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928B1 -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928B1
KR101654928B1 KR1020140154139A KR20140154139A KR101654928B1 KR 101654928 B1 KR101654928 B1 KR 101654928B1 KR 1020140154139 A KR1020140154139 A KR 1020140154139A KR 20140154139 A KR20140154139 A KR 20140154139A KR 101654928 B1 KR101654928 B1 KR 10165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leg
foo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756A (ko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라테크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라테크, 김선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라테크
Priority to KR102014015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9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 근력 운동기구로서, 발판축지지대(3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원통형 지지대결합구(317)가 끼워져 있고, 여기에 고정축(311)과 가동축(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축지지대(310)의 중앙에는 지지대회동부(321)를 중심으로 후방에는 후방누름지지대(330)가 발판(340)과 함께 이어져 있고, 전방으로는 좌우측으로는 전방누름지지대(320)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사이로 지지대연결가로대(323)가 고정너트(326)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전방누름지지대(320)의 중간지점에는 좌우측으로 탄성스프링(350)이 고정축(31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이다.

Description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Sports device for a physical strength of leg on chair}
본 발명은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람이 소파나 의자에 앉아서도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창안된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면을 참조하면, 국내 알려진 다리근력운동기구로 양발을 발판 위에 올려 한쪽 다리의 발을 힘을 주게 되면 한쪽 편의 발판이 실린더의 압력을 받으면서 내려가게 되어 해당 다리에는 상당한 힘을 주게 되어 있으므로, 다리의 근력 운동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다리근력운동기구는 구조상 서서하는 기구로서, 소파나 책상 앞 의자에 앉아서 쉬거나 일을 할 때에 운동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평상시 운동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소파나 책상 앞에 앉아서도 운동할 수 있도록 두 다리를 한꺼번에 운동하거나 각각 운동할 수 있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리 근력 운동기구로서, 발판축지지대(1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고정축(111)과 가동축(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축지지대(110)의 중앙에는 중심판(120)과 누름지지대(130) 및 발판(140)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중심판(120)의 하부에는 압축스프링(150)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서는 상기 중심판(120)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하가동축(151)이 상기 누름지지대(130)와 힌지결합부(137)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누름지지대(130)는 상기 발판축지지대(110)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형성카바(121)의 힌지(122)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발판축지지대(11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누름지지대(130)와 고정축(111)를 연결하는 공기압실린더(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누름지지대(130)의 전방에는 손잡이세로지지대(132)가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판축지지대(1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고정축(111)과 가동축(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축지지대(110)의 중앙에는 중심판(120)과 누름지지대(130) 및 발판(140)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중심판(120)의 하부에는 압축스프링(150)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서는 상기 중심판(120)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하가동축(151)이 상기 누름지지대(130)와 힌지결합부(137)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누름지지대(130)는 상기 발판축지지대(110)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형성카바(121)의 힌지(122)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되, 각 구성이 양측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 근력 운동기구로서, 발판축지지대(3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원통형 지지대결합구(317)가 끼워져 있고, 여기에 고정축(311)과 가동축(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축지지대(310)의 중앙에는 지지대회동부(321)를 중심으로 후방에는 후방누름지지대(330)가 발판(340)과 함께 이어져 있고, 전방으로는 좌우측으로는 전방누름지지대(320)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사이로 지지대연결가로대(323)가 고정너트(326)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전방누름지지대(320)의 중간지점에는 좌우측으로 탄성스프링(350)이 고정축(31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연결가로대(323)에는 손잡이세로지지대(332)가 형성되어 있되 그 상부 끝단에는 손잡이 가로지지대(334)에 의하여 양측으로 손잡이(3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소파나 책상 앞에 앉아서도 두 다리를 한꺼번에 운동하거나 각각 운동할 수 있으므로, 노약자 또는 학생들이 쉬는 시간에도 앉아서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다리근력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다리근력운동기구의 작동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두 다리 동시용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두 다리 각각 사용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3, 4의 측면도로서, 공기압 실린더가 부착된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손잡이가 없는 두 다리 동시용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손잡이가 없는 두 다리 각각 사용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두 다리 동시용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작동관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두 다리 동시용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두 다리 각각 사용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3, 4의 측면도로서, 공기압 실린더가 부착된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로서 운동기구(100)는 우선 발판축지지대(1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고정축(11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가동축결합구(113)에 결합되는 가동축(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로울러(115)(116)가 각각 형성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축지지대(110)의 중앙에는 중심판(120)과 누름지지대(130) 및 발판(1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판(120)의 하부에는 압축스프링(150)이 형성되면서, 상부에서는 상기 누름지지대(13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누름지지대(130)는 상기 발판축지지대(110)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형성카바(121)의 힌지(122)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지지대(130)의 전방에는 손잡이세로지지대(132)가 고정너트(133)에 의하여 결합고정되며, 상기 손잡이세로지지대(132)의 끝단에는 손잡이가로지지대(134)가 결합되어 있고, 양측에는 손잡이(135)가 형성되어 운동시 노약자 등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발판(140) 위에 발을 올려 놓고 힘을 주게 되면, 힌지(122)를 중심으로 상기 누름지지대(130)의 전방이 올려지되, 압축스프링부(150)의 탄력에 의하여 다리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다리를 각각 사용하는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조적으로는 제 1실시예의 원리를 그대로 이용하되 부분적으로 양 다리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변형한 것이다.
상기 도면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로서 운동기구(200)는 우선 발판축지지대(2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고정축(21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가동축결합구(213)에 결합되는 가동축(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로울러(215)(216)가 각각 형성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축지지대(210)의 좌우측으로는 중심판(220)과 누름지지대(230) 및 발판(2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판(220)의 하부에는 압축스프링(250)이 형성되면서, 상부에서는 상기 누름지지대(23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누름지지대(230)는 상기 발판축지지대(210)의 좌우측에 형성된 힌지형성카바(221)의 힌지(222)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지지대(230)의 전방에는 손잡이세로지지대(232)가 고정너트(233)에 의하여 결합고정되며, 상기 손잡이세로지지대(232)의 끝단에는 손잡이(235)가 각각 형성되어 운동시 노약자 등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발판(240) 위에 발을 올려 놓고 양다리에 각각 힘을 주게 되면, 힌지(222)를 중심으로 상기 누름지지대(230)의 전방이 올려지되, 압축스프링부(250)의 탄력에 의하여 다리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제1, 2 실시예의 측면도로서, 압축스프링부(25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압축스프링부(250)는 상하가동축(151(251)이 상기 누름지지대(130)(230)와 힌지결합부(137)(237)에 의하여 힌지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중심판(120)에는 장공(125(225)에 의하여 상하가동축(151(251)이 상하로 작동시에 상기 가동축이 원활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장공의 전후를 왕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부(250)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가동축(151)(251)의 하단에는 조절나사부(151a)(251a)에 의하여 조절너트(153)(253)가 회동되면서 스프링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54(254)는 유연한 재질의 스프링카바이다.
또한, 상기 발판(140)(240)은 누름지지대(130)(230)의 끝단에 발판지지대(141)(241)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상단에 힌지(142)(242)로 결합시켜 상기 발판이 발목에 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부(150)(250)가 작동시 발판으로 눌려져 있다가 갑작스럽게 놓을 경우에는 강한 스프링의 작동으로 힘있게 팽창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의 안전을 위하여 공기압실린더(160(260)을 누름지지대(130)(230)와 결합힌지부(161)(261)에 의하여 결합하고, 상기 고정축(111)(211)에 결합힌지부(162)(262)에 의하여 결합하여, 갑작스런 팽창에 의하여도 천천히 팽창되도록 공기압실린더로 완화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제3,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손잡이가 없는 두 다리 동시용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손잡이가 없는 두 다리 각각 사용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1, 2실시예와 다른 점은 손잡이부를 제거한 상태로서, 이는 책상앞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 책상 밑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다음은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도면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3실시예로서 운동기구(100a)는 우선 발판축지지대(1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고정축(11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가동축결합구(113)에 결합되는 가동축(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로울러(115)(116)가 각각 형성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축지지대(110)의 중앙에는 중심판(120)과 누름지지대(130) 및 발판(1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판(120)의 하부에는 압축스프링(150)이 형성되면서, 상부에서는 상기 누름지지대(13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누름지지대(130)는 상기 발판축지지대(110)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형성카바(121)의 힌지(122)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서 책상 앞으로 넣어 상기 발판(140) 위에 발을 올려 놓고 힘을 주게 되면, 힌지(122)를 중심으로 상기 누름지지대(130)의 전방이 올려지되, 압축스프링부(150)의 탄력에 의하여 다리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4실시예로서 운동기구(200a)는 우선 발판축지지대(2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고정축(21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가동축결합구(213)에 결합되는 가동축(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로울러(215)(216)가 각각 형성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축지지대(210)의 좌우측으로는 중심판(220)과 누름지지대(230) 및 발판(2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판(220)의 하부에는 압축스프링(250)이 형성되면서, 상부에서는 상기 누름지지대(23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누름지지대(230)는 상기 발판축지지대(210)의 좌우측에 형성된 힌지형성카바(221)의 힌지(222)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서 책상 앞으로 넣어 상기 발판(240) 위에 발을 올려 놓고 양다리에 각각 힘을 주게 되면, 힌지(222)를 중심으로 상기 누름지지대(230)의 전방이 올려지되, 압축스프링부(250)의 탄력에 의하여 다리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제5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두 다리 동시용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작동관계도이다.
구조적으로는 제 1실시예의 원리를 그대로 이용하되 누름지지대의 구조를 변형하여 다리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변형한 것이다.
상기 도면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5실시예로서 운동기구(300)는 우선 발판축지지대(3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원통형 지지대결합구(317)가 끼워져 있고, 여기에 고정축(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가동축결합구(313)에 결합되는 가동축(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로울러(315)(316)가 각각 형성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축지지대(310)의 중앙에는 지지대회동부(321)를 중심으로 후방에는 후방누름지지대(330)가 발판(340)과 함께 이어져 있고, 전방으로는 좌우측으로는 전방누름지지대(320)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사이로 지지대연결가로대(323)가 고정너트(326)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연결가로대(323)에는 손잡이세로지지대(332)가 형성되어 있되 그 상부 끝단에는 손잡이 가로지지대(334)에 의하여 양측으로 손잡이(335)가 형성되어 안전하게 근력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누름지지대(320)의 중간지점에는 좌우측으로 탄성스프링(350)이 고정축(311)에 연결되어 상기 발판(340) 위에 발을 올려 놓고 양다리에 각각 힘을 주게 되면, 지지대회동부(321)를 중심으로 상기 후방누름지지대(33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누름지지대(320)가 올려지되, 탄성스프링(350)의 탄력에 의하여 다리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판(340)에는 후방누름지지대(330)의 끝단에 발판지지대(341)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상단에 힌지(342)로 결합시켜 상기 발판이 발목에 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운동기구
110 : 발판축지지대
111 : 고정축
112 : 가동축
120 : 중심판
122 : 힌지
130 : 누름지지대
135 : 손잡이
140 : 발판
150 : 압축실린더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다리 근력 운동기구로서, 발판축지지대(3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원통형 지지대결합구(317)가 끼워져 있고, 여기에 고정축(311)과 가동축(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축지지대(310)의 중앙에는 지지대회동부(321)를 중심으로 후방에는 후방누름지지대(330)가 발판(340)과 함께 이어져 있고, 전방으로는 좌우측으로는 전방누름지지대(320)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사이로 지지대연결가로대(323)가 고정너트(326)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전방누름지지대(320)의 중간지점에는 좌우측으로 탄성스프링(350)이 고정축(31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연결가로대(323)에는 손잡이세로지지대(332)가 형성되어 있되 그 상부 끝단에는 손잡이 가로지지대(334)에 의하여 양측으로 손잡이(3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
KR1020140154139A 2014-11-07 2014-11-07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 KR101654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139A KR101654928B1 (ko) 2014-11-07 2014-11-07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139A KR101654928B1 (ko) 2014-11-07 2014-11-07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756A KR20160054756A (ko) 2016-05-17
KR101654928B1 true KR101654928B1 (ko) 2016-09-06

Family

ID=5610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139A KR101654928B1 (ko) 2014-11-07 2014-11-07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9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772Y1 (ko) * 2001-11-13 2002-03-13 강민구 롤링 운동구
KR100934387B1 (ko) * 2009-08-05 2009-12-30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다기능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170A (ko) * 2009-11-20 2011-05-26 주식회사 허브큐어 점핑 트위스트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772Y1 (ko) * 2001-11-13 2002-03-13 강민구 롤링 운동구
KR100934387B1 (ko) * 2009-08-05 2009-12-30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다기능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756A (ko)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999B2 (en)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upper body ped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905367B1 (ko) 스쿼트 운동 기구
TWM282702U (en) Sit-up device
US9789347B2 (en) Folding exercise chair for resistance training
JP2017528297A (ja) 身体運動のための装置
US20180344036A1 (en) Core Exercising Stool
KR20190001529U (ko) 스쿼트-스탠드 운동기구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KR10131536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 기구
KR101654928B1 (ko) 의자 좌식 다리근력 운동기구
JP3202923U (ja) スクワット・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
KR101535753B1 (ko) 의자장착용 운동기구
KR101870101B1 (ko) 로만 체어로 변형 가능한 스쿼트 운동 기구
JP2012192107A (ja)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KR102262359B1 (ko) 하체 운동용 기구
JP3179684U (ja) スクワット用運動用具
CN105983208A (zh) 一种臂力综合健身机
KR100843644B1 (ko) 하체 운동기구
CN111346342B (zh) 一种体育训练用肌肉训练椅
KR102223338B1 (ko) 스쿼트 운동 보조 장치
KR200482191Y1 (ko) 스탠드식 근력강화용 운동기
KR101982873B1 (ko) 엎드린 자세 운동 장치
FI125730B (fi) Monitoimipenkki kuntosalilaitteita varten
KR101817790B1 (ko) 하체운동보조기구
JP5688663B2 (ja) 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