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894B1 -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894B1
KR101657894B1 KR1020150062515A KR20150062515A KR101657894B1 KR 101657894 B1 KR101657894 B1 KR 101657894B1 KR 1020150062515 A KR1020150062515 A KR 1020150062515A KR 20150062515 A KR20150062515 A KR 20150062515A KR 101657894 B1 KR101657894 B1 KR 101657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ove
upper plate
middle plate
shea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성
김동현
김성국
송예은
조영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2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6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measurement of force, e.g. for preventing influence of transverse components of force, for preventing overload

Abstract

본 발명은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I”자 형태로 마련되는 중판을 이용하여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을 간소화하여 소형 센서로 제작이 가능하여 의수, 의족 또는 의지 등에 사용할 수 있고 버클링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내구성이 좋은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MEASURING SENSOR AND DEVICE FOR SHEARING FORCE}
본 발명은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으로 마련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단력 측정 센서는 특정 평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여 작은 크기로 마련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전단력 측정 센서의 응용 분야가 제한되어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는 내구성을 좋게 만드는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파손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1210호에 개시되어 있는 착좌 시 전단력 측정 장치는 착좌시에만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한 곳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4758호에 개시되어 있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은 자자의 변화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12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47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의 중판을 “I”자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시킬 수 있어 다양한 곳에 적용 가능한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보호재를 구비함으로써, 수직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버클링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만드는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는 제 1 홈을 구비하는 상판, 제 2 홈을 구비하는 하판, “I”자 형태로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제 2 홈과 체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마련되는 중판, 상기 상판과 중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중판의 변형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및 상기 상판과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사이에 마련되는 보호재를 포함하는 전단력 측정 센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전단력 측정 장치는 전단력 측정 센서, 상기 전단력 측정 센서의 신호를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단력 측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는 종래의 전단력 측정 센서에 비하여 적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의수(義手), 의족(義足) 또는 의지(義肢) 등 기존에 적용하지 못했던 곳에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센서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I” 형태로 마련되는 중판을 구비함으로써, 전단력으로 인하여 중판의 모양에 변형이 생길 때 효과적으로 힘을 분산시켜 중판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보다 내구성이 좋은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재를 구비함으로써, 상판 또는 하판에 발생하는 수직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버클링(buckling, 座屈)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게 전단력을 측정하고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볼베어링을 구비함으로써, 수직 하중으로 인하여 중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의 상판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의 수평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단력의 측정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을 분리한 전단력 측정 센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를 의족에 적용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를 분해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측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전단력(shearing force, 剪斷力)은 특정 평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이다. 본 발명은 수직 하중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수평으로 발생하는 힘(마찰력)을 측정하여 다양한 분양에서 응용 가능한 센서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단력 측정 센서(100)는 상판(10), 하판(30), 중판(20), 스트레인 게이지(40) 및 보호재(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판(10)은 제 1 홈(15)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상판(10)은 단면이 “ㄱ” 자 형태로 마련되고,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 1 홈(15)을 구비하여 후술할 고정부(6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판(10)은 후술할 하판(30)과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10)의 두께는 2 mm 이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소형의 전단력 측정 센서(100)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게 만든다.
하판(30)은 제 2 홈(35)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을 참조하면, 하판(30)의 단면이 “ㄴ” 자 형태로 마련되고,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 2 홈(35)을 구비하여 후술할 중판(20)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도 1 및 도 2 참조). 제 2 홈(35)은 중판(20)의 일단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판(10)과 하판(30)은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보다 더 상세하게는 상판(10)과 하판(30)은 같은 형태로 마련되어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판(10)과 하판(30)은 같은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제조를 보다 간소하게 만들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판(10) 및 하판(30)의 길이는 50 mm 이하로 마련될 수 있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있다. 이는 소형의 전단력 측정 센서(100)를 제공할 수 있게 만들어 의수, 의족 또는 의지와 같은 장비에 장착할 수 있는 크기의 전단력 측정 센서(100)를 제공할 수 있게 만든다. 구체적으로 하판(30)의 두께는 2 mm 이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소형의 전단력 측정 센서(100)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게 만든다.
중판(20)은 “I”자 형태로 마련되고, 일단이 제 2 홈(35)과 체결되도록 마련되며 상판(10)과 하판(30) 사이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판(20)은 제 2 홈(35)에 끼움 설치될 수 있으며, 하판(30)의 이동 또는 상판(10)의 이동에 따라 수평(길이방향)으로 변형이 생기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중판(20)의 변형은 후술할 스트레인 게이지(40)를 이용하여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자 형태의 중판(20)은 양 끝단(“I”자 형태의 상단과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마련된다. 중판(20)의 양 끝단이 직각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상판(10) 또는 하판(30)의 수평이동(길이방향)으로 인하여 중판(20)이 파손될 수 있으나, 양 끝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도 4를 참고하면, 상판(10) 또는 하판(30)의 이동에 따라 중판(20)이 이동되어 발생되는 중판(20)에 가해지는 힘을 중판(20)이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 보다 내구성이 향상되는 중판(20)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중판(20)은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PVC는 상판(10) 또는 하판(30)의 수평(길이방향) 이동으로 인하여 중판(20)이 수평 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중판(20)이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게 만든다. 또한, 제조가 쉽고 간소하여 제품을 간소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중판(20)의 두께는 1 mm 이하로 마련될 수 있으며 0.5 m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형의 전단력 측정 센서(100)를 제공할 수 있게 만드는 크기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게 만든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스트레인 게이지(40)는 상판(10)과 중판(20) 사이에 마련되어 중판(20)의 변형을 측정하고 이러한 변형값을 이용하여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40)는 물체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 변형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물체(중판)에 부착시켜 사용되며, 스트레인 게이지(40) 내부에 마련되는 저항을 이용하여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게 만든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40) 내부에 마련되는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러한 저항값의 변화는 중판(20)의 변화에 의하여 발생된다. 스트레인 게이지(40)는 별도로 연결되는 전선을 마련하여 측정된 전단력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보호재(50)는 상판(10)과 스트레인 게이지(40) 사이에 마련된다. 보호재(50)는 상(10)판 또는 하판(30)에서 발생되는 버클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만드는 수단으로서, 상판(10) 또는 하판(30)의 중앙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구부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2를 참고하면, 보호재(50)는 스트레인 게이지(40)와 같거나 스트레인 게이지(40)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으며, 스트레인 게이지(40)와 상판(10) 사이의 거리를 지지할 수 있는 두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재(50)는 전단력 측정 센서(100)의 내구도를 보다 좋게 만들어 장기간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의족, 의수, 의지등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재(50)는 플라스틱 젤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젤은 플라스틱 경화제(plastic hardener)와 플라스틱 연화제(plastic softener)를 1:1로 혼합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단력 측정 센서(100)는 하판(30)과 체결되는 중판(20)의 변형(수평 이동, 도 4 참조)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단력을 스트레인 게이지(40)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하판(30) 또는 상판(10)에서 발생될 수 있는 버클링 현상을 보호재(50)를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하판에서 상판 방향 또는 상판에서 하판 방향)에서 발생되는 하중이 중판(20)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 후술할 볼베어링(90)을 이용하여 수직 하중이 중판(20)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4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 하중을 배제하고 수평 이동(수평 변형) 또는 마찰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단력만을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종래에 사용되었던 차량용 시트와 같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족, 의수, 의지와 같은 크기가 작고 종래에 전단력 측정 센서(100)를 도입하기 어려웠던 장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간소하고 크기가 작은 센서를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게 만드는 센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전단력 측정으로 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제품(사용자 맞춤형 제품, 인체 친화적인 구조를 갖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고정부(60)는 중판(20)의 타단에 마련된다. 고정부(60)는 제 1 홈(15)과 체결되어 중판(20)의 타단을 고정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판(20)의 타단을 상판(10) 또는 하판(30)과 고정시켜 전단력 측정에 대한 기준점을 제공한다. 즉 중판(20)의 타단이 상판(10) 또는 하판(30)과 고정되고, 중판(20)의 일단이 수평으로 이동(변형)되어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게 만든다. 고정부(60)는 제 1 홈(15)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전선 홈(70)은 상판(10) 또는 하판(30) 일단에 마련된다. 전선 홈(70)을 스트레인 게이지(40)의 전선이 통과될 수 있는 홈으로서, 본 발명에서 하판(3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판(10)에 형성시킬 수 있다. 전선 홈(70)은 전선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전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5를 참고하면, 제 3 홈(80)은 상판(10) 및 하판(30)에 마련되고, 볼베어링(90)은 제 3 홈(80)에 마련된다. 볼베어링(90)은 중판(20)에 수직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판(10) 및 하판(30)을 지지하여 수직 하중으로 중판(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전단력만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직 하중을 배제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3 홈(80)은 볼 베어링(90)의 직경과 같거나 직경보다 큰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10)의 “ㄱ”자 및 하판(30)의 “ㄴ” 형태의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에 마련되고, 보다 더 상세하게는 제 3 홈(80)은 서로 맞물리는 방향에 마련된다. 즉 상판(10)은 하판(30)과 맞물리는 방향의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 3 홈(80)을 형성하고, 제 3 홈(80)은 볼베어링(90)을 구비하며, 볼베어링(90)은 상판(10) 및 하판(30)을 지지하여 중판(20)으로 수직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하판(30)도 상판(10)과 같은 방법으로 제 3 홈(80) 및 볼베어링(90)이 형성된다. 즉 수직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힘이 영향일 끼치지 않도록 볼베어링(90)을 구비하여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전단력 측정 장치는 전단력 측정 센서(100), 신호처리부(200) 및 출력부(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전단력 측정 센서(100)는 상기 기술한 전단력 측정 센서(100)를 이용하여 전단력을 측정한다.
신호처리부(200)는 신호를 처리하여 후술할 출력부(300)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신호의 필터링, 증폭 및 신호변환의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처리부(200)는 필터링 및 증폭부, 신호변환부(아날로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200)는 별도의 저장부를 구비하여 전단력 측정 센서(100)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구비된다.
출력부(300)는 신호처리부(200)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신호처리부(200)의 신호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니터, 스피커 등의 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로 출력되는 신호는 그래프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다양한 아이콘 또는 3차원 영상으로 시각적으로 표할 수 있다. 스피커로 마련되는 경우 전단력 측정 센서(100)에서 측정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알려줄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단력 측정 장치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여 이러한 정보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제어부를 구비하여 전단력 측정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 및 통신부는 신호처리부(200)에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통신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상판, 15 : 제 1 홈,
20 : 중판, 30 : 하판,
35 : 제 2 홈, 40 : 스트레인 게이지,
50 : 보호재, 60 : 고정부,
70 : 전선 홈, 80 : 제 3 홈,
90 : 볼베어링,
100 : 전단력 측정 센서,
200 : 신호처리부,
300 : 출력부.

Claims (14)

  1. 제 1 홈(15)을 구비하는 상판(10);
    제 2 홈(35)을 구비하는 하판(30);
    “I”자 형태로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제 2 홈(35)과 체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판(10)과 하판(30) 사이에 마련되는 중판(20);
    상기 상판(10)과 중판(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중판(20)의 변형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40) 및
    상기 상판(10)과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40) 사이에 마련되는 보호재(50)를 포함하고,
    상기 “I” 자 형태의 중판(20)은 양 끝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20)의 타단에 마련되는 고정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제 1 홈(15)과 체결되어 상기 중판(20)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센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 또는 하판(30) 일단에 마련되는 전선 홈(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과 하판(30)은 같은 모양으로 마련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 및 하판(30)에 마련되는 제 3 홈(80) 및
    상기 제 3 홈(80)에 마련되는 볼베어링(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베어링(90)은 상기 중판(20)에 수직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50)는 플라스틱 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 또는 하판(30)의 두께는 2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20)의 두께는 1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센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20)은 PVC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센서.
  11. 전단력 측정 센서(100);
    상기 전단력 측정 센서(100)의 신호를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200) 및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력 측정 센서(100)는
    제 1 홈(15)을 구비하는 상판(10);
    제 2 홈(35)을 구비하는 하판(30);
    “I”자 형태로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제 2 홈(35)과 체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판(10)과 하판(30) 사이에 마련되는 중판(20);
    상기 상판(10)과 중판(3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중판(20)의 변형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40);
    상기 상판(10)과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40) 사이에 마련되는 보호재(50) 및
    상기 중판(20)의 타단에 마련되는 고정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중판(20)의 타단을 고정시키며,
    상기 중판(20)은 양 끝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50)는 플라스틱 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측정 장치.
KR1020150062515A 2015-05-04 2015-05-04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 KR101657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515A KR101657894B1 (ko) 2015-05-04 2015-05-04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515A KR101657894B1 (ko) 2015-05-04 2015-05-04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894B1 true KR101657894B1 (ko) 2016-09-21

Family

ID=5708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515A KR101657894B1 (ko) 2015-05-04 2015-05-04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8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7980A (zh) * 2020-09-08 2020-12-18 清华大学 剪力测量装置
CN113758550A (zh) * 2021-09-08 2021-12-07 山东理工大学 一种基于中介物应变测量的半挂车车载称重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970A (ja) * 1998-11-02 2000-05-16 Ohbayashi Corp フレキシブルせん断計測センサー
KR200364491Y1 (ko) * 2004-07-21 2004-10-19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KR20060055682A (ko) * 2004-11-18 2006-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레인게이지 센서
KR100594758B1 (ko) 2004-07-21 2006-06-30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JP2013068503A (ja) * 2011-09-22 2013-04-18 Univ Of Tokyo 触覚センサ及び多軸触覚センサ
KR101361210B1 (ko) 2012-06-05 2014-02-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착좌 시 전단력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970A (ja) * 1998-11-02 2000-05-16 Ohbayashi Corp フレキシブルせん断計測センサー
KR200364491Y1 (ko) * 2004-07-21 2004-10-19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KR100594758B1 (ko) 2004-07-21 2006-06-30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KR20060055682A (ko) * 2004-11-18 2006-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레인게이지 센서
JP2013068503A (ja) * 2011-09-22 2013-04-18 Univ Of Tokyo 触覚センサ及び多軸触覚センサ
KR101361210B1 (ko) 2012-06-05 2014-02-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착좌 시 전단력 측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7980A (zh) * 2020-09-08 2020-12-18 清华大学 剪力测量装置
CN112097980B (zh) * 2020-09-08 2021-05-25 清华大学 剪力测量装置
CN113758550A (zh) * 2021-09-08 2021-12-07 山东理工大学 一种基于中介物应变测量的半挂车车载称重装置
CN113758550B (zh) * 2021-09-08 2024-04-19 山东理工大学 一种基于中介物应变测量的半挂车车载称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846B1 (ko) 힘센서를 이용한 양발의 밸런스 추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발판 시스템
CN103852199B (zh) 用于在力传感卡尺中设置测量力阈值的系统和方法
JP4002905B2 (ja) 荷重スケ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荷重スケールシステム
CN109891210B (zh) 硬度计和硬度测量方法
KR101657894B1 (ko)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
US3616690A (en) Weight measuring apparatus
DE60038488D1 (de) Intelligentes elektrophysiologisches fühlersystem mit echtheits- und gültigkeitsprüfung
JP2010032241A (ja) 荷重変換器および計測装置
EP1736731A3 (en) Three- dimensional measuring system
US9766115B2 (en) Balance 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balance ability measur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balance ability measurement program
TWI582396B (zh) 磅秤組成
JP5506982B1 (ja) タッチ入力装置、タッチ入力補正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92456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자세측정정보기반 바른 자세 유도 시스템
CN109341836B (zh) 一种对称重平台进行校准的方法及装置
KR101923676B1 (ko) 샌들 기반의 자세교정 장치
KR20140137039A (ko) 복합체 시트를 이용한 수직력 및 전단력 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재활훈련장치, 이를 이용한 로봇용 핑거 팁 및 이에 의한 수직력 및 전단력 측정방법
KR102089848B1 (ko) 웨어러블 자세 측정 장치
JP6224372B2 (ja) 測定器
KR20200116388A (ko) 사용자 체중 관리 좌변기 시트 시스템
Ma et al. A quick method to extract earphone-related ear dimensions using two-dimensional (2D) image
CN103424063A (zh) 一种非金属产品刚度测量装置
KR20160066305A (ko) 물고기 크기 측정용 계측자가 구비된 낚시대
JP6211445B2 (ja) 計測装置
KR101642187B1 (ko) 신장 측정 장치
KR101329912B1 (ko) 체중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