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199B1 - 진공식 흡착패드 - Google Patents

진공식 흡착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199B1
KR101656199B1 KR1020160026159A KR20160026159A KR101656199B1 KR 101656199 B1 KR101656199 B1 KR 101656199B1 KR 1020160026159 A KR1020160026159 A KR 1020160026159A KR 20160026159 A KR20160026159 A KR 20160026159A KR 101656199 B1 KR101656199 B1 KR 10165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ody
vacuum
pad
adsorption
vacuum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영
Original Assignee
박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영 filed Critical 박민영
Priority to KR102016002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31Special lip configu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87Other shapes, e.g. triangular or 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93Single lifting units; Only one suction c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크레인에 설치되어 작업물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진공식 흡착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건설현장의 크레인에 설치되어 진공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을 통해 흡착소재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진공식 흡착패드에 있어서, 양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되는 양단부가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측 하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흡착소재를 감싸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제외한 하면은 흡착소재와 밀착되는 스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드부의 일부위에 진공수단의 부압이 유입되는 제1진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커드부의 중심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흡착소재를 흡착할 때 그 형태를 유지시켜주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패드체; 상기 패드체의 상부에 안착되며, 제1진공홀과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제2진공홀이 형성되는 제1보강판; 상기 지지부의 양측과 수용부 사이에 각각 인입되며, 제1, 2진공홀과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제3진공홀이 형성되는 제2보강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흡착패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패드체의 지지부가 흡착소재를 흡착할 때 패드체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면서도 패드체에 형성된 수용부와 스커부로 하여금 견고하면서도 강력한 흡착이 이루어져 패드체의 흡착효율이 향상되면서도 패드체의 상,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2보강판으로 인해 패드체가 흡착작용에 의한 압력으로 형태가 변형됨을 방지하여 패드체의 흡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식 흡착패드{Vacuum pad}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크레인에 설치되어 작업물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진공식 흡착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측으로 연장되며, 외측 하부에는 흡착소재를 감싸는 수용부와, 흡착소재와 밀착되는 스커드부와, 스커드부의 중심으로 하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흡착소재를 흡착할 때 그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패드체가 구성되고, 상기 패드체의 상, 하면으로 제1, 2보강판이 구비되는 진공식 흡착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전주 및 콘크리트 파일을 탈형할 때에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또는 쇠지렛대를 이용하여 작업하였으나 이는 작업물이 고중량으로 이루어져 작업물의 파손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육체적 피로도를 가중시키며, 작업인력의 안전성이 저하됨으로서 생산성이나 경제성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최근에는 건설현장의 크레인에 진공이 발생되는 진공수단과 상기 진공수단의 부압을 통하여 흡착패드를 작업물에 흡착하여 작업물을 이동함으로써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건설현장의 크레인에 사용되는 흡착패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흡착패드와 형태 및 재질이 유사하여 비교적 고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건설현장의 작업물을 흡착하기에는 그 효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5067호(2006. 4. 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패드체의 지지부가 흡착소재를 흡착할 때 패드체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면서도 패드체에 형성된 수용부와 스커부로 하여금 견고하면서도 강력한 흡착이 이루어져 패드체의 흡착효율이 향상되면서도 패드체의 상,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2보강판으로 인해 패드체가 흡착작용에 의한 압력으로 형태가 변형됨을 방지하여 패드체의 흡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진공식 흡착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크레인에 설치되어 진공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을 통해 흡착소재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진공식 흡착패드에 있어서, 양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되는 양단부가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측 하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흡착소재를 감싸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제외한 하면은 흡착소재와 밀착되는 스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드부의 일부위에 진공수단의 부압이 유입되는 제1진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커드부의 중심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흡착소재를 흡착할 때 그 형태를 유지시켜주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패드체; 상기 패드체의 상부에 안착되며, 제1진공홀과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제2진공홀이 형성되는 제1보강판; 상기 지지부의 양측과 수용부 사이에 각각 인입되며, 제1, 2진공홀과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제3진공홀이 형성되는 제2보강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흡착패드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체의 지지부가 흡착소재를 흡착할 때 패드체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도록 지지하면서도 패드체에 형성된 수용부와 스커부로 하여금 견고하면서도 강력한 흡착이 이루어져 패드체의 흡착효율이 향상되면서도 패드체의 상,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2보강판으로 인해 패드체가 흡착작용에 의한 압력으로 형태가 변형됨을 방지하여 패드체의 흡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부는 수용부를 제외한 패드체의 전체 부위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패드체의 높은 경도로 인해 패드체 자체의 내구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경도가 낮은 수용부가 흡착소재를 감싸듯이 흡착하여 패드체의 흡착효율 및 수명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와 제2보강판의 하단면으로 아크릴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이 거칠고 곡선 형태인 흡착소재의 표면과의 사이를 빈틈이 없도록 확실히 메워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강력한 흡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식 흡착패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식 흡착패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식 흡착패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층과 필터체가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식 흡착패드는 건설현장의 크레인에 설치되어 진공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을 통해 흡착소재의 여러 부위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체(10), 상기 패드체(10)의 상,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2보강판(20, 30)으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설현장의 크레인 및 진공수단의 상세한 형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패드체(10)는 흡착소재의 안정된 흡착을 위해 흡착부위를 넓게하기 위해 양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되는 양단부가 반원 형태인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드체(10)의 외측 하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흡착소재를 감싸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를 제외한 하면은 흡착소재와 밀착되며 스커드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1)의 내측은 라운딩되게 형성되어 흡착소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흡착한다.
또한 패드체(10)는 상기 스커드부(13)의 일부위에 진공수단의 부압이 유입되는 제1진공홀(14)이 형성되고, 상기 스커드부(13)의 중심에는 패드체(10)의 길이방향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흡착소재를 흡착할 때 그 형태를 유지시켜주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5)가 형성된다.
즉, 진공수단의 작동에 의해 부압이 발생되어 제1진공홀(13)을 통해 흡입작용이 일어나면 수용부(11)는 흡착소재를 감싸듯이 말착되어 보다 견고한 흡착력이 발생되며, 이와 더불어 스커드부(13) 또한 흡착소재를 밀착하여 패드체(10)로 하여금 흡착소재의 강력한 흡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체(10)의 상부에 안착되며, 제1진공홀(14)과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제2진공홀(24)이 형성되는 제1보강판(20)과, 상기 지지부(15)의 양측과 수용부 사이에 각각 인입되며, 제1, 2진공홀(14, 24)과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제3진공홀(34)이 형성되는 제2보강판(30)이 각각 구성된다.
상기 제1, 2보강판(20, 30)의 재질은 어느 정도의 강도를 구비하면서도 전성과 연성이 좋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제1, 2보강판(20, 30)으로 하여금 패드체(10)의 흡착작용에 의한 압력으로 패드체의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흡착압력이 저하되고 패드체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을 보완하면서 패드체(10)의 흡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패드체(10)와 제1, 2보강판(20, 30)은 볼트 체결에 의해 각각 결합되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패드체(10)와 제1, 2보강판(20, 30)에 공지의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볼트 체결을 실시하여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패드체(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7)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17)의 하단으로 패드체(10)의 상단면 부위에 돌출부(17)의 직경이 좁아져 제1보강판(20)의 중앙이 인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부(18)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보강판(20)의 중앙이 걸림부(18)에 인입되어 걸림됨으로써 제1보강판(20)의 안적정인 고정이 이루어지면서도 제1보강판(20) 및 패드체(10)의 파손시에 용이한 교체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보강판(20)와 돌출부(17)는 진공수단 및 크레인에 설치될 수 있는 역활도 병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1)는 수용부(11)를 제외한 패드체(10)의 전체 부위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패드체(10)의 높은 경도로 인해 패드체(10)의 내구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경도가 낮은 수용부(11)가 흡착소재를 감싸듯이 흡착하여 패드체(10)의 흡착효율 및 수명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5)의 하단면과 제2보강판(30)의 하단면으로 아크릴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40)이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40)은 연질이기 때문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보강판(30)에 비해 점착력이 우수하여 표면이 거칠고 곡선 형태인 흡착소재의 표면과의 사이를 빈틈이 없도록 확실히 메워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점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점착층(40)으로 인해 강력한 흡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40)은 제2보강판(30)과 패드체(10)와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지므로 온도 변화시 패드체(10)와 서로 다른 팽창 또는 축소작용이 발생되어도 흡착소재의 계면을 점착시킴으로써 장시간 사용에 따라 패드체(10)의 형태가 변형되어도 점착층(40)에 의한 흡착작용시에 점착층(40)과 흡착소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점착층(40)과 흡착소재 부착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점착층(40)의 두께는 1 ~ 5㎜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는 1㎜ 미만으로 점착층(40)의 두께가 형성되면 점착력이 저하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사라지게 되고, 점착층(40)의 두께가 5㎜를 초과하게 되면 재료의 낭비가 야기시키면서도 점착층(40)이 패드체(1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패드체(10)와 제1보강판(20) 사이로 필터체(50)가 구비되어 진공수단의 작동에 의해 부압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식 흡착패드와 흡착소재에 각종 이물질 및 먼지가 등을 걸러내어 효율적으로 흡착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패드체(10)의 재질은 클로로프렌고무 40 ~ 50중량부, 고무보강제 10 ~ 20중량부, 노방제 1 ~ 3중량부, 고무촉진제 0.5 ~ 2중량부, 산화마그네슘 0.5 ~ 1중량부가 각각 혼합되어 성형하여 제작된다.
클로로프렌고무는 클로로프렌(클로로부타디엔)의 단중합체이고, 주사슬은 대부분이 완전한 트랜스-1,4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조 규칙성이 높기 때문에 일반고무와 비교하여 내열성 및 화학적 공격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진다.
즉, 패드체(10)는 화학작용 및 열에 의하여 변형이 생기지 않아야 하므로 패드체(10)의 주재료가 클로로프렌고무로 이루어짐으로서 패드체(10)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로로프렌고무는 일반 고무에 비해 높은 접착력이 구비되고, 오존균열, 열노화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클로로프렌고무가 가지는 특성을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고무보강제는 클로로프렌고무의 우수한 접착력을 구비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곧 패드체(10)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구비하기 위해 구성되며, 상기의 중량범위로 혼합될 때에 최적의 접착력을 구비하게 된다.
노방제는 클로로프렌고무가 갖는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시키기 위하여 혼합되며, 패드체(10)의 표면에 대한 오염과 더불어 휘발성을 과다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의 중량범위로 혼합된다.
산화마그네슘은 클로로프렌고무의 가교 결합을 수행하여 클로로프렌고무의 결합력이 높아져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켜 뛰어난 기계적 물성을 구비하도록 한다.
10 : 패드체 11 : 수용부
13 : 스커드부 14 : 제1진공홀
15 : 지지부 17 : 돌출부
18 : 걸림부 20 : 제1보강판
24 : 제2진공홀 30 : 제2보강판
34 : 제3진공홀 40 : 점착층
50 : 필터체

Claims (6)

  1. 건설현장의 크레인에 설치되어 진공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을 통해 흡착소재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진공식 흡착패드에 있어서,
    양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되는 양단부가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측 하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흡착소재를 감싸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를 제외한 하면은 흡착소재와 밀착되는 스커드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드부(13)의 일부위에 진공수단의 부압이 유입되는 제1진공홀(14)이 형성되고, 상기 스커드부(13)의 중심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흡착소재를 흡착할 때 그 형태를 유지시켜주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5)가 형성되는 패드체(10);
    상기 패드체(10)의 상부에 안착되며, 제1진공홀(14)과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제2진공홀(24)이 형성되는 제1보강판(20);
    상기 지지부(15)의 양측과 수용부(11) 사이에 각각 인입되며, 제1, 2진공홀(14, 24)과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제3진공홀(34)이 형성되는 제2보강판(30);이 포함되고,
    상기 패드체(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7)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17)의 하단으로 패드체(10)의 상단면 부위에 돌출부(17)의 직경이 좁아져 제1보강판(20)의 중앙이 인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부(18)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는 수용부(11)를 제외한 패드체(10)의 전체 부위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지지부(15)의 하단면과 제2보강판(30)의 하단면으로 아크릴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가 1 ~ 5㎜의 두께로 도포되는 점착층(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흡착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체(10)와 제1보강판(20) 사이로 필터체(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흡착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체(10)의 재질은 클로로프렌고무 40 ~ 50중량부, 고무보강제 10 ~ 20중량부, 노방제 1 ~ 3중량부, 고무촉진제 0.5 ~ 2중량부, 산화마그네슘 0.5 ~ 1중량부가 각각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흡착패드.
KR1020160026159A 2016-03-04 2016-03-04 진공식 흡착패드 KR10165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159A KR101656199B1 (ko) 2016-03-04 2016-03-04 진공식 흡착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159A KR101656199B1 (ko) 2016-03-04 2016-03-04 진공식 흡착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199B1 true KR101656199B1 (ko) 2016-09-08

Family

ID=5695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159A KR101656199B1 (ko) 2016-03-04 2016-03-04 진공식 흡착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1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630A (ja) * 1991-09-10 1993-03-23 Smc Corp 真空吸着パツド
JPH072540Y2 (ja) * 1988-11-16 1995-01-25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吸着具
JP2002018757A (ja) * 2000-07-05 2002-01-22 Toyota Kihan:Kk 複数重ねの吸着パッドを備えた真空吸着リフト
KR200415067Y1 (ko) 2006-01-26 2006-04-27 한국몰드(주) 터널 세그먼트용 진공 탈형기
KR200434642Y1 (ko) * 2006-10-10 2006-12-22 장대환 실리콘 패드가 구비된 흡착패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0Y2 (ja) * 1988-11-16 1995-01-25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吸着具
JPH0570630A (ja) * 1991-09-10 1993-03-23 Smc Corp 真空吸着パツド
JP2002018757A (ja) * 2000-07-05 2002-01-22 Toyota Kihan:Kk 複数重ねの吸着パッドを備えた真空吸着リフト
KR200415067Y1 (ko) 2006-01-26 2006-04-27 한국몰드(주) 터널 세그먼트용 진공 탈형기
KR200434642Y1 (ko) * 2006-10-10 2006-12-22 장대환 실리콘 패드가 구비된 흡착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489B2 (ja) ブッシング組立体
EP1850376A3 (en) Electrostatic chuck
KR101656199B1 (ko) 진공식 흡착패드
CN207406922U (zh) 一种汽车用不锈钢增强垫
SG133541A1 (en) Method and material for cleaning a substrate
TWI261095B (en) Steel wire vibration-isolator
CN201344316Y (zh) 一种管道系统的支撑固定装置
CN107700288A (zh) 一种台车轨道座及台车轨道
JP2570340B2 (ja) 免震構造体
US10315699B2 (en) Upper arm and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and vehicle frame including same
JP3178808U (ja) 配管支持の補強材
CN101922682B (zh) 一种灯具减振器及使用该灯具减振器的灯具装置
JP5188147B2 (ja) 防振装置
CN208022093U (zh) 一种真空罐
CN206329483U (zh) 一种水泵底座及包含该底座的水泵
CN101871624B (zh) 减振灯具
CN208472937U (zh) 一种支撑钢板
CN215482349U (zh) 一种用于大直径螺旋筋的弹压装置
CN217128557U (zh) 一种套管漏水临时封堵固定工具
CN211060247U (zh) 一种空调安装减震结构及空调
CN216812633U (zh) 一种胶套缩径减震套
CN218750125U (zh) 一种稳定性较好的防滑型气室垫板
CN217328434U (zh) 一种具有定位结构的密封垫
CN213870464U (zh) 一种增压稳定的管道增压泵
CN215675074U (zh) 一种led支架安装用固定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