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451B1 - 냉정수기 - Google Patents
냉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6451B1 KR101656451B1 KR1020150124337A KR20150124337A KR101656451B1 KR 101656451 B1 KR101656451 B1 KR 101656451B1 KR 1020150124337 A KR1020150124337 A KR 1020150124337A KR 20150124337 A KR20150124337 A KR 20150124337A KR 101656451 B1 KR101656451 B1 KR 1016564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cold water
- space
- cold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필터부(100)를 통해 필터링된 정수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 탱크(220)와, 상기 냉수 탱크(220)의 물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20)를 구비하는 냉각 시스템(300)과, 상기 압축기(320)가 설치되는 제1 공간(S1)과, 상기 냉수 탱크(220)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공간(S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공간(S2)을 구획하는 브라켓(400)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400)에는 상기 제1 공간(S1)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갖는 공기가 상승하여 상기 제2 공간(S2)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브라켓(400) 중 상기 냉수 탱크(220)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통기부를 통하여 상승된 열기를 갖는 공기가 상기 냉수 탱크(220)를 둘러싸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냉수 탱크(220)에는 상기 냉수탱크(220)의 하부를 포함한 외벽면에 보냉재(260)가 부착되어 상기 제1 공간(S1)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냉수탱크(22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정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의 열기를 이용하여 냉수 탱크와 정수 탱크의 외벽면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정수기 본체 내부에 곰팡이나 녹이 발생하지 않고 각종 전기적 부품에 대한 누전의 염려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의 열기를 이용하여 냉수 탱크와 정수 탱크의 외벽면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정수기 본체 내부에 곰팡이나 녹이 발생하지 않고 각종 전기적 부품에 대한 누전의 염려가 없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시키는 장치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방법으로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안전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근래에는 이와 같은 정수의 기능에 더하여, 정수를 냉수로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냉정수기가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정수기는 정수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 탱크를 구비하는데, 냉수 탱크 외벽면의 온도가 낮아 냉수 탱크를 둘러싸는 외부의 공기가 냉수 탱크의 차가운 외벽면에 접촉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어 외벽면에 맺히는 결로 현상이 발생한다.
그런데, 이렇게 결로 현상으로 발생된 물방울은 정수기 본체 내부에 곰팡이나 녹을 발생시킬 수 있고, 각종 전기적 부품에 침투하여 누전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어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냉수 탱크와 정수 탱크의 외벽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냉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정수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의 물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구비하는 냉각 시스템과,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제1 공간과, 상기 냉수 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공간을 구획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1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갖는 공기가 상승하여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브라켓 중 상기 냉수 탱크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통기부를 통하여 상승된 열기를 갖는 공기가 상기 냉수 탱크를 둘러싸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냉수탱크의 하부를 포함한 외벽면에 보냉재가 부착되어 상기 제1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냉수탱크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정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냉수탱크의 하부를 포함한 외벽면에 보냉재가 부착되어 상기 제1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냉수탱크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정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통기부는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갖는 공기가 상승하여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냉수 탱크의 하단이 안착되어 설치되는 안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통기부는 상기 안착홀의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 탱크는 상기 안착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공간에 노출된 상기 냉수 탱크의 하부에 보냉재가 부착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안착홀의 둘레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통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기부는 상기 냉수 탱크가 안착된 부분의 둘레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탱크의 상측에는, 세퍼레이트보드에 의해 상기 냉수 탱크와 구획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된 정수를 상기 냉수 탱크에 공급하는 정수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냉재는 상기 냉수 탱크의 외벽면 전체와 상기 정수 탱크의 외벽면의 소정의 높이까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의 열기를 이용하여 냉수 탱크와 정수 탱크의 외벽면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정수기 본체 내부에 곰팡이나 녹이 발생하지 않고 각종 전기적 부품에 대한 누전의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정수기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정수기의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정수기의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정수기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정수기는 필터부(100), 정수 탱크(200), 냉수 탱크(220), 냉각 시스템(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터부(100)는 침전 필터(120), 프리 카본 필터(140), 멤브레인 필터(160), 포스트 카본 필터(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침전 필터(120)는 원수 중의 미세한 입자를 제거할 수 있고, 프리 카본 필터(140)는 잔류 염소나 냄새 유발 물질 및 휘발성 유기 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 필터(160)는 중금속을 포함한 대부분의 이온성 물질과 미생물 등을 제거할 수 있고, 포스트 카본 필터(180)는 냄새를 제거하고 물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부(100)를 통해 필터링된 정수는 정수 공급관(190)을 통해 정수 탱크(200)로 유입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수 탱크(200)에는 정수 추출관이 설치되어 사용자는 정수 추출관을 통해 정수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다.
정수 탱크(200)의 하부에는 냉수 탱크(220)가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수 탱크(220)에도 냉수 추출관이 설치되어 사용자는 냉수 추출관을 통해 냉수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다.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220)는 세퍼레이트 보드(240)로 분리되어 있으며, 세퍼레이트 보드(240)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이 홀을 통해 정수 탱크(200)의 물이 냉수 탱크(220)로 유입될 수 있다.
냉수 탱크(220)에는 탱크 내의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300)이 설치된다. 냉각 시스템(300)은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압축기(320), 압축기(320)를 통과한 냉매에 포함된 고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340), 응축기(340)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상변화시키는 팽창 밸브(360), 및 저온 저압의 냉매를 통과시키며 냉수 탱크(220)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수 탱크(220)의 물을 냉각시키는 증발기(380)인 냉각 코일로 구성된다.
냉수 탱크(220)와 정수 탱크(200)의 외벽면에는 보냉재(260)를 부착한다. 냉수 탱크(220)는 외벽면 전체에 보냉재(260)를 부착하고, 정수 탱크(200)는 외벽면의 하단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보냉재(260)를 부착한다. 보냉재(260)는 탱크 내의 냉기가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탱크 외부의 열기가 탱크 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정수기의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필요하지 않은 구성은 생략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정수기의 하우징(H)의 상측에는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220)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냉각 시스템(300)의 압축기(320)가 배치된다. 상측의 정수 탱크(200) 및 냉수 탱크(220)와 하측의 압축기(320) 사이에는 브라켓(400)이 설치되고,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220)는 브라켓(400)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브라켓(400)은 상기 압축기(310)가 설치되는 제1 공간(S1)과 상기 냉수 탱크(220)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공간(S2)을 구획하게 된다.
도 3은 브라켓(4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400)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홀 중에서 관통 홀(420)은 전선과 같은 각종 케이블, 관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고, 안착 홀(440)은 냉수 탱크(220)의 하단이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통기부를 구성하는 통기 홀(460)은 압축기(32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갖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통기 홀(460)은 중앙에 배치된 안착 홀(44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배치된다. 따라서, 통기 홀(460)을 통해 상승한 열기가 안착 홀(440)에 안착된 탱크의 외벽면에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냉수 탱크(220)의 외벽면에 결로 현상이 생기는 원인은, 냉수 탱크(220)를 둘러싼 공기가 냉수 탱크(220)의 차가운 벽면에 접촉하여 기온이 내려가고, 이 공기의 상대습도가 올라가서 이슬점에 이르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어 벽면에 맺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냉수 탱크(220)의 외벽면에 압축기(320)에서 발산된 열에너지를 제공하면, 냉수 탱크(220)를 둘러싼 공기가 가열되고, 공기가 가열되어 온도가 올라가면 상대습도가 내려가므로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지 않고, 벽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통기 홀(460)을 통해 올라온 압축기(320)의 열기가 냉수 탱크(220)의 내부로 전달되면 냉수의 온도가 올라가는 문제가 생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냉수 탱크(220)의 외벽면에 보냉재(26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냉재(260)를 부착함으로써, 압축기(320)로부터의 열에너지가 냉수 탱크(22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냉수 탱크(220)의 냉기가 외부로 새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냉재(260)는 냉수 탱크(220)의 외벽면 전체에 부착하고, 냉수 탱크(220)의 상측에 배치된 정수 탱크(200)에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수 탱크(200)의 하부는 냉수 탱크(200)와 세퍼레이트 보드(240)를 통해 유체 연통하기 때문에 물의 온도가 낮아 결로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수 탱크(200)의 하단에서 소정의 높이까지는 보냉재(26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정수 탱크(200)의 외벽면의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보냉재(260)를 부착하면, 냉수 탱크(220)의 냉기가 정수 탱크(200)의 상단까지 전달되어 정수 탱크(200)의 상단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탱크의 외벽면에 발생하는 결로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수 탱크(200)의 소정의 높이까지만 보냉재(26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자들은, 예컨대 용량 16L인 냉수 탱크의 높이가 287mm, 용량 14L인 정수 탱크의 높이가 177mm인 대용량 냉정수기에서, 두께 10mm인 보냉재(260)를 냉수 탱크 전면에 부착하고 그 위로 정수 탱크의 80mm 높이까지 보냉재(260)를 부착하였더니, 결로량이 최소화되었음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100... 필터부 200... 정수 탱크
220... 냉수 탱크 240... 세퍼레이트 보드
260... 보냉재 300... 냉각 시스템
320... 압축기 400... 브라켓
440... 안착 홀 460... 통기 홀
220... 냉수 탱크 240... 세퍼레이트 보드
260... 보냉재 300... 냉각 시스템
320... 압축기 400... 브라켓
440... 안착 홀 460... 통기 홀
Claims (10)
- 필터부(100)를 통해 필터링된 정수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 탱크(220)와,
상기 냉수 탱크(220)의 물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20)를 구비하는 냉각 시스템(300)과,
상기 압축기(320)가 설치되는 제1 공간(S1)과, 상기 냉수 탱크(220)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공간(S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공간(S2)을 구획하는 브라켓(400)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400)에는 상기 제1 공간(S1)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갖는 공기가 상승하여 상기 제2 공간(S2)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브라켓(400) 중 상기 냉수 탱크(220)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통기부를 통하여 상승된 열기를 갖는 공기가 상기 냉수 탱크(220)를 둘러싸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냉수 탱크(220)에는 상기 냉수탱크(220)의 하부를 포함한 외벽면에 보냉재(260)가 부착되어 상기 제1 공간(S1)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냉수탱크(22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정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압축기(32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갖는 공기가 상승하여 상기 제2 공간(S2)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냉정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00)에는 상기 냉수 탱크(220)의 하단이 안착되어 설치되는 안착홀(440)이 형성되며,
상기 통기부는 상기 안착홀(440)의 둘레에 구비된 냉정수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220)는 상기 안착홀(440)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공간(S1)에 노출된 상기 냉수 탱크(220)의 하부에 보냉재(260)가 부착된 냉정수기. - 삭제
-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안착홀(440)의 둘레에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브라켓(400)에 형성된 통기 홀(460)을 포함하는 냉정수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냉수 탱크(220)가 안착된 부분의 둘레에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220)의 상측에는, 세퍼레이트보드(240)에 의해 상기 냉수 탱크(220)와 구획되며, 상기 필터부(100)를 통해 필터된 정수를 상기 냉수 탱크(220)에 공급하는 정수 탱크(20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냉재(260)는 상기 냉수 탱크(220)의 외벽면 전체와 상기 정수 탱크(200)의 외벽면의 소정의 높이까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4337A KR101656451B1 (ko) | 2015-09-02 | 2015-09-02 | 냉정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4337A KR101656451B1 (ko) | 2015-09-02 | 2015-09-02 | 냉정수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0586A Division KR101576825B1 (ko) | 2009-09-24 | 2009-09-24 | 냉정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391A KR20150106391A (ko) | 2015-09-21 |
KR101656451B1 true KR101656451B1 (ko) | 2016-09-13 |
Family
ID=5424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4337A KR101656451B1 (ko) | 2015-09-02 | 2015-09-02 | 냉정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645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5591A (ko) | 2020-08-24 | 2022-03-03 | 코웨이 주식회사 | 정수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87346A (ja) * | 2002-03-28 | 2003-10-10 | Sanyo Electric Co Ltd | 冷却貯蔵庫 |
KR100818000B1 (ko) * | 2005-11-26 | 2008-03-31 | 조봉환 | 저수조의 온도차를 이용한 이온수 생성장치 |
KR20080100518A (ko) * | 2007-05-14 | 2008-11-19 | 배금주 | 고농도 산소가 용존된 냉각수 정수기 |
-
2015
- 2015-09-02 KR KR1020150124337A patent/KR10165645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391A (ko) | 2015-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30692B2 (en) | Water dispenser and method of purifying water | |
JP2008086989A (ja) | 水供給装置 | |
KR101576825B1 (ko) | 냉정수기 | |
KR101656451B1 (ko) | 냉정수기 | |
US20210292151A1 (en) | Cold water tank | |
KR100621058B1 (ko) | 정수기 | |
KR100777433B1 (ko) | 냉수온도 유지를 위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 | |
CN105247655A (zh) | 罐用激冷器 | |
JP2014028362A (ja) | 乳化廃油の再生処理装置および方法 | |
KR101534255B1 (ko) | 에너지 저감형 증류수 제조장치 | |
KR101765666B1 (ko) |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 |
JP4643649B2 (ja) | 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加熱ユニットを含む液体用再生ユニット | |
US5167804A (en) | Liquid treatment system | |
US5645719A (en) | Filter clamping device for water purifiers | |
CN109419362A (zh) | 饮用水供给装置 | |
CN110325690A (zh) | 配置成采集大气水的制冷设备 | |
KR101948000B1 (ko) | 얼음 정수기 | |
KR200269480Y1 (ko) | 온도 유지를 위한 냉, 온정수기의 열 차단장치 | |
KR200384535Y1 (ko) | 정수기 | |
KR101326703B1 (ko) | 정수기용 온수탱크 | |
KR20210153992A (ko) | 온수기 | |
KR101667750B1 (ko) | 쿨러 기능을 지닌 컨덴세이트 코어레서 장치 | |
US20070051613A1 (en) | Tap water purifier | |
KR102495957B1 (ko) | 수처리장치 | |
KR20160100521A (ko) | 정수기용 퇴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