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574B1 - Fruit harvester - Google Patents
Fruit harve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6574B1 KR101656574B1 KR1020140135717A KR20140135717A KR101656574B1 KR 101656574 B1 KR101656574 B1 KR 101656574B1 KR 1020140135717 A KR1020140135717 A KR 1020140135717A KR 20140135717 A KR20140135717 A KR 20140135717A KR 101656574 B1 KR101656574 B1 KR 1016565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fruit
- storage
- present
- fruit harves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manual picking, e.g. ladders, car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46/264—Devices for beating or vibrating the foliage;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협지대로 이루어진 과일수확기 통해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나무에 매달려있는 각종 과일(감, 사과, 배, 모과 등)을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고 보관시에 협지대 상부에서 보관링을 끼움으로써 협지대의 변형방지 및 보관성을 높일 수 있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장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 상측벽 둘레에 상향 설치되어 내부에 수집공간부를 형성하고 측부에 칼날부가 형성된 다수의 협지대와, 상기 협지대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harvester equipped with a storage 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harvester having a storage 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harvester having a plurality of nested harvesters to conveniently hold various fruits (persimmon, ap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harvester provided with a storage ring capable of harvesting and preventing storage of the deformation of the noodle by inserting the storage ring at the top of the noodle during storag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ylindrical coupling pipe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pole; a plurality of nooks installed upwardly around the sidewalls of the coupling pipe, And a retaining ring which is fitted in the retaining 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협지대로 이루어진 과일수확기 통해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나무에 매달려있는 각종 과일(감, 사과, 배, 모과 등)을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고 보관시에 협지대 상부에서 보관링을 끼움으로써 협지대의 변형방지 및 보관성을 높일 수 있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harvester equipped with a storage 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harvester having a storage 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harvester having a plurality of nested harvesters to conveniently hold various fruits (persimmon, ap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harvester provided with a storage ring capable of harvesting and preventing storage of the deformation of the noodle by inserting the storage ring at the top of the noodle during storage.
일반적으로 나무에 매달려 있는 과일을 아무런 도구 없이 수확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불편한 작업이다. 그로 인해 나무와 같은 높은 곳에 매달려 있는 과일을 수확할 때 낮은 위치에서 장대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거나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과일을 수확한다.
In general, it is very difficult and inconvenient to harvest fruit hanging from trees without any tools. As a result, when harvesting fruit hanging from a high place such as a tree, fruits are harvested using a tool such as a pole or a ladder at a low position.
이러한 장대를 이용한 과일 수확은 장대만으로 나뭇가지에 매달려있는 과일을 떼어내는 작업이 어렵고 장대에 의해 과일이 손상되거나 과일이 낙하하면서 손상되는 등 문제점이 있고, 사다리를 이용한 방법은 일정높이 이상의 과일은 수확이 어렵고 일일이 사다리를 옮겨가면서 수확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작업자가 사다리에서 떨어지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The fruit harvesting using these poles is difficult to remove the fruit hanging from the branches with the pole alon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uits are damaged by the poles or the fruits are damaged due to falling, and the ladder- This is a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ask of harvesting ladders, and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workers falling off the ladder.
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한 과일 수확기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techniques of fruit harvester using such a tool are as follows.
① 특허 제1437265호(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에는 고정날과 가동날이 축나사로 힌지 연결되고 고정날의 고정부가 장대의 일단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장대의 타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가동날의 작동부에 장대 속으로 관통되는 작동봉의 일단이 연결되고 작동봉의 타단은 손잡이의 작동레버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가위날을 개폐시키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① Patent No. 1437265 (for scissors for fruit harvesting and vestibular purposes) has a fixed blade and a movable blade hinged by an axial screw, a fixed part of the fixed blade is fastened and fastened to one end of the pole by a fastener, a hand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ole,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rod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of the handle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scissors blade.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과일과 연결된 나뭇가지를 절단하여 과일을 수확하는 도구로서 절단 후 낙하하는 과일이 지면에 부딪혀 손상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잡거나 충격완충수단을 설치해야 하는 등 번거롭고 과일의 상부 일측에서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나뭇가지 절단작업이 어렵고 가위의 날 부분에 의한 과일표피손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a tool for harvesting fruits by cutting branches connected to fruits. Since the fruits falling after cutting are damaged by being hit by the ground, it is troublesome that the worker himself or the shock buffering means must be install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ut branches and problems such as damage of the fruit skin due to the blade portion of the scissors occur.
②특허 제1178183호(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과일 수확 장대)에는 고리와 결합 고정되며 타단은 용이한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는 긴 봉 형상의 장대와, 상기 고리의 내주면에 결합 고정되며, 내부에는 수확할 과일이 걸리도록 "∨" 형상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수거부와, 상기 장대의 타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장대에 결합 고정되며, 하부는 내부가 관통되는 원형의 고정고리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고리에 고정되되 내부로 유입되어 유통되는 과일이 배출되도록 개구되는 회수망과,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절개부가 형성된 회수주머니와, 상기 회수주머니를 상기 회수망의 타단에 간편하게 탈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Patent No. 1178183 (fruit harvesting pole with ease of use) is fastened to the ring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with a long rod-shaped rod having a handle for easy gripping, The upper part is fixedly coupled to the pole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with a circular fixing hole through which the inside is penetrated. A collection bag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ring and is opened so as to discharge fruits flowing into the collection bag, a collection bag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cut-out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collection bag which is easi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lection network And a detachment means for detachment.
상기 선행기술 역시 과일을 지지하지 않고 나뭇가지를 절단하여 회수주머니로 낙하된 과일을 수확하는 것으로서, 낙하과정에서 회수주머니 내부에 기존에 수확한 과일들과 부딪혀 손상을 주는 문제가 있고 고리 및 회수주머니 등의 구성들이 부피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무작위로 나무에 매달려있는 과일들을 정교하게 수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The prior art also refers to a method of harvesting fruit that has fallen into a collection bag by cutting branches without supporting the fruit. In the process of dropping, there is a problem of colliding with fruits that have already been harvested in the collection bag, Etc., are difficult to harvest because they take up a lot of volume, so that the fruits hanging on the tree are elaborately harves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 제900397호(과일 수확기)가 개시되어 과일수확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과일수확기의 또 다른 형태로 개량발명한 것에 있다.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 has disclosed the patent 900397 (fruit harvester), and the fruit harvest can be stably mad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d embodiment of the fruit harves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원통형의 결합관에 상향 설치된 다수의 협지대를 통해 과일을 안정적으로 협지하여 과일손상을 최소화하고 상기 협지대에 형성된 칼날부를 통해 가지를 절단하여 과일수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보관시 협지대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을 통해 협지대의 변형방지 및 보관성을 높일 수 있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 fruit is stably clamped through a plurality of cores that are installed upward in a cylindrical coupling pipe to minimize fruit damage and cut branches through a blade formed on the corolla so that fruit can be easily harves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uit harvester equipped with a storage ring capable of preventing deformation of a nose band and enhancing storage through a storage ring.
본 발명은 장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 상측벽 둘레에 상향 설치되어 내부에 수집공간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협지대와, 상기 협지대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ylindrical coupling pipe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pole, a plurality of nooks installed upwardly around the sidewalls of the coupling pipe to form a collecting space therein, .
상기 협지대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nip zone i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상기 협지대는 측부에 칼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nip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a blade is formed on the side portion.
상기 칼날부는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knife portion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협지대는 상단에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 측부에 결합관까지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측부에 칼날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guide par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nip zone, a reinforcing part is formed to a coupling pipe at a lower end side of the guide part, and a blade part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side of the reinforcing part.
상기 보관링은 다수의 협지대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rage 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ngaging hole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nipping bars can be respectively fitted.
상기 협지대는 보관링의 결합구멍이 걸릴 수 있도록 상부에 링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lding 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a ring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lding ring so that an engaging hole of the holding ring can be caught.
상기 보관링은 결합시 협지대가 내측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rage ring is formed to have a size such that the nipping band can be pushed inward when the storage ring is engaged.
본 발명은 원통형의 결합관에 상향 설치된 다수의 협지대를 통해 과일을 안정적으로 협지하여 과일손상을 최소화하고 상기 협지대에 형성된 칼날부를 통해 가지를 절단하여 과일수확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ily harvesting fruits by minimizing fruit damage by stably holding fruit through a plurality of nooks installed upward in a cylindrical coupling pipe and cutting branches through a blade formed in the nooks.
또한 보관시 협지대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을 통해 협지대가 내측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하여 협지대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연한을 늘릴 수 있으며 협지대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nesting band can be push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torage ring fitted at the upper part of the nesting band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nesting band,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volume of the nesting band can be reduced. have.
아울러 보관링에 의해 다수의 협지대를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어 협지대의 외부충격으로부터 협지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nooks from the external impact of the nooks by holding the plural nooks so that they do not move with each other by the storing ring.
도 1은 본 발명의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협지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관링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관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관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ruit harvester equipped with a storage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n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4 is a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대(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결합관(20)과, 상기 결합관(20) 상측벽 둘레에 상향 설치되어 내부에 수집공간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협지대(30)와, 상기 협지대(30)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결합관(2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장대(10)의 상단부에 끼워져 체결부재(21)를 통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는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장대(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는 막혀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The
본 발명의 협지대(30)는 결합관(20)의 상측별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협지대(3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내측에 상광하협(上廣下狹)상으로 이루어진 수집공간부를 형성하고 협지대(30)의 측부에는 칼날부(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협지대(30)는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서 과일의 크기에 맞게 협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협지대(30)는 외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져 과일이 수집공간부 내에서 협지된 상태에서 장대(10)를 회전시켜 협지대(30)에 형성된 칼날부(33)에 의해 나무가지를 절단하여 과일을 수확한다.
The
상기 협지대(30)는 상단에서 폭이 좁고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1)의 하단 양측부에 가이드부(31) 보다 비교적 두께가 얇은 보강부(32)가 결합관(20) 까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32)의 측부에 끝부분이 날카로운 칼날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31)는 과일이 손상되지 않고 수집공간부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보강부(32)는 협지대(30)가 외력에 잘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아울러 상기 칼날부(33)의 하단에는 걸림턱(33a)이 형성되는데, 이는 과일 수확시 상기 걸림턱(33a)을 나뭇가지의 일부분을 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과일수확기의 무게를 최소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걸림턱(33a)은 너무 크게 형성될 경우 과일수확작업에 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나무가지 정도가 걸릴 수 있을 정도의 약3mm ~ 5mm 정도가 바람직하다.
A
본 발명의 보관링(40)은 보관시 협지대(30)의 상부에서 끼워져 협지대(30)의 변형을 방지하고 협지대(30)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 보관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관링(40)은 "O"링 형태로 구비되어 다수의 협지대(30)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구멍(41)이 협지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보관링(40)의 크기는 협지대(30)의 최상단의 벌어진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보관링(40) 결합시 협지대(30)가 내측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한 크기로 형성되어 사용시 과일이나 다른 요인으로 인해 외측으로 벌어진 협지대(30)를 다시 내측으로 오므리게 하여 협지대(30)의 벌어짐 정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size of the
그리고 상기 협지대(30)는 상부에 링지지부(34)를 형성하여 보관링(40)의 결합구멍(41)이 걸릴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보관링(40)을 협지대(30)에 결합시 상부에서 이격거리 즉, 보관링(40)이 협지대(30)의 상부에서 내려온 위치에 따라 협지대(30)의 오므려지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결합시 보관링(40)의 위치를 일정하게 하여 협지대(30)의 변형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상기 링지지부(34)는 보관링(40)이 협지대(30)의 약 1/4 내지 1/3 지점으로 비교적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만약 링지지부(34)가 협지대(30)의 가운데나 하부에 위치할 경우 보관링(40)의 분해 결합이 어렵고 협지대(30)의 내측으로 오므리는 효과도 저하되기 때문이다.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의 작용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fruit harvester equipped with the storage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는 과일수확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대(30)에서 보관링(40)을 분리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과일의 협지과정에서 과일에 의해 협지대(3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사용후 협지대(30)는 원래위치로 정확히 돌아오지 않고 최초의 상태보다 미세한 거리만큼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면 협지대(30)는 더욱 벌어지게 되고 그로인해 협지력이 감소되어 과일수확기의 성능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fruit harvester equipped with the storage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그러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후 보관링(40)을 상부에서 끼움 결합하게 되면 보관링(40)에 의해 협지대(30)는 내측으로 휘어져 다수의 협지대(30)가 오므려진 형태가 된다. 이때 오므려진 정도는 보관링(40)이 분리된 협지대(30)의 원래 상부 벌어짐 정도보다 더 좁기 때문에 보관링(40)에 의해 협지대(30)는 벌어짐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협지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whe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장대 20 : 결합관
21 : 체결부재 30 : 협지대
31 : 가이드부 32 : 보강부
33 : 칼날부 33a : 걸림턱
34 : 링지지부 40 : 보관링
41 : 결합구멍10: Pole 20: Coupling tube
21: fastening member 30:
31: guide portion 32: reinforcing portion
33:
34: ring support portion 40: storage ring
41: Coupling hole
Claims (8)
상기 결합관(20) 상측벽 둘레에 상향 설치되어 내측에 상광하협상으로 수집공간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협지대(30)와,
상기 협지대(30)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보관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관링(40)은 다수의 협지대(30)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구멍(41)이 형성되고 결합시 협지대(30)가 내측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A cylindrical coupling pipe 2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pole 10,
A plurality of nesting bases 30 installed upwardly around the sidewalls of the coupling pipe 20 to form a collecting space portion at an inner side in a light-
The holding ring 40 is formed with an engaging hole 41 so that the plurality of nipping bases 30 can be fitted in the holding ring 40, Wherein the guide rails (30) are formed in a size such that they can be pushed inward during the binding.
상기 협지대(30)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nesting bases (3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협지대(30)는 측부에 칼날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30) is formed with a blade (33) on its side.
상기 칼날부는(33) 하단에 걸림턱(3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The method of claim 3,
(33a)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lade portion (33).
상기 협지대(30)는 상단에서 가이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1)의 하단 측부에 결합관(20)까지 보강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32)의 측부에 칼날부(3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The method of claim 3,
A guide portion 3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portion 30 and a reinforcement portion 32 is formed i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31 up to the coupling pipe 20, And a blade portion (33) protruding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fruit harvester.
상기 협지대(30)는 보관링(40)의 결합구멍(41)이 걸릴 수 있도록 상부에 링지지부(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링이 구비된 과일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base (30) is provided with a ring support (34) on its top so that the engagement hole (41) of the storage ring (40) can be caugh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5717A KR101656574B1 (en) | 2014-10-08 | 2014-10-08 | Fruit harve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5717A KR101656574B1 (en) | 2014-10-08 | 2014-10-08 | Fruit harves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1540A KR20160041540A (en) | 2016-04-18 |
KR101656574B1 true KR101656574B1 (en) | 2016-09-09 |
Family
ID=5591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5717A KR101656574B1 (en) | 2014-10-08 | 2014-10-08 | Fruit harves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657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48487B (en) * | 2019-01-17 | 2021-08-10 | 中南林业科技大学 | Nut picking machine and nut picking method |
CN109819770B (en) * | 2019-03-19 | 2020-10-30 | 泰顺县维能家庭农场 | Non-invasive kiwi fruit picking equipm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0397B1 (en) | 2008-09-29 | 2009-06-02 | 김학대 | Fruit harvest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5220A (en) * | 2004-08-31 | 2006-02-16 | 이상호 | Frout to obtain by digging |
KR200448418Y1 (en) * | 2008-07-22 | 2010-04-09 | 김학대 | Fruit harvester |
KR200454443Y1 (en) * | 2009-07-15 | 2011-07-04 | 김학대 | Supporting member for fruit harvester |
-
2014
- 2014-10-08 KR KR1020140135717A patent/KR10165657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0397B1 (en) | 2008-09-29 | 2009-06-02 | 김학대 | Fruit harves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1540A (en) | 2016-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6347B1 (en) | Fruit picker | |
US9526208B2 (en) | Tree mounted tarp device | |
US20170013779A1 (en) | Fruits Plucking Device | |
KR200474453Y1 (en) | the fruit harvester | |
KR101656574B1 (en) | Fruit harvester | |
KR101441807B1 (en) | Apparatus for harvesting fruits | |
KR200446320Y1 (en) | A multipurpose fruit harvester | |
US20090025357A1 (en) | Tree fruit collection device v-shaped support | |
US20150296710A1 (en) | Fruit Collecting Device | |
KR20150002757U (en) | Fruit harvester | |
KR200478386Y1 (en) | the fruit harvester | |
CN205389518U (en) | Ware is picked to navel orange | |
KR102034242B1 (en) | Crop harvester | |
US20220053699A1 (en) | Fruit Harve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 |
CN205794128U (en) | Multifunctional fruit picker | |
CN104488446A (en) | Fruit picking scissors | |
KR20180099409A (en) | the fruit harvester | |
CN110720445B (en) | Hornet nest removing device for preventing hornet flies out | |
KR20120005338U (en) | Fruit Harvester | |
CN203884230U (en) | Fruit picking device | |
KR102334572B1 (en) | Apparatus for harvesting fruit of portable | |
JP2017127298A (en) | Fruit removing tool | |
JP3185104U (en) | Fruit removal equipment | |
KR20130058982A (en) | A apparatus for harvesting fruit | |
KR20130141323A (en) | Tender stem harves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2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