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758B1 -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758B1
KR100594758B1 KR1020040056853A KR20040056853A KR100594758B1 KR 100594758 B1 KR100594758 B1 KR 100594758B1 KR 1020040056853 A KR1020040056853 A KR 1020040056853A KR 20040056853 A KR20040056853 A KR 20040056853A KR 100594758 B1 KR100594758 B1 KR 100594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hear
shear force
signal
measu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554A (ko
Inventor
김영호
정임숙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연세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to KR102004005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75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8B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the magnetic properties of material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st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23Magnetic fiel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4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in or on a conformable substrate or carri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은, 전단센서가 장착된 인솔부; 상기 전단센서의 출력신호를 차동증폭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불루투스 송수신모듈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무선송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받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센서는, 하층판, 중층판, 상층판의 기계식 디스크형태 3층 구조와 실리콘 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층판와 하층판는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자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센서인 홀센서가 들어있으며, 중층판는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와 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단력, 전단센서, 보정장치, 당뇨병성 족부질환자, 한센병 환자

Description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An insole type local shear measur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국부 전단센서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국부 전단센서의 일예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단센서가 삽입된 인솔이다.
도 4b는 도 4a의 인솔을 장착한 당뇨화이다.
도 5는 도 1 중폭부의 차동증폭회로의 일예이다.
도 6은 도 1의 무선송수신부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이다.
도 8는 도 1 모니터부의 프로그램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단센서 보정장치중 도르래부의 일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단센서 보정장치중 센서 고정부의 일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전단센서 보정장치중 도르래부의 일예이다.
도 12a는 도 2의 전단센서를 중족골두에 위치시켰을때 전단센서 출력특성이다.
도 12b는 도 2의 전단센서를 발뒤꿈치에 위치시켰을때 전단센서 출력특성이다.
도 13은 도 2의 전단센서의 출력특성과 그에 따른 보정식이다.
본 발명은 인솔(insole)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단력이란 특정면에 접선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으로 신체의 상해를 일으키게 되는 기계적 자극의 하나이다.
건강한 사람의 피부는 주변으로부터의 심한 기계적 자극을 받게 되면 자극을 피하기 위한 신체 보호 반응이나 대사 작용을 통한 조직의 자율 조정 등의 보호기전이 발휘된다. 그러나 말초 혈관질환을 같이 가지고 있는 당뇨환자, 당뇨성 신경병증 등의 환자들과 한센병 환자들은 사지 말초 부위의 감각이 둔감해져서 이러한 자극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은 사지의 말단부에 쉽게 상처를 입을 수 있고 상처 부위의 감염 위험도 높으며, 이러한 상처가 욕창 등으로 발전하여 결국에는 절단에 이르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뇌졸중이나 척추 손상과 같은 중추신경계 손상환자에게도 같은 위협이 된다.
이와 같은 환자들에게 있어서 기계적 자극으로 가장 크게 문제가 되는 곳은 발이다. 그 중에서 당뇨환자들의 족부질환과 한센병자들의 발천공병은 발병 후 그 치유가 어렵고 환자의 연령이 노령화됨에 따라 그 추세가 증가되고 있다.
미국당뇨협회의 보고에 의하면 입원환자의 20%가 발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당뇨병 환자가 발이나 발관절 부위에 궤양이 발생하는 경우는 약 15% 정도라고 하였다. 최근의 절단 환자에 대한 통계에서도 비외상성 절단의 약 50∼70%가 당뇨병으로 인한 발문제에 의한 절단이었다.
당뇨병성 족부질환은 혈액순환의 장애, 신경병성 장애, 피부질환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 나타난다. 신경병성 장애의 경우 운동신경의 장애로 인한 발바닥의 압력 변화, 감각신경 장애에 의한 보호기능의 약화, 자율신경의 장애로 인한 피부 건조화 등으로 발의 상처를 초래한다. 혈액순환 장애는 대혈관에서 소혈관으로 분지되는 경비동맥(tibio-peroneal artery) 부위에서 발생되는 동맥경화로 인하여 피부나 말단의 조직의 혈류공급이 차단되어 괴저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전으로 발생된 발의 상처들은 궤양이나 감염 등을 쉽게 유발하는데 이 경우 일반적으로 상처가 잘 낫지도 않고 치유기간이 오래 걸리며 예후도 좋지 않다.
한센병 환자에게 흔히 발생되는 발천공병은 말초신경 이산으로 인한 통각소실 때문에 발바닥 부위에 발생되는 만성 궤양성 질환이다. 이 질환은 신경계 이상으로 인하여 건조하고 무감각한 족부의 돌출부 주위로 과각화증이 형성되면서 이곳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기계적인 자극으로 서서히 무통성, 괴사성 궤양이 형성된다. 한센병은 당뇨병성 족부질환과는 달리 대부분이 말초성 신경병변에 의한 내근마비 및 왜곡족지가 동반되므로 일단 궤양이 형성되면 그 치유가 쉽지 않으며 특히 고령의 한센병 환자일수록 그 예후가 좋지 못하다.
이러한 질환들을 가진 환자에게 가장 문제가 되는 곳은 발바닥으로, 발바닥 은 하루종일 많은 시간동안 신체를 지지하고 있으며, 보행 시 끊임없이 바닥면과 접촉하여 마찰한다. 따라서 발바닥에는 수직하중 뿐만 아니라 바닥과의 전단력도 크게 작용된다. 이러한 발의 기계적인 자극을 완화하기 위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을 권하고 있는데 이러한 신발의 제작에 있어서 가장 많이 고려되고 있는 것은 바닥면의 압력분포이다.
그러나 상처를 유발하는 기계적인 자극으로 압력보다 전단응력이 더 큰 요인으로 작용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특히 전단응력은 조직의 말단에 흐르는 혈류의 흐름에도 영향을 미쳐 상처의 회복을 더디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기계적인 자극들 중에서 전단력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레이켈(Reichel) 등에 의하여 처음 이루어졌으나 측정기술의 부족으로 이를 측정하지는 못하였다. 이후 딘스데일(Dinsdale) 등에 의하여 정상인과 마비환자간의 압력의 영향을 보기 위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수직 응력보다 전단응력의 작용으로 인한 궤양의 발생을 보고하였다. 또한 베네트(Bennett) 등과 구센스(Goossens) 등은 전단응력이 작용될 때 혈류가 받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단 응력이 3.1kPa이상이 되면 말초 조직의 혈류의 흐름이 유의하게 감소한다고 발표하였다.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대하여 많은 선행연구가 이루어진 반면에 발바닥의 전단력분포의 경우는 그 측정기술상의 어려움 때문에 선행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최초의 전단력 센서는 태핀(Tappin) 등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 센서는 자력저항력(magnetic- resistive) 원리를 이용하여 설계된 디스크 형태로 한쪽 방향의 전단력만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그들은 테이프로 센서들을 맨발에 부착하여 보행 중 전단력 분포를 측정하였다.
로드(Load) 등은 자력저항력(magnetic- resistive) 원리를 이용하여 내 외측 및 전후 방향의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설계하였다. 이 전단력 센서에는 상단과 하단에 자장을 감지하는 센서가 들어있고 중간층이 센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은 측정기술의 부족으로 전단력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였고, 발바닥의 전단력분포의 경우는 그 측정기술상의 어려움 때문에 선행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연구들의 전단력 센서들은 기계적인 가공오차 등으로 인하여, 전단력 센서의 출력값과 실제 가해진 전단력이 차이가 있으며, 전단력 센서들의 위치에 따라서도 전단력 센서의 출력값들이 서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한 발바닥의 주요 상해 부위에 미치는 전단력을 측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바닥 주위의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실제 가해진 전단력을 환산하는 보정식을 구하기 위한 보정장치를 제공하며, 전단센서를 인솔의 적정 위치에 장착하여, 정확도를 높인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바닥의 주요 상해 부위에 미치는 전단력을 측정하며 그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인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바닥의 국부 위치의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전단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단력을 측정하는 센서의 출력값을 실제 전단력값으로 환산하기위한 보정식을 구하는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단센서를 인솔의 적정 위치에 삽입하여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점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은, 전단센서가 장착된 인솔부; 상기 전단센서의 출력신호를 차동증폭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불루투스 송수신모듈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무선송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받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센서는, 하층판, 중층판, 상층판의 기계식 디스크형태 3층 구조와 실리콘 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층판와 하층판는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자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센서인 홀센서가 들어있으며, 중층판는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와 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콘 링은, 움직임이 일어나는 디스크와 센서의 외장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실리콘 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단력에 따라 이동된 센서가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층판, 중층판, 상층판는, 알루미늄 합금 606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단센서의 3층구조에서 하층판와 중층판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궤도를 넣고, 상층판와 중층판는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궤도를 넣으며, 상층판는 수직 및 수평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궤도를 따라 움직이도록 만들어진 센서의 층상 구조의 각 면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센서의 표면을 열가소성재료(PTFE)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층판와 하층판사이에 삽입된 아날로그 위치센서는 GaAs 이온의 홀 센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단센서는, 지름이 16mm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센서는, 인솔에서 중족골두(발바닥중 발가락 아래쪽 가운데에 도톰하게 튀어나온 부분)부분및 발뒤꿈치 부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은, 전단센서의 측정결과값으로 부터 실제 전단력을 환산하는 보정식을 구하기위한 국부 전단센서 보정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국부 전단센서 보정장치는 상기 전단센서를 고정시켜주는 센서 고정부;
전단센서에 작용하는 힘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변화시켜주는 도르래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은, 전단력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전단센서; 상기 전단센서를 삽입하고 있는 인솔; 상기 인솔을 장착하고 있는 신발; 상기 전단센서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분석하기위한 무선송수신 및 모니터부;를 구비하는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단센서는, 3층의 원형 디스크 형태로, 상층판, 중층판, 하층판로 구성되며; 상기 상층판 및 하층판에는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자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위치센서가 들어있으며; 중층판는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와 자석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은, 전단력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전단센서; 상기 전단센서의 출력신호를 차동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의 출력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위한 불루투스 송신모듈; 상기 불루투스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불루투스 수신모듈; 상기 불루투스 수신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가해진 전단력을 환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 상기 전단센서의 측정결과값으로 부터 실제 전단력을 환산하는 보정식을 구하기위한 전단력 보정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은, 전단력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전단센서를 장착한 인솔부; 상기 전단센서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수신하기위한 무선송수신부; 무선송수신부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하기위한 모니터부;를 구비한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단센서는, 3층의 원형 디스크 형태로 즉, 상층판, 중층판, 하층판로 구성되며; 상기 상층판 및 하층판에는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자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위치센서가 들어있으며; 중층판은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와 자석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전단센서중 2개의 전단센서를 중족골두 부분에, 나머지 1개의 전단센서를 발뒤꿈치 부분에 위치하도록 인솔에 각각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으로, 인솔부(100), 신호처리부(200), 무선송수신부(300), 모니터부(400)으로 이루어진다.
인솔부(100)는 인솔에 전단센서를 삽입한 것으로 상기 전단센서는 국부의 전단력을 측정하는 국부 전단센서이다. 인솔부(100)에 삽입된 국부 전단센서는 기계식으로 3층의 원형 디스크 형태로 상층판, 중층판, 하층판를 이루며, 상층판와 하층판는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자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홀센서가 들어있으며, 중층판는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와 자석이 삽입되어 있다. 움직임이 일어나는 디스크와 센서의 외장 사이에는 실리콘 링이 채워져 있어서 전단력에 따라 이동된 센서가 실리콘의 탄성을 이용하여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전단센서는 인솔에서 압력이 크게 작용되는 두 번째와 네 번째 중족골두과 발뒤꿈치 부분에 삽입되었다.
신호처리부(200)는 전단센서의 출력을 증폭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증폭부(210)와 A/D 변환부(220)로 이루어진다.
증폭부(210)는 전단센서의 출력신호를 차동증폭한다.
전단센서는 두축으로 되어 있으며, 한축의 신호는 "양"의 기준 출력값과 "음"의 기준 출력값을 가지며, 전단센서의 한축의 출력값은 이 두 값의 차로써 이루어진다. 증폭부(210)에서 두 기준 출력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센서의 한축의 신호가 2.5V를 기준으로 0V∼5V사이의 값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였다.
A/D변환부(220)는 증폭부(210)의 출력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무선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신호의 A/D 변환과 전송을 위하여 10비트 CMOS 타입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PIC16C74를 사용하였다.
무선송수신부(300)는 신호처리부(200)에서 증폭부(210)와 A/D변환부(220)를 거쳐 출력된 신호는 무선 송수신하기위한 것으로, 무선송수신부(300)는 블루투스 송신모듈(830)과 블루투스 수신모듈(840)로 이루어진다.
블루투스 송신모듈(830)은 A/D변환부(220)의 출력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블루투스 송신모듈(830)은 A/D변환부(220)와 함께 하나의 마이크로콘트롤러로 구현할 수 있다.
블루투스 수신모듈(840)은 블루투스 송신모듈(830)로 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부(400)로 전송하며, 모니터부(400)로 전송시에는 RS232C통신케이블을 사용한다.
모니터부(400)는 블루투스 수신모듈(840)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화면에 나타내고 저장한다. 모니터부(400)는 신호모니터부(410)와 동기화 신호 출력부(420)로 이루어진다. 동기화 신호 출력부(420)는 보행주기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된 삼차원 동작분석시스템에 동기화 신호를 출력한다. 모니터부(400)는 신호모니터부(410)와 동기화 신호 출력부(420)에서 각각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어 센서의 각 축별 그래프가 출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국부 전단센서의 구조도이다. 도 2 (a)는 본 발명의 국부 전단센서의 조립 구조도이고, 도 2 (b)는 전단센서의 하층판이고, 도 2 (c)는 전단센서의 중층판이고, 도 2 (d)는 전단센서의 상층판이다.
전단력을 측정하는 전단센서는 사방으로 작용하는 힘의 방향에 반응할 수 있는 기계적인 구조에 힘의 크기가 반영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영구자석과 아날로그 위치센서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전단센서는 원형의 디스크 형태로 3층의 층상 구조이다. 센서의 전체구조는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 합금 6061로 오차범위 0.001mm 내에서 가공되었다. 전단센서의 층상구조에서 하층판(도2 (b))과 중층판(도2 (c)) 사이에 궤도를 넣어 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상층판(도2 (d))과 중층판(도2 (c))은 그와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궤도를 넣었다. 이렇게 하면 상층판(도2 (d))의 경우 하층판(도2 (b))을 기준으로 할 때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궤도를 따라 움직이도록 만들어진 센서의 층상 구조의 각 면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센서의 표면을 마찰계수가 0.02 이하인 열가소성재료(PTFE)로 처리하였다.
도 3은 도 2의 국부 전단센서의 일예이다. 도 3의 (a)는 국부 전단센서의 각 단의 모양이고, 도 3의 (b)는 국부 전단센서의 각 단을 조립한 모양이다. 본 발명의 전단센서의 전체 크기는 지름이 16mm, 두께가 4.3mm였다. 피부에 직접 닿는 면적은 미끄러짐이 최소화되는 면적의 크기로 같은 부위의 전단력을 측정한 실험에서 제안한 센서의 직경 16mm를 참고하였다. 센서의 각 두께는 각 층에 삽입되는 구조물과 상층판의 두께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상층판(도 2 (d))과 하층판(도 2 (b))은 아날로그 위치센서가 삽입되며, 중층판(도 2 (c))에는 자석이 삽입된다. 삽입된 아날로그 위치센서의 두께는 1.2mm, 자석의 두께가 1mm이며 상층판의 두께는 0.3mm 이다.
국부 전단센서의 측정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 하층판(도 2의 (b), (d))에는 궤도 끝부분에 아날로그 위치센서를 삽입하고 중층판(도 2 (c))에는 영구자석을 설치하였다.
상층(도 2 (d))에 힘이 임의의 방향으로 작용되는 경우 그 방향으로 상층판(도 2 (d))이 이동하게 되고 중층판(도 2 (c))과의 궤도를 따라 이동한 거리가 상층(도 2 (d))의 아날로그 위치센서를 통하여 출력된다. 또한 중층판(도 2 (c))과 하 층판(도 2 (b))간의 궤도를 따라 이동한 거리도 하층의 아날로그 위치센서를 통해 출력된다.
중층판에 삽입된 영구자석은 지름이 3mm인 네오디움 자석을 사용하였다. 자석의 삽입위치는 아날로그 위치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자장이 발생되는 거리 범위의 중앙지점에 위치하였다. 센서의 출력 부호가 자석의 극성에 따라 변화되므로 자석의 극성에 유의하여 자석을 삽입하였다.
원통형 센서의 둘레 벽을 따라 고무재질의 탄성체를 감쌌다. 이 탄성체는 센서에 가해지는 임의의 힘에 대하여 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만 움직이게 되고 이 때 아날로그 위치센서에 감지된 이격거리가 힘에 대응되는 것이다. 즉, 센서에 작용되는 힘은 가해진 힘과 둘레에 둘러진 탄성체가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에 의한 힘의 평형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또한 이 탄성체는 한 방향으로 이동된 후 센서를 본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전단센서는 상층판과 중층판 구조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없다. 따라서 센서의 둘레에 위치하는 탄성구조물이 제작된 센서의 내경보다 1mm정도 작게 제작하여 끼워 맞춤으로 층상 구조물을 고정 하였다.
피부 접촉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물질로 일반적으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한다. 사용된 실리콘의 탄성이 전단센서가 측정할 수 있는 전단력의 범위를 결정하게 된다. 같은 이격을 보여도 탄성이 작을수록 더 큰 힘이 반영된다. 탄성구조물은, 실리콘의 경우 제작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의 편차가 크므로, 본 발명에서는 최대 측정힘 20N이 가능하도록 실험을 통해 실리콘의 경도를 결정하였다. 실헝을 통해 결정된 본 발명의 실리콘의 경도는 20Hk∼40Hk였다.
본 발명의 전단센서에 사용된 아날로그 위치센서는 THS119(도시바, 일본)로 GaAs 이온의 홀 센서이다. 홀 센서는 주변 자장의 크기가 전압 형태로 출력되는 센서로서, 주변 자장의 크기는 아날로그 위치센서와 영구자석의 거리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므로 센서의 출력으로 작용된 힘의 의해 이격된 거리를 역추적 할 수 있다. 아날로그 위치센서가 정확히 구동되기 위해서는 5mA의 전류가 입력되어야 하고 이 때 센서는 55∼140mV까지의 전압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아날로그 위치센서는 영구자석과의 이격거리가 최대 2mm일 때 발생되는 자기장이 측정되도록 설계되었다.
도 4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단센서가 삽입된 인솔이고, 도 4b는 도 4a의 인솔을 장착한 당뇨화이다. 도 4b는 본발명에서 사용한 당뇨화의 신발치수를 정의 한 그림이다. 도 4a의 인솔은 일반적으로 발의 상해가 빈번한 중족골두 부위(50)와 발뒤꿈치(60)에 전단센서를 위치시켰다. 전단센서의 크기로 인해 인접한 중족골두 부위(50)에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양 발의 중족골두에 센서가 삽입되는 위치를 다르게 하였다. 왼쪽발은 제 2 중족골두(10)와 제 4 중족골두(10')의 위치에, 오른쪽발은 제 1 중족골두(20)와 제 3 중족골두(20')의 위치에 센서를 삽입하였다. 인솔에 삽입되는 센서의 위치는 압력데이터와 해부학적 자료에 의거하여 결정되었다.
센서의 삽입방향은 세로방향 축이 뒤로 이동될 때 센서의 출력값이 증가되며, 가로방향은 내측으로 이동될 때 센서의 출력값이 증가되도록 삽입하였다. 따라 서 보행 시 전단력이 후방 및 내측으로 작용되면 센서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출력값은 기준값으로부터 모두 증가하게 된다.
전단센서가 이식되는 부분인 중족골두(50)와 발뒤꿈치(60)는 비교적 강성이 우수한 플라스타조트(plastazote) 소재를 사용하여 전단력에 왜곡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 외의 부분에는 일반적인 인솔의 재질인 폴리우레탄 소재를 사용하여 발바닥의 굴곡에 잘 반응되도록 하였다.
도 4b와 같이 265mm의 신발크기에 맞도록 인솔을 제작하였으며, 인솔의 세로길이 255mm, 최대 가로길이 130mm, 두께는 43mm이었다. 인솔의 두께는 제작된 전단센서의 두께와 동일하여 인솔에 삽입된 센서가 인솔의 표면 위로 튀어나오지 않게 하였다. 보행 중 신발내에서 전단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 남성의 표준 신발 크기인 265mm의 당뇨화(도 4b의 (b))를 사용하였다. 전단센서가 삽입된 인솔의 두께가 일반 인솔보다 두껍기 때문에 일반적인 신발보다 깊이가 깊은 당뇨화를 사용하였다. 이는 케리건(Kerrigan) 등이 발표한 발보조기의 두께에 따른 연구에서 발 보조기의 두께가 두꺼워질 때 신발의 깊이가 충분히 깊지 못하면 발뒤꿈치를 충분히 잡아주지 못하여 보행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에 따른 것이다. 인솔을 제거한 신발 깊이(510)는 12cm이고, 외형의 전체 길이(500)는 275cm, 폭(530)은 14cm, 높이(520)는 18cm이다.
도 5는 도 1 중폭부의 차동증폭회로의 일예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아날로그 위치센서의 한 채널에서 출력되는 두 신호에 대한 차동증폭회로이다. 한쪽 발의 인솔의 전단센서에서 나온 신호는 신호처리부(200)에서 증폭된 후 A/D되어 무선 통신부(300)을 사용하여 컴퓨터로 전송되는데, 한쪽 발에서 삽입되어 있는 전단센서는 총 3개이며, 전단센서의 출력은 한 전단센서당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2채널로 총 6채널이다. 따라서 동일한 아날로그 증폭회로가 한쪽 발에서 6개 사용된다. 증폭된 센서의 출력은 기준전압이 2.5V이고 구동 범위가 0∼5V의 값을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아날로그 위치센서의 출력은 "양"의 출력신호와 "음"의 출력신호, 두 가지이며, 이 두 출력신호는 인스트루먼트 증폭기(Instrument Amplifier)인 AD620(Texas Inc., 미국)을 사용하여 차동 증폭하였다. 전단센서의 아날로그 위치센서에서 출력되는 "양"의 신호는 AD620의 "양"의 입력단(550)에, "음"의 신호는 "음"의 입력단(560)에 입력하며, 차동 증폭율은 아날로그 위치센서의 최대 출력신호가 140mV일때 3.5V의 출력값을 나타낼 수 있도록 25배로 설정하였다. 증폭된 신호의 기준 전압이 2.5V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AD620의 기준 전압을 결정하는 입력단자에 증폭기를 구동하는 "음"의 전압과 "양"의 전압이 분배되어 걸리는 전압분배회로를 통하여 피드백 회로를 구성하였다. 차동증폭기에서 나오는 출력신호는 A/D 변환부의 아날로그 입력단으로 직접 입력될 수 있으나 신호의 안정적인 입력을 위하여 OP07을 이용하여 증폭율이 1인 버퍼를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하였다. 증폭된 전단센서의 출력신호의 A/D 변환은 PIC16C74의 내장된 10bit의 내부A/D변환기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A/D변환과 무선 송신을 위해 사용한 PIC16C74B는 마이크로칩(Microchips)사의 중간 레인지(mid-range)에 속한 8bit CMOS 원칩 컨트롤러로 4K ROM, 192Byte RAM, 22개의 I/O Port, 10bit 8채널 A/D변환기 및 직렬통신모듈 (USART)을 내장하고 있다. 이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한쪽 발에서 증폭된 6채널의 신호를 A/D 변환하여 무선으로 모니터부의 컴퓨터로 송신한다.
도 6은 도 1의 무선송수신부의 모식도이다. 무선송수신부는 블루투스 송·수신모듈(Promi-SDTM, INITIUM, 한국)(850)과 RS232C 직렬 연결케이블(810,820)로 구성된다. 신호처리부에서 증폭되어 디코딩된 신호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의 Tx핀에서 출력되어(800) MAX232(Texas Instrumemt, 미국)(810)와 MAX3232(Texas Instrumemt, 미국)(820)의 두 칩을 거쳐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레벨로 조정된다.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850)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시리얼단자를 통해 컴퓨터(PC)(860)로 전송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이다. 도 7 (a)는 블루투스 송신모듈이고, 도 7 (b)는 블루투스 수신모듈이다. 블루투스란 다채널 근거리 무선통신의 수단으로 전세계적으로 무면허 ISM(Industrial, Science, and Medical) 대역인 2.4GHz에서 운용된다. 블루투스의 운용대역은 1MHz 간격으로 채널이 나뉘고 최대 이용채널 대역폭을 얻기 위해서 1초당 1Mega symbol의 속도로 신호 데이터를 보낸다. 블루투스는 마스터에 통신하고자 하는 슬레이브의 고유번호를 등록시키면 수신거리 이내에서 마스터가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비어있는 주파수대역을 통해 슬레이브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받아들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블루투스 모듈의 전송거리는 100m에서 최대 1.2km까지이며, 마스터와 슬레이브간의 연결이 최대 35대까지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송보레이트 19,200bps, 정지비트 0V, 패리티 비트가 없도록 설정하였다. 블루투스 수신모듈(840)에서 수신된 데이터는 직 렬 통신의 일반적인 규약인 RS232C 규격으로 변환하여 PC의 시리얼포트와 케이블(860)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9핀의 RS232C 통신 케이블를 사용하여 블루투스 수신모듈의 수신부와 컴퓨터의 시리얼 단자를 연결하였다. 이 때 RS232C 통신케이블의 TX단자와 RX는 단자는 서로 교차되어 연결도록 하였다.
도 8는 도 1 모니터부의 프로그램 모식도이다. 모니터부 프로그램은 크게 신호모니터부(1100)와 동기화신호 출력부(1200)로 나뉜다. 신호 모니터부(1100)는 양쪽 발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화면에 나타내고(1110) 저장하는 기능(1120)을 한다.
블루투스 송신모듈(1010)에서 무선으로 전송되어 RS232C 통신 케이블을 통해 PC로 전송된 센서의 출력값은 LABVIEW(National Instruments, 미국)로 작성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모니터링(1110)되면서 저장(1120)되어진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양쪽 발에서 전송된 데이터 가상포트를 사용하여 각 발이 COM1과 COM2로 구분되어(1020) 프로그램에 저장된다. 각 시리얼포트는 시리얼 포트 초기화 루틴(Serial init.vi)(1030)을 사용하여 초기화되는데 보오레이트(baud rate)가 19,200bps, 버퍼 크기 1,000bit, 정지비트를 0, 패리티는 even으로 통신을 설정하였다. 각 포트로 수신되는 6채널의 센서의 출력값은 채널별로 구분되어 화면의 그래프에 실시간으로 나타나며(1110) 12채널의 데이터는 하나의 아스키 파일로 저장(1120)된다.
동기화신호 출력부(1200)는 보행주기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된 삼차원 동작분석시스템에 동기화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전단력 측정시스템의 출력을 보 행주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삼차원 동작분석시스템과 연동되는 4개의 힘측정판을 사용하였다. 이 때 두 시스템을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를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저장 시작 신호를 사용하였다. 동기화 신호의 출력은 DAQ 카드(National Instruments, 미국)의 아날로그 출력 채널을 이용하였다(1210). 이 신호는 삼차원 동작분석시스템의 아날로그 채널로 입력되어 삼차원 동작분석시스템과 연동되어 측정되는 힘측정판의 아날로그 신호에서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수행된 부분을 알 수 게 하였다. 실행된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저장할 파일의 이름을 입력(1300)받게 되는데 이 때 아날로그 채널의 출력이 0V로 초기화된다. 센서의 출력을 저장할 파일명을 입력하고 실제 측정과 저장이 모니터링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면 아날로그 채널의 출력은 5V로 변화되고 이러한 신호의 변화가 동작분석시스템의 아날로그 채널의 신호로 같이 저장되어진다. 따라서 동작분석시스템에서 측정된 힘측정판의 아날로그신호와 동기화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전단력 측정시스템의 샘플링 주파수와 동일하게 맞도록 변화시켜 힘측정판으로 구분된 보행주기를 전단력 측정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작된 국부 전단센서는 기계적인 가공오차, 탄성 구조물의 개별적인 특성오차, 영구자석의 개별 자속 차이 등에 의하여 각 센서마다 보정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부 전단센서의 보정장치를 제작하였으며, 센서에 힘이 가해지는 방식에 의해 정적인 상태와 동적인 상태에 대하여 보정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작된 보정장치는 센서에 일정한 방향으로 전단력을 가하기 위해 센서에 작용되는 힘의 방향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변환하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제작된 보정장치는 힘의 방향을 변화시켜 주는 도르래부와 센서를 고정하는 센서부가 보정장치의 전체 밑판에 고정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단센서 보정장치중 도르래부의 일예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전단센서 보정장치중 센서 고정부의 일예이며, 도 9의 도르래부 및 도 10의 센서 고정부를 설치한 본 발명의 전단센서 보정장치의 일예를 도 11에 나타낸다.
도 9 (a)는 도르래부의 설계구조를 나타내며, 도 9 (b)는 본 발명에서 제작된 도르래부를 나타낸다. 힘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도르래부는 수평으로 변화된 힘의 작용선이 센서 고정단에 삽입된 센서의 상단 높이와 동일하도록 가공되었다. 도르래로 사용된 베어링(970)에는 힘을 전달하는 철선이 궤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홈(960)이 파여 있다.
도 10 (a)는 센서 고정부의 설계구조도이고, 도 10 (b)는 본 발명에서 제작된 센서 고정부이다. 센서고정부는 전단센서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두기 위한 고정단(950)과 센서의 상층판가 전단력을 가할 때 위로 들리지 않게 하기 위해 수직으로 눌러주는 지지대(940)로 구성된다. 고정단은 제작된 센서전체의 지름의 크기에 비하여 지름은 1mm 더 크고 두께는 동일한 원형의 홈을 파서 그 속에 센서를 넣도록 하였다. 지지대는 전단력이 작용될 때 센서의 상층이 들리지 않도록 수직방향으로 센서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940)와 센서가 접촉하는 부분은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단력이 적용되어 센서가 이동될 때 수직하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지지대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이 들어 있어 센서의 상부가 상하로 이동하거나 스프링의 길이가 변화되면 지지대 위쪽의 다이얼 계기판(930)에 그 변화량이 표시되도록 하여 센서를 수직으로 누르는 힘이 스프링의 장력만큼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전단센서의 보정식을 구하기 위하여 각 전단센서의 출력특성을 검사하였다. 특히, 전단센서의 출력특성 검사에 있어서, 전단센서의 탄성 구조체의 강도의 차이로 인하여 중족골두 부분과 발뒤꿈치에 위치하는 전단센서들이 서로 다른 출력특성을 보였다.
도 12a는 도 2의 전단센서를 중족골두에 위치시켰을때 전단센서 출력특성이고, 도 12b는 도 2의 전단센서를 발뒤꿈치에 위치시켰을때 전단센서 출력특성이다. 출력특성의 검사를 위하여, 표준분동을 사용하여 전단센서의 일정한 크기의 전단력이 작용하도록 하였으며, 분동의 무게를 차례로 증가시켜 센서의 측정범위와 센서의 출력특성을 검사했다. 동일한 힘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전단센서의 각 축에 대한 출력신호를 3회 반복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힘에 대하여 반복측정하기 전에는 분동을 제거한 상태의 센서출력이 기준전압임을 확인하여 직전 실험에 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도 12a는 전단센서를 중족골두에 위치시켰을때 전단센서 출력특성으로, 이는 전단센서로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에서 가해지는 전체 힘이 10N 이내일 때의 출력특성이다. 도 12a에서 전단력이 “-”으로 표시된 것은 전단센서의 세로방향에서 앞쪽으로, “+”으로 표시된 것은 가로방향에서는 외측으로 작용된 힘을 말하며, 도시된 센서의 출력값은 센서 출력의 기준전압과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 12b는 전단센서를 발뒤꿈치에 위치시켰을때 전단센서 출력특성으로, 발뒤 꿈치는 압력이 중족골두에 비하여 더 크게 작용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 곳에 삽입될 전단센서는, 중족골두 측정에 사용한 전단센서의 탄성구조물의 경도보다 더 큰 재질을 사용하여 더 큰 힘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그래서 발 뒤꿈치부분의 센서는 각 방향별로 측정범위가 20N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도 13은 도 2의 전단센서의 출력특성과 그에 따른 보정식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분동의 무게를 차례로, 즉, 선형적으로 증가시켜, 이 분동의 힘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가해질 때의 전단센서의 출력특성을 검사한것으로, 그 결과를 평균±편차의 형태로 수치적으로 나타낸 것이 도 13의 작용된 전단력이며, 이로부터 전단센서의 측정결과로부터, 실제 전단력을 환산하는 보정식을 구했다.
전단센서의 측정값을 x라 할때, 가로방향으로 가해지는 중족골두의 전단력 y는 수학식 1과 같다.
y=3.3993x-0.4297
전단센서의 측정값을 x라 할때, 세로방향으로 가해지는 중족골두의 전단력 y는 수학식 2과 같다.
y=3.8949x-0.0221
전단센서의 측정값을 x라 할때, 가로방향으로 가해지는 발뒤꿈치의 전단력 y는 수학식 3과 같다.
y=8.8451x-1.0841
전단센서의 측정값을 x라 할때, 세로방향으로 가해지는 발뒤꿈치의 전단력 y는 수학식 4와 같다.
y=7.936x-0.73441
모니터부에서 수신된 전단센서의 출력값을 환산하기위해, 수학식 1~수학식 4의 보정식을 이용하여 실제 가해진 전단력을 환산한다.
본 발명은 발바닥의 국부 위치의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전단센서와, 전단력을 측정하는 센서의 출력값을 실제 전단력값으로 환산하기위한 보정식을 구하는 보정장치를 제공하며, 또한 전단센서를 인솔의 적정 위치에 삽입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은 발바닥의 주요 상해 부위에 미치는 전단력을 측정하며 그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였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바닥의 국부 위치의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전단센서와, 전단력을 측정하는 센서의 출력값을 실제 전단력값으로 환산하기위한 보정식을 구하는 보정장치를 제공하며, 또한 전단센서를 인솔의 적정 위치에 삽입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은 발바닥의 주요 상해 부위에 미치는 전단력을 측정하며 그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인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된 센서를 인솔의 적정 위치에 삽입하여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을 완성하여 발바닥의 주요 상해 부위에 미치는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한센병과 같은 질병을 갖고 있는 환자들에게 흔히 발생되는 발천공병으로 말초신경 이산으로 인한 통각소실 때문에 발바닥 부위에 발생되는 만성 궤양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5)

  1. 전단센서가 장착된 인솔부;
    상기 전단센서의 출력신호를 차동증폭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불루투스 송수신모듈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무선송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받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센서는,
    하층판, 중층판, 상층판의 기계식 디스크형태 3층 구조와 실리콘 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판와 하층판는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자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센서인 홀센서가 들어있으며,
    중층판는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와 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링은,
    움직임이 일어나는 디스크와 센서의 외장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실리콘 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단력에 따라 이동된 센서가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판, 중층판, 상층판는,
    알루미늄 합금 606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전단센서의 3층구조에서 하층판와 중층판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궤도를 넣고,
    상층판와 중층판는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궤도를 넣으며,
    상층판는 수직 및 수평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궤도를 따라 움직이도록 만들어진 센서의 층상 구조의 각 면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센서의 표면을 열가소성재료(PTFE)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층판와 하층판사이에 삽입된 아날로그 위치센서는 GaAs 이온의 홀 센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9. 제 2항에 있어서, 전단센서는
    지름이 16mm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센서는,
    인솔에서 중족골두(발바닥중 발가락 아래쪽 가운데에 도톰하게 튀어나온 부분)부분및 발뒤꿈치 부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은,
    전단센서의 측정결과값으로 부터 실제 전단력을 환산하는 보정식을 구하기위한 국부 전단센서 보정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전단센서 보정장치는
    상기 전단센서를 고정시켜주는 센서 고정부;
    전단센서에 작용하는 힘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변화시켜주는 도르래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13. 전단력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전단센서; 상기 전단센서를 삽입하고 있는 인솔; 상기 인솔을 장착하고 있는 신발; 상기 전단센서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분석하기위한 무선송수신 및 모니터부;를 구비하는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단센서는
    3층의 원형 디스크 형태로, 상층판, 중층판, 하층판로 구성되며;
    상기 상층판 및 하층판에는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자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위치센서가 들어있으며;
    중층판는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와 자석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14. 전단력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전단센서;
    상기 전단센서의 출력신호를 차동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의 출력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위한 불루투스 송신모듈;
    상기 불루투스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불루투스 수신모듈;
    상기 불루투스 수신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가해진 전단력을 환산하여 디 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
    상기 전단센서의 측정결과값으로 부터 실제 전단력을 환산하는 보정식을 구하기위한 전단력 보정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15. 전단력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전단센서를 장착한 인솔부; 상기 전단센서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블루투스 송수신모듈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수신하기위한 무선송수신부; 무선송수신부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하기위한 모니터부;를 구비한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단센서는,
    3층의 원형 디스크 형태로 즉, 상층판, 중층판, 하층판로 구성되며;
    상기 상층판 및 하층판에는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자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위치센서가 들어있으며;
    중층판은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와 자석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전단센서중 2개의 전단센서를 중족골두 부분에, 나머지 1개의 전단센서를 발뒤꿈치 부분에 위치하도록 인솔에 각각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KR1020040056853A 2004-07-21 2004-07-21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KR100594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853A KR100594758B1 (ko) 2004-07-21 2004-07-21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853A KR100594758B1 (ko) 2004-07-21 2004-07-21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554A KR20060008554A (ko) 2006-01-27
KR100594758B1 true KR100594758B1 (ko) 2006-06-30

Family

ID=3711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853A KR100594758B1 (ko) 2004-07-21 2004-07-21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7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1608B2 (en) 2012-06-05 2015-07-2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measuring shearing force upon sitting
KR20160106959A (ko) * 2015-03-03 2016-09-13 한국과학기술원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축 힘센서 및 다축 힘센서가 적용된 무선 착용형 지면 반력 측정시스템
KR101657894B1 (ko) 2015-05-04 2016-09-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58B1 (ko) * 2007-11-21 2010-02-0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6축 힘/모멘트센서를 이용한 보행실험을 위한 힘정보 측정용 지능형 신발 및 이를 이용한 힘정보 측정방법
KR102285314B1 (ko) * 2012-07-13 2021-08-04 주식회사 지하이웰 족압 분석 및 인솔용 패드 선정 시스템
KR20230059294A (ko) 2021-10-26 2023-05-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이 조정 가능형 지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094A (ko) * 2001-06-13 2001-08-22 남현정 운동 모션의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용 하중 데이터송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094A (ko) * 2001-06-13 2001-08-22 남현정 운동 모션의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용 하중 데이터송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1608B2 (en) 2012-06-05 2015-07-2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measuring shearing force upon sitting
KR20160106959A (ko) * 2015-03-03 2016-09-13 한국과학기술원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축 힘센서 및 다축 힘센서가 적용된 무선 착용형 지면 반력 측정시스템
KR101667323B1 (ko) * 2015-03-03 2016-10-18 한국과학기술원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축 힘센서 및 다축 힘센서가 적용된 무선 착용형 지면 반력 측정시스템
KR101657894B1 (ko) 2015-05-04 2016-09-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전단력 측정 센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554A (ko) 200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1171B2 (en) Device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measured signals for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medical implants, diagnostic devices or biological processes
US117494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t-operative outcome monitoring
US20110004124A1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including mechanical stress sensor
US20090221896A1 (en) Prob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A Brain And A Data Processing Device
US20180020982A1 (en) Wellness monitoring using a patch system
WO2009079600A3 (en) Graphical display of environmental measurements for implantable therapies
AU2002356939A1 (en) Non-invasive method and device to monitor cardiac parameters
CN107137086A (zh) 一种自发电多功能的智能鞋垫
US119422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operative procedure determination and outcome predicting
KR100594758B1 (ko)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시스템
Saidani et al. A survey on smart shoe insole systems
US20180228437A1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CA2927869C (en) In-vivo pressure monitoring system
EP3387987A1 (en) An apparatus for measuring bioelectrical impedance of a patient
CN210541563U (zh) 一种可穿戴式足底压力测量装置
Frischholz et al. Telemetric implantable pressure sensor for short-and long-term monitoring of intracranial pressure
CN111700615A (zh) 可穿戴式足底压力测试与加热按摩鞋垫
KR200364491Y1 (ko)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
KR20160072709A (ko)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KR20200004165A (ko) 복합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멀티센서 기반 유연 패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생체신호 측정방법
Deterre MEMS integration for smart medical devic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Santic et al. A system for measuring forces in the legs and crutches from ambulatory patients
EP2091609A1 (en) Identification of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by correlating cardiac related data
Butt et al. Smart Lower Limb Prostheses with a Fiber Optic Sensing Sole: A Multicomponent Design Approach.
US20240156213A1 (en) Adjustable Ins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