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912B1 - 체중계 - Google Patents

체중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912B1
KR101329912B1 KR1020120085441A KR20120085441A KR101329912B1 KR 101329912 B1 KR101329912 B1 KR 101329912B1 KR 1020120085441 A KR1020120085441 A KR 1020120085441A KR 20120085441 A KR20120085441 A KR 20120085441A KR 101329912 B1 KR101329912 B1 KR 101329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tuator
user
base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명
김유림
조찬일
김은진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20Indicating weight by mechanical means
    • G01G23/26Drive for the indicating member, e.g. mechanical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 측정 시 체중의 변화를 수치적인 방식이 아닌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바로 인식할 수 있는 체중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체중계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 상단에 고정되는 상단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변화에 따라 그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체;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출력 정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중계{Body weight scale}
본 발명은 체중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화되는 체중을 시각적으로 바로 인식할 수 있는 체중계에 관한 것이다.
체중계는 사람의 체중을 측정하는 장비로 기계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기계식의 경우에는 체중을 가압력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가압력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스케일을 통하여 체중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체중의 정밀도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체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신호에 따라 체중을 디지털 형상으로 표시하는 디지털 체중계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디지털 방식은 특히 다른 장치들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디지털 체중계는 상기와 같이 다른 장치들과 연결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체중을 측정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별도의 기능을 부가한 구성들이 다수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471589호에는 PC의 구성요소인 본체(USB포트 포함)와 모니터를 활용하며, 구성의 핵심요소인 디지털 체중계에는 PC와 연결될 USB 인터페이스모듈과 PC용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그는 측정된 자료를 PC 본체의 사용자 DB에 저장하고, PC 모니터를 통해 텍스트 또는 그래프로 보여줌으로써 측정값과 그 변화를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을 디지털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일일이 기록할 필요없이 바로 PC에 저장시킬 수 있으며, 이 측정값을 개인 건강 자료로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 수의 제한 없이 다수의 사용자가 본 디지털 체중계를 이용, 개인별 체중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된 경우 건강 포탈사이트와 개인정보를 동기화하여 건강관련 맞춤 정보 및 개인별 맞춤 건강 컨설팅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한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421254에는 이동이 편리한 디지털 체중계의 구성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이나 노약자도 손쉽게 디지털 체중계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디지털 체중계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에 따르면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하중감지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 하중감지부 상에 탑재되는 발판; 본체의 한 쪽에 장착되고 상면에 디스플레이창과 다수의 입력 버튼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한 쪽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 본체의 다른 쪽에 마련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바퀴 지지대; 및 바퀴 지지대에 장착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체중계를 제공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388635호는 디스플레이 분리형 디지털체중계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편안한 시야각을 제공하고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체중계 본체와 디스플레이를 분리시킨 디스플레이 분리형 디지털체중계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분리형 디지털체중계는,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적외선신호 수신부와 타이머를 접속시켜 체중측정을 위한 모드와 시간표시를 위한 모드를 자체적으로 스위칭하되, 현재시간 표시중에 적외선신호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측정된 체중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명령을 수행하고, 타이머는 체중측정을 위한 모드로 전환시에 시간표시를 위한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판단기준이 되는 적외선신호의 변화유무를 측정하는 별도의 카운팅을 수행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력문제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된 체중을 확인시에 고개 숙임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체중 측정이 가능하게 되고,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벽면 등에 부착됨으로써 타용도, 즉 시계 등의 기능을 부가하여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중표시모드와 시간표시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어 별도의 키입력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발명들은 디지털 방식 체중계의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특징이 있으며, 개별 특징들을 충실히 구현되는 장점이 있으나, 체중의 표현은 여전히 숫자 또는 숫자를 이용한 그래프로 나타내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순간적인 체중을 숫자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체중의 인식을 빨라 편리하지만, 지속적인 체중을 관리를 위해서는 이전의 체중을 기억하고 사용자가 체중의 증감을 판단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 정확히 자신의 체중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체중 표현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체중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체중 측정 시 체중의 변화를 수치적인 방식이 아닌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바로 인식할 수 있는 체중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체중계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 상단에 고정되는 상단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변화에 따라 그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체;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출력 정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는 내경과 외경으로 이루어진 환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내경과 상기 상단부 하면과 연결되어 상기 탄성체의 변형 형태를 조절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는 인장력만 지지하는 와이어이며, 상기 액추에이터가 중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는 상기 탄성체의 내경과 상기 상단부를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기준 체중을 입력하고, 감지된 체중을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감지된 체중과 기준 체중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이 '-'인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제어하고, 상기 차이값이 '+'인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감소시키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는 상기 차이값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는 상기 상단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상단부에 올라섰을 경우 체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는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중계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고 기 저장된 기본 체중과 비교하여 기본 체중보다 높을 경우에는 체중계의 길이를 축소시켜 측면에 부착된 탄성체가 측면으로 볼록하게 변형되고, 반대로 기본 체중보다 현재의 체중이 낮은 경우에는 체중계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탄성체가 오목하게 변형되어 체중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바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의 효과에 의하여 체중 관리의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는 체중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중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제어장치의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은 도 1의 체중계가 기준 체중보다 낮은 체중을 감지하였을 경우 탄성체의 변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체중계가 기준 체중보다 높은 체중을 감지하였을 경우 탄성체의 변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중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베이스(10) 상단에 고정되는 액추에이터(20), 상기 액추에이터(20) 상단에 고정되는 상단부(30), 상기 상단부(3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단부(30)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센서(40), 상기 액추에이터(20) 측면에 환형으로 배치되는 탄성체(50), 상기 탄성체(50)의 내부와 상기 상단부(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0), 상기 센서(40)의 신호로 상기 액추에이터(2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전체 체중계(100)와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이며,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며, 그 형태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원형 단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10) 상단에는 액추에이터(20)의 일측이 고정된다.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전원에 의하여 자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솔레노이드 형태로 직접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 또는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도 무방하다.
상기 액추에이터(20)의 타측에는 상단부(30)가 고정된다.
상기 상단부(30)의 단면은 상기 베이스(1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며, 높이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10)와 달리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가 바닥에 위치하고, 상기 액추에이터(20)의 길이가 변화하면, 상기 상단부(30)는 액추에이터(20)의 길이 변화와 동일하게 그 높이가 변화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상단과 상기 상단부(30)의 하단에는 환형 단면을 갖는 탄성체(50)가 연결된다.
상기 탄성체(50)의 외경(51)은 상기 베이스(10) 및 상단부(30)의 외경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내경(52)은 길이 변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는 체적이 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경(52)에는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연결부재(6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60)의 타단은 상기 상단부(30)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60)는 인장력만 지지할 수 있는 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어떠한 재질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60)의 길이는 상기 액추에이터(20)의 길이가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상단부(30)는 센서(4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40)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센서(40)는 상단부(30) 내부에 다수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40)의 신호를 기반으로 액추에이터(20)의 길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장치(90)는 별도의 입력부(91) 및 출력부(92)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91)를 통하여 사용자는 기준 체중을 입력하고, 상기 출력부(92)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장치(90)는 상기 상단부(30) 또는 베이스(10)에 장착되며, 또한 상기 입력부(91) 및 출력부(92)도 상기 상단부(30) 또는 베이스(10)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어장치(90)는 상기 센서(4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체중을 입력받아 기준 체중과 대비하여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차이를 기준으로 상기 액추에이터(20)의 길이를 제어한다.
상기 차이가 "+"인 경우에는 상기 액추에이터(20)의 길이를 줄이는 제어를 하고, 반대로 차이가 "-"인 경우에는 상기 액추에이터(20)의 길이를 늘이는 제어를 하며, 상기 길이는 상기 차이값에 연동하여 조절한다.
이때, 체중이 줄은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20)가 늘어나고, 이때 상기 탄성체(50)가 늘어나고, 또한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60)에 의하여 탄성체(50)의 중앙의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로 변형되어 탄성체(50)가 변형한다.
반대로 체중이 늘어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0)가 줄어들고, 탄성체(50)는 옆으로 퍼진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자는 상기 탄성체(50)의 형태만으로도 체중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센서(40)는 도 5에 도시된 방식과 같이, 상기 상단부(30)와 베이스(10)가 별도의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체중만을 측정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방식의 경우에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지 않고, 탄성체(50)의 변형만 표시하는 방식이므로 비교적 소형으로 그리고 저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베이스 20: 액추에이터
30: 상단부 40:센서
50: 탄성체 51: 외경
52: 내경 60: 연결부재
90: 제어장치 91: 입력부
92: 출력부 100: 체중계

Claims (8)

  1.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체중계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 상단에 고정되는 상단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변화에 따라 그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체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출력 정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내경과 외경으로 이루어진 환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내경과 상기 상단부 하면과 연결되어 상기 탄성체의 변형 형태를 조절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인장력만 지지하는 와이어이며, 상기 액추에이터가 중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는 상기 탄성체의 내경과 상기 상단부를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기준 체중을 입력하고, 감지된 체중을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감지된 체중과 기준 체중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이 '-'인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제어하고, 상기 차이값이 '+'인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감소시키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는 상기 차이값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상단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상단부에 올라섰을 경우 체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계.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계.
KR1020120085441A 2012-08-03 2012-08-03 체중계 KR101329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41A KR101329912B1 (ko) 2012-08-03 2012-08-03 체중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41A KR101329912B1 (ko) 2012-08-03 2012-08-03 체중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912B1 true KR101329912B1 (ko) 2013-11-14

Family

ID=4985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441A KR101329912B1 (ko) 2012-08-03 2012-08-03 체중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9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424A (ja) * 1996-03-06 1997-09-16 Denso Corp エアバッグシステムの乗員検知装置
JP2011179921A (ja) 2010-02-26 2011-09-15 Tanita Corp 重量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424A (ja) * 1996-03-06 1997-09-16 Denso Corp エアバッグシステムの乗員検知装置
JP2011179921A (ja) 2010-02-26 2011-09-15 Tanita Corp 重量測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2424B2 (en) Balance control system for weight scales
KR101604024B1 (ko) 운동량 표시 장치 및 방법
US9808184B2 (en) Motor function evaluation device and motor function evaluation method
US9766117B2 (en) Interactive scale with proximity detector
KR20220121927A (ko) 신체 밸런스와 운동 측정 시스템
KR20180092456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자세측정정보기반 바른 자세 유도 시스템
GB2425037A (en) Indicating the amount of water in a kettle
US20140269215A1 (en) Chair timer
KR101575688B1 (ko) 3-로드셀을 이용한 의자형 착석자세 및 산만도 교정시스템
KR101329912B1 (ko) 체중계
CN105928555B (zh) 一种卷纸余量显示装置
ES2912398T3 (es) Analizador corporal
JP3124681U (ja) 杖の構造
CN209863782U (zh) 多功能测量仪
KR200421254Y1 (ko) 이동식 디지털 체중계
KR101798727B1 (ko) 헬스케어체어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작동방법
KR200416999Y1 (ko) 장식용 체중계
CN202477183U (zh) 测温碗
RU75738U1 (ru) Весы медицинские электронные напольные для контро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массы тела у стоящего на них человека
JP3200636U (ja) 測定終了報知手段を有する電子体温計
CN210932603U (zh) 一种检测血压信号的按摩椅
KR20190128808A (ko) 스마트 체중 측정장치
CN202994275U (zh) 一种带有语音报重以及数字显示的家用电子秤
JP2014018312A (ja) 運動測定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1513714B (zh) 一种体脂体重监测报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