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935B1 -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935B1
KR101654935B1 KR1020100005864A KR20100005864A KR101654935B1 KR 101654935 B1 KR101654935 B1 KR 101654935B1 KR 1020100005864 A KR1020100005864 A KR 1020100005864A KR 20100005864 A KR20100005864 A KR 20100005864A KR 101654935 B1 KR101654935 B1 KR 10165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riving voltage
portable
driving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243A (ko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9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구동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광원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프로젝터{Method for driving portable projector and portable projector therof}
본 발명은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기기는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휴대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으며,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근래에는 마이크로 프로젝터(Micro Projector)가 장착되는 휴대용 기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마이크로 프로젝터는 LED 모듈이나 LD(Laser Diode)모듈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소형의 휴대용 프로젝터로,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면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곳이면 어떠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광원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는,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비하는 프로젝터 모듈;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전압이 제1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의 밝기를 감소시키며, 상기 구동 전압이 최소 구동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휴대용 프로젝터를 턴오프시킨다.
또한, 상기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프로젝터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광원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휴대용 기기의 전원 공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와 함께 휴대용 기기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터 모듈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구동 전압에 따라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휴대용 프로젝터는 프로젝터 모듈(100), 제어부(110), 전원 공급부(120), 저장부(130), 인터페이스부(140), 키입력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젝터 모듈(100)은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구비된 광원을 이용해 휴대용 프로젝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내부에 저장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여 스크린상에 상기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프로젝터 모듈(100)에 구비되는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휴대가 가능하며, 그를 위해 프로젝터 모듈(100) 등과 같은 내부에 구비된 모듈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부(12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수소, 니켈망간, 리튬이온 또는 납축전지 등을 이용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프로젝터 모듈(100)을 통해 투사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며, 또한 휴대용 프로젝터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펌웨어 또는 장치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HDMI, USB, 컴포넌트, RGB 등의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데이터 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키버튼들들로 구성된 키패드(keypad)를 할 수 있다. 한편, 키입력부(150)는 휴대 및 소형화가 용이하도록 초음파 키보드 또는 접이 가능한 플렉서블 키보드(flexible key board)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60)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프로젝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용 프로젝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즉 프로젝터 모듈(100), 전원 공급부(120), 저장부(130), 인터페이스부(140), 키입력부(150) 및 표시부(16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는 저장부(130) 또는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100)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프로젝터 모듈(10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프로젝터 모듈(100)은 광원부(101), 조명 광학부(102), 광변조부(103), 필터부(104), 투사 광학부(105) 및 스캐닝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원부(101) RGB 광원을 생성하여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광을 출사하며, 조명 광학부(102)는 상기 광원부(101)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광변조부(103)로 입사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광원부(101)는 복수의 광원들, 예를 들어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들 또는 백색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 LED는 적색 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배치 및 방출 광은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01)는 집광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복수의 광을 집광하여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집광부는 하나의 반사 미러(mirror)와 두 개의 다이크로닉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이 집광되어 다중빔이 형성됨에 따라 단일 조명계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조명 광학부(102)는 광원부(101)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선형의 평행광으로 변화시켜 광변조부(103)로 입사시킬 수 있다.
광변조부(103)는 회절형 광변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조명 광학부(102)로부터 선형의 평행광이 입사되면 상기 입사광에 대해 광변조를 수행하여 복수의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 광을 형성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 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회절광을 사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필터부(104)는 광변조부(103)에서 생성된 복수 차수의 회절 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04)는 퓨리에 렌즈 및 색선별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절 광을 차수별로 분리하여 원하는 차수의 회절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투사 광학부(105)는 필터부(104)를 통과한 회절 광으로 이루어진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며, 스캐닝부(106)는 입사된 회절광을 스크린에 스캐닝하여 영상을 스크린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캐닝부(106)는 필터부(104)를 통과한 복수의 스캐닝 회절 점광으로 이루어진 주사선을 스크린에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스캐닝을 수행하여 2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스캐닝부(106)는 스캐너(미도시)와 프로젝션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캐너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입사되는 라인 이미지를 스크린에 좌에서 우 및 우에서 좌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휴대용 프로젝터에 구비된 모듈들,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휴대용 프로젝터의 전원 공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제어 방법을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을 측정한다(200 단계).
전원 공급부(120)에 구비된 배터리는 충전 후 휴대용 프로젝터를 사용함에 따라 방전되어, 출력되어 휴대용 프로젝터에 구비된 모듈들,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100)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이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20)의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휴대용 프로젝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어부(110)는 상기 구동 전압이 최소 구동 전압(Vmin)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휴대용 프로젝터를 턴오프(turn off)시켜 비정상적인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20)의 배터리 출력 전압이 충전 완료 직후에는 약 16V이고, 상기 배터리가 방전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약 9V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부(110)는 전원 공급부(12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휴대용 프로젝터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그를 위해, 제어부(110)는 전원 공급부(120)의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100)에 구비된 광원의 밝기를 감소시킨다(210 단계).
제어부(110)는 상기 구동 전압이 소정 전압만큼 감소할 때마다 광원부(101)에 구비된 LED의 밝기를 소정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휴대용 프로젝터의 전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완료 직후에는 약 16V이었던 구동 전압이 9.5V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구동 전압이 0.1V씩 떨어질 때마다 상기 LED의 밝기가 10%씩 감소되도록 프로젝터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전압이 9.5V 이하에서 더욱 감소하여 9V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제어부(110)는 전원 공급부(102)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휴대용 프로젝터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에 따라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제3 전압(V3)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300 단계).
제어부(110)는 상기 구동 전압이 제3 전압(V3) 이하로 감소한 경우 상기 구동 전압이 제2 전압(V2)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310 단계), 상기 구동 전압이 제2 전압(V2)을 초과하면 키패드 조명을 오프(off) 시킨다(32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전압이 최초 16V에서 상기 제3 전압(V3)인 11V 이하로 감소하면, 먼저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키패드에 설치된 조명을 오프시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키입력부(150)는 상기 키패드를 비추기 위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상기 구동 전압이 11V 이하로 감소하면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광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구동 전압이 제2 전압(V2) 이하로 감소한 경우 상기 구동 전압이 제1 전압(V1)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330 단계), 상기 구동 전압이 제1 전압(V1)을 초과하면 표시부(160)를 오프(off) 시킨다(34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제3 전압(V3)인 11V 이하로 감소한 후 더 감소하여 상기 제2 전압(V2)인 10V 이하가 되면, 제어부(110)는 표시부(160)에 구비된 광원, 즉 휴대용 프로젝터가 현재 정상 동작 중임을 나타내기 위해 온(on)되어 있는 LED를 오프시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구동 전압이 제1 전압(V1) 이하로 감소한 경우 상기 구동 전압이 최소 구동 전압(Vmin)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350 단계),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최소 구동 전압(Vmin)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 전압이 0.1V 감소할 때마다 광원의 밝기를 0.1%씩 감소시킨다(36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제2 전압(V2)인 10V 이하로 감소한 후 더 감소하여 상기 제1 전압(V1)인 9.5V 이하가 되면, 제어부(110)는 프로젝터 모듈(100)에 구비된 LED의 밝기를 상기 구동 전압이 0.1V 감소할 때마다 0.1%씩 감소시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전압이 최소 구동 전압(Vmin) 이하로 감소한 경우, 휴대용 프로젝터를 턴오프시킨다(37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제1 전압(V1)인 9.5V 이하로 감소한 후 더 감소하여 최소 구동 전압인 90V 이하가 되면, 제어부(110)는 전원 공급부(11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휴대용 프로젝터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제1 전압 이하인 경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키패드의 조명을 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제2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휴대용 프로젝터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광원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제3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밝기를 소정 비율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압은, 상기 제2 전압보다 낮은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제3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 전압이 0.1V 감소할 때마다 상기 광원의 밝기를 0.1%씩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최소 구동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휴대용 프로젝터를 턴오프(turn off)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소 구동 전압은, 상기 제3 전압보다 낮은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8. 입력 영상을 투사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제1 전압 이하인 경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키패드 조명을 오프시키고,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제2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휴대용 프로젝터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휴대용 프로젝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광원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휴대용 프로젝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제3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밝기를 소정 비율만큼 감소시키는
    휴대용 프로젝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제3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 전압이 0.1V 감소할 때마다 상기 광원의 밝기를 0.1%씩 감소시키는
    휴대용 프로젝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구동 전압이 최소 구동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휴대용 프로젝터를 턴오프(turn off)시키고,
    상기 최소 구동 전압은, 상기 제3 전압보다 낮은
    휴대용 프로젝터.
KR1020100005864A 2010-01-22 2010-01-22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프로젝터 KR10165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864A KR101654935B1 (ko) 2010-01-22 2010-01-22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864A KR101654935B1 (ko) 2010-01-22 2010-01-22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43A KR20110086243A (ko) 2011-07-28
KR101654935B1 true KR101654935B1 (ko) 2016-09-06

Family

ID=4492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864A KR101654935B1 (ko) 2010-01-22 2010-01-22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9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8807A (ja) * 2005-09-12 2007-03-29 Nikon Corp 投影装置
JP2007300321A (ja) * 2006-04-28 2007-11-15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及び表示装置
JP2008047407A (ja) * 2006-08-15 2008-02-28 Nikon Corp 照明装置およびランタ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311A (ko) * 2005-05-24 2006-11-29 주식회사 팬택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전원 절약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8807A (ja) * 2005-09-12 2007-03-29 Nikon Corp 投影装置
JP2007300321A (ja) * 2006-04-28 2007-11-15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及び表示装置
JP2008047407A (ja) * 2006-08-15 2008-02-28 Nikon Corp 照明装置およびランタ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43A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5656B1 (en) Handheld projection device
US8405014B2 (en) Light source unit and projector having a light sourc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emission of excitation light and rotating speed of a luminescent wheel
KR101336000B1 (ko) 필적 데이터 생성 시스템, 필적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227997B1 (ko) 광원 유닛 및 프로젝터
KR101788029B1 (ko) 인터랙티브 시스템, 인터랙티브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프로젝터
US20070165409A1 (en) Projection display and image display method
EP3149535B1 (en) Optical device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1128366A (ja) 投写型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型カメラ
US11032526B2 (en) Projection device, projection method and projection system
JP2007334092A (ja) プロジェクタ及びその制御方法
CN209879242U (zh) 投影装置及其光源系统
KR101654935B1 (ko)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프로젝터
US20140289542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user setting depending on battery state,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deciding permission/ prohibition of selection
JP2011215322A (ja) プロジェクタ
JP2006154671A (ja) 表示装置
JP2019128590A (ja) 画像投射装置
JP2008047407A (ja) 照明装置およびランタン
CN110874000B (zh) 投影装置及其光源系统与投影方法
JP2009169348A (ja) 映像表示装置
EP3014869B1 (en) Highlighting an object displayed by a pico projector
JP5376690B2 (ja) 投写型表示装置、投写型表示装置の光源制御装置および光源制御方法
JP2007300321A (ja) 携帯通信端末及び表示装置
JP2016025606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12332468A (zh) 投影系统及投影系统的无线充电方法
JP2006098700A (ja) 携帯型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