 양쪽 두 개 위치에서 균형있게 형성하기 때문에, 호이스트(6)의 이동 중에 유동되는 현상이나 호이스트(6)에 메달린 화물에 대한 필요한 작업을 하는 도중에 호이스트(6)의 유동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가이드 레일(2)의 좌우 양쪽뿐만 아니라 가이드 레일(2)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도 배치되어서,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에 의해 호이스트(6)의 균형 지지점을 전후 좌우 사방으로 복수개 지점으로 형성하므로, 상기 호이스트(6) 이동 중의 유동 현상을 방지하는데 더욱더 확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로워 서포트 롤러(20)를 구성하는 가이드 휘일(22)은 칼라(26)에 의해 가이드 레일(2) 아래의 프레임(6B) 표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이동을 위해 가이드 휘일(22)이 회전할 때에 가이드 휘일(22)의 내측단이 프레임(6B)의 표면에 접촉되어 끌리는 마찰 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가이드 레일(2)을 따라 보다 원활한 이동이 될 수 있다. 즉,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가이드 휘일(22) 내측단이 프레임(6B) 표면에서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되지 않고 붙어 있으면 상기 가이드 휘일(22)의 회전시에 프레임(6B)과 가이드 휘일(22) 사이의 접촉면에서 회전 마찰력이 생기게 되어서 가이드 휘일(22)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 여지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휘일(22)과 프레임(6B) 사이에 칼라(26)에 의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의 스페이스가 확보되도록 하므로,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가이드 휘일(22)이 프레임(6B)과의 사이에 회전 마찰력으로 인한 회전 작동의 방해를 받는 일이 없으며, 이로 인하여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가이드 레일(2)을 따라 보다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보다 원활하게 가이드 레일(2)을 따라 회전 슬라이드 작동되는 만큼 호이스트(6)의 이송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링형상의 칼라(26) 내주면 일부가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회전 중심축이 샤프트(24)의 외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된 상태로 되어서, 상기 칼라(26)와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샤프트(24)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회전 슬라이드 작동이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가이드 레일 4. 롤러 서포트편
6. 호이스트 6A. 메인 바디
6B. 프레임 6C. 로드 블록
6D. 후크 8. 모터
8A. 권상 모터 8B. 횡행 모터
8C. 크립 모터 10. 트래버스 롤러
20. 로워 서포트 롤러 22. 가이드 휘일
22a. 지지단턱 22h. 샤프트홀
23. 베어링 24. 샤프트
25. 스냅링 26. 칼라
27. 너트 28. 스프링 와셔

Claims (9)

  1. 호이스트(6) 이동 장소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2)의 롤러 서포트편(4) 상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트래버스 롤러(10);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상기 롤러 서포트편(4)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트래버스 롤러(10)와 함께 상기 호이스트(6)의 이동시 상하 위치에서 균형을 잡아주는 로워 서포트 롤러(20);를 포함하며,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상기 가이드 레일(2)에서 이격(S)되어, 호이스트 정상 이동시에는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가이드 레일(2)에서 이격(S)된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호이스트와 함께 이동하다가 호이스트의 유동이 생길 때에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상기 가이드 레일(2)에 접촉됨으로써 호이스트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이스트(6)는 메인 바디(6A)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6A)에는 프레임(6B)이 구비되며, 상기 트래버스 롤러(10)는 상기 프레임(6B)에 지지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상기 롤러 서포트편(4) 상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상기 프레임(6B)에 지지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상기 롤러 서포트편(4) 저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내부에 전후면으로 연통된 샤프트홀(22h)이 형성된 가이드 휘일(22);
    상기 가이드 휘일(22)의 상기 샤프트홀(22h)에 내장된 베어링(23);
    상기 베어링(23)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호이스트(6)의 상기 메인 바디(6A)를 지지하는 상기 프레임(6B)에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 샤프트(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휘일(22)은 상기 샤프트홀(22h)의 일단부측에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턱(22a)이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23)이 상기 샤프트홀(22h)에 결합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지지단턱(22a)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23)의 타단부측과 상기 프레임(6B)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24)의 외주면에 끼워진 스냅링(25)이 상기 가이드 휘일(22)의 상기 샤프트홀(22h)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23)의 타단부측을 상기 스냅링(25)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24)의 외주면에 결합된 링형상의 칼라(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칼라(26)는 상기 스냅링(25)과 상기 프레임(6B) 사이에는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휘일(22)의 내측단이 프레임(6B)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24)는 선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더 큰 헤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의 기단부측에는 상기 헤드부를 상기 프레임(6B)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샤프트(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27)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27)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6B)과 상기 너트(27)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28)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B)에는 상기 호이스트(6)의 메인 바디(6A)가 연결되어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의 하부측에 상기 메인 바디(6A)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6A)에 로드 블록(6C)과 모터(8)가 장착되고, 상기 로드 블록(6C)에는 로프가 권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프에 후크(6D)가 연결되어, 상기 트래버스 롤러(10)와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가 상기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이동시 상기 메인 바디(6A)에 장착된 상기 로드 블록(6C)과 상기 모터(8)와 상기 후크(6D)가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롤러(10)와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 중에서 적어도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상면에서 볼 때에 적어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에 의해 상기 호이스트(6)의 이송 가이드 지점이 복수 개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롤러(10)와 상기 로워 서포트 롤러(20)는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상면에서 볼 때에 전후 좌우 네 군데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24751A 2014-02-28 2014-02-28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KR101657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751A KR101657948B1 (ko) 2014-02-28 2014-02-28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751A KR101657948B1 (ko) 2014-02-28 2014-02-28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853A KR20150102853A (ko) 2015-09-08
KR101657948B1 true KR101657948B1 (ko) 2016-09-21

Family

ID=5424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751A KR101657948B1 (ko) 2014-02-28 2014-02-28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947B1 (ko) * 2023-05-08 2023-08-28 주식회사 개성이앤씨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77Y1 (ko) * 2002-07-02 2002-09-16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고 토크 극수변환 모터를 이용한 전동 호이스트
KR100846209B1 (ko) * 2007-04-12 2008-07-14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타워크레인용 트롤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687A (ja) * 1992-01-23 1993-08-10 Shimizu Corp 三輪走行反力バランス式ゴンドラの転倒防止装置
KR0145966B1 (ko) 1995-12-27 1998-08-17 김태구 호이스트이송장치에 설치된 안전가이드
KR200198886Y1 (ko) * 1996-08-22 2000-11-01 이구택 케이블 이송용 행거유니트
KR200377486Y1 (ko) 2004-12-03 2005-03-08 박민혜 호이스트용 가이드레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77Y1 (ko) * 2002-07-02 2002-09-16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고 토크 극수변환 모터를 이용한 전동 호이스트
KR100846209B1 (ko) * 2007-04-12 2008-07-14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타워크레인용 트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853A (ko)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6303B2 (en) Arrangement and elevator
CN101462666B (zh) 电梯曳引机的更换装置和更换方法
WO2018033044A1 (zh) 框架升降通道式泊车位及立体车库
JP4501064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20140102437A (ko) 행거
JPWO2011010376A1 (ja) エレベータの脱レール検出装置
KR101657948B1 (ko) 호이스트 이송용 가이드 롤러
KR200452263Y1 (ko) 리프팅 잭
JP2006076714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2009270297A (ja) 駐車装置及び昇降装置
JP2009275492A (ja) 駐車装置及び物体移動装置
CN114014207B (zh) 电梯井道勘测装置
JP2009018922A (ja) 台車傾転装置
CN108002228B (zh) 一种带有定位导向装置的自行葫芦输送线
JP6204321B2 (ja) 移動体及びそれを用いた昇降台装置
JP4887987B2 (ja) 天井走行台車の移載機位置決め装置
CN220078373U (zh) 一种上旋转刚性防摇摆物料搬运起重机
CN212356265U (zh) 起吊设备
CN215516296U (zh) 一种对重轮组件
CN214298828U (zh) 无绳电梯
JP5753724B2 (ja) 駐車装置
CN103387179A (zh) 重心自适应的履带引导轮安装吊具
CN217627215U (zh) 一种防坠落桥式起重机
CN215160432U (zh) 一种钢管柱吊装装置
JP653652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