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787B1 -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787B1
KR101656787B1 KR1020160030407A KR20160030407A KR101656787B1 KR 101656787 B1 KR101656787 B1 KR 101656787B1 KR 1020160030407 A KR1020160030407 A KR 1020160030407A KR 20160030407 A KR20160030407 A KR 20160030407A KR 101656787 B1 KR101656787 B1 KR 10165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pipe
main body
underground pi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연
Original Assignee
이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연 filed Critical 이경연
Priority to KR102016003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지중배전선(L)이 배치되는 지중배관(10)을 포함하는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중배관(10)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수용부(11a)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11d) 및,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11e)를 구비한 지중배관본체부(11)와;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좌측플랜지부(12) 및;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우측플랜지부(13)를 갖추며,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공간부(21)와; 좌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유입부(22) 및; 우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배출부(23)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21)에 지중배관(10)이 삽입되어, 지중배관(10)의 좌측플랜지부(12) 및 우측플랜지부(1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외부보호관(20)과: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3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3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1연결부(11d)와 연통되는 연결부(33) 및, 상기 연결부(33)와 연통되며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3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지지체(30)와: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4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4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2연결부(11e)와 연통되는 연결부(43) 및, 상기 연결부(43)와 연통되며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4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지지체(40)와:
좌측지지체(30)의 우측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 내부에서 이동하는 생물을 감지하는 제1초음파센서(140)와:
좌측지지체(3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1초음파발생기(150)와:
좌측지지체(30)의 좌측에 설치되어, 좌측지지체(30)로 접근하는 생물을 감지하는 제2초음파센서(160)와:
좌측지지체(30)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2초음파발생기(170)와:
우측지지체(40)의 우측에 설치되어, 우측지지체(40)로 접근하는 생물을 감지하는 제3초음파센서(180)와:
우측지지체(4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3초음파발생기(190)와:
지중배관(1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는 조명기(200)와:
지중배관(10) 내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반사거울(210)과:
좌측지지체(30)의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체(51)와; 좌측단이 지지체(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단이 우측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부(52a)가 좌측방에서 우측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바 형상의 회전체(52)와; 회전체(52)의 좌측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다수의 날개체(53) 및; 회전체(52)의 삽입부(5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54a) 및, 상단이 상기 체결부(54a)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지중배전선(L)과 맞닿으며,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는 연질의 타격막(54b)을 구비하여, 날개체(53)의 우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타격체(54)를 갖춘 공기확산기구(50)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지중배관본체부(11)와 외부보호관(2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제1노즐부(61)와; 상부가 제1노즐부(61)와 연통되도록 제1노즐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공기확산기구(50)의 날개체(53)를 향하는 제2노즐부(62)와; 둘레부에 구비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63) 및; 상부 둘레부에 구비되어 지중배관본체부(11)와 외부보호관(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부 직경보다 하부 직경이 커 둘레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하부 직경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큰 바람유도부(64)를 갖춘 노즐기구(60)와:
하단이 외부보호관(20)의 유입부(22)에 삽입되어 노즐기구(60)의 제1노즐부(61)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공기공급관(70)과:
공기공급관(7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공기공급관(7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팬장치(80)와: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 및 외부보호관(20)의 배출부(23)에 삽입되고, 하단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공기흡입관(90)과:
공기흡입관(9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장치(100)와:
지중배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감지센서(110)와: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감지센서(120) 와:
흡입팬장치(100)에 설치되는 송신기(220) 및: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며, 제1온도감지센서(110) 및 제2온도감지센서(120)로부터의 온도신호에 따라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작동제어하고, 제1,2,3초음파센서(140,160,180)로부터 생물을 감지했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2,3초음파발생기(150,170,190) 및 조명기(200)를 구동하며 송신기(220)를 통해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유닛(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EQUIPMENT FOR FIXIGN A SUBTERRANEAN LINE}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변전소로 송전되며, 이때 변전소로부터의 전력은 가공 또는 지중를 통해 배전이 이루어진다.
이중 지중을 통한 지중배전선 시공방법은 직접 매설식과, 지중배관을 매설한 후 지중배관에 지중배전선을 수용하는 관로식, 지하에 동도를 파고 동도에 지중배전선을 포설하는 전력구식이 있다.
이때, 관로식의 경우, 지중배관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통해 지중배전선이 지지되는 데, 지중배관에 쥐와 같은 소형 동물이 유입되면, 지지부재를 갉아먹어 지중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데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관로식의 경우, 지중배관이 매설된 지점의 상부에서 굴착기에 의한 굴착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굴착기의 굴착 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이 지중배관을 덮고 있는 흙에 전달되고, 이에 따른 토압이 지중배관에 전달되어, 지중배관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굴착기가 지중배관의 근처를 굴착할 시, 작업자가 지중배관의 위치를 알지 못한 채로 굴착을 진행하면, 굴착기 삽에 의해 지중배관이 손상될 수 있었다.
더불어, 종래에는 지중배관에 지중배전선에 배치되기 때문에, 지중배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특히 지중배전선로 중 지면과 가까운 일부 구간 또는 지열이 발생하는 일부 구간에서는 온도가 매우 높아지게 되며, 이와 같은 온도 상승은 매우 비효율적인 전력 배전을 발생시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077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배전선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지중배전선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지중배관 내부의 온도 조절을 통해 지중을 통한 전력 배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지중배전선(L)이 배치되는 지중배관(10)을 포함하는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중배관(10)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수용부(11a)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11d) 및,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11e)를 구비한 지중배관본체부(11)와;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좌측플랜지부(12) 및;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우측플랜지부(13)를 갖추며,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공간부(21)와; 좌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유입부(22) 및; 우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배출부(23)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21)에 지중배관(10)이 삽입되어, 지중배관(10)의 좌측플랜지부(12) 및 우측플랜지부(1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외부보호관(20)과: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3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3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1연결부(11d)와 연통되는 연결부(33) 및, 상기 연결부(33)와 연통되며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3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지지체(30)와: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4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4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2연결부(11e)와 연통되는 연결부(43) 및, 상기 연결부(43)와 연통되며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4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지지체(40)와:
좌측지지체(30)의 우측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 내부에서 이동하는 생물을 감지하는 제1초음파센서(140)와:
좌측지지체(3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1초음파발생기(150)와:
좌측지지체(30)의 좌측에 설치되어, 좌측지지체(30)로 접근하는 생물을 감지하는 제2초음파센서(160)와:
좌측지지체(30)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2초음파발생기(170)와:
우측지지체(40)의 우측에 설치되어, 우측지지체(40)로 접근하는 생물을 감지하는 제3초음파센서(180)와:
우측지지체(4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3초음파발생기(190)와:
지중배관(1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는 조명기(200)와:
지중배관(10) 내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반사거울(210)과:
좌측지지체(30)의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체(51)와; 좌측단이 지지체(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단이 우측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부(52a)가 좌측방에서 우측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바 형상의 회전체(52)와; 회전체(52)의 좌측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다수의 날개체(53) 및; 회전체(52)의 삽입부(5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54a) 및, 상단이 상기 체결부(54a)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지중배전선(L)과 맞닿으며,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는 연질의 타격막(54b)을 구비하여, 날개체(53)의 우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타격체(54)를 갖춘 공기확산기구(50)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지중배관본체부(11)와 외부보호관(2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제1노즐부(61)와; 상부가 제1노즐부(61)와 연통되도록 제1노즐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공기확산기구(50)의 날개체(53)를 향하는 제2노즐부(62)와; 둘레부에 구비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63) 및; 상부 둘레부에 구비되어 지중배관본체부(11)와 외부보호관(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부 직경보다 하부 직경이 커 둘레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하부 직경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큰 바람유도부(64)를 갖춘 노즐기구(60)와:
하단이 외부보호관(20)의 유입부(22)에 삽입되어 노즐기구(60)의 제1노즐부(61)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공기공급관(70)과:
공기공급관(7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공기공급관(7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팬장치(80)와: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 및 외부보호관(20)의 배출부(23)에 삽입되고, 하단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공기흡입관(90)과:
공기흡입관(9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장치(100)와:
지중배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감지센서(110)와: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감지센서(120) 와:
흡입팬장치(100)에 설치되는 송신기(220) 및: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며, 제1온도감지센서(110) 및 제2온도감지센서(120)로부터의 온도신호에 따라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작동제어하고, 제1,2,3초음파센서(140,160,180)로부터 생물을 감지했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2,3초음파발생기(150,170,190) 및 조명기(200)를 구동하며 송신기(220)를 통해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유닛(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쥐의 접근을 방지하여 지중배전선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지중배전선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중배관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켜 지중배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중배관 내부에 먼지를 제거하여 화재 발생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좌측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우측지지체가 없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9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지중배관 및 외부보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 9의 X-X선 단면도로서 나사산을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지중배관 및 외부보호관을 설명하기 위한 Y-Y선 단면도로서 나사산을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좌측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내부에 지중배전선(L)이 배치되는 지중배관(10)을 포함하는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외부보호관(20)과, 좌측지지체(30)와, 우측지지체(40)와, 제1초음파센서(140)와, 제1초음파발생기(150)와, 제2초음파센서(160)와, 제2초음파발생기(170)와, 제3초음파센서(180)와, 제3초음파발생기(190)와, 조명기(200)와, 반사거울(210)과, 공기공급관(70)과, 공급팬장치(80)와, 공기흡입관(90)과, 흡입팬장치(100)와, 제1온도감지센서(110)와, 제2온도감지센서(120)와, 송신기(220) 및, 컨트롤유닛(130)을 포함한다.
지중배관(10)은 지중배관본체부(11)와, 좌측플랜지부(12) 및, 우측플랜지부(13)를 갖춘다.
지중배관본체부(11)는,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수용부(11a)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배출부(11c)와 갖추며, 지중배전선(L)이 배치된다.
좌측플랜지부(12)는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 둘레부에 구비되며, 둘레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우측플랜지부(13)는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 둘레부에 구비된다.
외부보호관(20)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공간부(21)와, 좌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유입부(22) 및, 우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배출부(23)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21)에 지중배관(10)이 삽입되어, 지중배관(10)의 좌측플랜지부(12) 및 우측플랜지부(1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좌측지지체(30)는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31)를 갖추고서, 지중배전선(L)을 지지한다.
우측지지체(40)는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41)를 갖추며, 지중배전선(L)을 지지한다.
제1초음파센서(140)는 좌측지지체(30)의 우측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 내부에서 이동하는 생물을 감지한다.
제1초음파발생기(150)는 좌측지지체(30)의 우측에 설치된다.
제2초음파센서(160)는 좌측지지체(30)의 좌측에 설치되어, 좌측지지체(30)로 접근하는 생물을 감지한다.
제2초음파발생기(170)는 좌측지지체(30)의 좌측에 설치된다.
제3초음파센서(180)는 우측지지체(40)의 우측에 설치되어, 우측지지체(40)로 접근하는 생물을 감지한다.
제3초음파발생기(190)는 우측지지체(40)의 우측에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2,3초음파센서(140,160,180)는 이동하는 생물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감지센서로 대체가 가능하며, 제1,2,3초음파발생기(150,170,190)는 쥐가 싫어하는 대역의 주파수(음역 2만 5천~5만 헤르츠)를 출력한다.
조명기(200)는 지중배관(1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기(200)는 일반적인 후레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기(200)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반사거울(210)은 지중배관(10) 내부의 하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거울(210)은 다수 개가 설치된다.
공기공급관(70)은, 하단이 외부보호관(20)의 유입부(22) 및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를 통과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로 돌출되며,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된다.
공급팬장치(80)는, 공기공급관(7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공기공급관(7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흡입관(90)은,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 및 외부보호관(20)의 배출부(23)에 삽입되고, 하단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된다.
흡입팬장치(100)는, 공기흡입관(9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제1온도감지센서(110)는, 지중배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제2온도감지센서(120)는,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온도감지센서(120)는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지만,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송신기(220)는 흡입팬장치(10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220)는 흡입팬장치(100)에 설치되지만,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면,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컨트롤유닛(130)은,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며, 제1온도감지센서(110) 및 제2온도감지센서(120)로부터의 온도신호에 따라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작동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유닛(130)은,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면,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구동하여 외부 공기가 지중배관본체부(11)을 경유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컨트롤유닛(130)은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더라도, 외부 온도가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의 온도보다 높을 시에는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구동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유닛(130)은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성을 제어할 수만 있다면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외부 온도가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의 온도보다 높더라도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유닛(130)은, 제1,2,3초음파센서(140,160,180)로부터 생물을 감지했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2,3초음파발생기(150,170,190) 및 조명기(200)를 구동하며 송신기(220)를 통해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시예에서 컨트롤유닛(130)과 지중배관(10) 내부에 설치된 전기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은 지중배관(10)을 관통하여 지상으로 노출되는 전기선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본 실시예가 설치되면, 지중배관(10)에 배치되는 지중배전선(L)은 좌측지지체(30) 및 우측지지체(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보호관(20)을 갉아먹고 지중배관(10) 내부로 쥐가 들어오거나, 지중배관(10)에 이웃하는 또 다른 지중배관의 지중배전선 지지체를 갉아먹고 쥐가 좌측지지체(30) 및 우측지지체(40)로 접근하여, 쥐가 좌측지지체(30) 및 우측지지체(40)를 갉아먹으면, 좌측지지체(30) 및 우측지지체(40)는 손상되면서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한다. 또한 지중배관(10) 내부로 들어온 쥐가 지중배전선(L)을 갉아먹으면 합선 및 누전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지중배관(10) 내부로 쥐가 들어오거나, 쥐가 좌측지지체(30) 및 우측지지체(40)로 접근하면, 제1,2,3초음파센서(140,160,180)은 이를 감지하고, 컨트롤유닛(130)은 제1,2,3초음파센서(140,160,18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제1,2,3초음파발생기(150,170,190)을 구동한다. 그러면 제1,2,3초음파발생기(150,170,190)는 도 6과 같이 초음파를 출력하고, 쥐는 상기 초음파에 영향을 받아 지중배관(10)으로부터 벗어난다.
이와 동시에, 컨트롤유닛(130)은 도 7과 같이 조명기(200)를 구동하고, 조명기(200)로부터 출력된 빛은 반사거울(210)에 의해 반사되면서 확산된다. 그러면 쥐는 조명 빛의 영향을 받아 지중배관(10)으로부터 벗어난다.
이때, 컨트롤유닛(130)은 송신기(220)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외부 관리자는 이를 수신하여 쥐 진입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2 와 같은 상태에서, 지중배관(10) 내부의 온도가 기준 값 이상 상승하고, 외부(지상) 온도가 지중배관(10) 내부의 온도보다 낮으면, 컨트롤유닛(130)은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구동한다.
그러면, 외부 공기는 지중배관(10) 내부로 유입되고, 지중배관(1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지중배관(10) 내부의 온도는 전력 배전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본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보호관(10)의 상부에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외부보호관(20)이 외력을 1차적으로 완충하여, 지중배관(10) 내부에 배치된 지중배전선(L)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외부보호관(20)이 파손되더라도 지중배관(10)에 의해 지중배전선(L)이 안전하게 보호되어, 지중배전선(L)을 통해 전력을 안정적으로 배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좌측지지체(30) 및 우측지지체(40)를 구비하지만, 도 8과 같이 우측지지체(40)를 없앤 후, 지중배관(10)과 연결되는 또 다른 지중배관에 구비된 좌측지지체(30)를 통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지중배관(10) 내부의 냉각 작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제3초음파센서(180) 및 제3초음파발생기(190)는 상기 좌측지지체(30)의 우측에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9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지중배관 및 외부보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 9의 X-X선 단면도로서 나사산을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지중배관 및 외부보호관을 설명하기 위한 Y-Y선 단면도로서 나사산을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공기확산기구(50) 및 노즐기구(60)를 더 포함하며,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일부 구조가 변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중배관(10)의 지중배관본체부(11)는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수용부(11a)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11d) 및,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11e)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지지체(30)는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3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3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1연결부(11d)와 연통되는 연결부(33) 및, 상기 연결부(33)와 연통되며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3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좌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우측지지체(40)는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4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4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2연결부(11e)와 연통되는 연결부(43) 및, 상기 연결부(43)와 연통되며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4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보다 우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확산기구(50)는 지지체(51)와, 바 형상의 회전체(52)와, 패널 형상의 다수의 날개체(53) 및, 다수의 타격체(54)를 갖춘다.
지지체(51)는 좌측지지체(30)의 우측 상부에 구비된다.
회전체(52)는, 좌측단이 지지체(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단이 우측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부(52a)가 좌측방에서 우측방으로 다수 개 구비된다.
날개체(53)는 회전체(52)의 좌측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타격체(54)는, 회전체(52)의 삽입부(5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54a) 및, 상단이 상기 체결부(54a)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지중배전선(L)과 맞닿으며,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는 연질의 타격막(54b)을 구비하여, 날개체(53)의 우측에 구비된다.
노즐기구(60)는 제1노즐부(61)와, 제2노즐부(62)와, 체결부(63) 및, 바람유도부(64)를 갖춘다.
제1노즐부(61)는,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지중배관본체부(11)와 외부보호관(2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다.
제2노즐부(62)는 상부가 제1노즐부(61)와 연통되도록 제1노즐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공기확산기구(50)의 날개체(53)를 향한다.
노즐기구(60)의 체결부(63)는 둘레부에 구비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바람유도부(64)는 상부 둘레부에 구비되어 지중배관본체부(11)와 외부보호관(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부 직경보다 하부 직경이 커 둘레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하부 직경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공급관(70)은, 하단이 외부보호관(20)의 유입부(22)에 삽입되어 노즐기구(60)의 제1노즐부(61)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좌측지지체(30)보다 우측에 위치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와 같이 본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중배관(10) 내부의 온도가 기준 값 이상 상승하고, 외부(지상) 온도가 지중배관(10) 내부의 온도보다 낮으면, 컨트롤유닛(130)은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구동한다.
그러면, 외부 공기는 공기공급관(70)으로 유입되어 노즐기구(60)의 상부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공급관(7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도 18과 같이 노즐기구(60)의 바람유도부(64)에 의해 지중배관(10)과 외부보호관(20) 사이로 퍼지고, 또 다른 일부는 도 18과 같이 노즐기구(60)의 제1노즐부(61)로 유입되어 노즐기구(60)의 제2노즐부(62)로 배출된다.
여기서, 지중배관(10)과 외부보호관(20) 사이로 퍼진 공기는 지중배관(10)과 외부보호관(20) 사이의 공간을 1차로 냉각시키고, 도 19와 같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1연결부(11d) 및 좌측지지체(30)의 연결부(33)를 통과하여, 좌측지지체(30)를 냉각시킨 후, 좌측지지체(30)의 개구부(34)를 통해 지중배관(10)의 내부로 배출되어, 지중배관(10) 내부를 냉각시킨다. 또한 지중배관(10)과 외부보호관(20) 사이로 퍼진 공기는 지중배관(10)과 외부보호관(20) 사이의 공간을 1차로 냉각시키고, 도 19와 같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2연결부(11e) 및 우측지지체(40)의 연결부(43)를 통과하여, 우측지지체(40)를 냉각시킨 후, 우측지지체(40)의 개구부(44)를 통해 지중배관(10)의 내부로 배출되어, 지중배관(10) 내부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노즐기구(60)의 제2노즐부(6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도 18과 같이 공기확산기구(50)의 날개체(53)에 부딪히고, 날개체(53)에 부딪힌 공기는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공기확산기구(50)의 회전체(52)를 회전시켜 날개체(53)를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하는 날개체(53)는 공기를 더욱 확산시키고 이에 따라 지중배관(10) 내부가 고르게 냉각된다.
여기서, 공기확산기구(50)의 회전체(52)가 회전하면, 공기확산기구(50)의 타격체(54)가 회전하고, 타격체(54)의 타격막(54b)은 지중배전선(L)을 타격하면서 주변 공기를 확산시킨다. 이때 지중배전선(L)에는 약간의 진동이 발생하면서 지중배전선(L)에 안착된 먼지가 비산한다.
이와 같이 지중배관(10)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지중배관(10) 내부를 냉각시킨 후, 도 19와 같이 공기흡입관(90)을 통해 외부(지상)으로 배출되며, 지중배관(10) 내부에서 발생한 먼지 또한 공기흡입관(90)을 통해 배출되어 지중배관(10) 내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할 시 먼지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10; 지중배관 20; 외부보호관
30; 좌측지지체 40; 우측지지체
50; 공기확산기구 60; 노즐기구
70; 공기공급관 80; 공급팬장치
90; 공기흡입관 100; 흡입팬장치
110; 제1온도감지센서 120; 제2온도감지센서
130; 컨트롤유닛 140; 제1초음파센서
150; 제1초음파발생기 160; 제2초음파센서
170; 제2초음파발생기 180; 제3초음파센서
190; 제3초음파발생기 200; 조명기
210; 반사거울 220; 송신기

Claims (1)

  1. 내부에 지중배전선(L)이 배치되는 지중배관(10)을 포함하는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중배관(10)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수용부(11a)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11d) 및,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11e)를 구비한 지중배관본체부(11)와;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좌측플랜지부(12) 및;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우측플랜지부(13)를 갖추며,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공간부(21)와; 좌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유입부(22) 및; 우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배출부(23)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21)에 지중배관(10)이 삽입되어, 지중배관(10)의 좌측플랜지부(12) 및 우측플랜지부(1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외부보호관(20)과: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3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3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1연결부(11d)와 연통되는 연결부(33) 및, 상기 연결부(33)와 연통되며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3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지지체(30)와: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4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4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2연결부(11e)와 연통되는 연결부(43) 및, 상기 연결부(43)와 연통되며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4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지지체(40)와:
    좌측지지체(30)의 우측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 내부에서 이동하는 생물을 감지하는 제1초음파센서(140)와:
    좌측지지체(3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1초음파발생기(150)와:
    좌측지지체(30)의 좌측에 설치되어, 좌측지지체(30)로 접근하는 생물을 감지하는 제2초음파센서(160)와:
    좌측지지체(30)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2초음파발생기(170)와:
    우측지지체(40)의 우측에 설치되어, 우측지지체(40)로 접근하는 생물을 감지하는 제3초음파센서(180)와:
    우측지지체(4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3초음파발생기(190)와:
    지중배관(1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는 조명기(200)와:
    지중배관(10) 내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반사거울(210)과:
    좌측지지체(30)의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체(51)와; 좌측단이 지지체(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단이 우측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부(52a)가 좌측방에서 우측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바 형상의 회전체(52)와; 회전체(52)의 좌측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다수의 날개체(53) 및; 회전체(52)의 삽입부(5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54a) 및, 상단이 상기 체결부(54a)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지중배전선(L)과 맞닿으며,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는 연질의 타격막(54b)을 구비하여, 날개체(53)의 우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타격체(54)를 갖춘 공기확산기구(50)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지중배관본체부(11)와 외부보호관(2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제1노즐부(61)와; 상부가 제1노즐부(61)와 연통되도록 제1노즐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공기확산기구(50)의 날개체(53)를 향하는 제2노즐부(62)와; 둘레부에 구비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63) 및; 상부 둘레부에 구비되어 지중배관본체부(11)와 외부보호관(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부 직경보다 하부 직경이 커 둘레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하부 직경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큰 바람유도부(64)를 갖춘 노즐기구(60)와:
    하단이 외부보호관(20)의 유입부(22)에 삽입되어 노즐기구(60)의 제1노즐부(61)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공기공급관(70)과:
    공기공급관(7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공기공급관(7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팬장치(80)와: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 및 외부보호관(20)의 배출부(23)에 삽입되고, 하단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공기흡입관(90)과:
    공기흡입관(9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장치(100)와:
    지중배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감지센서(110)와: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감지센서(120) 와:
    흡입팬장치(100)에 설치되는 송신기(220) 및: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며, 제1온도감지센서(110) 및 제2온도감지센서(120)로부터의 온도신호에 따라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작동제어하고, 제1,2,3초음파센서(140,160,180)로부터 생물을 감지했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2,3초음파발생기(150,170,190) 및 조명기(200)를 구동하며 송신기(220)를 통해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유닛(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KR1020160030407A 2016-03-14 2016-03-14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KR10165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407A KR101656787B1 (ko) 2016-03-14 2016-03-14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407A KR101656787B1 (ko) 2016-03-14 2016-03-14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787B1 true KR101656787B1 (ko) 2016-09-12

Family

ID=5695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407A KR101656787B1 (ko) 2016-03-14 2016-03-14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7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188B1 (ko) * 2018-03-29 2018-12-24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지중배전선 지지 트레이기구
KR101935345B1 (ko) 2018-08-31 2019-01-04 이수기술(주)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KR101985768B1 (ko) * 2019-01-25 2019-06-04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지중배전선 지지 행거장치
KR102004179B1 (ko) * 2019-03-14 2019-07-26 (주)한빛전력기술단 지중배전선 지지 트레이기구
CN116526405A (zh) * 2023-07-03 2023-08-01 运维通(安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通讯、测温、定位功能的超低功耗电缆保护套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508Y1 (ko) * 2006-09-30 2006-12-21 (주)현대엔지니어링 배전반의 화재 감시장치
KR100807742B1 (ko) 2007-09-10 2008-02-28 기술사사무소 세일엔지니어링(주) 배전선 및 소방설비를 탑재 보호하는 지중배관
KR100807713B1 (ko) * 2007-12-06 2008-03-03 이유박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블럭
KR20080033924A (ko) * 2008-03-30 2008-04-17 임성황 배관을 통한 전력구 내부 공기주입 냉각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508Y1 (ko) * 2006-09-30 2006-12-21 (주)현대엔지니어링 배전반의 화재 감시장치
KR100807742B1 (ko) 2007-09-10 2008-02-28 기술사사무소 세일엔지니어링(주) 배전선 및 소방설비를 탑재 보호하는 지중배관
KR100807713B1 (ko) * 2007-12-06 2008-03-03 이유박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블럭
KR20080033924A (ko) * 2008-03-30 2008-04-17 임성황 배관을 통한 전력구 내부 공기주입 냉각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188B1 (ko) * 2018-03-29 2018-12-24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지중배전선 지지 트레이기구
KR101935345B1 (ko) 2018-08-31 2019-01-04 이수기술(주)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KR101985768B1 (ko) * 2019-01-25 2019-06-04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지중배전선 지지 행거장치
KR102004179B1 (ko) * 2019-03-14 2019-07-26 (주)한빛전력기술단 지중배전선 지지 트레이기구
CN116526405A (zh) * 2023-07-03 2023-08-01 运维通(安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通讯、测温、定位功能的超低功耗电缆保护套管
CN116526405B (zh) * 2023-07-03 2024-01-09 运维通(安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通讯、测温、定位功能的超低功耗电缆保护套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787B1 (ko)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CN201726780U (zh) 一种输电线路智能驱鸟系统
JP2009528510A (ja) 航空機および風力エネルギープラント用空力形状体ならびに空力形状体上の氷の厚さを測定する方法
EP2818702A1 (en) Active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ultrasonic sound emissions from wind turbines
KR101842264B1 (ko) 유해조수 퇴치장치
KR101664211B1 (ko) 외부충격으로부터 지중배전선의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보호관
US20090056949A1 (en) Fluorescence measurement system for detecting leaks from subsea systems and structures
DE502006006707D1 (de) Rauchwarnmelder
TW201014972A (en) Offshore wind turbine generation system, offshore wind farm
AU2014230408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est dete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pest damage
US908097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scertaining measured values of gases and/or an aerosol for a machine
KR101681064B1 (ko) 공동주택의 전기를 이용한 소방펌프 및 호스의 누수 경보장치
KR101659903B1 (ko)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
CN110246289A (zh) 一种地下管线探测预警装置
KR101666175B1 (ko) 지중배전선로의 배전선 이탈 방지용 연결대
ES2409942B1 (es) Métodos de localización de daños en palas de aerogeneradores
JP2015035979A (ja) 野生動物追い込みシステム
CA2154433A1 (en) Freeze and water detector for a fire hydrant
CN108614019A (zh) 一种危险危害气体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AU2009315394A1 (en) Control system
CN204141255U (zh) 便携式管道井下探测装置
CN105606712A (zh) 一种超声检测探头、检测方法以及检测系统
RU2003122012A (ru) Способ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и вытеснения пловцов и морских биологических объектов от системы водозабора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KR100654688B1 (ko) 위험사면 감시장치
JPWO2015107707A1 (ja) 漏水探索装置および漏水探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