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404B1 - 내화벽돌 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화벽돌 인출방법 - Google Patents
내화벽돌 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화벽돌 인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6404B1 KR101656404B1 KR1020130165551A KR20130165551A KR101656404B1 KR 101656404 B1 KR101656404 B1 KR 101656404B1 KR 1020130165551 A KR1020130165551 A KR 1020130165551A KR 20130165551 A KR20130165551 A KR 20130165551A KR 101656404 B1 KR101656404 B1 KR 1016564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refractory bricks
- reactor
- vertical portion
- refracto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94—Breaking away the lining or removing part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2001/0046—Means to facilitate repair or replacement or prevent quick wearing
- F27D2001/005—Removable part or structure with replaceable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2001/1605—Repairing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된 내화벽돌이 유입되도록 상부 단부가 개방되고 반응로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와, 수직부로 유입된 분쇄된 내화벽돌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일측 단부는 수직부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반응로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수직부는, 수직부 내부에서 낙하하는 내화벽돌의 속도를 완화시키도록, 수직부 내부에서 수직부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완충부를 구비하고, 완충부는, 수직부 내부로 돌출되고, 낙하하는 내화벽돌과 충돌시에 회전하도록 수직부와 힌지 결합하는 돌출부와, 회전한 돌출부의 위치가 충돌 전 상태로 복귀되도록, 회전된 돌출부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수직부 외부에 위치하는 무게추와 무게추를 돌출부와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비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내화벽돌 인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에 내화벽돌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반응로 내부에 적층된 내화벽돌을 반응로에서 철거시, 반응로 내부에 내화벽돌을 반응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형상으로 구비되며 반응로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내화벽돌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내화벽돌을 인출하는 방법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반응로(F)의 상부에서 내화벽돌(b)을 분쇄한 후 분쇄된 내화벽돌을 반응로(F) 내부의 바닥으로 낙하시키고, 작업자(p)가 반응로(F)의 하단에서 낙하된 내화벽돌을 컨베이어 벨트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반출시킨다.
그 후에,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응로(F)의 하단에 구비된 내화벽돌을 해체하기 위해, 작업대(c)의 높이를 낮추어 반응로(F)의 하단에서 내화벽돌을 분쇄하고 분쇄된 반응로(F) 내부의 바닥으로 낙하시킨 뒤, 같은 방법으로 반응로(F) 하단에서 작업자(p)가 낙하된 내화벽돌을 컨베이어 벨트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으로 반응로(F) 내부의 내화벽돌을 인출하였다.
즉, 종래의 내화벽돌을 해체하는 방법은 반응로(F)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내화벽돌을 분쇄하는 분쇄작업과 분쇄된 내화벽돌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낙하작업, 낙하된 내화벽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작업으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종래의 내화벽돌을 해체하는 방법은 반응로(F)의 상부에 구비된 내화벽돌을 분쇄하고 낙하시킨 뒤 바닥에 쌓인 내화벽돌을 외부로 반출한 후에, 반응로(F)의 하부에 구비된 내화벽돌을 분쇄하고 반응로(F) 외부로 배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반응로(F)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내화벽돌을 연속적으로 해체할 수 없어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내화벽돌을 반응로(F) 하부로 낙하시킴에 따라 낙하된 내화벽돌이 바닥과 충돌하여 반응로(F) 내부에 과다한 먼지 등이 발생하여 작업자(p)의 호흡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작업자(p)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내화벽돌을 반응로 외부로 인출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내화벽돌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반응로 내부 바닥에 내화벽돌을 낙하시키지 않고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내화벽돌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분쇄된 내화벽돌이 유입되도록 상부 단부가 개방되고 반응로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로 유입된 분쇄된 내화벽돌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일측 단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반응로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직부 내부에서 낙하하는 내화벽돌의 속도를 완화시키도록, 상기 수직부 내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수직부 내부로 돌출되고, 낙하하는 내화벽돌과 충돌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수직부와 힌지 결합하는 돌출부와, 회전한 상기 돌출부의 위치가 충돌 전 상태로 복귀되도록, 회전된 상기 돌출부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 외부에 위치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를 상기 돌출부와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비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내화벽돌 인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 상기 수직부는, 반응로에서 분쇄대상인 내화벽돌의 위치에 따라 내화벽돌이 유입되는 상부 단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복수개의 수직관이 합형되고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경사부에 유입된 내화벽돌을 반응기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직부와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 내화벽돌 유출시 내화벽돌과의 충돌에 의한 상기 경사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경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 상기 복원부의 무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직부 내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면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 상기 완충부는 반응로의 높이 방향에서 복수개가 각각 이격되며 교차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 상기 수직부를 반응기 내부에 고정하도록, 반응로의 상부 일측과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여 상기 수직부를 반응로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 전술한 내화벽돌 인출장치를 설치하는 설치단계와, 반응로 높이방향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부에 적층된 내화벽돌을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분쇄된 내화벽돌을 수직부에 투입하여 반응로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와, 분쇄대상인 내화벽돌의 위치에 따라 상기 수직부의 상부 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부의 상부 단부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단계를 포함하는 내화벽돌 인출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 상기 길이조절단계는 분쇄된 내화벽돌을 상기 수직부에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를 절단하여 상기 수직부의 상부 단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 상기 길이조절단계는 분쇄된 내화벽돌을 상기 수직부에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복수개의 수직관으로 합형된 수직부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관을 분리하여 상기 수직부의 상부 단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로 내벽에 적층된 내화벽돌의 분쇄 및 반응로 외부로의 인출을 동시에 할 수 있어 내화벽돌을 반응로에서 제거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내화벽돌을 해체시 반응로 내부에 내화벽돌을 낙하시키지 않고 반응로 외부로 인출함에 따라 반응로 하단에 작업자가 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내화벽돌을 반응로 내부에 내화벽돌을 낙하시키지 않고 반응로 외부로 인출함에 따라 내화벽돌의 낙하에 의해 반응로 내부에서의 먼지발생을 예방하여 작업자의 작업 시야 확보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가 먼지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내화벽돌 인출과정을 나타내는 간략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반응로 내부에 분쇄된 내화벽돌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수직부 내부에 구비된 완충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내화벽돌이 충돌된 완충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방법의 순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반응로 내부에 분쇄된 내화벽돌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수직부 내부에 구비된 완충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내화벽돌이 충돌된 완충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내화벽돌 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내화벽돌 인출방법을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장치(100)는 반응로(F)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110) 및 상기 수직부(110)와 연결되며 반응로(F) 내부에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부(110)는 반응로(F) 내부에 내화벽돌(b)이 분쇄된 후 반응로(F) 하단으로 유출되도록, 반응로(F)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파이프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개방된 상부를 통해 분쇄된 내화벽돌이 투입되어 상기 수직부(110) 내부에서 반응로(F)의 하부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낙하하게 된다.
그런데, 내화벽돌(b)은 반응로(F)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해체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에 내화벽돌을 투입하기 용이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직부(110)는 상부 단부의 위치를 조절될 수 있게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복수개의 수직관(111,112,113)이 합형되어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부(110)는 복수개의 수직관(111,112,113)이 볼트와 같이 결합부재(114)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수직관(111,112,113)은 상기 결합부재(114)의 결합을 해제하여 각각 분리되어 상기 수직부(110)에서 제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반응로(F) 내부의 내화벽돌이 상부에서 하부로 해체됨에 따라, 상기 수직부(110)의 단부가 분쇄대상인 내화벽돌이 적층된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부(110)의 상단에서 순차적으로 결합된 제1수직관(111), 제2수직관(112), 제3수직관(113)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해체하여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 단부 위치를 반응로(F)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10)는 고정부(130)에 의해 반응로(F)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30)는 일 실시예로, 반응로(F)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그(134)와, 상기 지그(134)와 상기 수직부(110)를 연결하여 상기 수직부(1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131)는 로프, 체인과 같이 일측이 상기 수직부(110)의 일측(132)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그(134)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부(110)를 반응로(F) 내부에 매달 수 있는 한 공지의 다양한 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그(134)는 반응로(F)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131)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공지의 다양한 실시예가 채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부(110)는, 상기 고정부(130)에 의해 반응로(F)의 상부에 매달려 있는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고정부재(131)가 상기 수직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수직관(111,112,113)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부(1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1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1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133)는, 일측이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110)가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직관이 분리될 때 상기 고정부재(131)가 상기 가이드부재(133)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상기 수직부(110)가 반응로(F)의 중앙에 상기 고정부재(131)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수직부(110)의 반응로(F)의 위치는 작업자(p)의 편의에 따라, 반응로(F)의 상부 일측에 연결된 상기 고정부재(131)의 연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직부(110)의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140)는 상기 수직부(110)와 같이, 내부에 내화벽돌이 이동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관,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부 단부가 상기 수직부(110)와 연결되고, 하부 단부는 반응로(F)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 단부를 통해 내화벽돌이 유입되면, 상기 수직부(110)를 따라 낙하하여 상기 경사부(140)로 유입되고, 타 단부가 반응로(F)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부(140)를 따라 반응로(F)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일 실시예로, 상기 경사부(140)는 지면과 45도 각도를 형성하며 반응로(F) 내부에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장치(100)는, 상기 경사부(140)가 내화벽돌의 낙하시 내화벽돌과 충돌에 의해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경사부(140)를 지지하는 지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150)는, 일측이 상기 경사부(140)에 연결되고 반응로(F)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타측이 반응로(F)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경사부(140)와 접촉하는 복수개의 수평부재(152)와 상기 수평부재(152)와 연결되며 반응로(F)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부재(153)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경사부(14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10)는, 상기 경사부(140)에 낙하하는 내화벽돌의 속도를 줄여 상기 경사부(140)에 내화벽돌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수직부(110) 내부에 상기 수직부(11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완충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120)는 수직부(110) 내부로 돌출되고, 낙하하는 내화벽돌과 충돌시 회전하도록 상기 수직부(110)와 힌지결합(123)하는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가 회전후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부(122)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원부(122)는 일 실시예로 상기 수직부(110) 외부에 위치하는 무게추(122a)와 상기 무게추(122a)와 상기 돌출부(12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2b)로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돌출부(121)에 낙하하는 내화벽돌이 충돌하면, 상기 돌출부(121)는 충돌에 의해 상기 돌출부(121)는 상기 수직부(110)의 하부로 회전하고, 회전후에 복원부(122)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원부(122)의 무게는 상기 돌출부(121)가 상기 수직부(110)의 면과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돌출부(121)의 형상, 무게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120)는, 반응로(F)의 높이 방향에서 복수개가 각각 이격되며 교차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21)와 충돌하는 내화벽돌이 상기 수직부(110) 내부에서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낙하하지 않고, 충돌에 의해 대각선 방향 등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낙하하는 내화벽돌의 속도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돌출부(121)가 상기 수직부(110)와 힌지 결합한 부분이 상기 수직부(110)의 길이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면상 상기 수직부(110)의 좌우측에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장치(100)를 이용하여 반응로(F) 내부의 내화벽돌을 인출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방법(S1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장치(100)를 설치하는 설치단계(S110)와, 내화벽돌을 분쇄하는 분쇄단계(S120)와, 분쇄된 내화벽돌을 상기 수직부(110)에 투입하여 반응로(F)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설치단계(S110)에서는, 상기 수직부(110)를 반응로(F) 내부로 운반한 후, 상기 수직부(110)에 형성된 돌출부(121)에 상기 고정부재(131)의 단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131)의 타단부는 반응로(F)의 상부에 고정된 지그(134)에 연결하여, 상기 수직부(110)를 상기 고정부재(131)에 의해 반응로(F) 내부에 매단 상태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 단부가 반응로(F)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재(131)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직부(11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10)의 하단에 상기 경사부(140)를 연결하고, 상기 경사부(140)를 지지하는 지지부(150)를 설치한다.
그리고, 설치단계(S110)가 끝나면 상기 분쇄단계(S120)에서 작업자(p)가 반응로(F) 내벽에 적층된 내화벽돌을 반응로(F)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분쇄한다.
이때, 반응로(F)의 높이가 일 실시예로, 30미터에 해당되는 경우와 같이 작업자(p)가 서있는 상태로 반응로(F)의 상부에 적층된 내화벽돌을 분쇄하기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어 작업자(p)가 반응로(F) 상부에 적층된 내화벽돌을 분쇄하기 위해 작업대(c)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대(c)의 높이는 반응로(F)의 상부의 내화벽돌을 분쇄한 후에 반응로(F)의 하부의 내화벽돌을 분쇄하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분쇄단계(S120)에서는 작업자(p)가 작업대(c)의 상부에 위치하는 반응로(F) 내부에 적층된 내화벽돌을 해머, 에어브레이커와 같은 분쇄기구로 분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단계(S130)는, 분쇄된 내화벽돌을 상기 수직부(110)의 개방된 상부로 투입하여 분쇄된 내화벽돌을 반응로(F)의 외부로 인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110)에 분쇄된 내화벽돌을 투입하면, 상기 내화벽돌은 상기 수직부(110)를 따라 반응로(F)의 하단으로 낙하하고, 단부가 반응로(F)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부(140)를 따라 반응로(F)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런데, 상기 수직부(110)에 내화벽돌이 투입되면, 상기 내화벽돌은 상기 수직부(11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완충부(120)에 의해 낙하속도가 저감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120)는 전술한 돌출부(121)와 복원부(122)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110) 내부에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에 내화벽돌이 투입되고, 상기 수직부(110)를 따라 낙하하는 내화벽돌이 상기 돌출부(121)에 부딪치게 된다.
그래서, 내화벽돌은 상기 돌출부(121)와의 충돌에 의해 속도가 저감되고, 상기 돌출부(121)는 상기 수직부(110)의 내벽과 힌지결합(123)하고 있어 상기 수직관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하부로 회전한 상기 돌출부(121)는 상기 복원부(122)의 무게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돌출부(121)는 지면과 수평인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12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 반응로(F)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교차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내화벽돌이 상기 수직부(110) 내부에서 낙하시 각각의 돌출부(121)에 순차적으로 충돌하여 속도가 저감된 상태로 상기 수직부(110)의 하단과 연결된 상기 경사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120)에 의해 낙하하는 내화벽돌의 낙하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경사부(140)가 내화벽돌에 의해 받는 충격이 완화되어 상기 수직부(110)와 결합된 상기 경사부(140)가 상기 수직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140)에서의 충돌에 의한 충격량이 저감됨에 따라, 상기 경사부(140)와 연결된 상기 수직부(110)에 전달되는 충격량 또한 감소된다.
그래서, 상기 경사부(140)에 발생하는 충격이 과도한 경우, 상기 수직부(110)를 반응로(F) 내부에 고정하는 상기 고정부재(131)가 파손되어 상기 수직부(110)가 반응로(F)의 하단으로 추락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지지부(150)는, 상기 경사부(140)의 하단에서 상기 경사부(14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내화벽돌에 의해 상기 경사부(140)에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한 상기 경사부(140)의 이탈 및 상기 수직부(11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부(110)의 상단에 분쇄된 내화벽돌을 투입하면, 내화벽돌은 상기 수직부(110)를 따라 낙하하고, 상기 완충부(120)에 의해 속도가 저감된 상태로 상기 경사부(140)에 유입되어 반응로(F)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반응로(F)의 상부에 적층된 내화벽돌의 분쇄 및 인출이 완료되면, 작업대(c)의 높이를 낮추어 아직 분쇄되지 않고 적층된 내화벽돌을 다시 분쇄하는 작업이 반복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방법(S100)은, 분쇄된 내화벽돌을 상기 수직부(110)로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 높이를 분쇄대상인 내화벽돌이 적층된 위치로 조절하는 길이조절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길이조절단계(S140)는 일 실시예로, 상기 수직부(110)가 복수개의 관이 합형된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관을 분리하여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는 상기 수직부(110)가 상부에서 순차적으로 제1수직관(111), 제2수직관(112) 및 제3수직관(113)이 포함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반응로(F)의 상부의 내화벽돌을 분쇄하고 반응로(F) 외부로 인출한 후에,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수직관(111)을 분리하여 상기 수직부(110)에서 제거함으로써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 단부 높이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2수직관(112)의 높이에 해당하는 내화벽돌의 분쇄 및 인출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2수직관(112)을 해체하고, 상기 제3수직관(113)의 상부 단부에 내화벽돌을 투입함으로써 반응로(F)의 높이에 따라 분쇄된 내화벽돌을 상기 수직부(110)에 효과적으로 투입하여 반응로(F)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3수직관(113)을 상기 수직부(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길이조절단계(S140)는, 상기 수직부(110)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경우에 상기 수직부(110)를 절단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를 절단하여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 단부 높이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화벽돌 인출방법(S100)은, 반응로(F)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화벽돌을 분쇄하고 인출함에 따라, 분쇄된 내화벽돌을 용이하게 상기 수직부(110)에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 단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내화벽돌을 분쇄하는 분쇄단계(S120)와 이를 반응로(F)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S130) 및 상기 수직부(110)의 상부 단부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단계(S140) 후에 다시 내화벽돌을 분쇄하는 분쇄단계(S120)를 반복하여 반응로(F)에 적층된 내화벽돌을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분쇄하고 상기 수직부(110)에 투입하여 반응로(F)에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자(p)가 작업하는 작업대(c)는, 반응로(F)의 상부에서 매달린 상태로 작업대(c)의 높이가 상부에서 하부로 낮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반응로(F)의 하부 바닥에 고정되고 지지된 상태로 작업대(c)의 높이가 상부에서 하부로 낮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내화벽돌 인출장치 110: 수직부
120: 완충부 121: 돌출부
122: 복원부 122a: 무게추
122b: 연결부재 130: 고정부
140: 경사부 150: 지지부
S100: 내화벽돌 인출방법 S110: 설치단계
S120: 분쇄단계 S130: 배출단계
S140: 길이조절단계
120: 완충부 121: 돌출부
122: 복원부 122a: 무게추
122b: 연결부재 130: 고정부
140: 경사부 150: 지지부
S100: 내화벽돌 인출방법 S110: 설치단계
S120: 분쇄단계 S130: 배출단계
S140: 길이조절단계
Claims (12)
- 분쇄된 내화벽돌이 유입되도록 상부 단부가 개방되고 반응로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로 유입된 분쇄된 내화벽돌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일측 단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반응로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직부 내부에서 낙하하는 내화벽돌의 속도를 완화시키도록, 상기 수직부 내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수직부 내부로 돌출되고, 낙하하는 내화벽돌과 충돌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수직부와 힌지 결합하는 돌출부와, 회전한 상기 돌출부의 위치가 충돌 전 상태로 복귀되도록, 회전된 상기 돌출부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 외부에 위치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를 상기 돌출부와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비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내화벽돌 인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반응로에서 분쇄대상인 내화벽돌의 위치에 따라 내화벽돌이 유입되는 상부 단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복수개의 수직관이 합형되고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벽돌 인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경사부에 유입된 내화벽돌을 반응기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직부와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벽돌 인출장치. - 제3항에 있어서,
내화벽돌 유출시 내화벽돌과의 충돌에 의한 상기 경사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경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내화벽돌 인출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의 무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직부 내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면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벽돌 인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반응로의 높이 방향에서 복수개가 각각 이격되며 교차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벽돌 인출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를 반응기 내부에 고정하도록, 반응로의 상부 일측과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여 상기 수직부를 반응로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내화벽돌 인출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내화벽돌 인출장치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반응로 높이방향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부에 적층된 내화벽돌을 분쇄하는 분쇄단계;
분쇄된 내화벽돌을 수직부에 투입하여 반응로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
분쇄대상인 내화벽돌의 위치에 따라 상기 수직부의 상부 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부의 상부 단부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단계;를 포함하는 내화벽돌 인출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단계는,
분쇄된 내화벽돌을 상기 수직부에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를 절단하여 상기 수직부의 상부 단부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벽돌 인출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단계는,
분쇄된 내화벽돌을 상기 수직부에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복수개의 수직관으로 합형된 수직부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관을 분리하여 상기 수직부의 상부 단부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벽돌 인출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5551A KR101656404B1 (ko) | 2013-12-27 | 2013-12-27 | 내화벽돌 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화벽돌 인출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5551A KR101656404B1 (ko) | 2013-12-27 | 2013-12-27 | 내화벽돌 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화벽돌 인출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7548A KR20150077548A (ko) | 2015-07-08 |
KR101656404B1 true KR101656404B1 (ko) | 2016-09-12 |
Family
ID=5379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5551A KR101656404B1 (ko) | 2013-12-27 | 2013-12-27 | 내화벽돌 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화벽돌 인출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64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96698B (zh) * | 2016-01-25 | 2018-12-14 |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 一种干熄炉内衬耐火材料的拆除及卸料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4519A (ja) * | 2005-01-13 | 2006-07-27 | Takeshi Abe | 耐火性ライニングの剥離作業方法 |
JP2010132956A (ja) * | 2008-12-03 | 2010-06-17 | Nippon Steel Corp | 造粒物の搬送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7655B2 (ja) * | 1995-03-27 | 2000-03-13 | 川崎製鉄株式会社 | 熱風炉解体方法 |
KR100851159B1 (ko) * | 2007-01-16 | 2008-08-08 | 주식회사 포스코 | 낙하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소결광 배출 및 파쇄 장치 |
-
2013
- 2013-12-27 KR KR1020130165551A patent/KR1016564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4519A (ja) * | 2005-01-13 | 2006-07-27 | Takeshi Abe | 耐火性ライニングの剥離作業方法 |
JP2010132956A (ja) * | 2008-12-03 | 2010-06-17 | Nippon Steel Corp | 造粒物の搬送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7548A (ko) | 2015-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L400131A1 (pl) | Urzadzenie do wibracyjnej regeneracji zuzytej masy odlewniczej | |
CN202209056U (zh) | 人工挖孔桩井下安全防护罩 | |
JP2010022989A (ja) | スタンプミル | |
CN107377078A (zh) | 一种矿山破碎机 | |
KR101656404B1 (ko) | 내화벽돌 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화벽돌 인출방법 | |
CN102927864A (zh) | 一种气球悬浮炸药爆破处理溜井高位堵塞的装置及方法 | |
CN201749048U (zh) | 联合制样系统 | |
CN208542367U (zh) | 安全送料的破碎机 | |
CN106732931A (zh) | 一种建材粒料选料设备 | |
CN101975516A (zh) | 球团鼓风环冷机给料斗安全溜槽 | |
CN206366410U (zh) | 一种空心砖原料筛分装置 | |
CN207521067U (zh) | 硅棒边皮料破碎系统 | |
CN106378225A (zh) | 移动颚式破碎机 | |
CN203161066U (zh) | 一种三角连杆式应急逃生伸缩梯 | |
CN208801224U (zh) | 一种新型抛丸机 | |
CN207254511U (zh) | 一种土壤筛分以及破碎装置 | |
CN211026517U (zh) | 道路工程施工垃圾混凝土块破碎装置 | |
CN103736553A (zh) | 破碎机 | |
CN201876142U (zh) | 球团鼓风环冷机给料斗安全溜槽 | |
CN205778899U (zh) | 一种竖井矿仓缓冲接矿硐室 | |
CN209646717U (zh) | 带分级式上料仓的骨料破碎设备 | |
CN206928965U (zh) | 重锤式风水联动放炮自动喷雾装置 | |
CN219971261U (zh) | 一种皮带机落煤点缓冲除尘装置 | |
CN110338074A (zh) | 一种宠物排泄物分离装置及分离方法 | |
CN206229501U (zh) | 砂石破碎线及其给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